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09Y1 - 철근 안전캡 - Google Patents

철근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09Y1
KR200490609Y1 KR2020190003255U KR20190003255U KR200490609Y1 KR 200490609 Y1 KR200490609 Y1 KR 200490609Y1 KR 2020190003255 U KR2020190003255 U KR 2020190003255U KR 20190003255 U KR20190003255 U KR 20190003255U KR 200490609 Y1 KR200490609 Y1 KR 200490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iece
present
rebar
longitudinal dir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2020190003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1Protective caps for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탄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되며,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클립편; 및 상기 클립편의 하단이 각 외측으로 밴딩된 삽입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일렬로 배열된 철근에 씌워져 철근의 끝단부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안전캡{SAFETY CAPS FOR REBAR}
본 고안은 철근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에서 거푸집 내에 배열된 철근으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교량 등과 같은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거푸집 내에 철근 지주를 배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소정 시간동안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다음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통상 콘크리트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철근 지주가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건축 현장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어 작업자에 있어서는 상당히 위험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더구나, 야간에는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유발을 촉진시킨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철근 지주의 안전캡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5-0022376호 공보에는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철근 지주의 상단부에 원통형상의 안전 캡을 씌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농작물용 철근 지주의 위험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공개실용신안 제2009-0010656호 및 제2009-0010657호 공보에는 강관 말뚝의 상부에 십자형태의 안전장치를 장착하여 만일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강관말뚝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나타나 있는 기술들은 단순히 철근 지주의 절단부위에 맞춰 끼울 수 있도록 한 단순 구조이거나 강관 말뚝 작업시 작업자나 작업공구의 추락 및 작업과정에서 인명피해나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4-000167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00162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083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530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축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의 외부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철근의 끝단부로부터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은, 탄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되며,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클립편; 및 상기 클립편의 하단이 각 외측으로 밴딩된 삽입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편의 양측 내벽에 대각선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편의 내측 상단에 형성된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철근 안전캡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일렬로 배열된 철근에 씌워져 철근의 끝단부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철근 안전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은 다수의 철근에 씌워짐에 따라 보다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100)은 클립편(110), 삽입편(120) 및 걸림편(130)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편(110)은 철근(10)의 끝단부에 씌워지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며 측방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편(110)의 하부는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클립편(110)은 단일 철근(10)은 물론,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철근(10)에 씌워질 수 있다.
물론, 일렬 뿐만 아니라,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배열로 배치된 철근(10)에 밴딩되며 씌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단일 철근(10)은 물론, 철근(10)과 철근(10) 사이의 공간을 막아 철근(10)의 끝단부에 의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모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삽입편(120)은 상기 클립편(1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편(110)의 각 하단이 각 외측으로 밴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클립편(110)의 하단부가 탄성에 의해 오므려져 있으므로, 상기 클립편(110)에 철근(10)이 삽입될 때 상기 삽입편(120)에 의해 각 외측으로 벌어진 부분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클립편(110)의 하단부가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철근(10)이 용이하게 씌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편(130)은 상기 클립편(110)의 양측 내벽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대각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130)은 철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를 따라 상기 클립편(110)이 철근(10)에 삽입될 때에는 대각선 상방으로 형성되어 쉽게 삽입되고, 상기 클립편(110)을 불리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편(130)이 철근(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안전캡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편(210), 삽입편(220), 걸림편(230), 탄성체(240) 및 지지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편(210)은 철근(10)의 끝단부에 씌워지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며 측방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편(210)의 하부는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삽입편(220)은 상기 클립편(21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편(210)의 각 하단이 각 외측으로 밴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30)은 상기 클립편(210)의 양측 내벽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대각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클립편(210)의 상방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거나 철근(10)이 상기 클립편(210)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클립편(21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고, 대략 "S"자 형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체(240)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력에 의해 3겹으로 눌리게 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3겹으로 눌림에 따라 충격 흡수는 물론, 철근(10)이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50)은 철근(10)이 상기 탄성체(240)의 하부를 이탈하여 상기 클립편(210)의 상부를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탄성체(240)의 하단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철근 안전캡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일렬로 배열된 철근에 씌워져 철근의 끝단부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철근 100: 철근 안전캡
110: 클립편 120: 삽입편
130: 걸림편

