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16Y1 - 곡물보관용기 - Google Patents

곡물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16Y1
KR200490216Y1 KR2020170003875U KR20170003875U KR200490216Y1 KR 200490216 Y1 KR200490216 Y1 KR 200490216Y1 KR 2020170003875 U KR2020170003875 U KR 2020170003875U KR 20170003875 U KR20170003875 U KR 20170003875U KR 200490216 Y1 KR200490216 Y1 KR 200490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grain
activated carbon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424U (ko
Inventor
안성윤
김안수
Original Assignee
안성윤
농업회사법인 협성농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윤, 농업회사법인 협성농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성윤
Publication of KR20180001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곡물보관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곡물보관용기는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긴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인분개량을 위한 눈금이 표시된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뚜껑부와 상기 용기부 전체가 이루는 외곽형상은 상하로 긴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사각통 형태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형돔부; 및, 상기 원형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곡물이 유출입되는 원형의 연장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관부가 삽입되는 결합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부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4개의 통기구가 형성가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보관용기{GRAIN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곡물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냉장고 내부 공간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며, 뚜껑 내부에 눈금이 표시되어 별도의 개량컵을 구비할 필요없이 뚜껑을 개량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기구, 활성탄 및 토르말린을 이용하여 곡물을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곡물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 등의 곡물은 구매 후 쌀통이나 항아리 등의 보관용기에 담아 보관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곡물보관용기에 대해서 등록실용신안 20-0401800호, 등록실용신안 20-0433375호, 등록실용신안 20-029627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곡물보관용기 중 등록실용신안 20-0401800호 및 등록실용신안 20-0433375호에 개시된 곡물보관용기는 항아리 형상으로서 냉장고에 보관하기에는 부적합한 형태이며 냉장고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냉장고 공간사용효율이 떨어지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곡물보관용기 중 등록실용신안 20-0296277호에 개시된 곡물보관용기는 쌀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냉장고에 집어넣을 수 없는 것이며, 소정 인분 분량의 곡물이 서랍으로 떨어지도록 설계된 형태로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곡물보관용기들은 대용량으로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나 2인가구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형태였다.
등록실용신안 20-0401800호 등록실용신안 20-0433375호 등록실용신안 20-029627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냉장고 내부 공간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며, 뚜껑 내부에 눈금이 표시되어 별도의 개량컵을 구비할 필요없이 뚜껑을 개량컵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기성이 향상되어 곡물을 신선하게 오래보관할 수 있는 곡물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을 용기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는 곡물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어, 통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곡물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곡물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에는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활성탄에 의해 습기와 잡냄새가 제거되고, 토르말린으로부터 방사된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곡물이 신선도를 지속적으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이 용기 바닥에 마련되어 있어,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이 용기 내의 곡물에 의해 묻혀 있는 형태가 되어, 습기제거효율과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사효율이 극대화되어 더욱더 곡물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곡물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는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긴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인분개량을 위한 눈금이 표시된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뚜껑부와 상기 용기부 전체가 이루는 외곽형상은 상하로 긴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사각통 형태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형돔부; 및, 상기 원형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곡물이 유출입되는 원형의 연장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관부가 삽입되는 결합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부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4개의 통기구가 형성가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활성탄이 수용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에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곡물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는 활성탄 수용통; 및, 내부에 토르말린이 수용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곡물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토르말린 수용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는 상기 활성탄 수용통 및 상기 토르말린 수용통이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소켓부가 관통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를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도록 상기 연장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에 형성되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장관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돌기를 구비한 레일홈부; 및, 상기 결합관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는 뚜껑부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취소시 별도의 개량컵을 구비할 필요 없이 뚜껑부를 개량컵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부와 용기부의 전체 외곽형상의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으며, 공간의 저장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수개를 용이하게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는 휴대성이 용이하여 캠핑등의 야외활동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부에 형성된 통기구로 인해 용기의 통기성이 향상되어 곡물을 