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26Y1 - 용접봉 포장통 - Google Patents

용접봉 포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26Y1
KR200490926Y1 KR2020190003443U KR20190003443U KR200490926Y1 KR 200490926 Y1 KR200490926 Y1 KR 200490926Y1 KR 2020190003443 U KR2020190003443 U KR 2020190003443U KR 20190003443 U KR20190003443 U KR 20190003443U KR 200490926 Y1 KR200490926 Y1 KR 200490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welding rod
partition
cove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만
Original Assignee
박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만 filed Critical 박용만
Priority to KR2020190003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weld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봉 포장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은, 용접봉(100)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용접봉(10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3)을 형성하는 하부벽체부(12)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13) 상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부(22)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부와 끼움 결합하는 상부벽체부(31)와,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장부(32)로 구성된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해, 용접봉이 저장되는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또는 용도가 서로 다른 용접봉을 분리 보관함으로써 용접 작업시 필요한 용접봉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용접봉을 사용함으로 인한 작업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한 통에 여러 종류의 용접이 보관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고, 특히, 몸체와 커버의 단부는 단단한 금속재로 구성하는 대신 몸체와 커버의 벽체는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수분을 종이가 빨아들여 습기로 인한 용접봉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상부와 하부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용접봉의 단부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접봉 포장통{case for welding rod}
본 고안은 용접봉 포장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간편하면서 서로 종류와 치수가 다른 용접봉을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용접 작업자가 필요한 용접봉을 찾아 쓸 수 있도록 한, 용접봉 포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봉은 금속 모재와 용접봉 간에 발생하는 발열을 이용하여 금속 모재를 용접하는 것으로 각종 건설 현장 및 공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봉을 현장에서 사용시 용접봉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하나씩 꺼내 사용하게 된다.
"초기 아크 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용접봉 보관함과 용접방법"(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0040호, 특허문헌 1)에는 용접봉(1)이 저장되는 종래의 보관함(2)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용접봉의 굵기는 1.6mm에서 5.0mm에 이르는 다양한 치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재질에 따라서는 저수소계, ,고산화 티탄계, 일루미나이트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더하여, 용접 작업자는 모재의 종류 및 모재의 굵기에 따라 서로 재질과 직경이 다른 용접봉을 꺼내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하나의 보관함에 여러 치수와 재질의 용접봉을 한꺼번에 넣어놓은 채 필요에 따라 꺼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육안으로 그 직경을 확인하기 어렵거나, 재질을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 모재의 굵기 및 특성에 맞지 않는 잘못된 용접봉을 꺼내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각기 다른 여러 개의 보관통을 갖고 다니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작업자가 휴대하는 공구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휴대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봉은 아크를 발생시키는 금속봉의 외주연에 피복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피복제가 벗겨지거나 습기가 찰 경우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아크 발생이 순조롭지 않아 사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용접봉을 보관할 때, 피복제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며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캐비닛 등에 보관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용접봉에 습기가 차거나 피복제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불어, 용접봉을 보관통에 삽입한 상태에서 용접봉의 팁 부분이 바닥면이나 상부 뚜껑 내주면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이 없어 상기 팁 부분의 피복제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10-2008-0000040 (2008.01.02)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봉이 저장되는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또는 용도가 서로 다른 용접봉을 분리 보관함으로써 용접 작업시 필요한 용접봉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용접봉을 사용함으로 인한 작업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한 통에 여러 종류의 용접이 보관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몸체와 커버의 단부는 단단한 금속재로 구성하는 대신 몸체와 커버의 벽체는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수분을 종이가 빨아들여 습기로 인한 용접봉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상부와 하부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용접봉의 단부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서로 형상이 다른 칸막이부재가 다수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의 칸막이부재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봉(100)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용접봉(10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3)을 형성하는 하부벽체부(12)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13) 상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부(22)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부와 끼움 결합하는 상부벽체부(31)와,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장부(32)로 구성된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와 커버(30)의 상부벽체부(31)는 다수 겹의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11)와 천장부(32)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부(11)의 상부에 바닥쿠션재(1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부(32)의 하부에는 천장쿠션재(32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체결부(21)는,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칸막이벽체부(21a)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벽체부(1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21b)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하단에 