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43Y1 - 시일 캡 - Google Patents

시일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43Y1
KR200491043Y1 KR2020180003457U KR20180003457U KR200491043Y1 KR 200491043 Y1 KR200491043 Y1 KR 200491043Y1 KR 2020180003457 U KR2020180003457 U KR 2020180003457U KR 20180003457 U KR20180003457 U KR 20180003457U KR 200491043 Y1 KR200491043 Y1 KR 200491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lt insertion
main body
insertion passage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376U (ko
Inventor
유키 모리카게
아츠시 시바타
코지 이시이
히로미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90000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2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5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14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exclusively by spring action or elastic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압축기로부터의 빼냄이 용이한 작업성이 우수한 시일 캡의 제공에 있다.
(해결 수단) 흡입측 캡체(22)와, 볼트 삽입 통과체(26)와, 흡입측 파지체(24)와, 흡입측 캡체(22), 볼트 삽입 통과체(26) 및 흡입측 파지체(24)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본체(21)를 구비하고, 볼트 삽입 통과체(26)는 본체(21)의 표면(21A)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흡입측 캡체(22)는 본체(21)의 이면(21B)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 캡(20)이다. 흡입측 파지체(24)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31)를 구비하고, 환 형상부(31)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는, 흡입측 캡체(22)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Description

시일 캡{SEALING CAP}
본 고안은, 시일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의 유로공인 흡입공이나 토출공을 막는 시일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일 캡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일 캡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일 캡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유로공을 막는 캡부와, 파지 가능하게 하는 파지부와, 캡부와 파지부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부는 스터드 볼트의 삽입 통과 가능한 볼트 삽입 통과부를 갖고, 파지부는, 볼트 삽입 통과부보다도 캡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는, 볼트 삽입 통과부의 캡부측에서 볼트 삽입 통과부와 연통하고, 시일 캡을 접속부로부터 빼낼 때의 캡부와 스터드 볼트의 접촉에 의해 캡부의 절곡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절입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일 캡은, 시일 캡을 빼낼 때에 이탈된 캡부가 압축기에 형성한 스터드 볼트와 접촉해도, 압축기로부터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6764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시일 캡은, 연결부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파지부가 연결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의 압축기에 이 시일 캡을 장착하면, 파지부가 엔진 룸 내의 타부재와 간섭하여 타부재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파지부가 타부재와 간섭하는 경우, 시일 캡을 빼낼 때에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파지부에 들어가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일 캡에 대해서는, 손가락으로의 부담이 경감되도록, 시일 캡을 빼내는 힘을 보다 저감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 없이, 압축기로부터의 빼냄이 용이한 작업성이 우수한 시일 캡의 제공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접속하는 배관 접속부와, 상기 배관 접속부의 단면에 개구된 유로공과, 상기 배관 접속부의 단면에 세워 설치한 스터드 볼트를 구비한 압축기에 이용되고, 상기 유로공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공을 막는 캡체와, 상기 스터드 볼트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의 볼트 삽입 통과체와, 파지 가능하게 하는 파지체와, 상기 캡체,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 및 상기 파지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판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는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캡체는 상기 본체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 캡으로서, 상기 파지체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체를 사이에 끼고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 형상부는, 상기 캡체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환 형상부가 관통하는 방향은, 또한, 상기 캡체와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가 늘어선 방향과도 교차하며, 상기 환 형상부의 일부는, 상기 캡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표면까지 연재(延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파지체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를 구비하고, 캡체를 사이에 끼고 볼트 삽입 통과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환 형상부는 캡체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지체는 본체로부터 배관 접속부의 단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고,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의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환 형상부의 일부는, 상기 캡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표면까지 연재(延在)하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환 형상부의 일부는, 캡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표면까지 연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빼냄 과정에 있어서 캡체는, 유로공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도록 변형되면서 이탈한다. 따라서, 캡체의 축심 방향으로 캡체를 단순히 빼내는 경우에 비하면, 캡체를 빼내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저감된다. 본 고안의 시일 캡은, 압축기에 장착되었을 때에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압축기로부터의 시일 캡의 빼냄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의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제2 유로공을 구비하고, 상기 스터드 볼트는, 상기 유로공 및 상기 제2 유로공과의 사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로공을 막는 제2 캡체가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있어서의 제2 캡체측의 표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제2 파지체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압축기의 배관 접속부에 있어서 유로공과 제2 유로공이 스터드 볼트를 사이로 하여 구비되지만, 시일 캡은 유로공 및 제2 유로공을 막는다. 시일 캡의 빼냄 과정에서는, 캡체가 먼저 이탈되고, 다음으로 제2 캡체가 제2 유로공으로부터 이탈되고, 그 후에 볼트 삽입 통과체가 스터드 볼트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하나의 시일 캡으로 유로공과 제2 유로공을 막을 수 있음과 함께, 시일 캡을 압축기로부터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체의 길이는,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방향의 길이 이하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파지체의 길이가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방향의 길이 이하이기 때문에, 파지체가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심 방향으로 과도하게 돌출하는 일은 없고, 파지체가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심 방향으로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의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체는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와 협동하여 환 형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파지체는 볼트 삽입 통과체와 협동하여 환 형상을 형성한다. 제2 파지체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압축기로부터의 빼냄이 용이한 작업성이 우수한 시일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을 적용하는 압축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을 적용하는 압축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시일 캡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시일 캡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압축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시일 캡의 측면도이다.
