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327A -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327A
KR20150101327A KR1020140022906A KR20140022906A KR20150101327A KR 20150101327 A KR20150101327 A KR 20150101327A KR 1020140022906 A KR1020140022906 A KR 1020140022906A KR 20140022906 A KR20140022906 A KR 20140022906A KR 20150101327 A KR20150101327 A KR 2015010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groove
hi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덕
위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4002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327A/ko
Publication of KR2015010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인출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WITHDRAWAL TABLE AND STORAGE FURNI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방 가구용 인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파트설계의 핫 키워드가 ‘공간활용’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효율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수납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수납공간이 많을수록 가구 구입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같은 공간도 더욱 넓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방에서는 음식물을 다듬고 조리하며, 식사를 위한 그릇들을 정리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주방에는 씽크대, 수납장, 찬장 등이 배치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보조 테이블 및 탁자가 별도로 배치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보조 테이블이나 탁자를 배치하게 되는 경우 주방 공간이 좁아져 음식을 조리하거나 먹는 것이 불편하게 된다. 이에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8117 "주방가구용 인출 테이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61552 "공간절약형 인출테이블"} 등에서는 테이블을 인입, 인출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들의 경우 수납 방식 및 수납 공간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에 보다 개선된 수납 방식으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인출 테이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인출 구조를 구비하여 작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출 테이블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프레임들 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일측면에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 시 회전을 보조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프레임은 상기 안착 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 가구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어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출되는 인출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 테이블은 2 단으로 인출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 방향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홈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인출 테이블은 2단으로 인출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다 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 가구는 가구 몸체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인출되는 인출 테이블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자리에서 몸을 돌려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선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출 테이블의 인출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납 가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납 가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확대 개념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힌지부의 측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힌지부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출 테이블(400)의 인출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 가구(100)는 수납장들(210)을 포함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300)에는 싱크볼(310)과 가스렌지(320) 등이 설치되어 수납 가구(100)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판(300)은 조리 중 뜨거운 냄비나 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칼이나 날카로운 식기들에 의하여 손상이 가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수납 가구(100)에는 수납장들(21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수납 가구(100)의 내부에는 수납홈들이 형성되고 각 수납홈들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도어(410)들이 부착된다. 각각의 수납홈들은 서로 분리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수납홈에는 인출 테이블(4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인출 테이블(400)이 장착되는 수납홈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 테이블(400)은 조리대 또는 미니 식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성의 평균 신장이 높아지고 남성의 가사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주방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상기 인출 테이블(400)의 장착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가구(100)의 일면에는 도어(410)가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도어(410)를 잡아당겨 수납홈을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410)는 수납홈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도어(410)의 상부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홈을 잡고 도어(410)를 잡아당겨 인출 테이블(400) 수납홈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10)는 하단부를 고정단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할 경우 상단부나 측부가 고정단을 이루는 경우에 비하여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인출 테이블(400)은 수납홈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인출 테이블(400)을 사용할 때 테이블 하단에 배치되는 도어(410)는 테이블에 가려 사용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인출 테이블(400)은 2 단으로 인출되고 플레이트는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인출 테이블(400)은 수납 가구(100) 몸체(200)에 대하여 상대 이동 하는 제1 프레임(421)과, 상기 제1 프레임(421)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제2 프레임(422), 상기 제1 프레임(421)에 장착되는 제1 플레이트(431) 및 상기 제1 플레이트(431)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432) 등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431)는 제1 프레임(421)의 상면에 장착되어 제1 프레임(421)과 함께 인출된다. 제2 플레이트(432)는 제1 플레이트(43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프레임(422)은 제1 프레임(421)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421)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422)과 제1 프레임(421)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이 형성되어 제2 프레임(422)이 제1 프레임(42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출 테이블(400)을 잡아당기면 제1 프레임(421) 먼저 인출되고 제1 프레임(421)이 인출된 후 제2 인출 테이블(400)이 추가로 인출되어 2 단으로 인출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프레임(421)과 제2 프레임(422)이 동시에 인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인출 테이블(400)을 잡아당기면 제1 프레임(421)이 인출되는 도중 제2 프레임(422)도 동시에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프레임(422)의 일단부에는 손잡이 부재(42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부재(423)는 제1 플레이트(431) 및 제2 플레이트(432)의 단면과 수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10)를 오픈할 경우 손잡이 부재(423) 및 상기 단면들 중 어느 하나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정렬되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부재의 상면에는 완충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제2 플레이트가 펼쳐져 제2 프레임(422)에 안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인출 테이블(40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접혔던 플레이트를 펼쳐 보다 넓은 면적의 테이블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32)를 펼치는 경우 제1 플레이트(431)와 제2 플레이트(432)는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하나의 평판이 인출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테이블이 인출될 수 있는 길이는 수납홈의 깊이에 한정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납홈 깊이의 2배 가량의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수납 가구(100) 몸체(200)는 가로 방향(I)의 길이가 세로 방향(II) 길이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다. 한정된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싱크볼(310)이나 가스렌지(320) 등을 일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주방에서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보조 테이블이 필요하며 별도의 보조 테이블을 배치하는 경우 주방 공간이 더 좁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출 테이블(400)은 수납 가구(100) 몸체(200)의 세로 방향(II)으로 인출된다. 사용자는 별도의 보조 테이블을 배치할 필요없이 인출 테이블(400)을 이용하여 작업 공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I)으로 긴 몸체(200) 및 세로 방향(II)으로 인출되는 인출 테이블(400)을 이용하여, 작업 공간에서 이동할 필요 없이 몸을 돌려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로 하면서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수납 가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납 가구(100)의 몸체(200) 내부에는 수납홈(A)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홈(A)에는 인출 테이블(400)이 장착되며, 상기 인출 테이블(400)은 몸체(200)의 측벽(120)에 고정된다. 측벽(120)에는 인출 테이블(400) 결합용 관통 보링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보링홀(121)에 인서트너트가 삽입된다.
