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168B1 -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 Google Patents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168B1
KR101639168B1 KR1020150143970A KR20150143970A KR101639168B1 KR 101639168 B1 KR101639168 B1 KR 101639168B1 KR 1020150143970 A KR1020150143970 A KR 1020150143970A KR 20150143970 A KR20150143970 A KR 20150143970A KR 101639168 B1 KR101639168 B1 KR 10163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pedestal
wall surface
ge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규
Original Assignee
조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규 filed Critical 조병규
Priority to KR102015014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 방식의 받침대를 제공하여 노트북이나 수배전반용 외함, 수배전반과 관련된 도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경우 펼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측 벽면에 부착시켜 필요공간을 제거하함과 동시에, 배전반 아크에 의해 외함내에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에 수납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홈에 수납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받침대와 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한 외함의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기시키기 위한 오염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동부는,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의 하부 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모터와, 상기한 제1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와, 상기한 제1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기어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모터와, 상기한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와, 상기한 제3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Enclosure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절첩 방식의 받침대를 제공하여 노트북이나 수배전반용 외함, 수배전반과 관련된 도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경우 펼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측 벽면에 부착시켜 필요공간을 제거하함과 동시에, 배전반 아크에 의해 외함내에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 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고압(22,900V)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220V/380V) 및 정격 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로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초 바닥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대부분 철재로 제작되고, 일측에 유지관리를 위한 개폐도어가 구비된 폐쇄형의 함체로 제작되며,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수전단 및 배전 선로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으로 선로를 차단 및 투입하여 설비 및 장치의 보수 또는 점검과 정전시 예비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항상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부하전환개폐기반(ALTS PANEL), 계통 전압 22.9KV-Y 수전 선로용 계폐기로서 정격 부하 전류, 여자 전류, 충전 전류를 임의 개폐 및 정상 선로의 구분 개폐를 목적으로 하는 기중부하개폐기반(LBS PANEL), 교류전력계통에서 낙뢰 또는 회로개폐에 의한 이상과 전압을 제한하며 속류를 차단하여 부하측 선로 및 기기를 보호하는 전력용 피뢰기(LA), 특고압, 전류를 110V, 5A로 변성시키며, 변류기와 계기용 변압기를 한데 묶어 전력량 측정 및 요금 징수를 목적으로 하는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MOF), 선로 또는 전기기계 기구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전력 휴즈(PF), 22.9KV-Y 계통 수전 선로용 주 차단기반으로서 운전 중 부하측 전력계통(전로 및 전기 기기, 설비)에서 고장으로 인한 고장전류를 건전한 선로와 분리 및 차단시켜 수전단에 고장파급을 억제하고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며, 보수 점검 시 전로를 구분 개폐하는 진공차단기반(VCB PANEL), 22.9KV-Y 계통 수전 용 T.R반으로서 공급받은 특고압 전력을 부하설비(동력, 조명, 전열, 공조 등)의 용량에 맞게 2차 전압, 전류를 유지시켜 정격의 전력 공급으로 하는 특고압 변압기반(TR PANEL) 등이 내장된다.