신선하게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부의 바닥에 활성탄이 담긴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이 담긴 토르말린 수용통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용기부 내에 수용된 곡물이 잡냄새에 오염되지 않으며 변질되지 않고 쌀벌레나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게 하여 곡물(쌀)의 신선도를 양호하게 유지한 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이 용기부의 바닥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활성탄 수용통에 수용된 활성탄과 토르말린 수용통에 수용된 토르말린이 용기부 내의 곡물에 묻혀 있는 형태가 될 수 있어, 활성탄에 의한 수분제거효율이 좋아 곡물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며, 토르말린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곡물에 잘 전달되게 하여 곡물의 신선도가 더욱 더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이 용기부의 바닥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의 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활성탄 수용통 내의 활성탄 수명이 다한 경우, 새 활성탄을 수용통에 충전하여 용기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토르말린 수용통의 토르말린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곡물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곡물보관용기에서 뚜껑부가 용기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뚜껑부를 뒤집어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에서 뚜껑부가 용기부에 록킹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에서 뚜껑부가 용기부에 록킹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통기구가 형성된 곡물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곡물보관용기의 하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활성탄 수용통과 토르말린 수용통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곡물보관용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는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부(1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용기부(110) 및 뚜껑부(1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PET병 즉 Polyethylene phthalate제의 용기 재질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10)는 용기본체(111), 원형돔부(113) 및, 연장관부(115)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11)는 상하로 긴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곡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용기본체(111)의 상하 중간부에는 오목홈부(112)가 형성된다.
원형돔부(113)는 용기본체(11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돔부(113)의 상단에는 원형의 연장관부(115)가 일체로 형성된다. 용기본체(111) 내부에 수용된 곡물들은 원통돔부(113)를 거쳐 연장관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뚜껑부(120)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용기부(110)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의 상단부에 결합된 경우, 뚜껑부(120)가 원형돔부(113) 및 연장관부(115)를 감싸고, 용기본체(111)의 상단과 접하게 됨으로써, 용기부(110)와 뚜껑부(120) 전체가 이루는 외곽형상이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이 되게 된다.
뚜껑부(120)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관부(123)가 형성되고, 이 결합관부(123)의 하단과 뚜껑부(120)의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링(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관부(123)의 상면과 뚜껑부(120)의 상면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며, 뚜껑부(120)와 결합관부(123) 사이에는 연결링(124)과 결합관부(123)의 외주면에 의해 링형홈(s)이 형성된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뚜껑부(120)의 내주면에는 인분개량을 위한 눈금(129)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부(110)에 담겨진 곡물을 뚜껑부(120)에 부어 밥을 지을 인분에 대한 분량을 개량할 수 있다.
결합관부(123)는 연장관부(115)가 삽입되며, 결합관부(123)와 연장관부(115)에는 록킹수단(117,127)이 설치되어,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 대해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에 록킹(잠금)된 상태가 되고,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 대해 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에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에 대해 언록킹(해제)된 상태가 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록킹수단(117,127)은 결합돌기(118)를 구비한 레일홈부(117)와, 결합홈(128)를 구비한 가이드부재(127)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일홈부(117)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장관부(115)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레일홈부(117)의 내측홈(117a)에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결합돌기(118)가 반원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레일홈부(117)는 도 3과 같이, 연장관부(115)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며, 각각의 레일홈부(117)는 1/4 이하의 원호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부재(127)는 결합관부(123)의 내주면을 따라 일체로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부재(127)상에는 결합돌기(118)의 대응되도록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결합홈(128)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27)는 결합관부(123)의 재주면에 형성되되, 레일홈부(117)에 대응되도록 서로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되며, 각각의 레일홈부(117)는 1/4이하의 원호를 갖도록 구성되며, 레일홈부(117)와 가이드부재(127)의 길이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돌기(118)는 내측홈(117a)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결합홈(128)은 결합돌기(118)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재(127)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결합관부(123)에 연장관부(115)가 삽입되도록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의 상부에 놓고, 뚜껑부(120)를 회전시켜 용기부(110)에 뚜껑부(120)를 록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을 위해, 결합관부(123)에 연장관부(115)에 삽입시키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부재(127)가 한 쌍의 레일홈부(117)의 사이공간이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부(120)를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도 5 및 도 6와 같이, 가이드부재(127)가 레일홈부(117)의 내측홈(117a)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부재(127)의 선단이 결합돌기(118)를 타고 넘어가다가 결합돌기(118)가 가이드부재(127)의 결합홈(128)에 안착됨으로써 결합관부(123)와 연장관부(115)가 결합되고,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에 록킹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록킹해제(언록킹)를 위해,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결합돌기(118)가 결합홈(128)에서 이탈한 후, 가이드부재(127)가 레일홈부(117)의 내측홈(117a)에서 빠져나와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서 분리해낼 수 있다.
