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71Y1 - 접이식 식탁 - Google Patents

접이식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71Y1
KR200491471Y1 KR2020180003277U KR20180003277U KR200491471Y1 KR 200491471 Y1 KR200491471 Y1 KR 200491471Y1 KR 2020180003277 U KR2020180003277 U KR 2020180003277U KR 20180003277 U KR20180003277 U KR 20180003277U KR 200491471 Y1 KR200491471 Y1 KR 200491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horizontally
coupled
bar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99U (ko
Inventor
최민혁
한신천
김현지
Original Assignee
최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혁 filed Critical 최민혁
Priority to KR2020180003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7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47B2001/053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and liftable to the same height as the main table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 식탁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테이블과, 후단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제1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유닛 및, 전단과 후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후면과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단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단에 제2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전방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2회전 테이블을 상기 제1회전 테이블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식탁{FOLDING TYPE TABLE}
본 고안은 접이식 식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시 슬라이드 인출 방식을 이용해 사용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고, 비 사용시에는 절첩 방식으로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비 사용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소형 주택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별도의 물품 수납공간이 형성되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식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은 주방 등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는데,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의 접이식 식탁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접이식 식탁은, 주방의 벽면 등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과, 테이블을 하부에 설치되며, 테이블을 펼친 상태에서 수직하게 회동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대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식탁은, 사용하지 않을 때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고, 사용시에만 펼쳐서 사용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접이식 식탁은 하나의 테이블을 접었다 펼치는 방식으로 테이블을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시켜야 하므로, 테이블의 사이즈가 크거나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 설치 및 수납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된 테이블을 수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충격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식탁은 테이블의 면적이 넓은 경우 테이블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 반경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테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주방 등의 벽체에 넓은 면적을 확보해야만 하였고, 별도의 물품 수납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단순히 식탁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등록실용 제20-0304150호(2003년 01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접이식 이단 식탁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시 슬라이드 인출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을 고정 테이블로부터 이격시켜 테이블의 사용 면적을 확장시키고, 비 사용시에는 슬라이드 절첩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에 수용시킴으로써, 비 사용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소형 주택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동 테이블이 지지의 기능과 물품 수납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식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테이블을 인출시 총 3개의 테이블이 평펴져 동일 평면을 형성되므로, 보다 넓은 면적의 테이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다단 절첩 구조에 의해 수납되므로 비 사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식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은, 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테이블과, 후단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제1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유닛 및, 전단과 후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후면과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단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단에 제2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전방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2회전 테이블을 상기 제1회전 테이블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연결유닛은 후단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좌우 방향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브라켓과, 후단이 상기 제1브라켓들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동바 및, 후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으로 출몰하는 로드가 상기 제1회동바의 측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연결유닛은 전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좌우 방향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브라켓 및, 전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이 상기 제1브라켓들의 전단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동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제1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를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의 회동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은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전후 간격이 조절됨과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제2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딩부재 및, 전후단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전단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후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회동바의 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장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장홀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동바의 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장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장홀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이 수평하게 밀착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이 수평하게 이격시 양단이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테이블의 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 상기 후방 연결유닛과 상기 전방 연결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테이블의 후면과 상기 이동 테이블의 전면에는 물품 수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물품 수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테이블의 하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는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 연결유닛을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테이블의 상면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시 슬라이드 인출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을 고정 테이블로부터 이격시켜 테이블의 사용 면적을 확장시키고, 수납시에는 슬라이드 절첩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에 수용시킴으로써, 비 사용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소형 주택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시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의 연결 부분이 연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걸림 위치되므로, 별도의 지지 구조 없이도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수납시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을 이용해 연결부재의 걸림을 해지시킬 수 있어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롤러가 전후 방향(직선)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이동 테이블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이동 테이블 인출시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인출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고안은 이동 테이블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실린더의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므로, 테이블을 작은 힘으로 펼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 테이블과 이동 테이블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과 사용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수직하게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여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여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의 