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784A -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 Google Patents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784A
KR20170113784A KR1020160035897A KR20160035897A KR20170113784A KR 20170113784 A KR20170113784 A KR 20170113784A KR 1020160035897 A KR1020160035897 A KR 1020160035897A KR 20160035897 A KR20160035897 A KR 20160035897A KR 20170113784 A KR20170113784 A KR 2017011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oncrete column
reinforced concrete
elastic body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417B1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3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구비되도록,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부설된 철근에 결속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가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근 사이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바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철근, 상기 철근이 내부에 배열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 및 상기 철근에 결속되는 상기 보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Reinforcement material and reinforced concrete pillar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것이다.
건물로 된 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구비된 기둥은 가장 중요한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은 중력에 대해서 구조 시스템을 지탱하는 부재이며, 외부 하중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때 철근 콘크리트 교각(RC 교각) 등의 전체 구조물의 붕괴를 일으킬 수 있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구조해석 및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종 방향으로 배열된 종철근(2a) 및 지면에 수평한 횡 방향으로 배열된 횡철근(2b)이 내부 구조를 이루고, 상기 철근(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둥(3)을 형성한 구조로 제시되었다.
특히, 지진과 같은 횡하중에 대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강성 및 연성을 확보하는 것은 안전한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즉, 지진에 의해서 지표로 전달된 충격파는 건물에게는 동역학적 하중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하중이 기둥 부재의 구조적 저항 한계를 넘으면 건물에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체에 사용되는 기둥은 지진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내진 설계가 필요하게 되며, 내진 설계에서의 보강 방법으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또는 강판으로 기존의 기둥을 에워싸는(wrapping)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보강은 내진 성능에 있어서 연성은 향상되지만 강성 보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강판 보강의 경우에는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RC) 기둥과의 접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대형 강판을 설치하게 될 때 시공 기계를 사용해야 하고, 용접 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등 시공성과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내진 성능을 기존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내진 성능을 기존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구비되도록,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부설된 철근에 결속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가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근 사이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바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탄성바디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탄성바디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일측에 구비된 제1결속부재의 상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타측에 구비된 제2결속부재의 하단부와 타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종철근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횡철근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탄성바디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결속부재는, 결속되는 철근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탄성바디부재 및 결속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의 상기 탄성바디부재 및 결속부재는, 구성 성분으로 철(Fe),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황(S)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항복비(항복강도/극한강도)가 0.5보다 크고 0.7보다 작은 고망간강 소재로 형성되어, 소재에 의한 소성능력을 추가로 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철근, 상기 철근이 내부에 배열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 및 상기 철근에 결속되는 상기 보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복수 개가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시공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도 지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기존에 비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그 시공이 편리하여, 기존의 내진을 위한 수단보다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도시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도시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면 정면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종래기술의 내진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현장에서 철근(2)을 배열 조립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지진 등의 극한 거동에 의해 파괴되는 양상을 살펴보면, 초기 콘크리트 피복이 탈락하고, 철근 콘크리트 기둥 내부 철근(2)이 항복강도 이상의 하중을 받아 내부 구속 콘크리트가 파괴되면서 붕괴되었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파괴 위치를 살펴보면, 휨 모멘트를 가장 많이 받는 교각 등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 하단부(소성힌지부)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강 구조체(1)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도 2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1)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도시면 정면도이고, 도 5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1)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과 종래기술의 내진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구비되도록,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부설된 철근(2)에 결속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결속부재(10) 및 상기 결속부재(10)가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근(2) 사이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바디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은 철근(2), 상기 철근(2)이 내부에 배열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3) 및 상기 철근(2)에 결속되는 상기 보강 구조체(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2)은 콘크리트 기둥(3)의 내부에 구비되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 횡철근(2b)은 상기 횡철근(2b) 내부에 존재하는 콘크리트(심부 구속 콘크리트)가 3축 구속을 받게 구비되는 철근(2)으로, 철근(2)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 콘크리트(피복 콘크리트)에 비하여 보다 강한 내진성능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종철근(2a)은 인장에 취약한 콘크리트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기둥(3)은 상기 철근(2)이 배열되어 배치되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분이다.