Claims (5)

  1. 탄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하방이 개방되며,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클립편;
    상기 클립편의 하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외측으로 밴딩된 삽입편;
    상기 클립편의 양측 내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편;
    상기 클립편의 내측 상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형성된 "S"자 형상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철근 안전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3255U 2019-08-06 2019-08-06 철근 안전캡 KR200490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5U KR200490609Y1 (ko) 2019-08-06 2019-08-06 철근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255U KR200490609Y1 (ko) 2019-08-06 2019-08-06 철근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09Y1 true KR200490609Y1 (ko) 2019-12-06

Family

ID=6883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255U KR200490609Y1 (ko) 2019-08-06 2019-08-06 철근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09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07A (ja) * 1992-05-21 1994-02-08 Arao Kk 鉄筋等の保護カバー
KR940001670Y1 (ko) 1991-12-11 1994-03-23 나도진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JP2002054305A (ja) * 2000-08-07 2002-02-20 Chiyoda Kagaku Kogyosho:Kk 鉄筋キャップ
KR20100005301U (ko)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내장 안테나 구조
KR20160008349A (ko) 2014-07-14 2016-01-22 (주)켐옵틱스 고굴절률을 갖는 반응성 에폭시 스틸렌 구조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200482213Y1 (ko) * 2015-10-27 2016-12-29 최승윤 세이프티 엔드 캡
KR20190012433A (ko) * 2017-07-27 2019-02-11 (주)영신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멍에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70Y1 (ko) 1991-12-11 1994-03-23 나도진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JPH0633607A (ja) * 1992-05-21 1994-02-08 Arao Kk 鉄筋等の保護カバー
JP2002054305A (ja) * 2000-08-07 2002-02-20 Chiyoda Kagaku Kogyosho:Kk 鉄筋キャップ
KR20100005301U (ko)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내장 안테나 구조
KR20160008349A (ko) 2014-07-14 2016-01-22 (주)켐옵틱스 고굴절률을 갖는 반응성 에폭시 스틸렌 구조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200482213Y1 (ko) * 2015-10-27 2016-12-29 최승윤 세이프티 엔드 캡
KR20190012433A (ko) * 2017-07-27 2019-02-11 (주)영신산업 시스템 동바리의 멍에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478A (en) Impalement prevention safety system
EP2586935B1 (en) Method for reinforcing a wall structure and corresponding reinforcement system
KR200490609Y1 (ko) 철근 안전캡
KR101226948B1 (ko) 개선된 구조의 항두 지지대
US3378981A (en) Chair for concrete reinforcing
US5826398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US20080307727A1 (en) Molded Polymer Cap with Conformable Internal Structure
EP3997285B1 (de) Verbindungsvorrichtung
JP647411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耐震補強構造及び方法
KR20110011017U (ko) 철근 지주의 안전캡
KR200345052Y1 (ko) 실족 방지용 안전망
WO2011070374A1 (en) Safety device and arrangement including same
KR200231283Y1 (ko) 콘크리트 두께 확인용 스페이서를 가진 철근 받침대
KR102000570B1 (ko)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DE202017101837U1 (de) Doppelwandtransportanker für Gittersysteme
KR200231273Y1 (ko) 철근 구속구조를 가지는 철근 받침대
KR20170113784A (ko)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1978748B1 (ko)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20110006572U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508315B1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KR102093845B1 (ko) 합성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체
KR20190129174A (ko)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KR200403161Y1 (ko) 실족 방지용 안전망
JPS5940524Y2 (ja) 鉄筋等の安全キャップ
CN216920703U (zh) 一种全预制卫生间内嵌现浇梁式反坎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