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65Y1 - 필기구 케이스 - Google Patents

필기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65Y1
KR200490265Y1 KR2020180002448U KR20180002448U KR200490265Y1 KR 200490265 Y1 KR200490265 Y1 KR 200490265Y1 KR 2020180002448 U KR2020180002448 U KR 2020180002448U KR 20180002448 U KR20180002448 U KR 20180002448U KR 200490265 Y1 KR200490265 Y1 KR 200490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riting instrument
body portion
inclined surfa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미나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미나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미나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180002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고 체결구조가 간단한 필기구 케이스가 제공된다. 필기구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일단부가 몸체부에 결합되며, 몸체부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부와, 몸체부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와, 덮개부의 타단부에 덮개부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기구 케이스{case for writing material}
본 고안은 필기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가 용이하고 체결구조가 간단한 필기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 케이스는 펜이나 만년필 등의 필기구의 수납, 진열, 포장 등을 위해 사용되며, 필기구가 수용되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필기구 케이스는, 통상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석을 이용하여 덮개가 본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필기구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견고성이 떨어지고 습기에 취약하며 반복적 사용에 의해 힌지부가 찢겨질 수 있어 사용 및 보관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특히, 덮개를 반복적으로 여닫는 상황에서 자력이 너무 강할 경우 덮개의 힌지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고, 필기구가 파손되거나 조립상태가 불량할 경우 잉크가 새어 나와 케이스 전체가 젖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케이스도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000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973호, (2003. 09. 19) 000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5137호, (2002. 08. 13)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폐가 용이하고 체결구조가 간단한 필기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덮개부의 타단부에 상기 덮개부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굴절되는 굴절부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형상이고, 상기 굴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와 접하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세 면을 둘러싸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바닥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끼움돌기와 접하는 면에 각각 제1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하는 면에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의 사잇각이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의 사잇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틀은 상기 수납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필기구를 파지하는 복수 개의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수납틀과 일체로 형성되며, 두 핑거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며 서로 위아래로 배열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필기구 케이스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잉크가 새어 나와도 인접한 케이스에 영향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덮개부에 탄성을 형성하여 개방이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석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덮개부를 개폐하는 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기구 케이스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덮개부가 몸체부의 수용공간을 덮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고정돌기와 끼움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고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5는 끼움돌기와 고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는 필기구 케이스의 사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는 펜이나 만년필 등의 필기구를 진열, 수납, 보관, 포장 및 휴대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잉크가 새어 나와도 인접한 케이스에 영향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 덮개부에 탄성을 형성하여 개방이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석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 덮개부를 개폐하는 과정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필기구 케이스(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기구 케이스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덮개부가 몸체부의 수용공간을 덮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고정돌기와 끼움돌기의 확대도이고, 도 4는 고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5는 끼움돌기와 고정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1)는,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00)와, 