도 6(a), 도 6(b)는 시일 캡의 빼냄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동 시일 캡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동 시일 캡의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압축기(10)는, 차량 탑재용의 압축기이고, 압축기(10)의 하우징(11)은, 주로 실린더 블록, 프론트 하우징 및 리어 하우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에는 유체로서의 냉매가 흐르는 배관을 접속하는 배관 접속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배관 접속부(12)에는 단면(13)이 형성되고, 단면(13)에는, 유로공으로서의 흡입공(14)과, 제2 유로공으로서의 토출공(15)이 개구되어 있다. 단면(13)에 있어서의 흡입공(14)과 토출공(15)의 사이에 스터드 볼트(16)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16)는 배관 접속부(12)에 접속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이고, 수나사를 갖는 축부(16A)와, 축부(16A)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너트 형상의 두부(頭部)(16B)를 갖는다. 스터드 볼트(16)는 배관 접속부(12)에 형성한 나사공에 나사 조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배관 접속부(12)에 있어서, 흡입공(14), 스터드 볼트(16), 토출공(15)의 각 중심이 가상 직선(L)상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배관 접속부(12)가 정부(頂部)에 위치하고, 압축기(10)의 회전 축심(P)이 수평이 되도록, 압축기(10)가 차량의 엔진 룸 내에서 거의 수평으로 고정된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시일 캡(20)은, 배관 접속부(12)에 장착하여 흡입공(14)과 토출공(15)을 막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인력에 의한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 재료 또는 고무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캡(20)은, 판 형상의 본체(21)와, 흡입측 캡체(22)와, 토출측 캡체(23)와, 흡입측 파지체(24)와, 토출측 파지체(25)와, 볼트 삽입 통과체(26)를 구비한다.
판 형상의 본체(21)는, 흡입측 캡체(22), 토출측 캡체(23), 흡입측 파지체(24), 토출측 파지체(25) 및 볼트 삽입 통과체(26)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본체(21)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길이 방향)의 중심 부근의 표면(21A)에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일측이 되는 본체(21)의 이면(21B)은 흡입측 캡체(22)를 구비하고,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타측이 되는 본체(21)의 이면(21B)은 토출측 캡체(23)를 구비한다.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부근의 짧은쪽 방향(폭방향)에는, 본체(21)의 폭을 작게 하는 절결(27)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1)는,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28)와, 타측의 단부(29)를 갖고 있다.
캡체로서의 흡입측 캡체(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측 캡체(22)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 리브(22A)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측 캡체(22)의 선단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측 캡체(22)의 지름 치수는, 흡입측 캡체(22)가 압입에 의해 삽입되어 흡입공(14)을 막도록 흡입공(14)의 공경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흡입측 캡체(22)의 축심 S1은 본체(21)의 이면(21B)과 직교한다.
토출측 캡체(23)는 제2 캡체에 상당하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측 캡체(23)는 외주면에 환 형상 리브(23A)를 구비하고, 흡입측 캡체(22)와 동일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측 캡체(23)의 지름 치수는, 토출측 캡체(23)가 압입에 의해 삽입되어 토출공(15)을 막도록 토출공(15)의 공경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토출측 캡체(23)의 축심 S2는 본체(21)의 이면(21B)과 직교한다.
