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800Y1 - 쌀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쌀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800Y1
KR200401800Y1 KR20-2005-0025176U KR20050025176U KR200401800Y1 KR 200401800 Y1 KR200401800 Y1 KR 200401800Y1 KR 20050025176 U KR20050025176 U KR 20050025176U KR 200401800 Y1 KR200401800 Y1 KR 200401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ntainer body
container
body por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순주
Original Assignee
소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순주 filed Critical 소순주
Priority to KR20-2005-0025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2Containers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32Details of wooden walls; Connections betwee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동나무로 구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 내부 전면(全面) 옻나무진과 파라핀 및 기타 첨가재등을 일정비율로 배합한 내부 도금층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부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을 상감하거나, 자개등을 착설시킴으로써, 오동나무로 형성되는 쌀 저장용기 본체부내에 쌀등과 같은 곡물의 저장시 저장용기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쌀의 변질 및 변색을 방지시키며, 특히 용기 본체부 내부에 일정두께 형성한 도금층에 의해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시키면서, 용기 본체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한 쌀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오동나무 원목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곡물 저장부(110)가 형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120) 내부 전면 및 용기 본체부(120) 상측으로 착설되는 뚜껑부(130)의 내면으로 옻나무진이 50~55중량%, 파라핀 35~40중량% 및 마늘가루, 겨자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 5~15중량%가 배합되어 도포되는 내부 도금층(140)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부(120)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이 상감되거나, 자개등이 부착되는 무늬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쌀 저장용기{A Rice Stored Pot}
본 고안은 오동나무로 구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 내부 전면(全面)에 옻나무진과 파라핀 및 기타 첨가재등을 일정비율로 배합한 내부 도금층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부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을 상감하거나, 자개등을 착설시킴으로써, 오동나무로 형성되는 쌀 저장용기 본체부내에 쌀등과 같은 곡물의 저장시 저장용기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쌀의 변질 및 변색을 방지시키며, 특히 용기 본체부 내부에 일정두께 형성한 도금층에 의해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시키면서, 용기 본체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한 쌀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그릇 용기, 철재용기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쌀통에 있어서는, 쌀등과 같은 곡식을 내부에 저장시킨 상태에서, 필요한 만큼씩 인출하여 사용 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같은 질그릇 쌀용기의 경우에는 단열효과 및 항균작용이 우수하여 전통적인 쌀 저장수단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용기의 무게가 무거우며, 쌀을 인출하기 위하여 중량물인 덮개를 여닫는 과정을 번거로우며, 외부의 충격등에 상기 용기가 쉽게 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철재용기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쌀통에 있어서는, 쌀을 쌀통 내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필요한 만큼만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대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재용기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쌀통은, 쌀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하고 쉽게 인출할 수 있는 고유의 기능은 있는 반면에, 쌀통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신선하고 오랫동안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며, 이에따라 쌀의 변질 및 변색이 쉽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이 쉽게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최근에는, 외부공기가 내부로 쌀통 내부로 순환하도록 하여, 쌀통 내부에 저장된 쌀의 보관기간을 향상시키면서, 변질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한 쌀 저장용기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04711호에 알려져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쌀등과 같은 곡물이 저장되는 쌀통 본체(10)의 저부에 장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쌀통 본체(10)의 하부면이 밀착 되도록 안착부(21)가 형성되는 지지대(20)에는 주연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쌀통 본체(10)의 내부 하측으로 순환홈(31)이 형성된 호형상의 받침대(30)가 설치되어, 지지대(20)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쌀통 본체(10) 저부의 장홈(11)을 거쳐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쌀통 본체(10)상측으로 덮개(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쌀통 본체(10)의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고물의 저장시, 쌀통 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유입홈(2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장홈(11) 및 호형 받침대(30)의 순환홈(31)을 통해 쌀통 본체(10) 내부로 순환되어, 내부에 저장된 쌀이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쌀통에 있어서는 쌀통 본체(10) 내부에 단순히 공기의 순환만을 유도시키게 되는 관계로, 장마철등과 같은 우기의 습한 공기가 상기 쌀통 본체내부로 유입될 경우, 오히려 쌀통 내부의 쌀이 쉽게 변질 및 변색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쌀통 내부에는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이 쉽게 번식할 수 있게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쌀통 본체(10)의 내부에는 호형 받침대(30)와, 외부 하측에는 별도의 지지대(20)등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쌀통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작 및 이동이 어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동나무로 구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 내부 전면(全面)에 옻나무진과 파라핀 및 기타 첨가재등을 일정비율로 배합한 내부 도금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부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을 상감하거나, 자개등을 착설시킴으로 인하여, 오동나무로 형성되는 쌀 저장용기 본체부내에 쌀등과 같은 곡물의 저장시 저장용기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쌀의 변질 및 변색을 방지시키며, 특히 용기 본체부 내부에 일정두께 형성한 도금층에 의해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시키면서, 용기 본체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쌀통 자체의 무게를 경감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쌀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오동나무 원목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곡물 저장부가 형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 내부 전면 및 용기 본체부 상측으로 착설되는 뚜껑부의 내면으로 옻나무진이 50~55중량%, 파라핀 35~40중량% 및 마늘가루, 겨자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 5~15중량%가 배합되어 도포되는 내부 도금층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부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이 상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저장용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쌀 저장용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쌀 저장용기의 정단면 구조도로서, 오동나무 원목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곡물 저장부(110)가 형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120) 내부 전면 및 용기 본체부(120) 상측으로 착설되는 뚜껑부(130)의 내면으로 옻나무진이 50~55중량%, 파라핀 35~40중량% 및 마늘가루, 겨자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 5~15중량%가 배합되어 도포되는 내부 도금층(14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120)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이 상감되거나, 자개등이 부착되는 무늬부(15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동나무 원목을 항아리 형상의 원통상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곡물 저장부(110)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부(120)를 제작하며, 이때 상기 용기 본체부(120)의 상측에는 역시 오동나무로 구성되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뚜겅부(130)를 착설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부(120)의 내부 전면(全面) 및 상기 용기 본체부(120) 상측으로 착설되는 뚜껑부(130)의 내면으로 옻나무진을 50~55중량%, 파라핀 35~40중량% 및 마늘가루, 겨자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 5~15중량%가 배합되어 도포되는 내부 도금층(140)을 형성하여, 상기 곡물 저장부(110) 내부에 들어있는 쌀 등과 같은 곡물에 바구미 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도금층(140)을 구성하는 옻나무진이 50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옻자체의 우루시올(urushiol)성분이 너무 적게되어, 도포시 경도(硬度)가 낮게 되고, 옻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며, 상기 옻나무진의 함량이 55중량% 이상일 경우 옻 자체의 알레르기 부작용에 의해 본 고안에서는 50중량%가 적당하다.
또한, 파라핀이 3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곡물 저장부(110) 내부의 건조한 밀폐상태를 유지시키기 어려우며, 40중량% 이상일 경우 지나친 파라핀의 양에 의해 후에 첨가될 첨가재의 역할을 오히려 방해하는데 기인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첨가재로서 마늘가루와 겨자가루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는 5~15중량%인 소량 배합시킴으로써, 상기 첨가재의 특유한 향 등에 의해 곡물 저장부(110) 내부에 바구미, 나방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부(120) 외면은 오동나무 원목의 특유 무늬 그대로 사용하거나, 외면에 조각 및 무늬등이 상감되거나, 또는 자재등을 부착하여 무늬부(150)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쌀 저장용기에 의하면, 오동나무로 구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 내부 전면에 옻나무진과 파라핀 및 기타 첨가재등을 일정비율로 배합한 내부 도금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부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을 상감하거나, 자개등을 착설시킴으로 인하여, 오동나무로 형성되는 쌀 저장용기 본체부내에 쌀등과 같은 곡물의 저장시 저장용기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쌀의 변질 및 변색을 방지시키며, 특히 용기 본체부 내부에 일정두께 형성한 도금층에 의해 바구미등과 같은 해충 및 벌레등의 발생을 방지시키면서, 용기 본체부의 외관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쌀통 자체의 무게를 경감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쌀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쌀 저장용기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쌀 저장용기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쌀 저장용기의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곡물 저장부 120...용기 본체부
130...뚜껑부 140...내부 도금층
150...무늬부