연결된 채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1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부(22)는 외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21c)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30)의 천장부(32)는,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33a)이 형성된 끼움부(33)와; 상기 끼움부(33)와 연결되는 평판부(34);로 구성되되, 상기 평판부(34)와 끼움부(33)는 단턱부(35)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부(34)가 끼움부(33)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경은 상기 단턱부(35)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칸막이부재(20)가 뒤집혀진 상태로 안착부(21b)가 상기 단턱부(35)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의 사이각은 9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어 단턱부(35)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주면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경사면(21d)을 이루어, 상기 칸막이부재(20)는 구획부(22)의 형상이 서로 다른 제1칸막이부재(20a)와 제2칸막이부재(20b)를 포함하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제1칸막이부재(20a)는 몸체(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제2칸막이부재(20b)는 커버(30)의 상부에 뒤집혀진 채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용접봉이 저장되는 몸체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된 칸막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또는 용도가 서로 다른 용접봉을 분리 보관함으로써 용접 작업시 필요한 용접봉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용접봉을 사용함으로 인한 작업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한 통에 여러 종류의 용접이 보관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몸체와 커버의 단부는 단단한 금속재로 구성하는 대신 몸체와 커버의 벽체는 종이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수분을 종이가 빨아들여 습기로 인한 용접봉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부와 하부에 쿠션재가 설치되어 용접봉의 단부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서로 형상이 다른 칸막이부재가 다수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의 칸막이부재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용접봉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을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봉 보관함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5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서 커버에 칸막이부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칸막이부재 설치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다수 개의 칸막이부재가 서로 적층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용접봉 포장통은 크게 몸체(10), 칸막이부재(20) 및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몸체(1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접봉(100)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용접봉(10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3)을 형성하는 하부벽체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0)는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부식 등에 취약하다.
또, 금속과 합성수지 모두 외부 충격이 내부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충격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있다.
특히, 용접봉은 습기에 취약한데, 금속과 합성수지는 내부에 저장되는 용접봉(100)을 습기로부터 보호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는 하부벽체부(12)가 종이가 다수 겹으로 밴딩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지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종이 한 장의 경우 연질을 이루는데, 이 종이가 여러 번 밴딩되게 되면 일정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종이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격을 갖기 때문에 저장공간(13)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게 되어 용접봉(100)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해주게 된다.
바닥부(11)도 동일하게 종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닥면에 수분이 있을 때 바닥부(11)가 이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용접봉(100)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수분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바닥부(11)는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바닥이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부(11)와 부딪히는 피복층이 손상되거나 심선의 경우 재질에 따라서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부(11)의 상부에 스펀지,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바닥쿠션재(11a)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지류로 이루어진 하부벽체부(12)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1)의 결합은 통상적인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금속 박판의 밴딩을 이용한 결합 방식인 씨밍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벽체부(12)의 상측 둘레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커버(30)가 끼움 결합될 때 커버(3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칸막이부재(2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13) 상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예는 체결부(21)의 하부 외주면이 상기 하부벽체부(12)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획부(22)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예는 저장공간(13) 상부를 3개의 칸으로 등분할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3개의 칸으로 나눔에 있어서도 차등분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할하는 칸을 2개나, 4개, 5개 등 다양한 칸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의 예에서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체결부(21)는,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칸막이벽체부(21a)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벽체부(1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21b)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하단에 연결된 채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1c)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22)는 외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21c)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만일, 경사부(21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칸막이부재(20)를 몸체(10)에 착탈시키는 경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지류로 이루어진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부가 칸막이벽체부(21a)의 하단에 부딪혀 손상되고 변형되어 저장공간(13) 내부에 외부 습기가 스며들 수 있다.