본 고안은 레일홈부(117)와 가이드부재(127)가 각각 연장관부(115) 외주면과 결합관부(123) 내주면에 소정원호 즉 1/4원호 이하만이 형성되고 각각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된 구성이므로,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 대해 다수회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소정각도 정도만 회전시키면 가이드부재(127)가 레일홈부(117)를 따라 이동하여 결합돌기(118)가 결합홈(128)에 안착됨으로써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레일홈부(117)와 가이드부재(127)가 각각 1/4원호로 이루어진 경우, 뚜껑부(120)를 용기부(110)에 대해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결합돌기(118)가 결합홈(128)에 안착되어 록킹이 이루어지고, 역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언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가이드부재(127)의 선단에 경사면(127a)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가이드부재(127)가 레일홈부(117)의 내측홈(117a)을 따라 전진하여 결합돌기(118)를 타고 넘어갈 때, 보다 용이하게 결합돌기(118)를 타고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에 결합록킹된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뚜껑부(120)가 용기부(110) 전체의 외곽형상이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며 냉장고 공간사용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를 다수개 냉장고에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캠핑등과 같이 야외에서도 손쉽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뚜껑부(120)에 눈금(129)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별도의 개량컵을 구비할 필요 없이 뚜껑부(120)를 개량컵용도로 사용하여 밥을 지을 때 인분개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부(120)를 다수회 회전시켜 록킹할 필요 없이 소정각도 정도만 회전시켜 록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사용성이 편리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용기부(110)의 용량은 2L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를 통해 곡물을 판매할 곡물 구매후에는 다른 용기에 옮기거나 재분배하여 보관할 필요가 없이, 구매된 상태로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를 냉장고에 넣어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곡물보관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의 곡물보관용기는 제1 실시 에에 비해 뚜껑부(120)이 중앙에 형성된 결합관부(123)의 상면에 4개의 통기구(123a)가 관통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의 곡물보관용기는 결합관부(123)의 상면에 4개의 통기구(123a)가 관통형성되며, 이 통기구(123a)는 용기부(110)에 담길 곡물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곡물이 통기구(123a)를 통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부(120)가 용기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통기구(123a)는 용기부(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용기부(110) 내에 용이하게 투입되고 용기부(1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통기성이 향상되어 곡물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곡물보관용기는 용기부(110)의 바닥 즉, 용기본체(111)의 바닥에 활성탄 수용통(130)과 토르말린 수용통(140)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용기부(110) 즉, 용기본체(111)의 바닥에는 한 쌍의 소켓부(119a)가 관통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이 소켓부(119a)의 내주면에는 암사사산(119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활성탄 수용통(130)과 토르말린 수용통(140)은 활성탄과 토르말린과 같이 내부에 담기는 물질이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하므로 활성탄 수용통(13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활성탄 수용통(130)은 수용통본체(131)와 덮개(137)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활성탄 수용통(130)과 토르말린 수용통(140)의 수용통본체와 덮개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통본체(13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다수의 기공(132)들이 형성되며, 상하 중간위치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33)이 형성된다.
