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51Y1 -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 Google Patents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51Y1
KR200490851Y1 KR2020190003863U KR20190003863U KR200490851Y1 KR 200490851 Y1 KR200490851 Y1 KR 200490851Y1 KR 2020190003863 U KR2020190003863 U KR 2020190003863U KR 20190003863 U KR20190003863 U KR 20190003863U KR 200490851 Y1 KR200490851 Y1 KR 200490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voltage
safety key
electric
electric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28U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진 filed Critical 김희진
Priority to KR202019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5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G01R31/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식 발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식 발파기를 작동시키는 안전키(safety key)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SAFETY KEY INTEGRATED DIGITAL CIRCUIT TESTER AND ELECTRIC BLAST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기식 발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식 발파기를 작동시키는 안전키(safety key)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발파기는 안전을 위해 발파기 내부에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내장하여 작동시 마그네트 키(magnet key)인 안전키를 발파기에 마련된 안전 스위치 삽입구에 삽입시켜 뇌관을 점화시키는 방식으로 발파가 이루어진다. 또한, 발파 전에 뇌관이 정상적으로 결선이 되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별도로 휴대하여 측정한 후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발파를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식 발파기에서는 뇌관을 점화시키는 안전키와 단락(도통) 검사를 위해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려워 분실 위험이 있고, 또한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는 충격이나 방수 및 방진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 및 고장이 발생되어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KR 20-2017-0000348 U, 2017. 1. 25.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전기식 발파기를 작동시키는 안전키(마그네트 키)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관리 취급 용이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전원 스위치와 가동 코일형 메터를 제거하는 한편, 단락(도통) 검사만으로 그 기능을 간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자 회로만으로 구성하여 기존의 가동 코일형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에 비해 충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식 발파기를 통해 점화되는 뇌관의 결손 후 단락을 검사하는 단락 검사 회로부; 및 상기 단락 검사 회로부와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안전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내부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기식 발파기와 연결된 상기 뇌관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뇌관을 점화시키는 안전키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 검사 회로부는, 상기 뇌관이 연결되는 측정단자;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접속단자; 상기 측정단자에 상기 뇌관이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뇌관의 저항값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부; 상기 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분배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버퍼 스위칭부; 상기 버퍼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버퍼 스위칭부를 통해 공급받은 분배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내장되어 있는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상기 뇌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저항이 각기 표시되도록 8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에 따라 상기 8개의 LED 램프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키는 저항 표시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안정화시켜 공급하는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분배저항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8개의 LED 램프가 독립적으로 점등되게 하고, 상기 분배저항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8개의 LED 램프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발파기는,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내부에서 충전된 전류를 상기 뇌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상기 뇌관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충전하기 위해 턴-온되는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된 전류를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뇌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뇌관을 점화시키는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 상태, 상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및 상기 전기식 발파기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작동 표시등-상기 작동 표시등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녹색 LED램프와 발파 대기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 LED램프를 포함함-; 상기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리드 스위치로 안내하는 안전키 삽입구; 발파 전류의 충전률을 0~100%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퍼센트 미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기식 발파기로 공급되는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동작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리드 스위치, 상기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발파 전류를 충전하는 한편, 각 동작 상태를 상기 작동 표시등을 통해 표시하고, 발파 전류의 충전률을 상기 디지털 퍼센트 미터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식 발파기를 작동시키는 안전키(마그네트 키)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별도로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 관리 취급 용이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키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와 가동 코일형 메터를 제거하는 한편, 단락(도통) 검사만으로 그 기능을 간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자 회로만으로 구성하여 기존의 가동 코일형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에 비해 충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발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발파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락 검사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회로 결선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발파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발파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발파기(10)는 기본적으로 출력단자(11), 작동(충전/발파/배터리) 표시등(12),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14), 안전키 삽입구(안전 스위치 홀)(15), 디지털 퍼센트 미터(16), DC-DC 컨버터(17),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8) 및 리드 스위치(19)를 포함한다.
출력단자(11)는 뇌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전기식 발파기(10)의 발파회로를 통해 전기식 발파기(10)의 내부에서 충전된 강한 전류를 상기 전기뇌관으로 공급한다.
작동 표시등(12)은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와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14)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전기식 발파기(10)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작동 표시등(12)은 LED 램프로 녹색등(충전등), 적색등(발파 대기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는 상기 뇌관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위치로서,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를 누르면, 즉 턴-온시키면 충전이 이루어진다.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14)는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에 의해 충전이 완료되면, 강한 전류를 출력단자(11)를 통해 상기 뇌관으로 공급하여 뇌관을 점화시킨다.
안전키 삽입구(15)는 안전 스위치 홀로서, 마그네트 키가 내장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20)이 삽입되는 곳으로, 삽입되는 디지털 회로 시험기(20)를 내장된 리드 스위치(19)로 안내한다.
