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36Y1 - 곡물 보관함 - Google Patents

곡물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36Y1
KR200442936Y1 KR20080007158U KR20080007158U KR200442936Y1 KR 200442936 Y1 KR200442936 Y1 KR 200442936Y1 KR 20080007158 U KR20080007158 U KR 20080007158U KR 20080007158 U KR20080007158 U KR 20080007158U KR 200442936 Y1 KR200442936 Y1 KR 2004429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cquer
coating layer
powder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7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호
Original Assignee
박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호 filed Critical 박길호
Priority to KR20080007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동나무로 제작되어 가볍고 뒤틀리지 않고 해충과 벌레에 강하고, 그 외주면에는 생옻숯분말층, 상부코팅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 습기가 차단되어 방습 효과가 뛰어나 장마철이나 습한 곳에 두어도 변색 되거나 상하지 않으며, 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최적의 조건으로 곡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방습, 해충, 곡물, 보관함

Description

곡물 보관함{cereal a case}
본 고안은 곡물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물 보관함을 구성하는 몸체와 뚜껑체를 오동나무로 각각 제작하고, 이 몸체와 뚜껑체의 외주면에는 천연옻숯분말층을 형성하고, 이에 천연 옻층을 도포하고, 내주면에는 천연옻코팅층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외부로의 습기 및 해충의 침입을 완벽하게 차단되어 곡물에 대한 변질을 방지하고, 보관 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구성한 곡물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쌀,보리,콩,조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항아리나 그 밖에 용기에 보관하였으나, 이러한 용기는 자체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파손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곡물 보관시 습기 차단이 용이하지 못하여 벌레(특히 쌀의 경우에 심함)가 발생 되고, 변색 되는 등의 신선도 유지가 용이하지 못하여 오랫동안 보관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근에는 김치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을 이용하여 곡류를 보관하게 되었으나, 이러한 가전제품은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집안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자연적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보관하게 됨으로써 곡류에 대한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에 보관중인 곡물을 외부로의 습기 및 해충의 침입을 완벽하게 차단되어 변질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유지하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곡물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수단은 곡물이 보관되는 보관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체로 이루어진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체 외주면과 내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은 천연 옻액90중량%와 숯 분말 10중량%을 섞은 다음, 옻액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몸체와 뚜껑체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생옻숯분말층; 상기 생옻숯분말층이 경화된 후, 이의 표면에 천연 옻을 분사하여 형성된 상부코팅층; 및 상기 몸체와 뚜껑체 내주면에 형성되고, 천연 옻액 85중량%, 숯 분말 10중량%, 마늘분말 3중량%, 강황분말 2중량%로 이루어진 내부코팅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은 오동나무로 이루어져 가볍고 뒤틀리지 않고 해충과 벌레에 강하고, 외주면에는 생옻숯분말층, 상부코팅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내부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 습기가 차단되어 방습 효과가 뛰어나 장마철이나 습한 곳에 두어도 변색 되거나 상하지 않으며, 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어 최적의 조건으로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료층이 형성된 곡물 보관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은 쌀, 잡곡 등의 곡물이 보관되는 몸체(10)와; 몸체(10)에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뚜껑체(30)와; 몸체(10)가 얹혀지게 되는 받침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곡물이 보관되는 곡물보관홈(20)이 형성되도록 만곡및 곡선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부 내주연에는 결합단(22)이 일체로 형성되어 뚜껑체(30)가 결합된다.