반면 도면처럼 경사부(21c)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칸막이부재(20)를 몸체(10)에 체결할 때 경사부(21c)의 단부가 하부벽체부(12) 상단보다 중앙 측으로 이격되어 있어 조립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내부로 수분이 스며드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착부(21b)는 커버(30) 분리 상태에서 노출된 하부벽체부(12) 상단이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체결 상태에서 칸막이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안착부(21b)는 외주면이 하부벽체부(12)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커버(30)를 끼울 때 방해가 되지 않게 해준다.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착부(21b)의 외주면을 수직으로 연장한 선(a)은 후술하는 단턱부(35)와 수직으로 일직선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칸막이부재(20)를 복수 개 구비하여 하나는 몸체(10) 상부에 체결시키고, 다른 하나는 뒤집어 커버(30)에 설치할 수 있게 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 서술한 칸막이부재(20)는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나, 안착부(21b)가 뒤집혀 커버(30)에 착탈하기 위한 탄성 변형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므로 스텐이나 스틸판이 절곡 및 절단 가공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커버(30)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부와 끼움 결합하는 상부벽체부(31)와,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장부(32)로 구성된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30)의 재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나, 전술한 몸체(10)와 마찬가지로 상부벽체부(31)는 다수 겹으로 종이가 권취되어 형성된 지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천장부(32)는 금속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장부(32)에 용접봉(100)의 단부가 부딪혀 용접봉(100)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부(32)의 하부에는 고무나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천장쿠션재(32a)가 부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벽체부(31)와 천장부(32) 간의 결합은 접착, 시밍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시밍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천장부(32)는,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33a)이 형성된 끼움부(33)와, 상기 끼움부(33)와 연결되는 평판부(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판부(34)와 끼움부(33)는 단턱부(35)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부(34)가 끼움부(33)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전술한 것처럼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경은 상기 커버(30)의 단턱부(35)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안착부(21b)와 단턱부(35)가 수직선상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칸막이부재(20)가 뒤집혀진 상태로 안착부(21b)가 상기 단턱부(35)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착부(21b)가 상기 단턱부(35)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반대로 쉽게 분리 가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의 사이각은 9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어 단턱부(35)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주면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경사면(21d)을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부재(20)는 안착부(21b)로부터 경사부(21c)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절개부(23)가 형성되어 절개부를 기준으로 인접한 벽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가해 전체 외경을 작게 한 다음 경사면(21d)을 단턱부(35)의 경사면에 끼운 다음 힘을 풀어 절개부(23)를 기준으로 인접한 벽면이 서로 멀어지면서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의 경사진 공간에 안착부(21b) 외주면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절개부(23) 없이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강제로 끼움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부재(20)는 구획부(22)의 형상이 서로 다른 제1칸막이부재(20a)와 제2칸막이부재(20b)를 포함하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제1칸막이부재(20a)는 몸체(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제2칸막이부재(20b)는 커버(30)의 상부에 뒤집혀진 채 착탈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1c)의 하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21e)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연장부(21e)의 외주면이 칸막이벽체부(21b)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칸막이부재(20b) 위에 구획부(22) 형상이 다른 제3칸막이부재(20c), 제4칸막이부재(20d) 등을 연속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30)의 상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커버(40)가 설치되어 다수 적층된 칸막이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원하는 칸막이부재를 몸체(10) 상부에 설치하고, 나머지 칸막이부재들은 커버(30)의 상부에 장착시켜놓고 보조커버(40)로 덮어놓은 채 커버(30)를 분리할 때마다 구획부(22)를 통해 분리된 원하는 치수 또는 종류의 용접봉(100)을 꺼내 사용하면 된다.
10 : 몸체 11 : 바닥부
11a : 하부쿠션재 12 : 하부벽체부
13 : 저장공간 14 : 걸림턱
20 : 칸막이부재 20a : 제1칸막이부재
20b : 제2칸막이부재 20c : 제3칸막이부재
20d : 제4칸막이부재 21 : 체결부
21a : 칸막이벽체부 21b : 안착부
21c : 경사부 21d : 경사면
21e : 연장부 22 : 구획부
23 : 절개부 30 : 커버
31 : 상부벽체부 32 : 천장부
32a : 상부쿠션재 33 : 끼움부
33a : 끼움홈 34 : 평판부
35 : 단턱부 40 : 보조커버
100 : 용접봉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용접봉 포장통에 있어서,
    용접봉(100)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용접봉(10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3)을 형성하는 하부벽체부(12)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공간(13) 상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획부(22)로 구성된 칸막이부재(2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부와 끼움 결합하는 상부벽체부(31)와,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천장부(32)로 구성된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와 커버(30)의 상부벽체부(31)는 다수 겹의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11)와 천장부(32)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바닥부(11)의 상부에 바닥쿠션재(1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부(32)의 하부에는 천장쿠션재(3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체결부(21)는,
    상기 몸체(10)의 하부벽체부(12) 상단 둘레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칸막이벽체부(21a)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상단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벽체부(1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21b)와;
    상기 칸막이벽체부(21a)의 하단에 연결된 채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21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획부(22)는 외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21c)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포장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천장부(32)는,
    상기 상부벽체부(31)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33a)이 형성된 끼움부(33)와;
    상기 끼움부(33)와 연결되는 평판부(34);로 구성되되,
    상기 평판부(34)와 끼움부(33)는 단턱부(35)를 통해 연결되어 평판부(34)가 끼움부(33)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경은 상기 단턱부(35)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칸막이부재(20)가 뒤집혀진 상태로 안착부(21b)가 상기 단턱부(35)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의 사이각은 90도 미만의 예각을 이루어 단턱부(35)가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안착부(21b) 외주면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단턱부(35)와 평판부(34) 사이에 끼워질 수 있게 경사면(21d)을 이루어,

    상기 칸막이부재(20)는 구획부(22)의 형상이 서로 다른 제1칸막이부재(20a)와 제2칸막이부재(20b)를 포함하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제1칸막이부재(20a)는 몸체(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체결되고, 제2칸막이부재(20b)는 커버(30)의 상부에 뒤집혀진 채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봉 포장통.