디지털 퍼센트 미터(16)는 발파 전류의 충전률을 0~100%로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DC-DC 컨버터(17)는 배터리로부터 전기식 발파기(10)로 공급되는 전압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8)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8)에 공급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8)은 도 2와 같이, DC-DC 컨버터(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식 발파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리드 스위치(19),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14)의 동작 신호에 응답하여 발파 전류를 충전하는 한편, 각 동작 상태를 작동 표시등(12)을 통해 표시하고, 또한 발파 전류의 충전률을 디지털 퍼센트 미터(16)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전기식 발파기(10)는 모든 동작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8)에 등록된 프로그래밍에 따라 제어되고, 각 동작 과정이 작동 표시등(12)을 통해 표시된다. 그리고, 디지털 퍼센트 미터(16)를 통해 충전률이 0~100%로 표시되어 기준을 제시하고, 접점 방식의 발파 스위치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무접점 방식의 디지털회로로 설계되어 항상 동일한 조건의 발파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기준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작동 표시등(12) 중 배터리등이 점등되어 배터리 교환시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기식 발파기(10)의 동작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안전키가 일체화된 디지털 회로 시험기(20)를 안전키 삽입구(15)에 삽입시킨 후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누르면 작동 표시등(12) 중 녹색등(충전등)이 점등되면서 디지털 퍼센트 미터(16)에 충전률이 표시된다. 이후(수초 후), 충전이 완료되면, 작동 표시등(12)이 녹색등에서 적색등(발파 대기등(READY TO FIRE))으로 전환하여 점멸하고, 디지털 퍼센트 미터(16)는 100% 충전률이 표시되고, 버저의 단속음이 울리고, 만충전이 되었음을 정확하게 알려준다. 만충전을 확인한 후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13)를 누른 상태에서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누르면 출력단자(11)를 통해 연결된 발파회로에 충전된 강한전류가 흘러 연결된 뇌관을 점화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20)는 전기식 발파기(10)를 작동시키는 안전키(2)가 회로 시험기(1)와 일체화된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와 무딩 코일형 메터를 제거하는 한편, 단락(도통) 검사만으로 그 기능을 간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자 회로만으로 구성하여 기존의 가동 코일형 아날로그 회로 시험기에 비해 충격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시험기(20)는 단락 검사 회로부(21)와, 내부 일측부에 마그네트 키인 안전키(22)가 내장되고, 측정단자에 접속되는 프로브(리드선)를 구비한다.
단락 검사 회로부(21)는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전기뇌관이 정상적으로 결선이 되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가동 코일이 아닌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디지털화되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락 검사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회로 결선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락 검사 회로부(21)는 측정하고자 하는 뇌관의 단락을 검사하기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 MCU)과, 전압 분배부(212)와, 버퍼 스위칭부(213)와, 저항 표시부(214)를 포함한다. 또한, 단락 검사 회로부(21)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안정화시켜 공급하는 전압 안정화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분배부(212)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측정 대상인 전기뇌관의 저항값에 따라 분배한다. 측정단자에 접속된 프로브를 0~1000Ω의 뇌관에 접속하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전압 분배용 저항(R4)에 의해 분배된다.
버퍼 스위칭부(213)는 도 6과 같이, 전압 분배부(212)에 의해 분배된 분배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배터리 전압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버퍼 스위칭부(213)는 전압 분배부(212)를 통해 분배된 분배 전압에 의해 동작하여 버퍼 역할을 하는 MOSFET(Q1)과, MOSFET(Q1)의 동작에 의해 스위칭하여 분배전압을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으로 공급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한다. 이때, 버퍼 스위칭부(213)에서 버퍼로 MOSFET(Q1)을 사용하는 이유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구동할 때 A/D 변환용 분할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함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버퍼 스위칭부(213)를 통해 공급받은 분배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내장되어 있는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포트(PD0~PD7)를 통해 출력하여 저항 표시부(214)의 LED 램프를 구동시킨다.
저항 표시부(214)는 뇌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저항을 표시하도록 일례로 8개의 LED 램프(LED1~LED8)로 구성되고, 이러한 LED 램프(LED1~LED8)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출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점등되어 전기뇌관의 미세한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락 검사 회로부(21)의 동작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측정단자(J1, J2)에 뇌관을 연결하면, 접속단자(J3, J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전압은 전압 분배부(212)의 저항(R4)과 일정 저항값을 갖는 뇌관을 통해 분배된다.
이렇게 분배된 분배전압은 버퍼 스위칭부(213)의 MOSFET(Q1)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MOSFET(Q1)을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MOSFET(Q1)의 드레인에 연결된 저항(R3)을 통해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접지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동작하여 전압 분배부(212)를 통해 분배된 분배전압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으로 공급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은 분배전압을 공급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는 결과값을 A/C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저항 표시부(21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외부에 설치된 전기뇌관의 저항값이 발파를 위한 필요 충분한 값으로 낮다면 분배저항(R4)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의 A/D 컨버터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값은 "L"상태가 되어 저항 표시부(215)의 LED 램프(LED1~LED8)는 점등되고, 부저(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게 된다.
