KR200491659Y1 - 궤도 차량용 완충구 - Google Patents

궤도 차량용 완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59Y1
KR200491659Y1 KR2020190000099U KR20190000099U KR200491659Y1 KR 200491659 Y1 KR200491659 Y1 KR 200491659Y1 KR 2020190000099 U KR2020190000099 U KR 2020190000099U KR 20190000099 U KR20190000099 U KR 20190000099U KR 200491659 Y1 KR200491659 Y1 KR 200491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uffer
metal reinforcement
rubber pack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경
Original Assignee
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경 filed Critical 김환경
Priority to KR2020190000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궤도차량용 완충구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궤도차량용 완충구는, 금속보강부에 탄성부재 설치에 의한 완충 기능 보강으로, 금속보강부 상호간의 접촉시 탄성부재들에 의해 종래 금속보강부 상호간의 접촉으로부터 발생되는 금속 마찰 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결합력을 시키고, 탄성부재의 설치 만큼 금속보강편의 중량을 감소시키어 작업자로 하여금 완충구의 운반 및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궤도 차량용 완충구{Buffer for Track Vehicles}
본 고안은 각종 광산에서 채굴되는 각종 광물 이송이나 혹은 기타 운반물을 이송하는 궤도(軌道)차량에 사용하는 완충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완충구의 고무패킹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고무바들이 금속(철 주물)보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하여, 금속보강부와 고무패킹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면서 금속보강부 상호간의 격심한 충돌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소음 또한 저감할 수 있게 한 궤도차량용 완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광산에서 채굴된 광물들이나 기타 운반물(혹은 적재물)은 은 기 부설(敷設)된 궤도를 따라 열을 지어 운행하는 궤도(혹은 운반)차량들에 실어서 대량으로 운반함은 익히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궤도차량은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도중 궤도차량 상호간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바와 같이, 궤도차량(10a,10b)의 상호간의 결합부위에는 연결고리(20)를 이용하여 완충구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 완충구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본 출원인이 오래전에 출원하여 실용등록을 받았던 '개량된 광산괘도차의 완충구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 '패킹의 전방접촉면 내부에 금속망체를 개재 혹은 일체로 형성하여서 광차들의 접촉시 완벽한 완충역활과, 패킹의 호환성 및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개량된 광산괘도차의 완충구용 패킹을 제공하는데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2 또한 본 출원인이 상기 특허문헌1의 완충구를 개량 출원하여 실용등록을 받았던 '광산괘도차의 완충구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 '패킹의 전방접촉면을 감싸는 형태의 금속보강편을 전방접촉면에 견고히 고정시켜서 광차와 광차의 접촉시에 완벽한 완충역할과 패킹의 호환성 및 제품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광산괘도차의 완충구용 패킹을 제공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3은 '광산에서 채굴되는 광물을 운송하도록 된 광산괘도차에 결합되어 광산괘도차의 상호 연결 및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된 패킹의 구조'에 관한 것이라고 하면서 '완충부재의 전방에 배치되어 외력으로 부터 완충부재를 보호하도록 된 금속보강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사이에 일체로 게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드지와, 상기 코드지가 게재된 완충부재를 금속보강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의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완충부재에 결합되는 금속보강부재의 분리,이탈을 방지하여 광산괘도차와 완충부재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변질 또는 변형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산괘도차의 완충용 패킹을 제공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의 선행기술의 경우, 완충구 전체를 고무 재질로 형성하되 전방접촉면 내부 일부에만 금속 보강편을 개재시킨 구성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궤도차량 상호간의 잦은 접촉은 그사이 설치된 완충구 역시 상호간의 잦은 접촉의 원인이되게 하여 고무패킹부분의 전방접촉면을 쉽게 손상되게 하거나 혹은 파손으로 인한 고무패킹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하여 완전한 완충 역할을 기대할 수 없게 하는 문제와 아울러 제품 수명을 단축시키어 경제성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하여 개발된 것이 특허문헌2,3인데, 특허문헌2,3은 완충구의 고무패킹부분의 전면 부분 전체를 금속보강편으로 마감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무패킹부분의 잦은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파손이나 탈리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으나, 금속보강편 상호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 소음이 심한 공해 요인이 되고 있고, 여기에 더하여 완충구의 중량을 증가 시키어 완충구의 물류에 따른 운반 이동을 어렵게 함은 물론 궤도차량에 대한 완충구의 연결시 작업자들로 하여금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고무패킹부와 금속보강부의 결합력을 강화하면서도 마찰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게 하는 궤도차량용 완충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실용 공고번호 제1989-0001881호 KR 실용 공고번호 제1992-0002899호 KR 실용등록번호 제20-0166427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완충기능을 하는 고무패킹부는, 고무패킹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고무바들이 금속보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하여 고무패킹부와 금속보강부를 일체로 결합시킨 구성에 의해, 금속보강부와 고무패킹부의 결합력 증진과 아울러 금속보강부들의 상호 충돌시에도 고무바들이 접촉하는 접촉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마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 궤도차량용 완충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한 금속보강부에 고무바들이 설치되는 만큼의 금속보강부의 중량 감소로, 작업자로 하여금 완충구의 운반은 물론 정비나 교체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궤도차량용 완충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궤도 차량용 완충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궤도 차량용 완충구는, 상호 인접되는 궤도차량들의 연결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궤도차량들의 충돌시 완충기능을 하는 장방형의 고무패킹부와 상기 고무패킹부의 어느 일면 전체를 보강하여 상기 고무패킹부들의 파손을 방지하는 금속 보강부로 이루어진 완충구 