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13Y1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213Y1 KR200490213Y1 KR2020180001722U KR20180001722U KR200490213Y1 KR 200490213 Y1 KR200490213 Y1 KR 200490213Y1 KR 2020180001722 U KR2020180001722 U KR 2020180001722U KR 20180001722 U KR20180001722 U KR 20180001722U KR 200490213 Y1 KR200490213 Y1 KR 2004902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topping
- hole
- coupling
- 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1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pivoted only at one end and having an elongated sl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걸림쇠가 형성된 도어노브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는 도어키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키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쇠에 걸었을 경우, 상기 도어키의 걸이대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걸림쇠의 움직임을 허용 또는 제한하여 도어의 닫힌상태를 유지하거나 조금만 열어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걸림쇠가 형성된 도어노브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는 도어키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키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쇠에 걸었을 경우, 상기 도어키의 걸이대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걸림쇠의 움직임을 허용 또는 제한하여 도어의 닫힌상태를 유지하거나 조금만 열어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현관문에는 대부분 도어 이중 잠금장치가 따로 설치되어 있고, 또 많은 가정에서는 현관문에 자물쇠장치와 아울러 전자식 도어락도 함께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중 잠금장치는 잠금 상태에서도 문을 일정 폭만큼 열 수 있도록 허락하여 침입 걱정 없이 외부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656669호 "현관문 안전고리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회전구속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현관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안전고리 걸쇠고정부, 현관문에 설치되고 상기 현관문이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걸쇠고정부에 체결 및 체결해제되는 안전고리 작동부 및 상기 걸쇠고정부와 상기 작동부가 체결되는 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인이 문이 벌어진 약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안전고리 작동부를 움직일 수 있어 위험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2453호 "출입문 안전고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문틀(6)에 장치되며 걸이핀(4a)을 갖는 걸이구(4)와, 출입문(8)의 내벽면에 장치되는 고정축부(12)와 고정축부(12)에 힌지로 연결된 막대형 지지대(18)를 갖는 고리본체(10)를 구성하되, 고리본체(10)의 막대형 지지대(18)는, 걸림턱(24a)을 갖는 파킹공간부(24)에 이은 안내슬롯통로부(26)의 형성으로 평면 "ㄴ"자형 슬롯을 가지며, 고정축부(12)에 제1 힌지(20)로 연결되며 파킹공간부(24)가 포함되게 형성된 고리베이스(14)와, 고리베이스(14)에 제2 힌지(22)로 연결되며 안내슬롯통로부(26)의 형성으로 평면 "ㄷ"자형인 힌지 작동바(16)로 구성하여서, 출입문 안전고리(2)를 걸어두면 밖에서는 출입문(8)의 걸림 해제를 할 수 없고, 가정내 사용자가 원해야만 안전고리 걸림상태에서의 출입문(8)의 부분 개방과 안전고리(2)의 걸림 해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보다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체결 및 분리 시 힌지작동바를 고리베이스로부터 힌지 운동시켜야 함에 따라 잦은 사용으로 마모가 생기는 경우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힘을 가해야 함에 따라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등록특허 제10-1331892호 "여닫이문 잠금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여닫이문의 개폐 안정성 확보뿐만이 아니라 문을 일정간격 연후에도 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문틀과 여닫이문에 각각 설치되어 여닫이문을 일정간격으로만 개방시키는 여닫이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쇠로 이루어진 걸림부와, 상기 여닫이문에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작동공이 관통된 결합부재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 일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걸림쇠에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되는 걸이대로 이루어진 회전바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브라켓과 회전바의 힌지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바를 걸림부로 위치되게 회전시키면 회전바의 끝단이 브라켓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걸이대를 브라켓으로부터 상하 힌지운동 할 수 있도록 하여 걸림쇠를 걸이대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힌지축으로부터 먼 걸이대의 단부는 작은 힘을 가해도 쉽게 상하 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이해 쉽게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노브와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키로 이루어진 이중 잠금장치에 있어서, 여닫이문이 일정간격 열린 상태에서 임의로 완전개방이 불가능하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어키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도어키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함에 따라 기존의 힌지운동에 비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도 잠금상태가 쉽게 해지되지 않아 보다 안전한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는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걸림쇠가 구비되는 도어노브;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걸이대가 구비되는 도어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공에 걸림쇠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대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체결공 내에서의 걸림쇠의 움직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는