통 형상의 볼트 삽입 통과체(26)는, 스터드 볼트(16)의 삽입 통과 가능한 부위이고, 흡입측 캡체(22)와 토출측 캡체(23)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삽입 통과체(26)는, 본체(21)의 표면(21A)에 있어서의 긴쪽 방향의 중심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축심 S3은 본체(21)의 표면(21A)과 직교한다. 시일 캡(20)이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터드 볼트(16)가 볼트 삽입 통과체(26)에 삽입 통과되고, 스터드 볼트(16)는 선단부를 제외하고 볼트 삽입 통과체(26)에 의해 덮인다.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는,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시일 캡(20)을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체로서의 흡입측 파지체(24)는, 본체(21)의 단부(28)에 있어서 표면(2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2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31)를 구비하고 있다. 환 형상부(31)는 본체(21)와 접속되는 접속단(32)을 구비한다. 흡입측 파지체(24)는 흡입측 캡체(22)를 사이에 끼고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는 시일 캡(20)을 빼낼 때에 파지 가능하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32)은,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측 캡체(22)측의 단부(28)와 접속되어 있다. 접속단(32)은, 흡입측 캡체(22)측의 단부(28)에 접속되는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과,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보다도 볼트 삽입 통과체(26)측에 접속되는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을 구비하고 있다.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은,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22)의 축심 S1보다도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흡입측 파지체(24)는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8)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고, 본체(21)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본체(21)의 외주연으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환 형상부(31)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워 설치된 부위(31A), 원호 형상 부위(31B), 만곡 부위(31C) 및 평행 부위(31D)로 구성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환 형상부(31)의 각 부위의 경계를 점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세워 설치된 부위(31A)는,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으로부터 표면(21A)과 직교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원호 형상 부위(31B)는, 세워 설치된 부위(31A)로부터 연재하고, 볼트 삽입 통과체(26)를 향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 형상 부위(31B)는, 흡입측 파지체(24)에 있어서 본체(21)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위이다. 만곡 부위(31C)는, 원호 형상 부위(31B)로부터 본체(21)를 향하여 연재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만곡 부위(31C)는, 볼트 삽입 통과체(26)와 가장 접근하는 부위이다. 만곡 부위(31C)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사이에 간극 G1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 G1은, 원호 형상 부위(31B)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간극 G1은, 만곡 부위(31C)가 원호 형상 부위(31B) 및 본체(21)를 향함에 따라 확대되어 있다. 평행 부위(31D)는, 만곡 부위(31C)로부터 본체(21)의 표면(21A)과 평행하게 연재되도록 형성되고,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에 접속되어 있다. 환 형상부(31)의 일부는, 흡입측 캡체(22)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의 표면(21A)까지 연재되어 있다.
환 형상부(31)는, 세워 설치된 부위(31A), 원호 형상 부위(31B), 만곡 부위(31C), 평행 부위(31D)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측 캡체(22)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해 있고, 작업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32)이 단부(28)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작업자가 개구(33)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시일 캡(20)을 빼내는 방향(축심 S1에 평행한 방향)으로 흡입측 파지체(24)를 잡아당기면, 흡입측 캡체(22)의 단부(28) 부근으로부터 빼내지도록 본체(21)가 변형한다. 흡입측 캡체(22)의 단부(28) 부근에 빼내는 힘이 작용할 때, 흡입측 캡체(22)를 축심 S1 방향으로 단순히 빼내는 경우에 비하면 흡입측 캡체(22)를 빼내는 힘은 작아진다.
다음으로, 토출측 파지체(25)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파지체로서의 토출측 파지체(25)는, 본체(21)에 있어서의 토출측 캡체(23)측의 표면(2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2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된다. 토출측 파지체(25)는 볼트 삽입 통과체(26)와 협동하여 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토출측 파지체(25)는, 본체(21)의 표면(2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2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되어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재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연재부(34)의 본체측 접속단(35)은, 본체(21)에 있어서의 단부(29)와 접속되고, 연재부(34)의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6)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다. 토출측 파지체(25)는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9)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고, 본체(21)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본체(21)의 외주연으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연재부(34)는, 세워 설치된 부위(34A)와, 원호 형상 부위(34B)와, 크랭크 형상 부위(34C)로 구성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재부(34)의 각 부위의 경계를 점선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세워 설치된 부위(34A)는, 본체(21)의 단부(29)에 있어서 표면(2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2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된다. 