인출을 완료한 후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슬라이드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의 인출을 완료한 후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슬라이드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걸림 위치로 수평하게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수직하게 절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여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을 인출하여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의 인출을 완료한 후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슬라이드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이동 테이블의 인출을 완료한 후 제1회전 테이블과 제2회전 테이블을 슬라이드 밀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식탁에서 후방 연결유닛과 전방 연결유닛이 걸림 위치로 수평하게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식탁은 고정 테이블(100)과, 이동 테이블(200)과, 후방 연결유닛(300)과, 전방 연결유닛(400) 및, 슬라이딩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고정 테이블(100)은 주방의 벽면 등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테이블(100)의 전면에는 후술 될 이동 테이블(200)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11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테이블(100)은 전후 및 좌우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하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고정 테이블(1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수용공간(110)은, 후술 될 이동 테이블(200)과 대응되는 형상(사각 홈)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10)은 이동 테이블(2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와 깊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테이블(100)의 상부에는 식탁 등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수평한 테이블 영역이 일정 넓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테이블(100)의 상부 테이블 영역은 별도의 소재(수지 계열, 인조 대리석 등)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테이블(100)의 후면에는 도 2, 5, 8, 11에서처럼 물품(밥통 등)을 수납하기 위한 일정 넓이의 물품 수납공간(120)이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품 수납공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130)이 일정 높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130)의 설치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용공간(11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후방 연결유닛(300)을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후술 될 제1회전 테이블(201)의 상면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고무 등, 1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40)는, 수용공간(1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140)의 하단은 후술 될 제1회전 테이블(201)의 수평 회전 높이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테이블(200)은, 고정 테이블(100)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 테이블(200)은 고정 테이블(100)의 전방으로 이격 또는 수용공간(110)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후면에는 후술 될 후방 연결유닛(300)과 전방 연결유닛(400)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일정 넓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테이블(200)은 전후 및 좌우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하측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사각 함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 테이블(200)은 도 1과 2에서처럼 고정 테이블(10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사이즈 및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상부에는 식탁 등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수평한 테이블 영역이 일정 넓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상부 테이블 영역은 별도의 소재(수지 계열, 인조 대리석 등)로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전면에는 도 2, 5, 8, 11에서처럼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일정 넓이의 물품 수납공간(220)이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품 수납공간(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230)이 일정 높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230)의 설치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 테이블(200)은,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상부 테이블 영역과 후술 될 제1회전 테이블(201) 및 제2회전 테이블(301)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 테이블(200)을 수용공간(110)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 테이블(200)이 고정 테이블(100)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필요에 따라 접이식 식탁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테이블(200)의 하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240)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240)는 별도의 결합수단(브라켓, 체결부재 등)에 의해 이동 테이블(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240)는 진행 방향이 변경되는 회전 방식이 아닌, 전후 방향(직선)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상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240)는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 테이블(200)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이동 테이블(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설치면을 따라 이동된다.
후방 연결유닛(300)들은, 후단이 고정 테이블(100)의 전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 연결유닛(300)들의 상단에 제1회전 테이블(301)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후방 연결유닛(300)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제1회전 테이블(301)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제1회전 테이블(301)을 고정 테이블(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후방 연결유닛(300)은 한 쌍의 제1브라켓(310)과, 한 쌍의 제1회동바(320) 및, 한 쌍의 실린더(3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310)들은, 후단이 고정 테이블(100)의 좌우 방향측에 대응되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브라켓(310)들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310)들은 후면이 수용공간(110)의 내부에서 고정 테이블(1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일측단이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310)의 후면은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 테이블(1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전방으로 연장된 일측단의 측방으로 후술 될 제1회동바(320)의 후단이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310)들의 전방으로 연장된 일측단에는 후술 될 제1회동바(320)의 걸림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동바(320)들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측 후단이 제1브라켓(310)들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동바(320)들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바(320)의 전단은 후술 될 슬라이딩유닛(500)에 의해 후술 될 제2회동바(420)의 후단과 전후 간격이 조절됨과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바(320)의 전단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제1가이드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321)은 제1회동바(320)의 전단으로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바(320)의 일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장홀(322)이 제1가이드홈(321)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회동바(320)의 장홀(322)은, 후술 될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장홀(322)의 길이 범위 내에서 가이드돌기(511)가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회동바(320)의 일측단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 전술한 걸림홈에 대응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축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축이 걸림홈에 밀착되므로 제1회동바(320)가 수직한 절첩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실린더(330)들은, 후단이 제1브라켓(310)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으로 출몰하는 로드의 전단이 제1회동바(320)의 측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30)들은 내부에 가스(질소 등)가 압축되어 있고, 압축된 가스가 로드의 이동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내부 압력 차이로 반발력(미는힘)이 작용하는 원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330)를 이용해 제1회동바(320)의 회전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회동바(320)를 용이하게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330)는 제1회동바(320)와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330)들의 로드는 제1회동바(320)가 수직하게 절첩될 때 돌출되는 길이가 축소되고, 제1회동바(320)가 수평하게 펼쳐질 때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한다.
전방 연결유닛(400)들은, 전단이 고정 테이블(100)의 전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 연결유닛(400)들의 상단에 제2회전 테이블(401)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방 연결유닛(400)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제2회전 테이블(401)을 제1회전 테이블(301)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시킨다.