이와 같이, 수배전반 함체는 많은 전자부품들과 전기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는 관계로 관리자들이 노트북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거나, 이상이 있는 전자부품이나 전기장치들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 도면을 참조하여 교체해야 하는데, 노트북이나 도면을 둘 장소가 적합하지 않아, 작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71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절첩 방식의 받침대를 제공하여 노트북이나 수배전반용 외함, 수배전반과 관련된 도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경우 펼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측 벽면에 부착시켜 필요공간을 제거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반 아크에 의해 외함내에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에 수납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홈에 수납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받침대와 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한 외함의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기시키기 위한 오염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동부는,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의 하부 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모터와, 상기한 제1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와, 상기한 제1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기어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모터와, 상기한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와, 상기한 제3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오염배출부는, 외함의 내부 공기의 오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 감지부와, 상기한 오염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와,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흡기팬을 구동하는 흡기팬 구동부와, 상기한 흡기팬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흡기팬과,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배기팬을 구동하는 배기팬 구동부와, 상기한 배기팬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외부로 오염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컨트롤러는,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받침대를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받침대를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외함몸체의 내측벽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컨트롤러는,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안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의 하부면홈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의 하부면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의 하부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져서 외함몸체의 내측벽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지지부재는 받침대의 하부면에 경첩을 이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2개가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지지부재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지지부재를 수동으로 펼치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홈은 외함몸체의 내측벽면에 의한 지지력이 받침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받침대는 이동 외측판부와 고정 내측판부로 이루어지며, 이동 외측판부는 고정 내측판부의 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받침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와 고정 내측판부의 상부 표면에는 정전기 방지물질이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의 측면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내측판부의 측면에는 상기한 레일홈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 및 스톱퍼 역할을 하는 가이드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절첩 방식의 받침대를 제공하여 노트북이나 수배전반용 외함, 수배전반과 관련된 도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경우 펼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측 벽면에 부착시켜 필요공간을 제거하함과 동시에, 배전반 아크에 의해 외함내에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지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에 받침대가 연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의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오염배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지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은,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에 수납설치되는 받침대(300)와, 상기한 받침대(300)의 하부면홈에 수납 설치되는 지지부재(400a, 400b)와, 상기한 받침대(300)와 지지부재(400a, 400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00)와, 상기한 외함(100)의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기시키기 위한 오염 배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동부(200)는,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의 하부 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모터(210)와, 상기한 제1 모터(210)의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230)와, 상기한 제1 기어(230)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대(300)의 하부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기어(240)와, 상기한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모터(250)와, 상기한 제2 모터(250)의 회전축(260)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270)와, 상기한 제3 기어(270)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410a, 410b)의 회전축(280)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기어(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받침대(300)는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의 하단에 경첩(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한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받침대(300)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한 지지부재(400a, 400b)는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경첩(500)을 이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2개가 설치된다. 상기한 지지부재(400a, 400b)는,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부재(400a, 400b)가 서로 마주보는 안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300)의 하부면홈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받침대(300)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300)의 하부면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대(300)의 하부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져서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받침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지지부재(400a, 400b)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지지부재(400a, 400b)를 수동으로 펼치도록 하기 위한 홈(410a, 410b)이 형성되며, 상기한 홈(410a, 410b)은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에 의한 지지력이 받침대(30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한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지지부재(400a, 400b) 대신에 복수개의 다리들(도시되지 않음)을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시킬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다리들이 경첩에 의해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절첩 가능하도록 부착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다리들을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구비시킬 경우 지지부재(400a, 400b)보다는 받치는 힘을 더 증강시킬 수 있어, 받침대(300)의 상부에 무거운 것을 올려놓아도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가 펼쳐진 후에 받침대가 연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측면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받침대(300)는 이동 외측판부(320)와 고정 내측판부(310)로 이루어지며, 이동 외측판부(320)는 고정 내측판부(310)의 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받침대(3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320)의 측면에는 레일홈(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내측판부(310)의 측면에는 상기한 레일홈(321)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 및 스톱퍼 역할을 하는 가이드 스톱퍼(311)가 형성되어 있다.
수배전반용 외함의 내부는 배전반의 특성상 고압의 정전기가 대전되기 쉽기 때문에 노트북과 같은 작업자의 전자제품이 정전기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320)와 고정 내측판부(310)의 상부 표면에는 도전성의 정전기 방지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정 내측판부(310)는 단면이 T자형으로 이루어져서 이동 외측판부(320)가 고정 내측판부(310)의 상부면과, 측면과, 하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이동 외측판부(320)가 고정 내측판부(3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오염배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오염배출부(600)의 구성은, 외함의 내부 공기의 오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 감지부(610)와, 상기한 오염 감지부(6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620)와, 상기한 컨트롤러(620)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630)와, 상기한 컨트롤러(62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흡기팬(650)을 구동하는 흡기팬 구동부(640)와, 상기한 흡기팬 구동부(640)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흡기팬(650)과, 상기한 컨트롤러(62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배기팬(670)을 구동하는 배기팬 구동부(660)와, 상기한 배기팬 구동부(660)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외부로 오염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배기팬(6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오염 감지부(610)로서는 기체 중에 함유된 특정 화학물질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가스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수배전반용 외함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전자부품이나 전기장치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노트북이나 확인 대장 등을 들고 외함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 외함의 문을 열게 되면 컨트롤러(620)가 이를 감지하여 제1 모터(210)와 제2 모터(250)를 구동함으로써 받침대(300)가 하부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부재(400a, 400b)가 회전축(28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받침대(300)의 하부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한 받침대(300)는 경첩(도시되지 않음)과 제1 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한 지지부재(400a, 400b)는 경첩(500)과 제2 모터(250)의 구동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제1 모터(210)와 제2 모터(250)가 고장으로 인하여 구동이 되지 않을 경우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지지부재(400a, 400b)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410a, 410b)을 이용하여 지지부재(400a, 400b)를 수동으로 펼친 후에, 펼쳐진 지지부재(400a, 400b)를 이용하여 받침대(300)를 수동으로 펼치게 된다.