세워 설치된 부위(34A)의 본체(21)측단이 본체측 접속단(35)이다. 원호 형상 부위(34B)는, 세워 설치된 부위(34A)로부터 연재되고, 볼트 삽입 통과체(26)를 향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 형상 부위(34B)는, 토출측 파지체(25)에 있어서 본체(21)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위이다. 크랭크 형상 부위(34C)는, 원호 형상 부위(34B)로부터 본체(21)로 향하고 추가로 볼트 삽입 통과체(26)를 향하여 연재되도록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 형상 부위(34C)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사이에는, 간극 G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 G2는 간극 G1과 함께, 스터드 볼트(16)의 압축기(10)로의 부착시 또는 조임시에 이용하는 임팩트 렌치(T)와 시일 캡(20)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5에서는, 공구로서의 임팩트 렌치(T)의 소켓을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토출측 파지체(25)에서는, 연재부(34)가 세워 설치된 부위(34A)와, 원호 형상 부위(34B)와, 크랭크 형상 부위(34C)로 구성되어 있다. 토출측 파지체(25)는 토출측 캡체(23)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연재부(34), 본체(21) 및 볼트 삽입 통과체(26)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37)를 형성한다. 작업자가 개구(37)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시일 캡(20)을 빼내는 방향(축심 S2에 평행한 방향)으로 토출측 파지체(25)를 잡아당기면, 토출측 캡체(23) 및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빼내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축기(10)는 차량의 엔진 룸 내에 부착되어 있고, 배관 접속부(12)에 형성한 스터드 볼트(16)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시일 캡(20)의 흡입측 캡체(22)는 흡입공(14)을 막고, 토출측 캡체(23)는 토출공(15)을 막고 있고, 시일 캡(20)은 압축기(10)의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캡(20)을 빼내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우선, 흡입측 파지체(24)측의 개구(33) 및 토출측 파지체(25)측의 개구(37)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에 손가락을 걸어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을 개구(33)에 삽입하고, 중지를 개구(37)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걸어 고정시킨 각각의 손가락을 배관 접속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의 외곽선만으로 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향하여 시일 캡(20)을 이동시킨다.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은 본체(21)의 단부(28)에 접속되고,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이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22)의 축심 S1보다도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캡(20)을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본체(21)가 변형하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측 캡체(22)는 단부(28) 부근으로부터 기울도록 변형하면서 흡입공(14)으로부터 빼내진다. 즉, 흡입측 캡체(22)는, 흡입측 파지체(24)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흡입공(14)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작업자는,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에 손가락을 걸어 고정시킨 상태로, 배관 접속부(12)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시일 캡(20)을 이동시킨다. 이 때, 주로 토출측 파지체(25)를 통하여 토출측 캡체(23)가 토출공(15)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측 캡체(23)의 이탈과 함께, 볼트 삽입 통과체(26)로부터 스터드 볼트(16)가 빠지기 시작한다. 배관 접속부(12)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향하여 시일 캡(20)을 추가로 이동시킴으로써,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스터드 볼트(16)로부터 벗어나고, 시일 캡(20)은 완전하게 빼내진다.
이와 같이,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서는,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에 손가락을 걸어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시일 캡(20)을 빼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손가락으로의 부담은 경감된다. 또한, 흡입측 캡체(22) 및 토출측 캡체(23)가 동시에 이탈되는 것이 아니라, 흡입측 캡체(22)가 먼저 이탈되고, 그 후에 토출측 캡체(23)가 이탈되고, 또한, 그 후에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이탈된다. 이 때문에, 적은 힘으로 시일 캡(20)이 빼내져, 시일 캡(20)을 배관 접속부(12)로부터 빼내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20)은 이하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1) 흡입측 파지체(24)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31)를 구비하고, 흡입측 캡체(22)를 사이에 끼고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 형상부(31)는 흡입측 캡체(22)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캡(20)이 압축기(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흡입측 파지체(24)는 본체(21)의 외주연으로부터 튀어 나가지 않고, 엔진 룸 내의 타부서재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흡입측 파지체(24)의 환 형상부(31)는,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다.
(2) 흡입측 파지체(24)의 접속단(32)이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측 캡체(22)측의 단부(28)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환 형상부(31)의 일부는, 흡입측 캡체(22)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21)의 표면(21A)까지 연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빼냄 과정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22)는, 유로공으로서의 흡입공(14)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도록 변형되면서 이탈한다. 따라서, 흡입측 캡체(22)의 축심 S1 방향으로 흡입측 캡체(22)를 단순히 뽑아내는 경우에 비하면, 흡입측 캡체(22)를 뽑아내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저감된다. 시일 캡(20)은,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압축기(10)로부터의 빼냄이 용이하다.
