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91Y1 -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91Y1
KR200491491Y1 KR2020180005233U KR20180005233U KR200491491Y1 KR 200491491 Y1 KR200491491 Y1 KR 200491491Y1 KR 2020180005233 U KR2020180005233 U KR 2020180005233U KR 20180005233 U KR20180005233 U KR 20180005233U KR 200491491 Y1 KR200491491 Y1 KR 200491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lunger
magnet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기
Original Assignee
이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기 filed Critical 이순기
Priority to KR2020180005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는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짐으로써, 플런져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을 대변기로 공급하는 대변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 밸브는 상기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서 상기 수동 동작 노브의 이동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이동하면서 상기 자석이 상기 플런져를 당길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플런져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물 입력 라인으로 입력되는 물을 상기 대변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A VALVE FOR STOOL USING MAGNET}
본 고안은 대변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을 이용하여 대변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변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변기 밸브는 변기 수조와 연결되는 수관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동작하여 수조의 물을 변기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행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자석을 이용하여 대변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변기 밸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는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짐으로써, 플런져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을 대변기로 공급하는 대변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 밸브는 상기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서 상기 수동 동작 노브의 이동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이동하면서 상기 자석이 상기 플런져를 당길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플런져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물 입력 라인으로 입력되는 물을 상기 대변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런져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변기 밸브는 상기 플런져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이 열림으로써, 물을 상기 대변기로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서 이동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대변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변기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대변기 밸브에 대한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각 식별 번호에 대한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대변기 밸브에 대한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각 식별 번호에 대한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 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 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 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서 이동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대변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변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본 고안에서 도시된 대변기 밸브는 몸체(body), 커버, 다이아프램(diaphragm), 프레임, 물 입력부, 물 배출부, 물 이동 경로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수단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기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대변기 밸브에 대한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각 식별 번호에 대한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동 동작 노브의 이동 방향에 동일 선상에 배치된 두 개의 자석이 이동한다.
두 개의 자석이 이동하면서 자석이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져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플런져에 포함된 자성체가 자석의 힘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런져 각각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플런져 시트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런져 시트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이드 커버의 1차 압력실 압력이 1차 압력실 압력 배출 유로를 따라 빠져나감으로써, 2차 압력실의 압력이 2차 압력실 압력 배출 유로를 통해 1차 압력실로 이동하여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물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측의 공급 압력보다 2차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물 입력 측의 높은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이아프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 오리피스가 열림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물 배출부를 통해 대변기로 공급된다.
도 1 내지 도 3은 하나의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는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개의 자석이 위치하고, 각 자석이 플런져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플런져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대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대변기 밸브에 대한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5의 각 식별 번호에 대한 명칭을 기재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대변기 밸브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동 동작 노브의 이동 방향에 상이한 선상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자석이 이동한다.
두 개의 자석이 각각 이동하면서 자석이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져의 위치에 각각 도달하게 되면, 각 플런져에 포함된 자성체가 자석의 힘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런져 각각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플런져 시트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런져 시트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디홀더 오리피스가 열림으로써, 물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측의 공급 압력보다 압력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물 입력 측의 높은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이아프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 오리피스가 열림으로써, 많은 양의 물이 물 배출부를 통해 대변기로 공급된다.
도 4 내지 도 6은 하나의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는 방향의 상이한 선상에 두 개의 자석이 위치하고, 각 자석이 플런져를 당길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는 경우 플런져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대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변기 밸브는 자석 그리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플런져를 포함하며, 수동 동작 노브를 누름으로써, 수동 동작 노브에 의해 이동하는 자석의 힘에 의해 플런져에 포함된 자성체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를 통해 대변기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짐으로써, 플런져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을 대변기로 공급하는 대변기 밸브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 밸브는
    상기 수동 동작 노브가 눌러지면서 상기 수동 동작 노브의 이동 방향에 배치된 자석이 이동하면서 상기 자석이 상기 플런져를 당길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플런져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플런져의 시트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사이드 커버의 1차 압력실의 압력이 1차 압력실 압력 배출 유로를 따라 빠져나가고, 2차 압력실의 압력이 2차 압력실 압력 배출 유로를 통해 1차 압력실로 이동하여 상기 2차 압력실의 압력을 물 입력부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측의 공급 압력보다 낮춤으로써, 상기 물 입력부의 입력에 의하여 다이어프램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메인 오리피스가 열림으로써, 물 입력 라인으로 입력되는 물을 상기 대변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져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기 밸브는
    상기 플런져가 상기 자석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여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이 열림으로써, 물을 상기 대변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 밸브.
KR2020180005233U 2018-11-15 2018-11-15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KR200491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33U KR200491491Y1 (ko) 2018-11-15 2018-11-15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33U KR200491491Y1 (ko) 2018-11-15 2018-11-15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91Y1 true KR200491491Y1 (ko) 2020-04-13

Family

ID=7022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33U KR200491491Y1 (ko) 2018-11-15 2018-11-15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9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645A (ja) * 1995-05-25 1996-12-03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用操作弁
US20040164261A1 (en) * 2003-02-20 2004-08-26 Parsons Natan E. Automatic bathroom flushers with modular design
WO2019130259A1 (en) * 2017-12-28 2019-07-04 Lixil International Pte. Ltd. Combined flushing and filling uni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645A (ja) * 1995-05-25 1996-12-03 Inax Corp フラッシュバルブ用操作弁
US20040164261A1 (en) * 2003-02-20 2004-08-26 Parsons Natan E. Automatic bathroom flushers with modular design
WO2019130259A1 (en) * 2017-12-28 2019-07-04 Lixil International Pte. Ltd. Combined flushing and filling uni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904A (en) Latching coil valve
GB2567023A8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3190310A (en) Gang valve arrangement
US10494795B2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ling device for stopping flow of running fluid
US2300300A (en) Carbonating device
US20180058054A1 (en) Sanitary washing device
US9611944B2 (en) Two-route switching water output system
RU2011117243A (ru) Смывной клапан для вакуум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отходов
KR101589625B1 (ko)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200491491Y1 (ko) 자석을 이용한 대변기 밸브
US2270838A (en) Siphon breaker and valve
KR102181021B1 (ko) 비데용 급수장치
JP2019011620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2012238196A (ja) ダイヤフラム式圧力調整器
US2914252A (en) Water dispensing equipment
JPH07198058A (ja) パイロット電磁弁
JP2001050419A (ja) バルブ装置
CN205332458U (zh) 水流控制器
US2399295A (en) Electromagnetic operator
JP7320180B2 (ja) 自動水栓装置
JP7318448B2 (ja) 自動水栓装置
KR200469072Y1 (ko) 비데용 급수밸브장치
JP2018119328A (ja) 便器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便器装置
JP7090449B2 (ja)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2841576B2 (ja) 自動開閉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