상기 보강 구조체(1)는 상기 철근(2)과 콘크리트 기둥(3)에 의해 형성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을 탄성에 의해서 흡수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성능(또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진 등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기둥(3)이 파손된 후에 내부 철근(2)이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가 상기 내부 철근(2)을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내진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강 구조체(1)는 결속부재(10), 탄성바디부재(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10)는 상기 철근(2)에 상기 탄성바디부재(20)를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면서도, 상기 탄성바디부재(20)와 협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결속부재(10)는 상기 철근(2)에 결속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3) 또는 철근(2)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상기 탄성바디부재(20)에 전달하면서, 상기 탄성바디부재(20)와 협력하여 탄성적으로 상기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결속부재(10)는 갈고리 형상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결속부재(10)와 협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3) 또는 철근(2)으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판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2)에 결속된 상기 결속부재(10)가 양단부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제공되는 결속부재(10) 한 쌍에서 하나의 결속부재(10)의 하단부, 나머지 하나의 결속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3) 또는 철근(2)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탄성력으로 흡수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구조체(1)는 기존에 철근(2)에 주로 사용되던 항복강도 약 400MPa, 극한강도 약 500MPa의 강재를 소재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항복강도 약 600MPa, 극한강도 약 1000MPa의 고망간강(HMS)을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내진 성능에서 유리한 점에서, 이러한 고망간강을 상기 보강 구조체(1)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망간강은 내진 성능과 관련된 항복비(항복강도/극한강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보강 구조체(1)의 소재를 상기 고망간강으로 사용하는 것이 내진 성능 측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항복비는 소재가 최대로 인장되는 강도인 극한강도에 대한 탄성 한도를 넘는 임계점인 항복강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탄성바디부재(20) 및 결속부재(10)는, 구성 성분으로 철(Fe),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황(S)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항복비(항복강도/극한강도)가 0.5보다 크고 0.7보다 작은 고망간강 소재로 형성되어 소재에 의한 소성능력을 추가로 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구조체(1)를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구비시킴으로써, 내진 성능이 향상되는 점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의 그래프에서는 횡축인 이동률과 종축인 작용하중의 관계를, 보강 구조체(1)를 포함하는 본원발명과 보강 구조체(1)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기술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률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를 100으로 봤을 때,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횡하중에 의해서 이동하는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무차원 수이고, 작용하중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본원발명의 경우가 종래기술보다 형성하는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본원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더 많은 작용 에너지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1) 및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도시면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바디부재(20)가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은, 상기 탄성바디부재(20) 양단부에 구비된 상기 결속부재(10)가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배열된 철근(2)에 결속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바디부재(20)의 양단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는 중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바디부재(20)가 탄성력을 형성하기에 유리한 위치인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위치에 상기 탄성바디부재(20)를 구비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판재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탄성바디부재(20)로 작용하는 충격력을 탄성력에 의해서 흡수하는 방향을 상기 결속부재(10)가 결합된 양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은 물론, 상기 탄성바디부재(20)의 양단부와 수직한 방향인 상기 탄성바디부재(20)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력도 탄성력으로 일부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바디부재(20)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력은 상기 결속부재(10)를 통하여 상기 탄성바디부재(2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서 직접 전달받기 때문에, 일부의 탄성력만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10)의 경우에도 판재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기둥(3) 또는 철근(2)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대한 흡수하여 상기 탄성바디부재(2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탄성바디부재(20) 및 결속부재(10)는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10)와 탄성바디부재(20)로 형성된 상기 보강 구조체(1)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으며, 특히 복수 개의 상기 보강 구조체(1)가 구비되는 것은 서로 엇갈리게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보강 구조체(1)가 서로 협력하여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서, 더욱 효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상기 보강 구조체(1)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복수 개가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의 보강 구조체(1)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면 정면도로서, 도 4의 (a) 및 (b)는 "U"자 형으로 형성된 보강 구조체(1)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결속부재(1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종철근(2a)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횡철근(2b)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탄성바디부재(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속부재(10)와 탄성바디부재(20)가 형성한느 상기 보강 구조체(1)가 "U"자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결속부재(10)를 상기 종철근(2a)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형상으로써, 상기 결속부재(10)가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서 전달받는 충격력 작용의 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즉, 더 넓은 범위의 철근 콘크리트 기둥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상기 결속부재(10)가 상기 탄성바디부재(2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결속부재(1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종 방향 충격력을 탄성력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횡 방향 충격력은 상기 탄성바디부재(20)가 흡수하고, 종 방향 충격력은 상기 결속부재(10)가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c)는 "N"자 형으로 형성된 보강 구조체(1)를 제시한 것이고, 도 4의 (d)는 대각선 형상으로 형성된 보강 구조체(1)를 제시한 것인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일측에 구비된 제1결속부재(10)의 상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타측에 구비된 제2결속부재(10)의 하단부와 타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2)에 결속된 상기 결속부재(10)가 양단부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제공되는 결속부재(10) 한 쌍에서 하나의 결속부재(10)의 하단부, 나머지 하나의 결속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3) 또는 철근(2)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탄성력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 구조체(1)가 "N"자 형 또는 대각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탄성바디부재(20)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횡 방향 충격력뿐만이 아니라, 종 방향 충격력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보강 구조체(1)가 "N"자 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재(10)도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종 방향 충격력을 탄성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구조체(1)의 상기 결속부재(10)는, 결속되는 철근(2)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결속부재(10)가 상기 철근(2)에 결합되기 위한 형상으로써, 상기 결속부재(10)의 단부를 밴딩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철근(2)과 철사로 감겨서 결속되거나,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기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
1: 보강 구조체 2: 철근
3: 콘크리트 기둥 10: 결속부재
20: 탄성바디부재

Claims (9)

  1.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구비되도록,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부설된 철근에 결속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결속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가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근 사이에 구비되고, 탄성에 의해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바디부재;
    를 포함하는 보강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일측에 구비된 제1결속부재의 상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타측에 구비된 제2결속부재의 하단부와 타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종철근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횡철근에 결속되고, 타단부는 상기 탄성바디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결속되는 철근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갈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재 및 결속부재는 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디부재 및 결속부재는, 구성 성분으로 철(Fe),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황(S) 및 기타 불순물을 포함하고, 항복비(항복강도/극한강도)가 0.5보다 크고 0.7보다 작은 고망간강 소재로 형성되어, 소재에 의한 소성능력을 추가로 발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구조체.