Claims (3)

  1. 내부에 곡물 저장부(110)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부(120) 상측으로 뚜껑부(130)가 착설되는 쌀 저장용기에 있어서,
    오동나무 원목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쌀 등과 같은 곡물 저장부(110)가 형성되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부(120) 내부 전면 및 용기 본체부(120) 상측으로 착설되는 뚜껑부(130)의 내면으로 옻나무진이 50~55중량%, 파라핀 35~40중량% 및 마늘가루, 겨자 및 송진액이 함유된 첨가재 5~15중량%가 배합되어 도포되는 내부 도금층(140)을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120) 외면에는 조각 및 무늬등이 상감되는 무늬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저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부(120) 외면에는 자개등이 부착되는 무늬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저장용기.
KR20-2005-0025176U 2005-08-31 2005-08-31 쌀 저장용기 KR200401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76U KR200401800Y1 (ko) 2005-08-31 2005-08-31 쌀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76U KR200401800Y1 (ko) 2005-08-31 2005-08-31 쌀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800Y1 true KR200401800Y1 (ko) 2005-11-22

Family

ID=4370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76U KR200401800Y1 (ko) 2005-08-31 2005-08-31 쌀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8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83B1 (ko) 2008-12-29 2011-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항균 포장 소재 및 이의제조방법
KR20180001424U (ko) 2016-11-02 2018-05-11 안성윤 곡물보관용기
KR200491626Y1 (ko) * 2019-03-25 2020-05-28 김용운 통나무제 곡물 저장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883B1 (ko) 2008-12-29 2011-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항균 포장 소재 및 이의제조방법
KR20180001424U (ko) 2016-11-02 2018-05-11 안성윤 곡물보관용기
KR200491626Y1 (ko) * 2019-03-25 2020-05-28 김용운 통나무제 곡물 저장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566A (en) Plunger caddy
KR200401800Y1 (ko) 쌀 저장용기
US10401052B2 (en) Air vent
KR101745450B1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CN204944033U (zh) 一种具有湿度显色指示功能的冰箱抽屉
KR200404241Y1 (ko) 유골함
KR20190143771A (ko) 음식 보관용 항아리
KR102123865B1 (ko) 싱크대용 도어
KR200442936Y1 (ko) 곡물 보관함
KR200304711Y1 (ko) 쌀 저장 용기
KR20090074534A (ko) 세라믹 밀폐 용기
KR200433375Y1 (ko) 오동나무 쌀 저장용기
KR200421212Y1 (ko) 목재 쌀독
KR200497927Y1 (ko) 수납장 도어
KR20100004852U (ko) 황토판재를 이용한 쌀통
KR100442800B1 (ko) 김치통의 뚜껑구조
KR101465150B1 (ko) 한지 쌀통
JP3184753U (ja) 骨壺
KR200399067Y1 (ko) 황토를 이용한 목자재로 내부 마감된 장롱
KR200455020Y1 (ko) 옹기의 밀폐 저장구조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20110001266U (ko) 가구용 손잡이
KR200385708Y1 (ko) 납골함
US20070098855A1 (en) SaltBeauty : Ornamental Kitchen Salt Container and Dispenser
KR970001172Y1 (ko) 도자기 쌀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