걸림쇠와 체결되는 도어키의 걸이대를 수직으로 승하강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승하강운동에 의해 걸림쇠가 걸이대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허용 또는 제한함에 따라 문을 일정간격 연후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걸이대에 구성되어 걸림쇠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이동공과 이동공 양측에 구비되는 단속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이대를 하강시키면 상기 걸림쇠가 단속공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문의 닫힘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어키에는 브라켓과 이에 결합하는 걸이대에 있어, 상기 걸이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돌기를 구성하고, 커버를 통해 이 결합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탈 없이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브라켓과 결합돌기에 구비되는 스토핑수단을 통하여 걸이대가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노브의 다른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노브의 또 다른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의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노브의 다른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노브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D)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노브(10)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어노브(10)는 2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어노브(10)는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구비되는 걸림쇠(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도어 프레임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피스가 체결되는 제1 피스공(111)과 제2 피스공(112)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피스공(111)과 제2 피스공(112)은 그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져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피스공(111)과 제2 피스공(112)은 일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1 피스공(111)은 이 장공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피스공(112)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도어노브(10), 정확하게 하우징(11)이 도어 프레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설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제1 특징으로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원형의 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설치자가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여 오차 없이 정확하게 드릴을 이용하여 타공 후 피스로 고정해야 하나, 이 경우, 드릴 사용이 숙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피스를 박기 어려우며,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으며 설치를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1 피스공(111) 또는 제2 피스공(112)에 맞춰 드릴을 이용하여 타공하는 경우, 타공된 위치에 일부 오차가 발생하여도 장공 형상의 피스공을 통하여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 완료 후, 나머지 피스공에 맞춰 타공을 하여 고정함으로서 설치의 편의성을 높여 드릴 사용이 미숙한 사람도 손쉽게 정확한 위치에 하우징(1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특징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두 개의 피스공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흔들릴 수 있으나, 두 개의 피스공이 서로 다른 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흔들리지 않아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의 중앙에는 상기 걸림쇠(13)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부(114)는 걸림쇠(13)의 공회전을 방지하도록 비원형을 이루도록 회전방지턱(114a)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쇠(13)의 단부의 형상은 상기 체결부(114)에 대응될 수 있도록 비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쇠(13)는 상기 하우징(11)에 별도의 고정볼트 등을 통하여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다시 상기 걸림쇠(13)는 상기 걸이대(23)에 형성되는 체결공(233)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기둥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131) 단부(상기 체결부(114)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비원형으로 체결부(114)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나머지 단부에는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확장부(1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확장부(133)는 상기 걸림쇠(13)가 걸이대(23)의 체결공(233)에 끼워지는 경우, 체결공(23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걸림쇠(13)가 체결공(233)에 끼워지면, 상기 기둥부(131)가 상기 체결공(233) 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확장부(133)가 상기 체결공(233)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확장부(133)의 직경이 기둥부(131)보다 크게 구성됨으로서 기둥부(131)가 상기 체결공(233), 보다 정확하게는 단속공(233b)에 밀착되면, 확장부(133)가 그 테두리에 걸려 상호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노브(10')의 제2 실시예로서,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1)은 제1 분체(15)와 제2 분체(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분체(15)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분체(16)는 상기 제1 분체(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분체(16) 단부에 상기 걸림쇠(13)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분체(15)에는 회전홈(153)을 형성하는 회전돌기(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분체(16)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테두리(161)가 