(3) 압축기(10)의 배관 접속부(12)에 있어서 흡입공(14)과 제2 유로공으로서의 토출공(15)이 스터드 볼트(16)를 사이로 하여 구비되는데, 시일 캡(20)은 흡입공(14) 및 토출공(15)을 막는다.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서는, 흡입측 캡체(22)가 먼저 흡입공(14)으로부터 이탈하고, 그 후에 토출측 캡체(23)가 토출공(15)으로부터 이탈한다. 최후에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스터드 볼트(16)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1개의 시일 캡(20)에 의해 흡입공(14)과 토출공(15)을 막을 수 있음과 함께, 시일 캡(20)을 압축기(10)로부터 확실하게 이탈할 수 있다.
(4) 흡입측 파지체(24)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사이에 간극 G1이 형성되고, 토출측 파지체(25)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사이에 간극 G2가 형성되어 있다. 시일 캡(20)을 압축기(1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임팩트 렌치(T)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압축기(10)에 대한 스터드 볼트(16)의 부착이 행해지는데, 공구의 일부가 간극 G1, G2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시일 캡(20)과 공구가 간섭하는 일 없이, 압축기(10)에 대한 스터드 볼트(16)의 부착 및 조임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시일 캡(20)을 압축기(10)에 장착한 상태로, 스터드 볼트(16)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접속부(12)의 단면(13)을 보호할 수 있다.
(5) 접속단(32)은, 흡입측 캡체(22)측의 단부(28)에 접속되는 흡입측 캡체 접속단(32A)과,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보다도 볼트 삽입 통과체(26)측에 접속되는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을 구비한다.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2B)은, 본체(2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흡입측 캡체(22)의 축심 S1보다도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32A)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서는, 흡입측 캡체(22)에 있어서의 단부(28)에 가까운 부위가, 빼내는 힘을 보다 받아, 흡입측 캡체(22)는 흡입공(14)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도록 변형되면서 신속하게 흡입공(14)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6) 흡입측 파지체(24), 토출측 파지체(25) 및 볼트 삽입 통과체(26)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의 길이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축방향의 길이 이하이다. 이 때문에,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축심 S3방향으로 과도하게 돌출하는 일은 없고,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가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축방향에 있어서 타부재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7) 토출측 파지체(25)는 볼트 삽입 통과체(26)와 협동하여 환 형상을 형성한다. 토출측 파지체(25)는 본체(21)의 표면(2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2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재부(34)를 구비한다. 연재부(34)는, 본체(21)와 접속되는 본체측 접속단(35)과, 볼트 삽입 통과체(26)에 접속되는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36)을 구비한다. 연재부(34)는, 토출측 캡체(23)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토출측 파지체(25), 볼트 삽입 통과체(26) 및 본체(21)가 개구(37)를 형성하는데, 개구(37)는 충분한 크기이고, 개구(37)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다.
(8)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서는, 흡입측 파지체(24) 및 토출측 파지체(25)에는 손가락이 각각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한개의 손가락으로 빼내는 시일 캡과 비교하면,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시일 캡(20)의 빼냄 과정에서는, 흡입측 캡체(22), 토출측 캡체(23), 볼트 삽입 통과체(26)의 순으로 이탈된다. 이 때문에, 흡입측 캡체(22) 및 토출측 캡체(23)를 동시에 빼내는 경우와 비교하면, 적은 힘으로 시일 캡(20)을 원활히 빼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은 흡입공을 막는 시일 캡이다. 토출공은 다른 시일 캡에 의해 막힌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여,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또한, 토출공을 막는 시일 캡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시일 캡(40)은, 배관 접속부(12)에 장착하여 흡입공(14)을 막기 위한 것이다. 시일 캡(40)은 제1 실시 형태의 시일 캡(20)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캡(40)은, 판 형상의 본체(41)와, 캡체(42)와, 파지체(43)와, 볼트 삽입 통과체(44)를 구비하고 있다.
판 형상의 본체(41)는, 캡체(42), 파지체(43) 및 볼트 삽입 통과체(44)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판 형상의 본체(41)는, 본체(4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45)와, 타측의 단부(46)를 갖고 있다. 본체(41)의 이면(41B)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45)측에 캡체(42)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41)의 표면(41A)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46)측에 볼트 삽입 통과체(44)가 구비되어 있다.
캡체(4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캡체(42)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 리브(42A)가 형성되어 있다. 캡체(42)는, 제1 실시 형태의 흡입측 캡체(22)와 거의 동일하다. 캡체(42)의 축심 S4는 본체(41)의 이면(41B)과 직교한다. 캡체(42)의 축심 S4는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축심 S5와 평행하다. 볼트 삽입 통과체(44)는, 스터드 볼트(16)의 삽입 통과 가능한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기부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46)측이 절제되고, 또한, 본체(41)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타측의 단부(46)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절제됨으로써, 절결(47)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47)은, 파지체(43)의 잡아당김에 의한 캡체(42)의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시일 캡(40)이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터드 볼트(16)가 볼트 삽입 통과체(44)에 삽입 통과되고, 스터드 볼트(16)의 외주면은 볼트 삽입 통과체(44)에 의해 덮인다.