덮개(137)는 수용통본체(131)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수용통본체(131)의 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덮개(137)의 상단에는 끼움디스크(138)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끼움디스크(138)는 수용통본체(131)의 내경과 같거나 다소 작도록 구성된다. 이 끼움디스크(138)의 외주면에는 링형의 고무패킹(139)이 부착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디스크(138)를 수용통본체(131)의 개방된 하부에 끼우면, 끼움디스크(138)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무패킹(139)이 수용통본체(13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억지끼움형태로 삽입되면서 끼움디스크(138)가 수용통본체(131)에 끼움결합되고, 이에 따라, 덮개(138)가 수용통본체(131)에 고정되게 된다.
수용통본체(131)를 뒤집은 상태에서, 활성탄(136)을 집어 넣고, 덮개(138)를 조립하여 결합시킨 다음, 다시 수용통본체(131)를 뒤집어서 기공(132)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통본체(131)를 소켓부(119)에 끼워 암나사산(119a)에 수나사산(133)을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활성탄 수용통(130)을 소켓부(130)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용통본체(131)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하로 돌출리브(135)가 복수개 돌출형성된다. 이 돌출리브(135)는 사용자가 수용통본체(131)를 잡아 소켓부(130)에 나사체결하는 경우, 사용자가 수용통본체(131)를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손과의 마찰력을 제공하며, 아울러, 소켓부(130)에 수용통본체(131)를 나사체결할 때, 돌출리브(135) 상단이 소켓부(130)의 하단에 걸려 수용통본체(131)가 더이상 소켓부(130)에 나사체결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기능도 하도록 구성된다.
도 8과 같이, 활성탄 수용통(130)은 용기본체(111)에 담겨 있는 곡물(쌀)에 묻혀 있는 상태이며(다르게 표현하면, 용기본체(111)에 담겨있는 곡물이 활성탄 수용통(130)을 덮은 상태), 활성탄에 의한 수분제거효율이 좋아 곡물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해 줄 수 있다.
즉, 활성탄 수용통(130)은 뚜껑부(120)에 장착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 용기부(110)에 담긴 곡물과 위치가 떨어진 상태가 되므로, 수분제거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은 활성탄 수용통(130)이 용기본체(111)의 바닥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11)에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형태가 되므로 수분제거효율이 좋아 곰팡이나 쌀벌레의 발생등을 완전히 방지해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활성탄 수용통(130)은 용기본체(111)에서 용이하게 분리가능할 뿐 아니라, 활성탄 수용통(130)이 수용통본체(131)에서 덮개(137)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활성탄(136)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토르말린 수용통(140)이 용기부(110) 바닥에 형성된 소켓부(119)에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르말린 수용통(140)은 토르말린(146)이 내부에 수용된다는 점에서만 활성탄 수용통(130)과 차이가 있으며, 그 수용통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만 동일하다.
토르말린 수용통(140)은 용기본체(111)의 바닥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용기본체(111)에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형태가 되므로, 토르말린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용기본체(111)에 담긴 곡물에 잘 전달될 수 있어, 곡물의 신선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토르말린 수용통(140)이 뚜껑부(1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은 토르말린 수용통(140)을 용기본체(111)의 바닥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전달효율을 높여 곡물신선도 유지가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다.
