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38Y1 -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38Y1
KR200491338Y1 KR2020180002385U KR20180002385U KR200491338Y1 KR 200491338 Y1 KR200491338 Y1 KR 200491338Y1 KR 2020180002385 U KR2020180002385 U KR 2020180002385U KR 20180002385 U KR20180002385 U KR 20180002385U KR 200491338 Y1 KR200491338 Y1 KR 200491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terminal
touch
signal
signal transmis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37U (ko
Inventor
멍-쿠에이 린
리-예 양
Original Assignee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80002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3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의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는 터치 패널, 터치 신호 배선 및, 기능성 회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복수개의 터치 감지 유닛이 각각 제1 도선을 통하여 제1 전기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기단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일측 테두리의 신호 출력 패드 내에 설치된다. 상기 터치 신호 배선은 복수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 배열되는 도선을 구비하고, 각 상기 도선의 전단 둘레는 제2 전기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도선의 후단 둘레는 제3 전기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선의 상하는 각각 순서대로 가요성 절연층, 고전도율 박막 및 절연 피막을 코팅 설치하며, 상기 제2 전기단자 및 상기 제3 전기단자는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은 기판에 신호 입력 패드가 있고, 상기 신호 입력 패드 내에 복수개의 제4 전기단자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전기단자는 상기 제1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기단자는 상기 제4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SIGNAL TRANSMISSION WIRING ASSEMBLY STRUCTURE OF TOUCH DEVICE}
본 고안은 신호 전송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신호 전송에 사용되고 전자 간섭 차폐 효과가 있는 플렉시블 신호 전송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터치 장치는 대체적으로 터치 패널 유닛, 터치 신호 처리 유닛 및 상기 양자의 사이에 연결되는 신호 전송 배선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터치 패널 유닛은 터치 감지부 내에 복수개의 터치 감지 전극이 설치되고, 각 터치 감지 전극에는 각각 신호 도선이 연결되고, 상기 신호 도선은 하나의 신호 출력 접착 패드로 집결되고,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전단부는 상기 신호 출력 패드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후단부는 다시 상기 터치 신호 처리 유닛의 신호 입력 패드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터치 패널 유닛의 터치 감지 신호는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 처리 유닛에 전송되어 연산 처리가 진행된다.
현재 터치 장치는 이미 PC, 통신 및 소비 전자 등 디지털 전자 제품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전자 부품 성능에 대한 디지털 전자 제품의 요구 기준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형화 및 고밀도화되고 있는 이러한 추세로 인하여, 전자 제품에 전자파 간섭(EMI), 무선 주파수 간섭(RFI), 정전기 방전(ESD)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가장 우려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터치 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배선은 상기 터치 패널 유닛과 상기 터치 신호 처리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은 비교적 긴 연장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금속 도선은 가늘고 선 배치 간격이 치밀하므로, 외부의 전자파 간섭이나 무선 주파수 간섭으로 인해 신호 오류 또는 감쇠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EMI, RFI의 간섭을 어떻게 차단할 것인가의 문제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설계 및 응용 측면에서 해결이 시급한 과제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신호 전송 배선과 상기 터치 신호 처리 유닛 간의 연결은, 통상적으로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삽입 연결단에 단자 플러그를 설치하고 상기 터치 신호 처리 유닛의 신호 입력 접착 패드 상에 단자 소켓을 설치하여, 상기 단자 플러그와 상기 단자 소켓의 삽입 연결 조합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그러나 단자 플러그, 소켓을 삽입 연결 조합 키트로 사용하는 것은 전자 회로 소형화 추세에 적합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많은 재료 비용이 소요된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개선된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및 그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은 전자 간섭 차폐 효능이 있으며, 기능성 회로 유닛의 신호 입력 패드에 고정되어 직접 전기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배선 연결 소켓의 설치 비용을 줄이고 조립 연결의 정밀도 및 신호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는 터치 패널, 터치 신호 배선 및, 기능성 회로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패널은 복수개의 터치 감지 유닛이 각각 제1 도선을 통하여 제1 전기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기단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일측 테두리의 신호 출력 패드 내에 설치된다.
