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07Y1 -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07Y1
KR200490107Y1 KR2020190003097U KR20190003097U KR200490107Y1 KR 200490107 Y1 KR200490107 Y1 KR 200490107Y1 KR 2020190003097 U KR2020190003097 U KR 2020190003097U KR 20190003097 U KR20190003097 U KR 20190003097U KR 200490107 Y1 KR200490107 Y1 KR 200490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aring block
shaft
composite panel
pres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솔
Original Assignee
김청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솔 filed Critical 김청솔
Priority to KR2020190003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후 폐기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수지판과 알루미늄 박판을 효율적으로 서로 분리시켜 재활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는 제1구동스프라켓(11)이 결합된 모터(10)와, 제1롤러축(20A)의 일측에 제1종동스프라켓(21) 및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1)과 제1체인(12)을 통해 연결된 제2구동스프라켓(22)이 축설되며 상기 제1롤러축(20A)의 타측에 제1평기어(23)가 축설되고 외주면에 요철부(24)가 형성된 제1가압롤러(20)와, 상기 제1가압롤러(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축(30A)의 일측에 상기 제1평기어(23)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31)가 축설되며 외주면에 요철부(32)가 형성된 제2가압롤러(30)와,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상하부를 가열하는 화염분사부(50)와, 상기 화염분사부(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분사부(5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배출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The separator of a aluminium complex pannel}
본 고안은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후 폐기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수지판과 알루미늄 박판을 효율적으로 서로 분리시켜 재활용을 할 수 있게 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장식용 내외장재와 간판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폴리에틸렌수지(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수지판을 접합시킨 샌드위치 구조로서 한번 사용한 후에는 알루미늄 박판과 수지 소재가 재활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그대로 폐기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폐기되는 복합패널은 대개 소각 처리되는데 소각시에는 공해로 인한 환경 오염이 심각하게 야기되고 특히, 고가인 알루미늄 박판이나 수지 소재가 자원으로서 재활용되지 않고 폐기됨으로써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크다.
따라서, 폐기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수지판과 알루미늄 박판으로 분리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91873호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폐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수지판과 알루미늄 박판으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는,
알루미늄 박판 사이에 수지판이 접착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알루미늄 박판과 수지판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ON/OFF제어하는 ON/OFF스위치와 연결되고 모터축에 제1구동스프라켓이 결합된 모터; 제1롤러축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롤러축의 일측에 제1종동스프라켓 및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과 제1체인을 통해 연결된 제2구동스프라켓이 축설되며, 상기 제1롤러축의 타측에 제1평기어가 축설되고,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제1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롤러축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2베어링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롤러축의 일측에 상기 제1평기어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가 축설되며,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제2가압롤러;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로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상하부를 가열하는 화염분사부; 및 상기 화염분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분사부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과 수지판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베어링블록과 제2베어링블록은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측 프레임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베어링블록은 상기 롤러측 프레임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블록은 상기 제1베어링블록의 상측에서 상기 롤러측 프레임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단에 핸들을 가진 조절볼트가 상기 롤러측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블록의 상측에 직립 배치되고, 상기 화염분사부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염분사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염분사구는 가스분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과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받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가스분배관은 T자형 파이프 조인트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 및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과 연결되되 상기 가스분배관과 가스공급관은 수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은 에어컴프레서와 연결된 공기공급관과 결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가스분배관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T자형 파이프 조인트의 일단에 체결되되 상기 가스공급관에서 T자형 파이프 조인트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제한되도록 외경이 T자형 파이프 조인트의 내경 보다 작은 코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부가 T자형 파이프 조인트의 내측에서 상기 가스분배관이 체결된 T자형 파이프 조인트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관에는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에는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측 프레임 상에 베어링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이 축설됨과 아울러 일단부측에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과 제2체인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이 축설된 제1벨트축과, 배출측 프레임 상에 베어링부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제1벨트축의 후방측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이 축설된 제2벨트축과,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과 수지판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제3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제3체인과 함께 배출측 프레임 상에서 회전하는 배출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블록과 제2베어링블록은 각각 레이디얼 볼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이 상기 제1롤러축과 제2롤러축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레이디얼 볼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이 상기 제1벨트축과 제2벨트축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가열에 필요한 가스의 양을 현저하게 줄여 저비용으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분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아주 경제적으로 재활용 가능한 알루미늄과 수지 소재를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를 배출부측에서 바라본 사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를 안내부측에서 바라본 사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모터측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롤러측 프레임과 가압롤러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의 화염분사구 부위를 바라본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배출부 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8과 도 9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가스분배관, 가스공급관, 및 공기유입관 등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결합 관계 또는 구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를 통해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가압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롤러측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고안의 가스분배관, 가스공급관, 공기유입관, 및 공기공급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고안의 공기유입관과 T자형 파이프조인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는 알루미늄 박판(1) 사이에 수지판(2)이 접착된 폐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으로 서로 분리시키되 매우 경제적인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지판(2)은 통상 불연재 또는 준불연재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사이즈로 절단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안내부(40)에 올려놓고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롤러측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로 밀어넣으면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에 의해 가압된 후 화염분사구(51)에 의해 가열되어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이 배출벨트(603)를 통해 배출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 가스는 화염분사구(51)의 상측에 설치되는 후드(H)를 통해 배기된다.