반면, 상기 전방 연결유닛(400)은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키는 경우, 후방 연결부재(300)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이동 테이블(200)을고정 테이블(100)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킨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방 연결유닛(400)은 한 쌍의 제2브라켓(410) 및, 한 쌍의 제2회동바(4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10)들은, 전단이 이동 테이블(200)의 좌우 방향측에 대응되게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브라켓(410)들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브라켓(410)들은 전면이 수용공간(210)의 내부에서 이동 테이블(2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일측단이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410)의 후면은 체결부재(B)에 의해 이동 테이블(2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고, 후방으로 연장된 일측단의 측방으로 후술 될 제2회동바(420)의 전단이 수직 및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410)들의 후방으로 연장된 일측단에는 후술 될 제2회동바(420)의 걸림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회동바(420)들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측 전단이 제2브라켓(410)들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회동바(420)들은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회동바(420)의 후단은 후술 될 슬라이딩유닛(500)에 의해 전술한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전후 간격이 조절됨과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동바(420)의 후단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제2가이드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421)은 제2회동바(420)의 후단으로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회동바(420)의 일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장홀(422)이 제2가이드홈(421)으로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회동바(420)의 장홀(422)은, 후술 될 제2슬라이딩부재(520)의 가이드돌기(521)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장홀(422)의 길이 범위 내에서 가이드돌기(521)가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회동바(420)의 일측단에는 수직하게 회동 위치시 전술한 걸림홈에 대응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축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축이 걸림홈에 밀착되므로 제2회동바(420)가 수직한 절첩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500)은,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500)을 기준으로 제1회동바(320)와 제2회동바(420)가 수평 또는 수직하게 연동된다.
이를 위한 상기 슬라이딩유닛(500)은, 제1슬라이딩부재(510)와, 제2슬라이딩부재(520) 및, 연결부재(53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510)는, 제1가이드홈(3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51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11)는 제1회동바(320)에 형성된 장홀(322)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는, 제1회동바(320)에 형성된 장홀(322)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된다.
즉, 후술 될 연결부재(530)가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으로부터 분리시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가 장홀(322)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반면, 후술 될 연결부재(530)가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에 완전히 삽입시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가 장홀(322)의 후단에 걸림 위치된다.
제2슬라이딩부재(520)는, 제2가이드홈(4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제2슬라이딩부재(520)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5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11)는 제2회동바(420)에 형성된 장홀(322)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520)의 가이드돌기(521)는, 제2회동바(420)에 형성된 장홀(422)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된다.
즉, 후술 될 연결부재(530)가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가 장홀(322)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반면, 후술 될 연결부재(530)가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가이드돌기(511)가 장홀(322)의 후단에 걸림 위치된다.
연결부재(53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측 전후단에 제1슬라이딩부재(510)의 전단과 제2슬라이딩부재(520)의 후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30)의 후단이 제1가이드홈(3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걸림) 및 탈거(걸림 해지)되고, 상기 연결부재(530)의 전단이 제2가이드홈(4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걸림) 및 탈거(걸림 해지)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30)의 길이 방향측 후단에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30)의 길이 방향측 전단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30)의 길이 방향측 후단과 전단에 형성된 곡면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곡률을 형성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530)의 길이 방향측 후단과 전단에 형성된 곡면은 제1회동바(320)와 제2회동바(420)의 회동 반경을 따라 형성되므로,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을 상하로 회동시 연결부재(53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530)의 길이 방향측 후단과 전단에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부재(530)의 양단을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2와 5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30)의 전단과 후단을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을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30)의 전단과 후단을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에 슬라이드 삽입시키는 경우,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을 수평하게 걸림 위치(회동 불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530)는,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이 수평하게 밀착시 전후 방향측 양단이 제1가이드홈(321)과 제2가이드홈(421)으로 수평하게 각각 삽입되고,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이 수평하게 이격시 전후 방향측 양단이 제1회동바(320)의 전단과 제2회동바(420)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사용시 슬라이드 인출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100)을 고정 테이블(100)로부터 이격시켜 테이블의 사용 면적을 확장시키고, 수납시에는 슬라이드 절첩 방식을 이용해 이동 테이블(200)에 수용시킴으로써, 비 사용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어 소형 주택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제1회전 테이블(301)과 제2회전 테이블(401)의 연결 부분이 연결부재(530)에 의해 수평하게 걸림 위치되므로, 별도의 지지 구조 없이도 제1회전 테이블(301)과 제2회전 테이블(401)을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수납시에는 슬라이드 이동 방식을 이용해 연결부재(530)의 걸림을 해지시킬 수 있어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롤러가 전후 방향(직선)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이동 테이블(200)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이동 테이블(200) 인출시 좌우 방향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인출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이동 테이블(200)을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실린더(330)의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므로, 제1회전 테이블(301)과 제2회전 테이블(401)을 작은 힘으로 펼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 테이블(100)과 이동 테이블(200)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과 사용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식탁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정 테이블 110: 수용공간