이렇게 받침대(300)가 펼쳐지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300)의 상부에 노트북이나, 확인 대장 또는 도면 등을 올려놓은 채로 작업을 하면 된다.
또한, 작업자나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고정 내측판부(31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이동 외측판부(320)를 당겨서 연장시킴으로써 받침대(300)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외함의 내부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배전반에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서 외함의 내부에 일산화탄소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상태라면, 오염 감지부(610)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620)에 전송을 하게 되고, 컨트롤러(620)는 경고부(630)를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경고를 함과 동시에 흡기팬 구동부(640)와 배기팬 구동부(660)를 구동하여 흡기팬(650)과 배기팬(670)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함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함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도록 하여 외함 내부에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받침대(300)의 상부에 놓여진 노트북이나 확인대장, 도면 등을 치우고 나서 외함의 밖으로 나와 외함을 닫게 되면, 컨트롤러(620)가 이를 감지하여 제1 모터(210)와 제2 모터(250)를 구동함으로써 받침대(300)가 하부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외함몸체(100)의 내측벽면홈(100a)에 밀착되어 수납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부재(400a, 400b)가 회전축(28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받침대(300)의 하부면홈에 밀착되어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돌출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절첩 방식의 받침대(300)를 이용하여 노트북이나 수배전반용 외함, 수배전반과 관련된 도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할 경우 펼쳐서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내측 벽면에 부착시켜 필요공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전반 아크에 의해 외함내에 유해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00 : 외함몸체 200 : 구동부
300 : 받침대 400a, 400b : 지지부재
500 : 경첩 600 : 오염 배출부

Claims (8)

  1.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에 수납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홈에 수납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받침대와 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한 외함의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기시키기 위한 오염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동부는,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의 하부 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모터와,
    상기한 제1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기어와,
    상기한 제1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기어와,
    상기한 받침대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모터와,
    상기한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와,
    상기한 제3 기어와 치차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4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오염배출부는,
    외함의 내부 공기의 오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 감지부와,
    상기한 오염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어신호 및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경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작업자에게 외함 내부의 공기 오염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와,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흡기팬을 구동하는 흡기팬 구동부와,
    상기한 흡기팬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는 흡기팬과,
    상기한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배기팬을 구동하는 배기팬 구동부와,
    상기한 배기팬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함의 외부로 오염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컨트롤러는,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받침대를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한 받침대를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외함몸체의 내측벽면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외함몸체의 내측벽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컨트롤러는,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안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의 하부면홈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켜 놓았다가,
    상기한 받침대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한 지지부재를 서로 마주보는 바깥쪽 방향으로 구동하여 받침대의 하부면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의 하부면과 직각을 이루면서 펼쳐져서 외함몸체의 내측벽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받침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재는 받침대의 하부면에 경첩을 이용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직각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2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부재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지지부재를 수동으로 펼치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홈은 외함몸체의 내측벽면에 의한 지지력이 받침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받침대는 이동 외측판부와 고정 내측판부로 이루어지며,