수납 가구(100)의 하단에는 가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1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나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가구 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부재(110)를 돌려 수납 가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수납 가구(100)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400)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40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인출 테이블(400)은 제1 프레임(421)과, 제2 프레임(422)과, 제1 플레이트(431) 및 제2 플레이트(432) 등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422)은 제1 프레임(421)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431)는 제1 프레임(4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432)는 제1 플레이트(43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제2 프레임(422)에 안착된다.
제1 플레이트(431)의 하면에는 보링홈(431a)이 형성되고, 상기 보링홈(431a)에는 인서트너트가 삽입된다. 제1 프레임(421)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결합용 볼트(431a)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인서트너트에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인출 테이블(400)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재(201)는 수납 가구(100) 몸체(200)의 측벽(120)에 고정된다. 측벽(120)에는 보링홈이 형성되고 보링홈에는 인서트너트가 고정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볼트(201a)는 결합부재(201)를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너트와 결합된다.
결합부재(201)의 일측면에는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결합부재(201) 일측면 상단부에 돌기(201b)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홈이 형성된다. 결합부재(201)의 돌기(201b)는 제1 프레임(42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맞물리고, 결합부재(201)의 홈에는 제1 프레임(4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기(421c)가 맞물린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프레임(421)의 양 측면에는 각각 결합부가 형성된다. 일면의 결합부는 결합부재(201)와 결합되고 타면의 결합부는 제2 프레임(422)과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레임(421)의 좌측면의 상단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는 제2 프레임(422)의 우측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제1 프레임(421)의 좌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421b)로 이루어진다. 제2 결합부는 제1 결합부와 반대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결합부는 제1 프레임(421)의 좌측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제2 프레임(422)의 우측면에서 돌출되어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422b)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서로 엇갈려 결합되어 프레임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제1 플레이트(431)는 제1 프레임(421)의 상단에 고정된다. 제1 플레이트(431)의 하면에는 보링홈(431a)이 형성되고 상기 보링홈에는 인서트너트가 삽입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볼트(421a)가 제1 프레임(421)을 관통하여 상기 인서트너트에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431)와 제1 프레임(421)의 접촉면에는 고무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힌지부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힌지부(440)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31)의 일측면과, 전개시 상기 일측면과 대면하는 제2 플레이트(432)의 일측면에는 힌지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삽입홈에는 힌지의 제1 바디(441)와 제2 바디(442)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힌지의 바디가 플레이트들의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되므로 보다 깔끔하고 간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바디(441)와 제2 바디(442)를 연결하는 연결부(443)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제2 플레이트(432)가 펼쳐질 때 회전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는 제2 플레이트(432)가 펼쳐질 때 탄성 압축되어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인출 테이블(400)은 2단으로 인출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다 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납 가구(100)는 가구 몸체(200)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인출되는 인출 테이블(40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 자리에서 몸을 돌려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동선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납 가구(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프레임들 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일측면에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 시 회전을 보조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제2 프레임은,
    상기 안착 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
  7.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납홈; 및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어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인출되는 인출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인출 테이블은,
    2 단으로 인출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인출 방향으로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을 구비하는 수납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을 구비하는 수납 가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납홈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테이블을 구비하는 수납 가구.
KR1020140022906A 2014-02-26 2014-02-26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KR20150101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06A KR20150101327A (ko) 2014-02-26 2014-02-26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06A KR20150101327A (ko) 2014-02-26 2014-02-26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27A true KR20150101327A (ko) 2015-09-03

Family

ID=5424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906A KR20150101327A (ko) 2014-02-26 2014-02-26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3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68B1 (ko) * 2015-10-15 2016-07-12 조병규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KR20200000199U (ko) * 2018-07-17 2020-01-29 최민혁 접이식 식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68B1 (ko) * 2015-10-15 2016-07-12 조병규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KR20200000199U (ko) * 2018-07-17 2020-01-29 최민혁 접이식 식탁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1327A (ko)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CN207253126U (zh) 一种便于拆装的多功能一体式餐桌
CN205214696U (zh) 一种整体式厨房
CN105011592B (zh) 组合式家具床
CN103211405B (zh) 便携式橱柜
CN207996067U (zh) 一种商居多功能组合办公家具
CN203088191U (zh) 多功能组合柜
CN201528847U (zh) 多功能折叠式书房
USD957159S1 (en) Laptop bed desk
CN215225886U (zh) 一种可隐藏抽拉餐桌
GB2492576A (en) A reconfigurable desk providing a low work surface or a high work surface
CN207477228U (zh) 多功能组合柜
KR20060120888A (ko) 식탁장
CN210169413U (zh) 一种多功能柜子
CN113142831A (zh) 一种可隐藏抽拉餐桌
CN213720811U (zh) 一种厨柜落地式转角柜结构
CN203262671U (zh) 便携式橱柜
CN220988056U (zh) 一种可收纳的柜体
CN213216055U (zh) 一种新型隐形家用餐桌
KR20180063792A (ko)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CN201987008U (zh) 一种组合柜
KR101938395B1 (ko) 침대가 구비된 책상
CN104207487A (zh) 一种组合式旋转柜
KR20090001463U (ko) 식탁을 갖춘 주방용 작업대
CN106690911A (zh) 一种带抽拉式橱柜的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