구비되어, 상기 절곡테두리(161)가 상기 회전돌기(151)를 감싸 회전홈(153)에 내삽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 분체(16)가 상기 제1 분체(15)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이중 잠금장치(D)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분체(16)를 회전시켜 걸림쇠(13)가 출입구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다시 회전시켜 상기 걸이대(23)의 체결공(23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도어노브(10)가 끼워지는 도어키(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도어키(20)는 도어에 고정되는 본체(22)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걸이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2)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을 덮어 걸이대(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커버(25) 내측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도어에는 상기 커버(25)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21)이 커버(25)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걸이대(23)가 회전 및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21)에는 상기 걸이대(23)의 단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부(211)가 형성되고, 이 제1 공간부(2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결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3)는 곡면형의 내측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결합부(213)에 후술하는 걸이대(23)의 결합돌기(235)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걸이대(23)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버(25)는 상기 브라켓(2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25)는 상기 결합부(213)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251)가 상하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251) 사이에는 상기 걸이대(23)가 회전 및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공간부(25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 공간부(253)는 상기 커버(25)와 브라켓(21)이 결합되는 경우, 제1 공간부(211)와 중첩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25)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3 피스공(255)과 제4 피스공(256)이 형성되어 도어에 피르를 통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3 피스공(255)과 제4 피스공(256)에는 어느 하나를 장공으로 형성하여, 설치 시 미세한 위치조정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걸이대(23)는 상기 걸림쇠(13)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233)이 형성된 바디부(231)와, 상기 바디부(231) 단부 상하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13)에 끼워질 수 있는 결합돌기(23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돌기(235)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결합돌기(235)가 상기 결합부(213)에 안착되어 상기 걸이대(23)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돌기(235)의 길이는 상기 결합부(213)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상기 걸이대(23)의 승하강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상기 걸이대(23)에는 체결공(2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공(233)은 상기 걸이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공(233a)과, 상기 이동공(233a)의 양측 단부에 상향 연장되어 단턱부(233c)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단속공(233b)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쇠(13)가 체결공(233)에 끼워지면, 상기 이동공(233a)을 따라 걸이대(23)의 양 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걸이대(23)를 하강시키면, 상기 걸림쇠(13)가 상기 단속공(233b)에 삽입되어 단턱부(233c)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도어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를 조금 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턱부(233c)에는 상기 단속공(233b)의 폭을 아래(이동공(233a) 방향)로 갈수록 좁아지게 하는 폭감소부(233d)를 더 형성하여, 단속공(233b)에 구비되는 걸림쇠(13)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걸이대(23)의 승하강 운동을 설명함과 동시에, 본 고안에 구비되는 스토핑수단(30)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토핑수단(30)은 상기 결합부(213)에 형성되는 스토핑볼(31)과, 상기 결합돌기(235) 외면에 구비되는 스토핑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토핑수단(30) 및 결합부(213)와 결합돌기(235)는 상하 한 쌍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부방향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하부에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과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게 된다.
먼저 상기 결합부(213)에는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될 수 있는 내삽홀(2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핑볼(31)을 상기 커버(25)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내삽홀(213a)에는 별도의 탄성부재(35)가 더 구비되게 된다.
우선, 상기 탄성부재(35)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1)의 후단(도어방향)에는 지지바(27)가 더 체결되며, 이 지지바(27)와 스토핑볼(31)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5)가 구비되어(상기 내삽홀(213a) 내에 탄성부재(35)가 구비된다.) 스토핑볼(31)이 커버(25)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돌기(235)에는 상시 스토핑볼(31)이 내삽될 수 있는 곡면형의 스토핑홈(33)이 형성되게 되는데,
하나의 결합돌기(235)에 상기 스토핑홈(33)이 서로 수직 배열되는 제1 홈(331) 및 제2 홈(333)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걸이대(23)에는 총 4개의 스토핑홈(33)이 형성되게 된다.