    이동 외측판부는 고정 내측판부의 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받침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와 고정 내측판부의 상부 표면에는 정전기 방지물질이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한 이동 외측판부의 측면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내측판부의 측면에는 상기한 레일홈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안내 및 스톱퍼 역할을 하는 가이드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20150143970A 2015-10-15 2015-10-15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163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970A KR101639168B1 (ko) 2015-10-15 2015-10-15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970A KR101639168B1 (ko) 2015-10-15 2015-10-15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168B1 true KR101639168B1 (ko) 2016-07-12

Family

ID=5650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970A KR101639168B1 (ko) 2015-10-15 2015-10-15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4433A (zh) * 2017-08-04 2018-07-06 西红柿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新型储罐底板漏磁检测仪
KR20190017693A (ko) 2017-08-11 2019-0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방출기능이 강화된 고압 배전반 외함장치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CN114361950A (zh) * 2021-12-24 2022-04-15 漳州浩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充电桩的配电箱设备
KR20230015790A (ko) 2021-07-23 2023-01-31 한국전력공사 자석내장형 작업선반
CN115912390A (zh) * 2023-02-09 2023-04-04 武汉励雅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电容电抗补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597A (ja) * 1996-04-19 2000-02-08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箱のための作業プレート
JP2006183393A (ja) * 2004-12-28 2006-07-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KR101155300B1 (ko) *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307197B1 (ko) 2011-12-22 2013-09-11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전반 컨테이너
KR20150101327A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597A (ja) * 1996-04-19 2000-02-08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箱のための作業プレート
JP2006183393A (ja) * 2004-12-28 2006-07-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開閉装置
KR101155300B1 (ko) *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307197B1 (ko) 2011-12-22 2013-09-11 남영기전 주식회사 배전반 컨테이너
KR20150101327A (ko) * 2014-02-26 2015-09-03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인출 테이블 및 이를 구비하는 수납가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4433A (zh) * 2017-08-04 2018-07-06 西红柿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新型储罐底板漏磁检测仪
CN108254433B (zh) * 2017-08-04 2021-10-01 西红柿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储罐底板漏磁检测仪
KR20190017693A (ko) 2017-08-11 2019-0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방출기능이 강화된 고압 배전반 외함장치
KR102042746B1 (ko) * 2019-03-12 2019-11-08 김종길 절첩식 선반을 구비하는 제어장비 수납함체
KR20230015790A (ko) 2021-07-23 2023-01-31 한국전력공사 자석내장형 작업선반
CN114361950A (zh) * 2021-12-24 2022-04-15 漳州浩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充电桩的配电箱设备
CN114361950B (zh) * 2021-12-24 2024-05-17 漳州浩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充电桩的配电箱设备
CN115912390A (zh) * 2023-02-09 2023-04-04 武汉励雅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电容电抗补偿装置
CN115912390B (zh) * 2023-02-09 2023-10-27 武汉励雅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电容电抗补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168B1 (ko) 작업자 편의 시설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외함
US75614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curing a motor control center
US75286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otor control center
AU2008252062B2 (en) Rapid cooling of exhaust from arc resistant electrical equipment
KR100985781B1 (ko) 슬라이딩 루프 구조를 가지는 수배전반
US9413144B1 (en) Portable racking tool for electric equipment replacement
KR101590440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센싱 장치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905844B1 (ko) 폭발 방지형 수배전반
CN205489070U (zh) 一种智能反馈配电柜系统
US20230420921A1 (en) Dual contactor electrical panelboard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5828307A (en) Hydrocarbon gas monitor desk
KR102060568B1 (ko) 확산식 소화기 및 화재감시 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 어셈블리
US10212839B2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CN105652172A (zh) 一种500kV换流变直流耐压试验一体化装置
US20200153209A1 (en) Risk reduction of electrical hazards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US10847954B1 (en) Temporary direct current power system
Cisco Preparing for Installation
JP2000059985A (ja) 危険場所における簡易防爆システム
JP3183762U (ja) 絶縁用ヘルメットの耐電圧試験装置
JP2007306795A (ja) 移動変圧器の並列運転装置
CN205882840U (zh) 一种ups电源车输送电监测装置
CN203589816U (zh) 便携式直流电源
JP7306041B2 (ja) 制御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