파지체(43)는,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시일 캡(40)을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체(43)는, 본체(41)의 단부(45)에 있어서 표면(4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4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48)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체(43)는, 캡체(42)를 사이에 끼고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 형상부(48)는, 본체(4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캡체(42)측의 단부(45)와 접속되는 접속단(49)을 구비한다. 접속단(49)은, 캡체(42)측의 단부(45)에 접속되는 단부측 접속단(49A)과, 본체(4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볼트 삽입 통과체(44)측에 접속되는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49B)을 구비하고 있다. 단부측 접속단(49A)은 캡체측 접속단에 상당한다.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49B)은, 본체(4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캡체(42)의 축심 S4보다도 단부측 접속단(49A)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파지체(43)는 본체(41)의 긴쪽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부(45)로부터 튀어 나와 있지만, 본체(41)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폭방향)의 본체(41)의 외주연으로부터는 튀어 나오지 않는다.
환 형상부(48)는, 표면(4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단부측 접속단(49A) 및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49B)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부(48)의 일부는, 캡체(42)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41)의 표면(41A)까지 연재되어 있다. 환 형상부(48)와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사이에 간극 G3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 G3은, 환 형상부(48)가 볼트 삽입 통과체(44)에 가장 가까운 점으로부터, 본체(41)를 향함에 따라 확대되고, 또한 본체(4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간극 G3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선단부 부근은, 임팩트 렌치(T)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장착할 때, 공구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다.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파지체(43)의 길이는, 볼트 삽입 통과체(44)의 축방향의 길이 이상이다.
환 형상부(48)는, 캡체(42)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환 형상부(48)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49)이 단부(45)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작업자가 개구(5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시일 캡(40)을 빼내는 방향(축심 S4에 평행한 방향)으로 파지체(43)를 잡아당기면, 캡체(42)의 단부(45) 부근으로부터 빼내지도록 본체(41)가 변형한다. 캡체(42)의 단부 부근에 빼내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은, 캡체(42)를 축심 S4 방향으로 단순히 빼내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충분하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40)은,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1), (3), (4)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은 토출공을 막는 시일 캡이다. 흡입공은 다른 시일 캡에 의해 막힌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여, 공통의 부호를 이용한다. 또한, 흡입공을 막는 시일 캡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시일 캡(60)은, 배관 접속부(12)에 장착하여 토출공(15)을 막기 위한 것이다. 시일 캡(60)은 제1 실시 형태의 시일 캡(20)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 캡(60)은, 판 형상의 본체(61)와, 캡체(62)와, 파지체(63)와, 볼트 삽입 통과체(64)를 구비하고 있다.
판 형상의 본체(61)는, 캡체(62), 파지체(63) 및 볼트 삽입 통과체(64)를 일체적으로 연결한다. 판 형상의 본체(61)는, 본체(6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65)와, 타측의 단부(66)를 갖고 있다. 본체(61)의 이면(61B)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65)측에 캡체(62)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41)의 표면(61A)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66)측에 볼트 삽입 통과체(64)가 구비되어 있다.
캡체(6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캡체(62)의 외주면에는 환 형상 리브(62A)가 형성되어 있다. 캡체(62)는, 제1 실시 형태의 토출측 캡체(23)와 거의 동일하다. 캡체(62)의 축심 S6은 본체(61)의 이면(61B)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캡체(62)의 축심 S6은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축심 S7과 평행하다. 볼트 삽입 통과체(64)는, 스터드 볼트(16)의 삽입 통과 가능한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기부에 있어서의 타측의 단부(66)측이 절제되고, 또한, 본체(61)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타측의 단부(66)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절제됨으로써, 절결(67)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67)은, 파지체(63)의 잡아당김에 의한 캡체(62)의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시일 캡(60)이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터드 볼트(16)가 볼트 삽입 통과체(64)에 삽입 통과되고, 스터드 볼트(16)의 외주면은 볼트 삽입 통과체(64)에 의해 덮인다.