걸이대(23)의 승하강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걸이대(23)가 상승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홈(333)에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되어 걸이대(23)의 임의적 하강을 제한하고, 사용자가 걸이대(23)를 하강하면, 상기 탄성부재(35)에 의해 스토핑볼(31)이 내삽홀(213a)에 살짝 들어갔다가 나오면서 제1 홈(331)에 안착됨에 따라 걸이대(23)의 임의적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수직 배열되는 2개의 스토핑홈(33)에 의하여 걸이대(23)는 상승된 상태와 하강된 상태의 두 상태의 위치로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다 더 안정적으로 상기 걸이대(23)의 상승된 상태 및 하강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에는 스토핑돌기(37)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핑돌기(37)는 상기 결합부(213) 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상기 내삽홀(213a)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걸이대(2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홈(333)에는 스토핑볼(31)이 내삽되되, 상기 제1 홈(331)에는 상기 스토핑돌기(37)가 내삽되어 걸이대(23)가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걸이대(23)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보다 효과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내삽홀(213a) 및 스토핑돌기(37)와 같은 구성은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부(213)와 결합돌기(235)에도 동일하게 구성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이루어지며, 일 예로, 상기 스토핑돌기(37)는 상기 내삽홀(213a) 하부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으며, 각각의 동작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도어노브(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노브(10)의 걸림쇠(13)를 상기 하우징(1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보다 손쉽고 안전하게 고정하고, 출입문을 간섭하는 걸림쇠(13)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 및 편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는 탈착결합수단(S)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착결합수단을 설명하기에 앞서, 특정되지 않은 방향을 지정하면, 전방과 후방은 도 6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상부와 하부는 상기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결합블럭(S5)을 상기 결합홈(H1)으로 눌러 삽입시키면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블럭(S5)을 누르면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블럭(S5)은 상기 걸림쇠(13)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H1)은 상기 체결부(114)에 상기 결합블럭(S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결합홈(H1)의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S11)과 상기 결합블럭(S5)의 측벽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S11)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S2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S11)에는 전면에 톱니(S13)가 형성된 걸림판(S12)이 배치되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는 상기 톱니(S13)와 결합되는 대응톱니(S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은 상기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 삽입되는 것은 허용하나 후퇴하여 이탈하는 것은 불허한다.
상기 걸림판(S12)에는 막대(S14)가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막대(S14)의 양측은 전후스프링(S15)이 후방에서 탄성지지하여 막대(S14)를 전방으로 민다. 상기 결합블럭(S5)이 상기 결합홈(H1)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톱니(S23)가 상기 톱니(S13)를 밀면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후진하여 대응톱니(S23)의 삽입을 허용하고, 대응톱니(S23)가 삽입되면 상기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막대(S14)와 걸림판(S12)은 전진하여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결합되어 대응톱니(S23)의 후퇴를 불허한다.
상기 탈착결합수단(S)은 상기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으로 상기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블럭(S5)을 누르면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홈(H1)의 바닥에는 승강스프링(S25)으로 지지되는 승강판(S24)이 구비되어서 결합홈(H1)에 안착된 결합블럭(S5)을 상부측으로 민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승강스프링(S25)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스프링(S25)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돌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전면에서 상기 대응톱니(S23)의 옆에는 상기 대응톱니(S23)에서 이탈된 상기 톱니(S13)가 수용되는 