  8. 철근;
    상기 철근이 내부에 배열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기둥; 및
    상기 철근에 결속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보강 구조체;
    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복수 개가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20160035897A 2016-03-25 2016-03-25 철근 콘크리트 기둥 KR10191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97A KR101917417B1 (ko) 2016-03-25 2016-03-25 철근 콘크리트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897A KR101917417B1 (ko) 2016-03-25 2016-03-25 철근 콘크리트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784A true KR20170113784A (ko) 2017-10-13
KR101917417B1 KR101917417B1 (ko) 2019-01-25

Family

ID=6013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897A KR101917417B1 (ko) 2016-03-25 2016-03-25 철근 콘크리트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298A (zh) * 2018-05-25 2018-10-26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旧桥修复的桥墩快速施工方法
US11744103B2 (en) 2017-03-31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239A (ja) * 1995-09-26 1997-03-31 Sato Kogyo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
JP2008138507A (ja) * 2006-12-01 2008-06-19 Qinghua Univ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中の配筋に用いる補強鉄筋及び配筋構造
KR100847547B1 (ko) * 2007-10-23 2008-07-21 조홍동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용 장치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132829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템프코어를 이용한 저항복비 내진용 철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239A (ja) * 1995-09-26 1997-03-31 Sato Kogyo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方法
JP2008138507A (ja) * 2006-12-01 2008-06-19 Qinghua Univ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中の配筋に用いる補強鉄筋及び配筋構造
KR100847547B1 (ko) * 2007-10-23 2008-07-21 조홍동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용 장치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132829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템프코어를 이용한 저항복비 내진용 철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4103B2 (en) 2017-03-31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N108708298A (zh) * 2018-05-25 2018-10-26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旧桥修复的桥墩快速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417B1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8304B2 (ja) Rc構造体の塑性ヒンジ部
KR101684771B1 (ko) 외부보강된 내부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기초 접합부의 시공방법
JP5597317B1 (ja) 橋脚の耐震補強構造
KR20120088237A (ko) 콘크리트-강관 복합 기둥
KR101065098B1 (ko) 철근 케이지 구조
KR101917417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
JP5575838B2 (ja) 建築物の梁支持構造
CN106284396B (zh) 一种抗震式钢筋混凝土结构柱
CN210622421U (zh) 一种建筑隔震支座
JP2002061282A (ja) 柱状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
KR20110133158A (ko) 내부 구속 중공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
JP2016211215A (ja) 支柱下端部とコンクリート杭との剛結構造体
JP2012082677A (ja) 防護柵
JP5868603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JP2008303581A (ja) 盛土支持地盤の補強構造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209363B1 (ko) 에이치형강 기둥의 내진보강용 콘크리트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938887B1 (ko) 고정장치를 구비한 띠철근 배근구조
JP5758512B2 (ja) 落石防護柵の補強方法および落石防護柵
CN103821161A (zh) 预应力混凝土管桩劲性填芯结构
JP5676800B1 (ja) 構築した建物に後からpsを導入する方法およびその建造物
KR200233599Y1 (ko) 교각의 철근 설치구조
KR20120067699A (ko) 커플러를 이용한 내부 구속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
KR100960610B1 (ko) 작용력 분산형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구조
KR20100086184A (ko) 빔과 필러의 접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