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48Y1 - 복합 낚시찌 - Google Patents

복합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48Y1
KR200490848Y1 KR2020180001733U KR20180001733U KR200490848Y1 KR 200490848 Y1 KR200490848 Y1 KR 200490848Y1 KR 2020180001733 U KR2020180001733 U KR 2020180001733U KR 20180001733 U KR20180001733 U KR 20180001733U KR 200490848 Y1 KR200490848 Y1 KR 200490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loating body
fishing line
groov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91U (ko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식 filed Critical 신광식
Priority to KR2020180001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4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복합 낚시찌가 개시된다. 복합 낚시찌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와, 부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은 부유체의 삽입홈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낚시찌{COMPLEX FISHING FLOAT}
본 고안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낚시찌를 용이하게 수면 상에 위치시키는 복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접어들며 일상생활에 지친 직장인들이나 마음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여가활동이나 여행, 레저 활동 등의 다양한 레포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낚시를 취미로 즐기는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란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힘은 물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행동패턴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하며,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지를 판별케 한다.
한편, 낚시찌는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적절하게 던져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낚시줄이 연결된 낚시찌를 낚시줄이 엉키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015345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낚시찌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던져 낚시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복합 낚시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와, 부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낚시줄은 부유체의 삽입홈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
삽입홈은, 부유체의 표면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감기는 제1 홈과, 제1 홈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제1 홈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부유체는 찌부가 결합된 표면에 야광 코팅될 수 있다.
찌부는, 부유체의 상측에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낚시찌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는 제2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찌의 부유체의 외표면 둘레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것으로, 낚시찌를 용이하게 Ы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의 표면이 야광 코팅되어 야간 낚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발신부가 설치되어, 수온, 수심 등을 사용자가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낚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 낚시찌에 낚시줄이 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복합 낚시찌에 낚시줄이 풀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가 수면에 부유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100)는,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부유체(10)와, 부유체(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20)와, 부유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18)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31)와 낚시줄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33)를 포함하는 연결체(30)를 포함하고, 낚시줄(14)은 부유체(10)의 삽입홈(12)에 풀림 가능하게 감길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낚시찌(100)는 수면에 부유하며 물에 안정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찌부의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야간에도 위치 확인이 용이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부유체(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위치시키고자 하는 수면 위치에 던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유체(10)는 수면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부유체(10)는 PE 또는 PP 재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면에 부유하는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체(10)는 외표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각 형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체(10)는 수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외표면에 야광 코팅(11)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야간 낚시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 식별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유체(10)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은, 부유체(10)의 표면에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14)이 감기는 제1 홈(12a)과, 제1 홈(12a)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낚시줄(14)이 제1 홈(12a)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는 제2 홈(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2a)은 부유체(10)의 폭 방향의 둘레를 따라 부유체(10)의 표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12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연결체(30)에 연결된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홈(12a)을 따라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는 것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제1 홈(12a)의 내부에 낚시줄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이 제1 홈(12a)으로부터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홈(12b)은 제1 홈(12a)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홈(12a)과 직교한 상태로 부유체(10)의 길이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홈(12b)에는 제1 홈(12a)으로부터 연장되는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홈(12b)을 따라 낚시줄(14)이 감겨 위치되는 것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제2 홈(12b)의 내부에 낚시줄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이 제2 홈(12b)으로부터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낚시줄(14)은 제1 홈(12a)과 제2 홈(12b)에 순차적으로 감긴 상태이고, 사용자가 낚시를 실시하기 위해 부유체(10)를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풀리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줄(14)은 부유체(10)의 둘레에 제1 홈(12a)과 제2 홈(12b)에 수직 및 수평으로 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부유체(10)를 낚시줄(14)과 일체로 낚시 위치로 용이하게 던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부유체(10)의 상측에는 찌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찌부(20)는 부유체(10)의 상측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돌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찌부(20)는 일단은 부유체(10)에 나사 결합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부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찌부(20)가 부유체(10)의 외부에 복수개가 돌출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은, 파도의 높이에 따라 찌부(20)의 돌출된 길이를 달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파도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이면 찌부(20)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고, 파도의 높이가 일정 높이 미만이면 찌부(20)의 길이를 보다 짧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찌부(20)는 파도의 높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용이한 바, 사용자의 낚시 숙련도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부유체(10)의 하부에는 연결체(30)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체(30)는 부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바디(31)와 연결 바디(31)에 돌출되며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18)과, 낚시줄(14)이 연결되는 연결 고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번호 16은 추를 말한다.
이러한 낚시줄(14)은 낚시를 실시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체(10)의 제1 홈(12a)과 제2 홈(12b)의 둘레에 감긴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낚시줄(14)은 사용자가 부유체(10)를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경우, 낚시줄(14)에 연결된 낚시추(16)의 자중에 의해 수면의 하부로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풀릴 수 있다.
한편, 낚시줄(14)이 부유체(10)에서 풀리는 과정에서 낚시줄(14)이 꼬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체(30)는 부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낚시줄(14)이 부유체(10)로부터 풀리는 과정에서 낚시줄(14)이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풀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낚시찌(100)는, 부유체(10)의 외표면 둘레에 낚시줄(14)을 감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의 낚시 위치로 던지는 것으로 용이하게 낚시찌를 낚시 위치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0)의 표면이 야광 코팅되어 야간 낚시에도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200)의 부유체(110)는 상부 부유체(111)와 하부 부유체(113)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110)는 일부 교체 필요시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낚시찌(300)의 부유체(10)에는 초음파 발신부(2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신부(210)는 수온, 수심 등을 사용자의 RF 수신기 등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가 낚시 정보를 수신하여 낚시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부유체 11...야광 코팅
12...삽입홈 12a..제1 홈
12b..제2 홈 14...낚시줄
20...찌부 16...추
18...메인 라인 30...연결체
31...연결 바디 33...연결 고리
111..상부 부유체 113..하부 부유체