가이드홈(S2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응톱니(S2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판(S12)을 옆으로 밀어 상기 톱니(S13)가 상기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여 수용되도록 하는 푸싱돌기(S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막대(S14)에는 상기 걸림판(S12)의 일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푸싱돌기(S29)가 상기 걸림판(S12)을 미는 힘이 소멸하면 걸림판(S12)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S16)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탈착결합수단(S)을 통해 상기 결합블럭(S5)을 누를 때마나 상기 결합블럭(S5)이 상기 결합홈(H1)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삽입돌출부(S21)가 상기 삽입홈(S11)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블럭(S5)을 결합홈(H1)에 넣으면 상기 승강판(S24)이 결합블럭(S5)을 탄성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결합블럭(S5)을 손가락으로 눌러 결합블럭(S5)의 표면이 받침대(20)의 표면과 일치되는 정도로 결합블럭(S5)을 살짝 누르면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의 톱니(S13)가 치합되어 걸림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판(S24)이 결합블럭(S5)을 상부로 탄성지지하고, 대응톱니(S23)와 톱니(S13)가 걸림결합되어서 결합블럭(S5)은 결합홈(H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결합홈(H1)에 안착되어 있는 결합블럭(S5)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의 바닥으로 하강을 한다. 결합블럭(S5)이 하강하면 삽입돌출부(S21)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푸싱돌기(S29)가 상기 삽입홈(S11) 내에 구비되는 걸림판(S12)을 일측으로 밀게 된다. 일측으로 밀리는 걸림판(S12)의 톱니(S13)는 상기 삽입돌출부(S21)의 대응톱니(S23)를 벗어나기 시작하여 종국에는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게 된다. 톱니(S13)가 가이드홈(S27)으로 이동하면 막대(S14)를 탄성지지하는 전후스프링(S15)에 의해 톱니(S13)는 전진하여 가이드홈(S27)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블럭(S5)을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승강판(S24)이 결합블럭(S5)을 상부로 밀어 결합홈(H1)에서 일부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S27)은 톱니(S13)를 따라 이동하여 톱니(S13)와 대응톱니(S23)의 충돌을 방지한다. 결합홈(H1)에서 일부 이탈된 결합블럭(S5)은 손가락으로 집어서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블럭(S5)이 결합홈(H1)에서 분리되면 걸림판(S12)을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S16)에 의해 걸림판(S12)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10 : 도어노브
11 : 하우징 111 : 제1 피스공
112 : 제2 피스공 114 : 체결부
114a : 회전방지턱 13 : 걸림쇠
131 : 기둥부 133 : 확장부
15 : 제1 분체 151 : 회전돌기
153 : 회전홈 16 : 제2 분체
161 : 절곡테두리 20 : 도어키
21 : 브라켓 211 : 제1 공간부
213 : 결합부 213a : 내삽홀
23 : 걸이대 231 : 바디부
233 : 체결공 233a : 이동공
233b : 단속공 233c : 단턱부
233d : 폭감소부 235 : 결합돌기
25 : 커버 251 : 덮개부
253 : 제2 공간부 255 : 제3 피스공
256 : 제4 피스공 27 : 지지바
30 : 스토핑수단 31 : 스토핑볼
33 : 스토핑홈 331 : 제1 홈
333 : 제2 홈 35 : 탄성부재
37 : 스토핑돌기
11 : 하우징 111 : 제1 피스공
112 : 제2 피스공 114 : 체결부
114a : 회전방지턱 13 : 걸림쇠
131 : 기둥부 133 : 확장부
15 : 제1 분체 151 : 회전돌기
153 : 회전홈 16 : 제2 분체
161 : 절곡테두리 20 : 도어키
21 : 브라켓 211 : 제1 공간부
213 : 결합부 213a : 내삽홀
23 : 걸이대 231 : 바디부
233 : 체결공 233a : 이동공
233b : 단속공 233c : 단턱부
233d : 폭감소부 235 : 결합돌기
25 : 커버 251 : 덮개부
253 : 제2 공간부 255 : 제3 피스공
256 : 제4 피스공 27 : 지지바
30 : 스토핑수단 31 : 스토핑볼
33 : 스토핑홈 331 : 제1 홈
333 : 제2 홈 35 : 탄성부재
37 : 스토핑돌기
Claims (4)
-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걸림쇠(13)가 구비되는 도어노브(10);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22)와, 상기 본체(22)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쇠(13)가 삽입되도록 체결공(233)이 형성된 걸이대(23)가 구비되는 도어키(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공(233)에 걸림쇠(1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대(23)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체결공(233) 내에서의 걸림쇠(13)의 움직임을 허용 또는 제한하고,
상기 걸이대(23)의 체결공(233)은