일단부가 몸체부(100)에 결합되며, 몸체부(100)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수용공간(100a)을 덮는 덮개부(200)와, 몸체부(100)의 측면(120)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110)와, 덮개부(200)의 타단부에 덮개부(200)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110) 사이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21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1)는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에 의해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수용공간(100a)을 개폐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측면(120)과 바닥면(130)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00a)을 형성한다. 수용공간(100a)은 필기구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4개의 측면(120)과 1개의 바닥면(130)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측면(120)은 바닥면(130)의 상면 또는 외측면에 결합되어 4각통 형상을 이루며, 상대적으로 전방(도 1의 x 방향 참조)에 위치한 제1 측면(120a)과, 상대적으로 후방(도 1의 -x 방향 참조)에 위치한 제2 측면(120b)을 포함한다. 이하, 측면(120)이 바닥면(130)의 상면에 결합된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각각의 측면(120)은 바닥면(130)의 상면에 결합되며, 바닥면(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120)이 이루는 4각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130)이 4개의 측면(120)이 이루는 4각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고정돌기(110)가 몸체부(100)의 바닥면(13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일단부가 몸체부(100)에 결합되고, 몸체부(100)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몸체부(100)의 수용공간(100a)을 덮는다. 이 때,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모서리에 결합됨으로써, 덮개부(200)가 폭 방향(도 1의 x 방향 참조) 모서리에 결합되는 경우보다 수용공간(100a)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수용공간(100a)을 덮으며, 예를 들어,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면 모서리에 결합되어 몸체부(100)의 상면과 제1 측면(120a)을 덮거나, 몸체부(100)의 바닥면(130) 모서리에 결합되어 몸체부(100)의 제2 측면(120b)과 상면, 및 제1 측면(120a)을 덮을 수 있다. 이하,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바닥면(130) 모서리에 결합되어 몸체부(100)의 제2 측면(120b), 상면, 및 제1 측면(120a)을 덮는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모서리를 따라 굴절되는 굴절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굴절부(14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굴절부(140)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가 결합하면, 덮개부(200)가 휘어지면서 굴절부(140)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200)가 쉽게 개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절부(140)는 노치(141)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141)는 몸체부(100)의 모서리와 접하는 덮개부(200)의 내측면에 몸체부(100)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굴절부(140)에 노치(141)가 형성됨으로써, 굴절부(140)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굴절부(14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노치(141)가 굴절부(140)에 'v'자 형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노치(141)의 형상, 위치, 폭, 깊이에 의해 굴절부(140)의 탄성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141)가 만입된 깊이가 깊을수록 굴절부(140)의 탄성력이 작아지고, 노치(141)가 만입된 깊이가 얕을수록 굴절부(140)의 탄성력이 커질 수 있다.
덮개부(200)는 몸체부(100)의 바닥면(130)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부(100)의 세 면, 즉, 제2 측면(120b)과 상면, 및 제1 측면(120a)을 차례로 둘러쌀 수 있다.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의 세 면을 둘러싸게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0)의 두 면, 즉, 상면과 제1 측면(120a)을 둘러싸는 경우보다 덮개부(200)의 면적이 증가하여, 덮개부(200)의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다. 덮개부(200)의 탄성력이 증가하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 해제 시 덮개부(200)가 쉽게 개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두 면을 둘러싸는 경우보다 굴절부(140)가 많이 형성되므로, 덮개부(200) 전체의 탄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의 바닥면(130) 모서리를 따라 굴절되는 굴절부(140)의 탄성력을 크게 형성하여 덮개부(200)의 개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돌기(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의 측면(120)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특히, 고정돌기(110)는 몸체부(100)의 제1 측면(120a)에 형성되며, 바닥면(13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돌기(110)가 제1 측면(120a)에 형성되되 바닥면(130)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덮개부(200)의 면적이 증가하여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다. 고정돌기(11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끼움돌기(210)는 덮개부(200)의 타단부에 덮개부(200)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고정돌기(110) 사이로 삽입되어 끼움결합을 형성한다. 끼움돌기(210)는 고정돌기(110) 사이에 바닥면(130)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측면(120)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끼움돌기(210)는 바닥면(13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덮개부(200)의 면적이 증가하여 탄성력이 증가될 수 있다. 