파지체(63)는, 배관 접속부(12)에 장착된 시일 캡(60)을 빼내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체(63)는, 본체(61)의 단부(65)에 있어서 표면(61A)으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함께 본체(61)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68)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체(63)는, 캡체(62)를 사이에 끼고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환 형상부(68)는, 본체(6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캡체(62)측의 단부(65)와 접속되는 접속단(69)을 구비한다. 접속단(69)은, 캡체(62)측의 단부(65)에 접속되는 단부측 접속단(69A)과, 본체(6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볼트 삽입 통과체(64)측에 접속되는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69B)을 구비하고 있다. 단부측 접속단(69A)은 캡체측 접속단에 상당한다.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69B)은, 본체(6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 캡체(62)의 축심 S6보다도 단부측 접속단(69A)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파지체(63)는 본체(61)의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65)로부터 약간 튀어 나와 있지만, 본체(61)의 긴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본체(61)의 외주연으로부터는 튀어 나오지 않는다.
환 형상부(68)는, 표면(61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단부측 접속단(69A) 및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69B)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 형상부(68)의 일부는, 캡체(62)가 위치하고 있는 본체(61)의 표면(61A)까지 연재되어 있다. 환 형상부(68)와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사이에 간극 G4가 형성되어 있다. 간극 G4는, 환 형상부(68)가 볼트 삽입 통과체(44)에 가장 가까운 점으로부터, 본체(41)를 향함에 따라 확대되고, 또한 본체(41)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간극 G4에 있어서의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선단부 부근은, 임팩트 렌치(T)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장착할 때, 공구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다.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파지체(63)의 길이는, 볼트 삽입 통과체(64)의 축방향의 길이 이상이다.
환 형상부(68)는, 캡체(62)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환 형상부(68)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70)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69)이 단부(65)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작업자가 개구(7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시일 캡(60)을 빼내는 방향(축심 S5에 평행한 방향)으로 파지체(63)를 잡아당기면, 캡체(62)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빼내지도록 본체(61)가 변형한다. 캡체(62)의 단부 부근에 빼내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은, 캡체(62)를 축심 S6방향으로 단순히 빼내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충분하다.
본 실시 형태의 시일 캡(60)은,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1), (3), (4)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일 캡은,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와 같이 고안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시일 캡이 장착되는 압축기로서 차량 탑재용의 압축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압축기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기는, 사판식, 스크롤식, 베인식이라도 좋고, 또한, 차량 탑재용의 압축기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배관 접속부에 시일 캡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반드시 배관 접속부는 하우징에 형성된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우징에 형성한 타부재에 배관 접속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의 배관 접속부에 있어서 흡입공, 스터드 볼트, 토출공의 각 중심이 가상 직선상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었지만, 흡입공, 스터드 볼트, 토출공의 각 중심이 서로 위치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시일 캡은, 흡입공, 스터드 볼트, 토출공의 위치에 따라, 흡입측 캡체, 볼트 삽입 통과체, 토출측 캡체를 서로 위치 어긋난 형상으로 한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배관 접속부의 단면이 수평이고, 흡입공과 토출공의 개구가 동일한 높이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공 또는 토출공의 개구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압축기가 엔진 룸 내에 고정되어도 좋다.
○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측 파지체는 볼트 삽입 통과체와 접속되었지만, 토출측 파지체를 흡입측 파지체와 같이 형성하고, 토출측 파지체와 볼트 삽입 통과체가 서로 접속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공구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체는 시일 캡을 빼낼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기 쉬운 형상이면 좋고, 특별히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타부재와의 간섭을 고려하면, 파지체는, 본체의 긴쪽 방향의 단부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0 : 압축기
12 : 배관 접속부
13 : 단면
14 : 흡입공(유로공)
15 : 토출공(유로공)
16 : 스터드 볼트
20, 40, 60 : 시일 캡
21, 41, 61 : 본체
21A, 41A, 61A : 표면
21B, 41B, 61B : 이면
22 : 흡입측 캡체
23 : 토출측 캡체
24 : 흡입측 파지체
25 : 토출측 파지체
26, 44, 64 : 볼트 삽입 통과체
28, 45, 65 : 단부(일측)
29, 46, 66 : 단부(타측)
31, 48, 68 : 환 형상부
32, 49, 69 : 접속단
32A : 흡입측 캡체측 접속단
32B, 49B, 69B :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
33, 37, 50, 70 : 개구
34 : 연재부
35 : 본체측 접속단
36 : 볼트 삽입 통과체측 접속단
42, 62 : 캡체
43, 63 : 파지체
49, 69 : 접속부
49A, 69A : 단부측 접속단
G1, G2, G3, G4 : 간극(파지체)
L : 가상 직선
P : 회전 축심
S1, S2, S3, S4, S5, S6, S7 : 축심
T : 임팩트 렌치(공구)

Claims (5)

  1.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접속하는 배관 접속부와, 상기 배관 접속부의 단면에 개구된 유로공과, 상기 배관 접속부의 단면에 세워 설치한 스터드 볼트를 구비한 압축기에 이용되고,
    상기 유로공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공을 막는 캡체와,
    상기 스터드 볼트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하는 통 형상의 볼트 삽입 통과체와,
    파지 가능하게 하는 파지체와,
    상기 캡체,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 및 상기 파지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판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 및 상기 파지체는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캡체는 상기 본체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시일 캡으로서,
    상기 파지체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체를 사이에 끼고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환 형상부는, 상기 캡체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환 형상부가 관통하는 방향은, 또한, 상기 캡체와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가 늘어선 방향과도 교차하며,
    상기 환 형상부의 일부는, 상기 캡체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본체의 표면까지 연재(延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단면에 형성된 제2 유로공을 구비하고,
    상기 스터드 볼트는, 상기 유로공 및 상기 제2 유로공과의 사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로공을 막는 제2 캡체가 상기 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있어서의 제2 캡체측의 표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제2 파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체의 길이는,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의 축방향의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체는 상기 볼트 삽입 통과체와 협동하여 환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캡.