토르말린 수용통(140)도 활성탄 수용통(130)과 마찬가지로, 용기본체(111)에서 나사체결방식으로 용이하게 분리결합할 수 있고, 토르말린수용통(140)이 수용통본체에서 덮개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손쉽게 토르말린을 교체하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용기부
111..용기본체
113...원형돔부
115...연장관부
117...레일홈부
118...결합돌기
119...소켓부
120...뚜껑부
123...결합관부
123a...통기구
124...연결링
127...가이드부재
127a...경사면
128...결합홈
S...링형홈
130...활성탄 수용통
131...수용통본체
132...기공
133...수나사산
137...덮개
138...끼움부
139...패킹부재
140...토르말린 수용통

Claims (4)

  1.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로 긴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면에 인분개량을 위한 눈금이 표시된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뚜껑부와 상기 용기부 전체가 이루는 외곽형상은 상하로 긴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부는,
    사각통 형태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형돔부; 및,
    상기 원형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곡물이 유출입되는 원형의 연장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관부가 삽입되는 결합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관부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4개의 통기구가 관통형성된 것이며,
    내부에 활성탄이 수용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에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곡물에 대한 습기를 제거하는 활성탄 수용통; 및,
    내부에 토르말린이 수용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에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부 담긴 곡물에 묻혀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곡물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토르말린 수용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한 쌍의 소켓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소켓부 각각에는 상기 활성탄 수용통 및 상기 토르말린 수용통이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활성탄 수용통과 상기 토르말린 수용통 각각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상하중간위치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수용통 본체;
    상기 수용통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상기 수용통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상단에는 끼움디스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디스크의 외주면에는 링형 고무패킹이 부착형성되어, 상기 끼움디스크가 상기 수용통본체의 개방된 하부에 억지끼움형태로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가 상기 수용통 본체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통본체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하로 돌출리브가 복수개 돌출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리브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통본체를 잡아 상기 소켓부에 나사체결하는 경우 상기 수용통본체를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손과의 마찰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소켓부에 상기 수용통본체를 나사체결할 때 상기 돌출리브의 상단이 상기 소켓부의 하단에 걸려 상기 수용통본체가 더이상 상기 소켓부에 나사체결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보관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를 상기 용기부의 상단부에 록킹하거나 언록킹하도록 상기 연장관부와 상기 결합관부에 형성되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장관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돌기를 구비한 레일홈부; 및,
    상기 결합관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보관용기.


KR2020170003875U 2016-11-02 2017-07-25 곡물보관용기 KR2004902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11 2016-11-02
KR20160006411 2016-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24U KR20180001424U (ko) 2018-05-11
KR200490216Y1 true KR200490216Y1 (ko) 2019-11-11

Family

ID=6216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75U KR200490216Y1 (ko) 2016-11-02 2017-07-25 곡물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1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810Y1 (ko) * 2002-01-16 2002-04-06 이건우 쌀 포장용기
KR101105885B1 (ko) * 2011-06-16 2012-01-17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JP2014532512A (ja) 2011-11-08 2014-12-08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密閉構造を備えた化粧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460U (ko) * 1995-04-06 1996-11-19 노승준 음료용기용 뚜껑구조
KR200296277Y1 (ko) 2002-09-07 2002-11-23 주식회사 마이텍 쌀 보관통
KR200401800Y1 (ko) 2005-08-31 2005-11-22 소순주 쌀 저장용기
KR200433375Y1 (ko) 2006-09-29 2006-12-11 김은수 오동나무 쌀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810Y1 (ko) * 2002-01-16 2002-04-06 이건우 쌀 포장용기
KR101105885B1 (ko) * 2011-06-16 2012-01-17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JP2014532512A (ja) 2011-11-08 2014-12-08 ヨンウ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密閉構造を備えた化粧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24U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398B2 (en) Animal drinking assembly
US8596480B2 (en) Modular beverage container system
US20080179335A1 (en) Multi-functional thermos mug having bamboo charcoal
US20210171239A1 (en) Portable reusable beverage bottle with drinking cup
US3312336A (en) Coin tube
KR200490216Y1 (ko) 곡물보관용기
WO2020257584A1 (en) Portable reusable beverage bottle with drinking cup
KR20170010261A (ko) 용기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7311391B2 (ja) クーラーボックス
JP6279347B2 (ja) 魚介類用輸送容器
US2732119A (en) Molded pulp bait container
US10597194B2 (en) Seed Container and Shell Receptacle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KR101506325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보존력이 향상된 저장성 음식 용기
WO2022076937A1 (en) Portable reusable beverage bottle with drinking cup
KR101753796B1 (ko) 에그박스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0484871Y1 (ko) 화장품용기
US20160331580A1 (en) Massaging device having fluid container
KR101621800B1 (ko) 기능성 볼 저장용기
KR20170068810A (ko) 구형 콘택트 렌즈 보관함
KR20210104243A (ko) 탈부착 습기 제거용품
PH12013000232A1 (en) Stacking portable water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