상기 뚜껑체(30)는 상부 중앙 영역에는 뚜껑체(3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2)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체(40)는 상부 중앙 영역에 몸체(10)의 하부 영역에 안착되는 안착홈(42a)이 형성된 상부판(42)과; 상부판(42)의 하부에 동일 높이로 구비된 다수의 받침대(4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곡물 보관함을 구성하는 몸체(10), 뚜껑체(30)는 오동나무로 제작되어 재질의 특성상 가볍고 뒤틀리지 않으며, 해충과 벌레의 피해가 전혀 발생되지 않고, 습기가 발생 되지 않게 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곡물(쌀,보리,콩,조,깨 등)을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변색하거나, 상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오동나무로 제작되는 몸체(10)와 뚜껑체(30)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코팅층(5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팅층(50)은 천연 옻액 90중량%와 적정 매쉬로 이루어진 숯 분말 10중량%을 섞은 다음, 옻액이 경화되기 전에 오동나무로 이루어진 곡물 보관함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여 도포하여 형성된 생옻숯분말층(52)과; 상기 생옻숯분말층(52)이 경화된 후 이의 표면에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천연 옻을 분사하여 형성된 상부코팅층(5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곡물 보관함 내주면에는 천연 옻액85 중량%, 숯분말 10중량%, 마늘분말 3중량%, 강황분말 2중량%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내부코팅층(56)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코팅층(50)이 곡물 보관함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연 옻나무에 적정량의 옻나무 진액을 추출한 다음, 이 진액을 적정 점도가 유지되도록 히팅시킨 다음, 이 천연 옻액 90중량%에 적정 매쉬로 이루어진 숯 분말 중량10%을 섞어 옻 액이 경화되기 전에 곡물 보관함 외주면에 고르게 바르게 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정 시간 동안 경화하는 경화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숯 분말의 표면에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천연 옻을 고르게 분사하여 도포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곡물 보관함의 내주면에는 천연 옻액85 중량%, 숯분말 10중량%, 마늘분말 3중량%, 강황분말 2중량%로 혼합물을 분사하여 내부코팅층(5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오동나무 원목을 선택한 다음, 몸체(10)와 뚜껑체(30)를 적절한 형상으로 각각 제작하게 된다. 즉, 상부 외주연에 결합단(22)이 형성되도록 곡물 보관홈(20)을 가공하여 몸체(10)를 가공하고, 상기한 곡물 보관홈(20)의 결합단(22)에 결합되도록 상부뚜껑체(30)를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하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받침체(40)를 제작하게 된다. 즉, 원형을 유지하여 상부판(42)을 제작하고, 상부판(42)의 상부 중앙 영역에 몸체(10)의 하부 영역에 안착되는 안착홈(42a)을 형성하며, 상부판(42) 하부에는 다수의 받침대(44)를 결합시켜 제작하게 되어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로 몸체(10)가 이격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동나무로 이루어진 몸체(10)와 뚜껑체(30) 외주면과 내주면에 코팅층(50)을 형성하여 보관되는 곡물(쌀,보리,콩 등)을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변색되거나, 변질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코팅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히터를 사용하여 그 온도를 약 30℃~40℃ 정도로 유지하면서 약 2시간 내지 24시간 정도로 교반하여 천연 및 도료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분리하 거나, 아세톤 또는 에탄올 등을 사용하여 천연의 옻을 용해시켜 분리시키거나, 아세톤 니트릴,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헥산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천연 옻 추출액으로부터 우루시울, 효소 및 당단백질, 검류, 수분, 기타 성분들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옻 성분을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천연 옻을 구성 성분별로 분리한 후, 천연 옻액 90중량%에 숯 분말 중량10%을 혼합한 다음, 이를 곡물 보관함과 뚜껑체의 외주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생옻숯분말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에서 적정 시간 경과 후에 생옻숯분말층을 경화시킨 다음, 생옻숯분말층 표면에 적정 두께를 유지하여 천연 생옻을 분사수단으로써 분사하여 상부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그 후에 곡물 보관함의 내주면에는 천연 옻액85 중량%, 숯분말 10중량%, 마늘분말 3중량%, 강황분말 2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분사하여 내부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를 그늘에서 약 48시간 정도 자연건조시키면 곡물 보관함 외주면에는 천연 생옻의 상부코팅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부코팅층이 형성된다.
한편, 숯은 참나무류, 소나무 및 대나무를 탄화시킨 다음, 분말화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숯 분말의 알갱이(입도)가 비교적 굵은(약100~200매쉬정도) 경우에는 1차적으로 도포된 옻 추출액에 직접 뿌려 붙이게 되고, 숯 분말의 알갱이(입도)가 고운(300~400매쉬) 경우에는 1차적으로 도포된 옻 추출액과 적정량의 비율로 섞어 곡물 보관함에 직접 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곡물 보관함은 오동나무로 이루어지고, 생옻숯분말층, 상부코팅층이 형성되고, 내부코팅층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곡물을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보관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곡물 보관홈
22 : 결합단 30 : 뚜껑체
40 : 받침체 42 : 상부판
44 : 받침대 50 : 코팅층
52 : 생옻숯분말층 54 : 상부코팅층
56 : 내부코팅층