KR2020180003457U 2017-07-31 2018-07-26 시일 캡 KR2004910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8078A JP6809405B2 (ja) 2017-07-31 2017-07-31 シールキャップ
JPJP-P-2017-148078 2017-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76U KR20190000376U (ko) 2019-02-11
KR200491043Y1 true KR200491043Y1 (ko) 2020-02-11

Family

ID=6466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57U KR200491043Y1 (ko) 2017-07-31 2018-07-26 시일 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14419B2 (ko)
JP (1) JP6809405B2 (ko)
KR (1) KR200491043Y1 (ko)
CN (1) CN208918774U (ko)
DE (1) DE202018104339U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747A (ja) * 2005-09-20 2007-04-05 Keihin Corp 車両用空調装置に用いられる防塵用キャップ
JP2013133911A (ja) * 2011-12-27 2013-07-08 Toyota Industries Corp シール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9242A (en) * 1941-12-31 1943-09-14 Marie J Best Plug handle
US3659738A (en) * 1970-06-15 1972-05-02 David A Friedmann Can closure structure
JPH03124207A (ja) 1989-10-04 1991-05-27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異常検出装置
JPH0744810A (ja) 1993-07-29 1995-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型磁気ヘッド
JP3124207B2 (ja) 1995-03-03 2001-01-15 株式会社クボタ 内面接合式の管継手のモルタル充填装置
JP4981876B2 (ja) 2009-11-18 2012-07-25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に用いられる防塵用キャップ
JP5429122B2 (ja) 2010-09-22 2014-02-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シール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3747A (ja) * 2005-09-20 2007-04-05 Keihin Corp 車両用空調装置に用いられる防塵用キャップ
JP2013133911A (ja) * 2011-12-27 2013-07-08 Toyota Industries Corp シール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76U (ko) 2019-02-11
JP6809405B2 (ja) 2021-01-06
US20190031412A1 (en) 2019-01-31
US11214419B2 (en) 2022-01-04
DE202018104339U1 (de) 2018-11-30
JP2019027371A (ja) 2019-02-21
CN208918774U (zh)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9122B2 (ja) シールキャップ
US20140130631A1 (en) Umbilical member guide device at front end part of wrist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CN107091029B (zh) 推进组件
JP6407016B2 (ja) 冷媒回収充填用マニホールド
KR200491043Y1 (ko) 시일 캡
US9731411B2 (en) Hydraulic tool
EP2505885B1 (en) Relief valve for compressor
US10041617B2 (en) Hose connector and automotive component part incorporated with hose connector
JP4689208B2 (ja) クランプ
KR101415440B1 (ko) 커넥터 정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JP621838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配管連結構造
US20100270051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6802698B2 (en) Port cover for protecting not only a port of a compressor but also a pipe fixing portion thereof
US20200271027A1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JP5141698B2 (ja) 吸気ダクト
JP2013133911A (ja) シールキャップ
US20110031739A1 (en) Connection-state check tool used for assembling a pipe coupling
JP6572061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00018161A (ja) 空気圧縮機
DE102012201760A1 (de) Wischsystem
US20240124087A1 (en) Bicycle mirror
JP2004364469A (ja) 閉鎖キャップ
JP3124207U (ja) 封栓装置
KR200353154Y1 (ko) 튜브 연결구
TWM654135U (zh) 螺帽插銷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