120: 물품 수납공간 130: 선반
140: 완충부재 200: 이동 테이블
210: 수용공간 220: 물품 수납공간
230: 선반 240: 롤러
300: 후방 연결유닛 301: 제1회전 테이블
310: 제1브라켓 320: 제1회동바
321: 제1가이드홈 322: 장홀
330: 실린더 400: 전방 연결유닛
401: 제2회전 테이블 410: 제2브라켓
420: 제2회동바 421: 제2가이드홈
422: 장홀 500: 슬라이딩유닛
510: 제1슬라이딩부재 511: 가이드돌기
520: 제2슬라이딩부재 521: 가이드돌기
530: 연결부재 B: 체결부재
P: 회전핀

Claims (12)

  1. 전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테이블과, 후단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전면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제1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후방 연결유닛 및, 전단과 후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후면과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단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단에 제2회전 테이블이 결합되는 전방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며;
    상기 전방 연결유닛은,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2회전 테이블을 상기 제1회전 테이블과 동일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시키는 반면, 수직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후방 연결유닛의 전면에 수직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테이블을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키며;
    상기 이동 테이블의 후면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시 상기 후방 연결유닛과 상기 전방 연결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 테이블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물품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테이블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물품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테이블과 상기 이동 테이블의 물품 수납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테이블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 연결유닛을 수평하게 회전 위치시 상기 제1회전 테이블의 상면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 테이블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의 하단을 제1회전 테이블의 수평회전 높이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연결유닛은,
    후단이 상기 고정 테이블의 좌우 방향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브라켓과, 후단이 상기 제1브라켓들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동바 및, 후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으로 출몰하는 로드가 상기 제1회동바의 측면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 연결유닛은,
    전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좌우 방향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브라켓 및, 전단이 상기 제2브라켓들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단이 상기 제1회동바들의 전단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동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로드는,
    상기 제1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를 수평하게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회동바와 상기 제2회동바의 회동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은,
    슬라이딩유닛에 의해 전후 간격이 조절됨과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제2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슬라이딩부재 및, 전후단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전단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후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바의 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장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장홀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바의 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고,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장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장홀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위치가 제한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이 수평하게 밀착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가이드홈으로 수평하게 각각 삽입되고,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이 수평하게 이격시 양단이 상기 제1회동바의 전단과 상기 제2회동바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의 하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는,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이동 테이블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탁 조립체.
  12. 삭제
KR2020180003277U 2018-07-17 2018-07-17 접이식 식탁 KR200491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77U KR200491471Y1 (ko) 2018-07-17 2018-07-17 접이식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77U KR200491471Y1 (ko) 2018-07-17 2018-07-17 접이식 식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99U KR20200000199U (ko) 2020-01-29
KR200491471Y1 true KR200491471Y1 (ko) 2020-05-15

Family

ID=6922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77U KR200491471Y1 (ko) 2018-07-17 2018-07-17 접이식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011B1 (ko) 2020-10-07 2021-06-10 배병태 접이식 식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8041A (zh) * 2016-10-21 2017-01-11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折叠组件
CN206770386U (zh) * 2017-04-28 2017-12-19 中山市佰迪克五金制品有限公司 助力折叠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552Y1 (ko) * 1997-12-26 1999-12-01 조창걸 공간절약형 인출테이블
KR200456493Y1 (ko) * 2009-03-02 2011-11-02 소병용 출몰식 보조 책상을 갖는 화장대
KR20150101327A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8041A (zh) * 2016-10-21 2017-01-11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折叠组件
CN206770386U (zh) * 2017-04-28 2017-12-19 中山市佰迪克五金制品有限公司 助力折叠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011B1 (ko) 2020-10-07 2021-06-10 배병태 접이식 식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99U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78806B (zh)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EP2502528B1 (en) Expandable clothes frame
US10145158B2 (en) Cabinet
US9872562B2 (en) Cabinet
US20110133417A1 (en) Adjustable cleaning cart and method
US20100283227A1 (en) Service cart
CN109835570A (zh) 可折叠容器
KR200491471Y1 (ko) 접이식 식탁
US20230157444A1 (en) Multi-functionalexpandable folding table assembly
CN216293323U (zh) 一种伸缩折叠桌
KR200464735Y1 (ko)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KR101451976B1 (ko) 다용도 접이식 카트
JP2004041676A (ja) 組立式ラック
KR101774101B1 (ko) 냉장고 선반
KR20180025726A (ko)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JP5985254B2 (ja) 折り畳み傘立て
KR200447188Y1 (ko) 접이식 시스템선반
CN104534795B (zh) 冰箱
JPS625826B2 (ko)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KR101732470B1 (ko) 절첩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100389414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10064432A (ko)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JP3130295U (ja) 折畳み棚の構造
CN108813920A (zh) 带有折叠框架的折叠桌及其折叠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