Claims (5)

  1. 수면에 부유하며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2)이 형성된 부유체(10);
    상기 부유체(10)의 상측에 파도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돌출된 길이를 조절 가능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되는 찌부(20);
    상기 부유체(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낚시대에 연결되는 메인 라인(18)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부(31)의 하부에 낚시줄(14)이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제2 연결부(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33)의 하부에 연결된 낚시줄(14)의 하부에 결합된 추(16)가 구비된 연결체(30)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14)은 상기 부유체(10)의 삽입홈(12)에 풀림 가능하게 감기며,
    상기 부유체(10)의 삽입홈(12)은,
    상기 부유체(10)의 표면에서 부유체(10)의 폭 방향의 둘레를 따라 부유체(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인입된 상태의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14)이 감기며,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면 감겨진 낚시줄(14)이 풀리는 제1 홈(12a); 및
    상기 제1 홈(12a)에 직교한 상태의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부유체(10)의 길이 방향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낚시줄(14)이 상기 제1 홈(12a)으로부터 연장되어 감기며, 사용자가 부유체(10)를 낚시 위치로 던지면 낚시줄(14)이 풀리는 제2 홈(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낚시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10)는 야간 낚시에도 위치 식별이 가능하도록 찌부(20)가 결합된 수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표면에 야광 코팅(1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낚시찌.
  4. 삭제
  5. 삭제
KR2020180001733U 2018-04-19 2018-04-19 복합 낚시찌 KR200490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ko) 2018-04-19 2018-04-19 복합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ko) 2018-04-19 2018-04-19 복합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91U KR20190002691U (ko) 2019-10-29
KR200490848Y1 true KR200490848Y1 (ko) 2020-01-13

Family

ID=6838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33U KR200490848Y1 (ko) 2018-04-19 2018-04-19 복합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4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B2 (ja) * 1989-03-20 2000-09-11 コニカ株式会社 節水効率を高めかつ優れた帯電防止処理を可能にするハロゲン化銀黒白感光材料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U (ja) * 2001-12-26 2002-07-05 寛 池間 棒ウキ
KR20060032179A (ko) * 2006-03-24 2006-04-14 황영섭 미끼채비를 업고 함께 날아가는 '신개념 던질찌' 및 그사용법과 상기 '신개념 던질찌'를 사용하는 낚시방법
KR101882086B1 (ko) 2016-08-03 2018-07-26 주진미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952B2 (ja) * 1989-03-20 2000-09-11 コニカ株式会社 節水効率を高めかつ優れた帯電防止処理を可能にするハロゲン化銀黒白感光材料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91U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US20140299070A1 (en) Adjustable weight toy ball
US1193912A (en) Said maibe
US7730658B1 (en) Fishing lure with improved tail
US4785572A (en) Combined sinker and fishing lure
KR200490848Y1 (ko) 복합 낚시찌
US5943811A (en) Airetail fishing lure
US20130247445A1 (en) Fishing Lure
KR100982541B1 (ko) 낚시추
US6581320B1 (en) Tube weight lure apparatus
KR100858909B1 (ko) 낚시추
US6519894B1 (en) Tangle-free fishing line assembly
US3395480A (en) Fish hooks and lures
KR102239883B1 (ko) 패류 양식용 틀
KR100434973B1 (ko) 바다낚시용 채비
US2607153A (en) Fish bobber
KR102175432B1 (ko) 낚시용 수심가변형 채비
CN103975908B (zh) 一种渔网
JP3220824U7 (ko)
JP3519730B1 (ja) 釣り具
KR100626728B1 (ko) 낚시 채비
US10806132B2 (en) Fish lure
KR102160856B1 (ko) 반자립형 탄소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