본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용 완충구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전면에는, 상기 고무패킹부로부터 상기 금속보강부를 관통하여 상기 금속보강부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어, 상기 궤도차량의 상호 충돌로 인한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접촉시 감소된 접촉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금속 마찰음을 저감 시키는 마찰음 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음 저감부는, 상기 금속 보강부를 관통하게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과 고무원료에 의한 상기 고무패킹부를 가압성형시 상기 고무패킹부로부터 상기 고무패킹부의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금속보강부의 상기 관통공들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금속보강부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압입되어져 상기 금속보강부들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고무 돌출바(ba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완충기능을 하는 고무패킹부와 금속보강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 금속보강부들의 상호 접촉시 금속 마찰로 인한 소음 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본 고안은 또한 금속보강부의 중량감소를 달성하여 작업자들로 하여금 완충구의 운반이나 정비 혹은 교체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평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궤도 차량용 완충구(100)는, 상호 인접되는 궤도차량들(10a,10b)의 연결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궤도차량들(10a,10b)의 충돌시 완충 작용을 하는 대략 장방형상의 고무패킹부(110)와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어느 일면 도1,2에서 보아 앞면 전체를 보강하여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파손을 방지하는 대략 반구면(半球面)을 갖는 금속 보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패킹부(110)와 금속 보강부(130)가 완충구 본체(120)를 구성한다.
상기 고무패킹부(110)는 천연고무원료를 고온으로 가압 성형후 굳혀서 규정된 조건에 맞는 강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성형시 중앙으로는 상기 궤도차량(10a,10b)의 각 연결고리(20)에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113)이, 그리고 도1,2에서 보아 좌우측과 후측으로는 궤도차량(10a,10b)측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공들(115,1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궤도차량(10a,10b)에 설치시 도 3의 표시와 같이, 상기 고무패킹부(110)는 상기 궤도차량(10a,10b)측으로 위치되는 반면, 상기 금속 보강부(130)들이 상호 대면하여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궤도차량(10a,10b)의 상호 접촉시 상기 고무패킹부(110)로 하여금 상기 궤도차량(10a,10b)의 상호간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함과 아울러 상기 금속 보강부(130)는 상기 고무패킹부(110)를 보강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은 통상적인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 금속 보강부(130)측으로 마찰음 저감부(150)를 설치한 것이 핵심 구성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마찰음 저감부(150)는 상기 금속 보강부(130)를 관통하게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51)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공(151)을 3개 설치한 것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상기 관통공(151)은 상기 완충구(100)의 크기에 따른 상기 금속 보강부(130)의 크기 변화에 따라서 얼마든지 임의 갯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보강부(130)의 관통공(151)내부로는 상기 고무패킹부(110)로부터 상기 관통공(151)의 갯수에 상응하여 돌출설치된 고무 돌출바(bar)들(153)이 상기 관통공(151)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압입되어 결합되고, 또한 상기 금속 보강부(130)의 내측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바들(131)은 상기 고무패킹부(110)측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금속 보강부(130)와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결합력을 증대 시킨다.
상기 금속 보강부(130)와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결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금속 보강부(130)를 미도시한 모울드에 위치후 기 준비한 천연 고무원료를 넣고 고온으로 가압 성형하는 경우, 상기 장방형의 고무패킹부(110)의 성형과 아울러 상기 고무패킹부(110)를 성형하는 고무원료들이 상기 금속 보강부(130)의 관통공들(151)을 향하여 내부로 충진되어져서 상기 고무패킹부(110)와 상기 금속보강부(130)를 일체로 결합하는 고무 돌출바(bar)들(153)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금속 보강부(130)로부터 돌출설치된 상기 지지바들(131)은 상기 고무패킹부(110)에 매입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금속 보강부(130)와 상기 고무패킹부(110)를 일체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금속 보강부(130)와 상기 고무패킹부(110)의 일체적인 결합 구성은, 상기 궤도차량들(10a,10b)의 상호 접촉에 따른 상기 완충구(100)의 상기 금속보강부(130)의 잦은 충돌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무패킹부(110)로부터 상기 금속보강부(13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는 상기 완충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금속 보강부(130)의 상기 마찰음 저감부(150)의 설치는 상기 궤도차량(10a,10b)의 상호간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금속 보강부들(130)의 잦은 충돌 접촉이 있게 되는 경우, 상기 금속 보강부(1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된 고무 돌출바들(153)은, 그 고무 돌출바(bar)들(153)이 설치된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 상기 금속 보강부(130)들의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어, 상기 금속 보강부(130)들로부터 금속 마찰음 발생을 저감 시키는 작용을 하여 쾌적한 작업장 분위기를 유지할수 있게 하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금속 보강부들(130)의 마모 방지와 아울러 금속 보강부(130)의 지속적인 상호 충돌로 인한 파손도 방지하여 완충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유리한 점도 부여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완충구(100)는 상기 금속 보강부(130)에 고무 돌출바(153)들이 설치되는 만큼의 중량을 감소시키어, 작업자로 하여금 완충구(100)의 운반은 물론 완충구(100)의 정비나 교체 등과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점도 있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 된다.
본 고안은, 모든 궤도차량에 유용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a,10b : 궤도차량
100 : 완충구
110 : 고무패킹부
130 : 금속 보강부
150 : 마찰음 저감부
151 : 관통공
153 : 고무 돌출바(Bar)