끼움돌기(21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몸체부(100), 덮개부(200), 고정돌기(110), 및 끼움돌기(210)는 자체 탄성력을 보유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형성되어 하나의 필기구 케이스(1)를 형성할 수 있다. 덮개부(200)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 해제가 이루어지면 덮개부(200)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공간(100a)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서로 접하는 면이 대응되게 형성되지 않더라도 고정돌기(110) 사이에 끼움돌기(21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 덮개부(200), 고정돌기(110), 및 끼움돌기(210)가 사출 형성되어 하나의 필기구 케이스(1)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고정돌기(110) 및 끼움돌기(21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고정돌기(110)는 각각, 끼움돌기(210)와 접하는 면에 제1 경사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10)에 제1 경사면(111)이 형성됨으로써, 끼움돌기(210)와의 결합 시 강한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면(111)은 몸체부(100)의 바닥면(130)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동시에, 몸체부(100)의 측면(1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제1 경사면(111)의 간격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30)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좁아지며, 동시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120a)과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 경사면(111)의 간격이 바닥면(130)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끼움돌기(210)가 바닥면(130) 방향으로 삽입될 때의 초기 삽입이 용이하고, 제1 경사면(111)의 간격이 측면(1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끼움돌기(210)가 고정돌기(110) 사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측면(12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돌기(210)는 고정돌기(110)와 접하는 면, 즉, 제1 경사면(111)과 접하는 면에 제2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경사면(211)은 바닥면(130)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끼움돌기(210)에 제2 경사면(211)이 형성됨으로써, 제1 경사면(111)과 제2 경사면(211)이 빗면접촉하여 결합면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경사면(211)의 간격이 바닥면(130)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경사면(211)은 바닥면(130)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동시에 측면(1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경사면(111) 사이의 사잇각(θ1)은 제2 경사면(211) 사이의 사잇각(θ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11) 사이의 사잇각(θ1)이 제2 경사면(211) 사이의 사잇각(θ2)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끼움돌기(210)가 고정돌기(110) 사이에 일부만 삽입되어 제1 경사면(111)과 제2 경사면(211)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끼움돌기(210)에 힘을 가하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탄성력에 의해 끼움돌기(210)가 고정돌기(1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결합력이 증가하여 덮개부(200)가 몸체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기구 케이스(1)는 수납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틀(300)은 필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100a) 내측에 수용되되 수용공간(100a)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납틀(300)은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되는 수납홈(310)이 형성되며, 수납홈(310) 내측으로 돌출되어 필기구를 파지하는 복수 개의 클립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필기구는 수납홈(310)에 삽입되며, 복수 개의 클립부(320)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클립부(320)는 수납틀(300)의 길이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탄성을 갖는 재질로 수납틀(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클립부(320)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a, b)이 서로 다르며 서로 위아래로 배열된 제1 파지부(321)와 제2 파지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부(321)를 이루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a)이 제2 파지부(322)를 이루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b)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지부(321)와 제2 파지부(322)를 이루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고, 제1 파지부(321)와 제2 파지부(322)가 위아래로 배열됨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필기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큰 필기구의 경우, 제2 파지부(322)에 고정하고, 직경이 작은 필기구의 경우 제1 파지부(321)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직경이 큰 필기구를 고정하는 경우, 제2 파지부(322) 위에 배치된 제1 파지부(321)의 핑거 사이의 간격(a)이 좁더라도 클립부(320)가 탄성을 갖고 있어 힘을 가할 경우 제2 파지부(322)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클립부(320)는, 각각의 제1 파지부(321)를 형성하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a)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클립부(320)는, 각각의 제2 파지부(322)를 형성하는 두 핑거 사이의 간격(b)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상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필기구 케이스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필기구 