KR2020190003443U 2019-08-21 2019-08-21 용접봉 포장통 KR200490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43U KR200490926Y1 (ko) 2019-08-21 2019-08-21 용접봉 포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43U KR200490926Y1 (ko) 2019-08-21 2019-08-21 용접봉 포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26Y1 true KR200490926Y1 (ko) 2020-01-22

Family

ID=6922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443U KR200490926Y1 (ko) 2019-08-21 2019-08-21 용접봉 포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654A (zh) * 2021-08-30 2021-11-23 高阿丽 一种安全便捷焊条保温干燥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813U (ko) * 1989-03-22 1990-10-15
DE3930336A1 (de) * 1989-09-11 1991-03-21 Oerlikon Buehrle Schweisstech Behaelter zum aufbewahren von schweisselektroden
KR20080000040A (ko) 2006-06-26 2008-01-02 이보영 초기 아크 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용접봉 보관함과 용접방법
KR20080088475A (ko) * 2007-03-29 2008-10-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 수납 페일 용기
KR20150019864A (ko) * 2013-08-16 2015-02-25 이강산 홀더부의 형태를 변형시켜 손가락 집기가 용이한 용접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813U (ko) * 1989-03-22 1990-10-15
DE3930336A1 (de) * 1989-09-11 1991-03-21 Oerlikon Buehrle Schweisstech Behaelter zum aufbewahren von schweisselektroden
KR20080000040A (ko) 2006-06-26 2008-01-02 이보영 초기 아크 발생을 용이하게 하는 용접봉 보관함과 용접방법
KR20080088475A (ko) * 2007-03-29 2008-10-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 수납 페일 용기
KR20150019864A (ko) * 2013-08-16 2015-02-25 이강산 홀더부의 형태를 변형시켜 손가락 집기가 용이한 용접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2654A (zh) * 2021-08-30 2021-11-23 高阿丽 一种安全便捷焊条保温干燥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926Y1 (ko) 용접봉 포장통
JP2008174255A (ja) 梱包構造
JP2007197081A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用段ボール箱
EP2240389B1 (en) Vapor barrier for electrode packaging
CN113491380A (zh) 减震化妆盒
JPH04352669A (ja) 包装構成要素
USD912982S1 (en) Storage container for contact lens
USD912981S1 (en) Storage container for contact lens
US20090078597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Clamping Bands
JP2010100332A (ja) 鶏卵包装用容器
JP6131036B2 (ja) 瓶保持体
JP4309813B2 (ja) スローアウェイ工具用収納ケース
JP4349983B2 (ja) スローアウェイ工具用収納ケース
JP5504111B2 (ja) 保冷容器
CN218663270U (zh) 瓶体保护结构及具有其的包装箱
JP5219254B2 (ja) Oaローラ用梱包容器
JP2017149427A (ja) 緩衝体
JP7085961B2 (ja) ブリスター包装容器
JP2007204080A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JP2003258079A (ja) ウェハ収納容器
JP3179593U (ja) 包装体
JP2009051515A (ja) 耐衝撃性容器
JP2007197074A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KR101883303B1 (ko) 용접 와이어용 수납 용기
JP4761759B2 (ja) スローアウェイ工具用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