상기 걸이대(23)에 형성되는 이동공(233a)과, 상기 이동공(233a) 양측에 확장되어 단턱부를 형성하는 단속공(23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2)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부(213)가 형성된 브라켓(21)과, 상기 결합부(213)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21)에 결합되는 커버(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키(20)의 단부에는 상기 각각의 결합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결합돌기(235)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돌기(235)는 상기 결합부(213)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213)에 구비되는 스토핑볼(31)과, 상기 결합돌기(235) 외면에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될 수 있는 스토핑홈(33)을 포함하는 스토핑수단(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핑홈(33)은 상기 각각의 결합돌기(235) 외면에 상하 배열되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총 4개의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대(23)를 본체(22)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스토핑볼(31)이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핑홈(33)의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걸이대(23)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걸이대(23)는 상기 본체(22)로부터 수평을 유지한 채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233c)에는
상기 단속공(233b)의 폭을 좁아지게 하는 폭감소부(233d)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3)에는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내삽홀(213a)이 형성되고,
상기 내삽홀(213a)에 상기 스토핑볼(31)에 커버(25)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3)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213)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결합부(213) 상부에 구비되는 내삽홀(213a)의 상부와, 결합부(213) 하부에 구비되는 내삽홀(213a)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스토핑돌기(37)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이대(2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부의 스토핑홈(33) 중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되지 않은 스토핑홈(33)에 상기 결합부 상부에 위치하는 스토핑돌기(37)가 인입되고,
상기 걸이대(23)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하부의 스토핑홈(33) 중 상기 스토핑볼(31)이 내삽되지 않은 스토핑홈(33)에 상기 결합부 하부에 위치하는 스토핑돌기(37)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722U KR200490213Y1 (ko) | 2018-04-18 | 2018-04-18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722U KR200490213Y1 (ko) | 2018-04-18 | 2018-04-18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213Y1 true KR200490213Y1 (ko) | 2019-10-11 |
Family
ID=6816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722U KR200490213Y1 (ko) | 2018-04-18 | 2018-04-18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213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8153A (ja) * | 2004-10-20 | 2006-05-11 | Shinkansai Bearing Co Ltd | ドアガード |
KR101331892B1 (ko) * | 2012-03-13 | 2013-11-21 | 이호섭 | 여닫이문 잠금장치 |
-
2018
- 2018-04-18 KR KR2020180001722U patent/KR20049021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18153A (ja) * | 2004-10-20 | 2006-05-11 | Shinkansai Bearing Co Ltd | ドアガード |
KR101331892B1 (ko) * | 2012-03-13 | 2013-11-21 | 이호섭 | 여닫이문 잠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532450B (zh) | 安全大门 | |
CA2621975C (en) | A multifunctional lock | |
CN100475074C (zh) | 用于机动车辆座椅安全带的带扣 | |
KR200461272Y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US9328551B2 (en) | Safety gate assembly | |
RU2324042C2 (ru) |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двери | |
JPH10100752A (ja) |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7454285B2 (ja) | 梯子兼用脚立 | |
EP1106761B1 (en) | Safety lock for doors | |
KR200490213Y1 (ko) |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 |
JP2013064292A (ja) | スライド式門扉 | |
KR101569503B1 (ko) | 장식용 자물쇠 | |
JP3976553B2 (ja) | ゲーム機の施錠装置 | |
CN203097519U (zh) | 臂止动机构以及具有该臂止动机构的门窗 | |
JP4384579B2 (ja) | ドアガード | |
JP5502004B2 (ja) | 開放規制装置および建具 | |
JP5038051B2 (ja) | ゲーム機の施錠装置 | |
JP2010209568A (ja) | 扉の施解錠装置 | |
JP4306992B2 (ja) | 遊技機の施錠装置 | |
JP4266559B2 (ja) | パチンコ機用施錠装置 | |
CN214403354U (zh) | 防护门栏组件 | |
KR102346960B1 (ko) | 창문 잠금장치 | |
WO2018025123A1 (en) | Lock for doors and/or windows | |
KR20110023421A (ko) |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 |
KR200360661Y1 (ko) | 도어 손잡이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