상기 터치 신호 배선은 복수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 배열되는 도선을 구비하고, 각 상기 도선의 전단 둘레는 제2 전기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선의 후단 둘레는 제3 전기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선의 상하는 각각 순서대로 가요성 절연층, 고전도율 박막 및 절연 피막을 코팅 설치하고, 상기 제2 전기단자 및 상기 제3 전기단자는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절연 피막의 상방에 중공 홀을 설치하여 상기 고전도율 박막이 상기 중공 홀의 부위에서 노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은 그 기판에 신호 입력 패드가 있고, 상기 신호 입력 패드 내에 복수개의 제4 전기단자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상기 제2 전기단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신호 출력 패드의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상기 제3 전기단자는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의 신호 입력 패드의 제4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을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 간에 전기적 연결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터치 감지 유닛에서 촉발하는 터치 신호가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에 순조롭게 전송되어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의 제3 전기단자와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의 제4 전기단자 사이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합시켜 고정한다. 여기에서 양자는 모두 외부 연결기 또는 연결소켓의 설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기적 조합의 정확성과 신호 전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배선 외표면에 고전도율 박막을 코팅시켜 차폐(shielding) 효과를 형성하고, 상기 고전도율 박막을 상기 중공 홀의 노출 부위에서 그에 배치 사용하는 전기의 금속 쉘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접지(grounding) 상태를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은 높은 주파수 전자파의 외부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간섭원으로서 다른 설비에 영향을 주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전도율 박막은 각종 알루미늄박, 동박, 금박 또는 각종 도전성 재료에서 선택하여 제작한 박막이며, 더 나아가 상기 고전도율 박막은 망상 박막일 수 있으나 실시범위는 전술한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특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신호 전송 배선은 전자 간섭 차폐 효능이 있으며, 기능성 회로 유닛의 신호 입력 패드에 고정되어 직접 전기적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배선 연결 소켓의 설치 비용을 줄이고 조립 연결의 정밀도 및 신호 전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품을 분리한 설명도이고; 및
도 2는 본 고안의 부품을 조합한 부분측면단면도이다.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주로 터치 패널(1), 신호 전송 배선(2) 및 기능성 회로 유닛(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 패널(1)의 기판(10)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투광률의 유리 박판이고, 상기 기판(10)의 저면 둘레부에 비도전성 재료로 제작한 유색 테두리부(11)가 설치되고, 상기 유색 테두리부(11)는 기판(10) 상에서 둘레부에 프레임 형태를 형성하는 차폐부(11a) 및 중앙부에 있는 가시부(10a)를 구분한다. 상기 기판의 가시부(10a) 내에 투명 터치 센서(12)가 설치되고, 이는 복수열의 감지 어레이(12a)로 구성되고, 각 감지 어레이(12a)는 하나의 감지전극(121) 및 복수개의 구동전극(122)이 있고, 감지전극(121)과 구동전극(122)은 서로 보완 형태로 대응 설치된다. 각 감지 어레이(12a)의 감지전극(121)과 구동전극(122)은 모두 신호 도선(123)에서 신호 출력 패드(124) 중의 전기단자(125)로 연결한다. 상기 신호 출력 패드(124)는 상기 기판(10) 일측면의 차폐부(11a) 내에 설치된다(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음).
도면에서 도시하는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편평한 동박 도선(21)이 있으며, 상기 동박 도선(21) 전단 둘레는 입력 전기단자(22)에, 후단 둘레는 출력 전기단자(23)에 연결되고, 상기 동박 도선(21)의 상하 표면에는 순서대로 가요성의 폴리에스테르(PET) 박막(24), 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박(25) 및 절연 마일라(mylar)(26)(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스테르의 박막)가 코팅 설치되며, 상기 동박 도선(21)을 중간에 씌우고, 상기 입력 전기단자(22)와 출력 전기단자(23)는 모두 노출 형태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절연 마일라(26) 상에는 중공 홀(27)을 더 설치하여, 상기 알루미늄박(25)을 중공 홀 (27) 지점에서 노출 형태로 설치시킨다.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3)은 인쇄회로기판(PCBA)이고, 그 기판(31) 상에 신호 입력 패드(32)가 있고, 상기 신호 입력 패드(32) 내에 복수개의 전기단자(33)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단자(33)는 신호 도선(34)을 통하여 제어회로(35)로 연결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의 전단부는 신호 출력 패드(124) 상에 접속되어, 상기 동박 도선(21) 전단 둘레의 입력 전기단자(22)와 상기 신호 출력 패드(124) 내의 전기단자(125)를 서로 대응하여 접속시킬 수 있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접착제로 삼아 양자 간의 전기적 커플링을 구현한다. 그 외,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의 후단부는 상기 신호 입력 패드(32) 상에 접합되어, 상기 동박 도선(21) 후단 둘레의 출력 전기단자(23)와 상기 신호 입력 패드(32) 내의 전기단자(33)를 서로 대응하여 접속시킬 수 있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접착제로 삼아 양자 간의 전기적 커플링을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터치 패널(1) 상에서 촉발하는 감지 신호가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을 경유하여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3)에 전송되어 연산이 진행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은 상기 배열 간격이 세밀한 동박 도선(21) 외표면에 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박(25)을 씌워 전자파 간섭 차폐 효과를 가지며, 상기 알루미늄박(25)은 중공 홀(27) 지점의 노출 부위와 그에 배치 사용하는 전기의 금속 쉘을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접지 상태를 형성하고(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 여기에서 상기 신호 전송 배선(2)은 고주파수 전자파의 외부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간섭원으로서 다른 설비에 영향을 주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상기 도면과 실시예는 본 고안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실시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내용을 기반으로 본 고안에 각종 변화 및 수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7)