만약, 외부에서 설치된 전기뇌관의 결선이 단락되었거나, 필요 충분 저항값보다 높아서 분배저항(R4)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은 경우 A/D 컨버터의 출력값은 "H"로 유지되어 저항 표시부(215)의 LED 램프(LED1~LED8)와 부저는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외부의 전기뇌관을 측정단자(J1, J2)로부터 분리하면, 분배저항(R4)의 전압은 '0V'가 되어 MOSFET(Q1)과 스위칭 트랜지스터(Q2)가 비동작(turn-OFF)되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1)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단락 검사 회로부(21)의 동작은 자동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기식 발파기 11 : 출력단자
12 : 작동 표시등 13 :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
14 :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 15 : 안전키 삽입구
16 : 디지털 퍼센트 미터 17 : DC-DC 컨버터
18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19 : 리드 스위치
20 : 디지털 회로 시험기 21 : 단락 검사 회로부
22 : 안전키(마그네트 키) 211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212 : 전압 분배부 213 : 버퍼 스위칭부
214 : 저항 표시부 215 : 전원 안정화부

Claims (3)

  1. 전기식 발파기를 통해 점화되는 뇌관의 결손 후 단락을 검사하는 단락 검사 회로부; 및
    상기 단락 검사 회로부와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안전키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내부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기식 발파기와 연결된 상기 뇌관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뇌관을 점화시키는 안전키를 포함하되,
    상기 단락 검사 회로부는,
    상기 뇌관이 연결되는 측정단자;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접속단자;
    상기 측정단자에 상기 뇌관이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상기 뇌관의 저항값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저항으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부;
    상기 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분배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버퍼 스위칭부;
    상기 버퍼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전원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상기 버퍼 스위칭부를 통해 공급받은 분배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내장되어 있는 A/D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상기 뇌관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저항이 각기 표시되도록 8개의 LED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출력에 따라 상기 8개의 LED 램프를 독립적으로 점등시키는 저항 표시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안정화시켜 공급하는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분배저항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8개의 LED 램프가 독립적으로 점등되게 하고, 상기 분배저항에 의해 강하되는 분배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8개의 LED 램프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2. 제 1 항의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발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내부에서 충전된 전류를 상기 뇌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
    상기 뇌관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충전하기 위해 턴-온되는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된 전류를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뇌관으로 공급하여 상기 뇌관을 점화시키는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충전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발파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 상태, 상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및 상기 전기식 발파기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작동 표시등-상기 작동 표시등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녹색 LED램프와 발파 대기 상태를 표시하는 적색 LED램프를 포함함-;
    상기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를 리드 스위치로 안내하는 안전키 삽입구;
    발파 전류의 충전률을 0~100%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퍼센트 미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기식 발파기로 공급되는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동작 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전기식 발파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식 발파기.
KR2020190003863U 2019-09-20 2019-09-20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KR200490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63U KR200490851Y1 (ko) 2019-09-20 2019-09-20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63U KR200490851Y1 (ko) 2019-09-20 2019-09-20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95U Division KR20190001812U (ko) 2018-01-08 2018-01-08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8U KR20190002428U (ko) 2019-09-30
KR200490851Y1 true KR200490851Y1 (ko) 2020-01-13

Family

ID=680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63U KR200490851Y1 (ko) 2019-09-20 2019-09-20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228B1 (ko) * 2020-05-21 2023-10-16 유시온 비전기뇌관용 발파기 및 이를 이용한 기폭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900A (ja) * 1994-12-16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起爆素子起動回路とその検査回路
KR0137233Y1 (ko) * 1995-10-13 1999-04-01 김희진 전기 발파기
KR20120069793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Ebw 구동장치 기폭출력 검증을 위한 휴대용 점검장치
KR20170000348U (ko) 2015-07-15 2017-01-25 김희진 마그네트 키(Magnet Key)와 회로시험기를 내장한 일체형 발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8U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1278A1 (en) Decorative light string having shunt repair device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WO1994007278A1 (en) Method for inspecting battery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56428A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 장치
US8970220B2 (en) Lighting tester
KR200490851Y1 (ko)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US20040085071A1 (en) Testing apparatus
CN100529511C (zh) 携带式矿灯及其工作方法
CN103777137B (zh) 具有自检功能的电子式断路器及其自诊断方法
CN111029962A (zh) 验电式绝缘操作杆
CN103098334A (zh) 用于对可再充电电池进行充电的装置
CN206223888U (zh) 多通道锂离子电池保护板测试仪
KR101931266B1 (ko) 회로 시험기 일체형 발파기
KR20190001812U (ko) 안전키 일체형 디지털 회로 시험기 및 이를 구비한 전기식 발파기
CN216052107U (zh) 一种脉冲氙灯测试设备
CN212084424U (zh) 一种集成化模拟爆炸训练装置
CN203616381U (zh) 一种安全验电及放电仪
CN111983396A (zh) 一种电气高压试验区域安全保护系统
CN110231549A (zh) 一种橡胶合成新材料绝缘检测装置
CN208270663U (zh) 一种便携式pdvd解码板充放电功能检测电路
CN108761373B (zh) 测试器
CN108226687B (zh) 一种便携式pdvd解码板充放电功能检测电路
CN113346309B (zh) 连接工装及测试系统
CN213984785U (zh) 用于测试抛撒雷引信电路板的检测装置
CN110907861A (zh) 一种电池箱高压线束连接防错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