케이스(1)는 필기구의 수납 또는 진열 시, 몸체부(100)의 수용공간(100a)에 수납틀(300)을 삽입하여 다양한 직경의 필기구(p)를 수용 및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필기구(p)의 직경이 작은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1 파지부(321)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필기구(p)의 직경이 큰 경우, 하부에 위치한 제2 파지부(322)에 삽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작은 펜심은 제1 파지부(321)에 삽입하고 직경이 큰 펜은 제2 파지부(322)에 삽입하여, 하나의 필기구 케이스(1)에 두 개의 필기구(p)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 케이스(1)는 필기구의 수납 및 휴대 시, 수납틀(300)을 분리하여 수용공간(100a)에 더 많은 양의 필기구(p)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 시, 결합력에 의해 몸체부(100)를 감싸는 덮개부(200)의 탄성력이 상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10)에 형성된 제1 경사면(111)의 사잇각(θ1)과 끼움돌기(210)에 형성된 제2 경사면(211)의 사잇각(θ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 간에 강한 마찰이 발생하여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반면, 고정돌기(110)와 끼움돌기(210)의 결합 해제 시, 덮개부(200)가 탄성력에 의해 쉽게 개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필기구 케이스 100: 몸체부
100a: 수용공간 110: 고정돌기
111: 제1 경사면 120: 측면
120a: 제1 측면 120b: 제2 측면
130: 바닥면 140: 굴절부
141: 노치 200: 덮개부
210: 끼움돌기 211: 제2 경사면
300: 수납틀 310: 수납홈
320: 클립부 321: 제1 파지부
322: 제2 파지부 P: 필기구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두 면과 접하며 굴절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덮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 및
    상기 덮개부의 타단부에 상기 덮개부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굴절되는 굴절부가 탄성을 갖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세 면을 둘러싸고,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바닥면과 접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끼움돌기와 접하는 면에 각각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필기구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판형상이고,
    상기 굴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와 접하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를 포함하는 필기구 케이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하는 면에 상기 바닥면을 향하여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의 사잇각이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사잇각보다 크게 형성되는 필기구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측에 수용되며,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납틀은 상기 수납홈 내측으로 돌출되어 필기구를 파지하는 복수 개의 클립부를 포함하는 필기구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수납틀과 일체로 형성되며, 두 핑거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며 서로 위아래로 배열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필기구 케이스.
KR2020180002448U 2018-06-04 2018-06-04 필기구 케이스 KR200490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48U KR200490265Y1 (ko) 2018-06-04 2018-06-04 필기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48U KR200490265Y1 (ko) 2018-06-04 2018-06-04 필기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65Y1 true KR200490265Y1 (ko) 2019-10-23

Family

ID=6838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48U KR200490265Y1 (ko) 2018-06-04 2018-06-04 필기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947A (ja) * 1990-02-26 1992-08-06 Incase Bv 物品用ホルダー
KR200326973Y1 (ko) 2003-04-18 2003-09-19 주식회사 심프리 필통
KR200362212Y1 (ko) * 2004-06-22 2004-09-16 주식회사 태평양 진열 포장용 상자
JP2005008228A (ja) * 2003-06-19 2005-01-13 Chuo Yoki Kk 包装容器用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947A (ja) * 1990-02-26 1992-08-06 Incase Bv 物品用ホルダー
KR200326973Y1 (ko) 2003-04-18 2003-09-19 주식회사 심프리 필통
JP2005008228A (ja) * 2003-06-19 2005-01-13 Chuo Yoki Kk 包装容器用蓋
KR200362212Y1 (ko) * 2004-06-22 2004-09-16 주식회사 태평양 진열 포장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59989B2 (ko)
WO2010131291A1 (ja) 半導体ウエハ収納容器
KR200490265Y1 (ko) 필기구 케이스
US6619476B2 (en) Needle package
JP2013209139A (ja) 包装装置
JPH11321868A (ja) 収納ケース
WO2002055318A1 (fr) Instrument d'ecriture, capuchon pour instrument d'ecriture et procede d'assemblage du capuchon
JP5722680B2 (ja) 電子体温計用収納ケース
JPH0711377U (ja) 棒状物収納容器
US6273247B1 (en) Storing case with engaging pawl
JP3129896U (ja) 見付けエッジ
JP7179283B2 (ja) 印鑑スタンド
KR0132773Y1 (ko) 색연필케이스의 덮개 삽입구조
JP7080077B2 (ja) 筆記具
JP5072067B2 (ja) 基板収納容器
JP7339864B2 (ja) 蓋付き容器
JP4626786B2 (ja) レンズカートリッジ
WO2020246308A1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H073691U (ja) カード収納ケース
KR200210022Y1 (ko) 부품박스
KR20140120553A (ko) 클립형 분필 홀더
KR200355119Y1 (ko) 서랍손잡이
KR200313217Y1 (ko) 2포트 또는 3포트를 갖는 광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구조
KR200258689Y1 (ko) 코너 클립
KR950004878Y1 (ko) 지적도 보관용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