  1. 터치 패널, 터치 신호 배선 및, 기능성 회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 패널은 복수개의 터치 감지 유닛이 각각 제1 도선을 통하여 제1 전기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기단자는 상기 터치 패널의 일측 테두리의 신호 출력 패드 내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 신호 배선은 복수개의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 배열되는 도선을 구비하고, 각 상기 도선의 전단 둘레는 제2 전기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도선의 후단 둘레는 제3 전기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도선의 상하는 각각 순서대로 가요성 절연층, 고전도율 박막 및 절연 피막을 코팅 설치하며, 상기 제2 전기단자 및 상기 제3 전기단자는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연 피막에 중공 홀이 설치되고, 상기 고전도율 박막이 상기 중공 홀의 부위에서 노출 설치되도록 하고, 전기를 사용하는 금속 하우징을 배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지되고;
    상기 기능성 회로 유닛은 기판에 신호 입력 패드가 있고, 상기 신호 입력 패드 내에 복수개의 제4 전기단자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전기단자는 상기 제1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제3 전기단자는 상기 제4 전기단자와 상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단자와 상기 제2 전기단자 사이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전기적으로 접합하여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기단자와 상기 제4 전기단자 사이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전기적으로 접합하여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율 박막은 알루미늄박, 구리박 또는 금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율 박막은 망상(망 형상)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KR2020180002385U 2018-05-31 2018-05-31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KR200491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5U KR200491338Y1 (ko) 2018-05-31 2018-05-31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85U KR200491338Y1 (ko) 2018-05-31 2018-05-31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7U KR20190003037U (ko) 2019-12-10
KR200491338Y1 true KR200491338Y1 (ko) 2020-03-24

Family

ID=6883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85U KR200491338Y1 (ko) 2018-05-31 2018-05-31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3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266A1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体アセンブリ、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60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제거 특성이 강화된 에프피씨비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012212A (ko) * 2009-07-30 2011-02-09 아이티엠 주식회사 양면 fpc의 상하 단자 분리로 굴곡없이 터치패널의 상하판을 접합한 구조의 터치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9391B1 (ko) * 2010-04-06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입력장치
TWI578857B (zh) * 2013-06-19 2017-04-11 Adv Flexible Circuits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differential mode signal transmission line anti - attenuation grounding structure
KR20170013542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코닉에스티 고속전송 모드용 fpcb 전자파 차폐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266A1 (ja)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配線体アセンブリ、配線基板、及びタッチ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37U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3109A1 (en) Circuit board
US9089057B2 (en) Electronic device
CN110692169B (zh) 便携式电子设备
TWM531078U (zh) 電連接器
CN101740896B (zh) 高频电路模块
JP2012064338A (ja) 同軸ケーブルの端末構造、コネクタ及び基板ユニット
KR20200014231A (ko)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8633165B (zh) 软性电路板的信号抗衰减屏蔽结构
CN109257871A (zh) 柔性线路板及移动终端
WO2020226277A1 (en) Flexible cable
KR200491338Y1 (ko)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JPWO2004093036A1 (ja) 薄型表示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CN101924270B (zh) 无线通信装置及应用其的可携式电子装置
US20160203887A1 (en) Shielded electrical cable
TWI769682B (zh) 具有電磁屏蔽功能的電連接器
US5905641A (en) Electrical connection with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CN216055120U (zh) 基于金属罩的耦合片
CN105430878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JP4998741B2 (ja) アダプタ構造,高周波ケーブル体および配線板接続体
TWM566396U (zh) Signal cable assembly structure of touch device
CN106455300B (zh) 电路板及移动终端
CN211349320U (zh) 一种具有触摸屏的电子设备
TW201351810A (zh) 電連接器組合
CN213241112U (zh) 触控面板及电子设备
TW201944657A (zh) 高速訊號連接器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