Claims (2)

  1. 상호 인접되는 궤도차량들의 연결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궤도차량들의 충돌시 완충기능을 하는 장방형의 고무패킹부와 상기 고무패킹부의 어느 일면 전체를 보강하여 상기 고무패킹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금속 보강부로 이루어진 완충구 본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용 완충구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전면에는, 상기 고무패킹부로부터 상기 금속보강부를 관통하여 상기 금속보강부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면적에 상응하는 만큼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어, 상기 궤도차량의 상호 충돌로 인한 상기 금속 보강부들의 접촉시 감소된 접촉면적에 상응하는 만큼의 금속 마찰음을 저감 시키는 마찰음 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음 저감부는, 상기 금속 보강부를 관통하게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과 고무원료에 의한 상기 고무패킹부를 가압성형시 상기 고무패킹부로부터 상기 고무패킹부의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상기 금속보강부의 상기 관통공들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금속보강부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압입되어져 상기 금속보강부들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 시키는 고무 돌출바(bar)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완충구.
  2. 삭제
KR2020190000099U 2019-01-08 2019-01-08 궤도 차량용 완충구 KR200491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99U KR200491659Y1 (ko) 2019-01-08 2019-01-08 궤도 차량용 완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099U KR200491659Y1 (ko) 2019-01-08 2019-01-08 궤도 차량용 완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59Y1 true KR200491659Y1 (ko) 2020-05-14

Family

ID=7061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099U KR200491659Y1 (ko) 2019-01-08 2019-01-08 궤도 차량용 완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696B1 (ko) * 2022-01-05 2022-08-08 정창훈 원료 이송용 슈트 라이너 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81A (ko) 1987-07-02 1989-04-06 다께바야시 쇼오고 티탄산 바리움 제조방법
KR920002899A (ko) 1990-07-06 1992-02-28 야마무라 가쯔미 방출장치
KR200166427Y1 (ko) 1999-07-03 2000-02-15 배경환 광산괘도차의완충용패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81A (ko) 1987-07-02 1989-04-06 다께바야시 쇼오고 티탄산 바리움 제조방법
KR920002899A (ko) 1990-07-06 1992-02-28 야마무라 가쯔미 방출장치
KR200166427Y1 (ko) 1999-07-03 2000-02-15 배경환 광산괘도차의완충용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696B1 (ko) * 2022-01-05 2022-08-08 정창훈 원료 이송용 슈트 라이너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2461B (zh) 模块化悬架系统及其构件
WO2016194302A1 (ja) 板バネユニット及び鉄道車両用台車
CN102951169A (zh) 轨道车辆的轮架接合装置
ZA200510306B (en) Curved assembly line and/or conveyor belt
KR200491659Y1 (ko) 궤도 차량용 완충구
CN102556097A (zh) 中央悬挂装置及具有该装置的高速货车转向架
CN204263875U (zh) 矿用自卸车防翻平衡悬架
CN106864474B (zh) 铁路货车转向架摇枕耐磨衬件
CN109812527A (zh) 一种具有二级刚度板弹簧轻量化方法及板弹簧总成
CN105492290A (zh) 用于车辆底盘的由复合材料制成的结构
CN109051191A (zh) 一种缓冲栈板
CN202349071U (zh) 减震垫
CN100406325C (zh) 用于铰接在同一个铁路转向架上的两个连续车厢结构的浮动侧部支承件
KR101332027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슈트 라이너
CN110050147B (zh) 平环链
CN104595401A (zh) 重载自卸车板簧卡箍组合结构
CN212473445U (zh) 矿车
CN207673765U (zh) 一种列车车厢减震胶垫
CN201825042U (zh) 管片车车架
CN101428621B (zh) 矿车加装减震装置的方法
CN205576977U (zh) 井盖
KR102588056B1 (ko) 도시철도 침목 플로팅 궤도용 친환경 고내구성 침목 상자
KR200166427Y1 (ko) 광산괘도차의완충용패킹
CN201228336Y (zh) 高弹性轨道扣件
CN104975542A (zh) 固定型辙叉车轮传动区翼轨缓冲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