Claims (3)

  1. 곡물이 보관되는 보관홈(20)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체(30)로 이루어지고, 오동나무로 이루어진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상기 뚜껑체(30) 외주면과 내주면에 코팅층(50)을 형성하되,
    상기 코팅층(50)은
    천연 옻액90중량%와 숯 분말 10중량%을 섞은 다음, 옻액이 경화되기 전에 상기 몸체(10)와 뚜껑체(30)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생옻숯분말층(52);
    상기 생옻숯분말층(52)이 경화된 후, 이의 표면에 천연 옻을 분사하여 형성된 상부코팅층(54); 및
    상기 몸체(10)와 뚜껑체(30) 내주면에 형성되고, 천연 옻액 85중량%, 숯 분말 10중량%, 마늘분말 3중량%, 강황분말 2중량%로 이루어진 내부코팅층(5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보관함.
  2. 삭제
  3. 삭제
KR20080007158U 2008-05-30 2008-05-30 곡물 보관함 KR2004429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158U KR200442936Y1 (ko) 2008-05-30 2008-05-30 곡물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158U KR200442936Y1 (ko) 2008-05-30 2008-05-30 곡물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936Y1 true KR200442936Y1 (ko) 2008-12-23

Family

ID=4654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7158U KR200442936Y1 (ko) 2008-05-30 2008-05-30 곡물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3B1 (ko) 2010-01-20 2013-02-06 이광수 목재를 사용한 위생 도마
KR101323612B1 (ko) * 2010-11-16 2013-11-05 박길호 김치 보관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보관함
KR200491626Y1 (ko) 2019-03-25 2020-05-28 김용운 통나무제 곡물 저장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3B1 (ko) 2010-01-20 2013-02-06 이광수 목재를 사용한 위생 도마
KR101323612B1 (ko) * 2010-11-16 2013-11-05 박길호 김치 보관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보관함
KR200491626Y1 (ko) 2019-03-25 2020-05-28 김용운 통나무제 곡물 저장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varro The use of modified and controlled atmospheres for the disinfestation of stored products
KR200442936Y1 (ko) 곡물 보관함
CN101658193B (zh) 一种艾草植物纤维蚊香及其制备方法
GB2272903A (en) Organic material
CN110300515A (zh) 用于培养至少一种植物的元件和用于制造该元件的方法
WO1994012576A1 (en) Organic material formed from coir dust
CN104823823A (zh) 一种具有奶香味的豆芽菜及其培育方法
CN104823822A (zh) 一种绿色天然的豆芽菜及其生产方法
Nagnur et al. Indigenous grain structures and methods of storage
KR200401800Y1 (ko) 쌀 저장용기
KR20090074534A (ko) 세라믹 밀폐 용기
KR101323612B1 (ko) 김치 보관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김치 보관함
KR200354647Y1 (ko) 곡물 및 김치 보관용기
CN1226117C (zh) 用速生杨木生产阻燃防潮装饰板材的方法
KR100602998B1 (ko) 숯 성형물을 이용한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CN109170660B (zh) 一种生产火蒜的方法及火蒜
JP3198336U (ja) 容器
JP2002339299A (ja) 食品容器
JP5564142B1 (ja) 観賞用乾燥植物の製造方法、乾燥剤用セラミック体、並びに容器入観賞用植物及び容器入観賞用植物の製造方法
CN207450616U (zh) 一种用葡萄酒加工副产物制备的容器
KR100306785B1 (ko) 농산물 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CN208597666U (zh) 方便携带的瓶式泡菜坛
Ahuja et al. Traditional Paddy Storage.
CN109717432A (zh) 一种绿色健康的腊菜酸菜的制作工艺
CN2716143Y (zh) 一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