본 고안의 상기 공정과 구동 관계를 도면을 참조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은 모터(10), 제1가압롤러(20), 제2가압롤러(30), 안내부(40), 화염분사부(50), 및 배출부(60)를 포함한다.
도 3,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10)는 본 고안의 장치 일측에 설치된 전원을 ON/OFF제어하는 ON/OFF스위치(S)와 연결되고 모터축(10A)에 제1구동스프라켓(11)이 결합된다. 본 고안의 모터(10)는 감속기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ON/OFF스위치(S)의 ON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제1구동스프라켓(11)을 회전시킨다.
본 고안의 제1가압롤러(20)는 제1롤러축(20A)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베어링블록(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롤러축(20A)의 일측에 제1종동스프라켓(21) 및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1)과 제1체인(12)을 통해 연결된 제2구동스프라켓(22)이 축설되며, 상기 제1롤러축(20A)의 타측에 제1평기어(23)가 축설되고, 외주면에 요철부(24)가 형성된다. (도 3,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5 참조)
상기 제1롤러축(20A)과 제1종동스프라켓(21), 제2구동스프라켓(22), 및 제1평기어(23)간의 결합은 키 결합과 같은 공지의 기계요소 결합 구조가 채택된다. 상기 요철부(24)는 도 3, 도 5,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요철 형태가 일정 간격으로 원통형인 제1가압롤러(2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가압롤러(30)는 상기 제1가압롤러(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롤러축(30A)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2베어링블록(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롤러축(30A)의 일측에 상기 제1평기어(23)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31)가 축설되며, 외주면에 요철부(32)가 형성된다. (도 3, 도 5, 도 11, 도 14, 및 도 15 참조)
마찬가지로, 제2롤러축(30A)과 제2평기어(31)간의 결합은 키 결합과 같은 공지의 기계요소 결합 구조가 채택된다. 요철부(32)도 상기 요철부(24)와 대응되게 도 3, 도 5,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요철 형태가 일정 간격으로 원통형인 제2가압롤러(3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내부(40)에서 밀어넣어진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도 14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20, 30)에 의해 가압되게 된다.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은 도 11,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양측에 설치 또는 축설되는 제1베어링블록(110)과 제2베어링블록(120)을 통해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과 제2베어링블록(12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공지의 레이디얼 볼베어링(111, 121)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111, 121)이 상기 제1롤러축(20A)과 제2롤러축(30A)의 양측에 축설되어 각각 상기 제1롤러축(20A)과 제2롤러축(30A)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고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이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이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의 상측에서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10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결과,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통과할때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이 상기 가이드홈(101)을 따라 상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가압롤러(30)도 함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 15의 화살표 방향 참조)
따라서, 소정 두께를 가진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로 밀려들어올 때 상기 제2가압롤러(30)가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두께 만큼 들어올려져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로 통과하면서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2가압롤러(30)의 구조에 의해 다양한 두께의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본 고안의 장치를 통해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단에 핸들(130A)을 가진 조절볼트(130)가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의 상측에 직립 배치된다.
상기 조절볼트(130)의 기능은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이 상측으로 이동했을 때 조절볼트(130)의 하단에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이 접촉되어 또는 걸려서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통과할 때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이 조절볼트(130)의 하단에 접촉될 때까지만 상승하여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에 가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과 조절볼트(130)의 하단 사이의 간격 또는 제2베어링블록(120)의 최대 상승 높이는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흔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리 작업 대상인 폐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두께에 따라서 작업자가 롤러측 프레임(100)에 나사 결합된 조절볼트(130)의 핸들(130A)을 이용하여 조절볼트(130)를 돌려서 제2베어링블록(120)과 조절볼트(130)의 하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130)를 이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알루미늄 복합패널에 대해 적절한 가압력을 가하면서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제1가압롤러(20)의 요철부(24)와 제2가압롤러(30)의 요철부(32)에 의해 가압 또는 압입되어 변형이 생긴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간의 접착 부위가 떨어지거나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어서,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여 가압 또는 압인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은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화염분사부(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게 된다.
상기 화염분사부(50)는 도 1, 도 6,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염분사구(51)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을 분사하는 일련의 화염분사구(51)가 상하 대응되게 다수 열로 설치되고, 상하로 설치된 화염분사구(51) 사이로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통과하면서 상측과 하측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의해 상하부가 가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복합패널이 가열됨으로써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용융되어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간의 접착력이 사라져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화염분사구(51)는 가스분배관(2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01)과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받아 화염을 분사한다. 본 고안의 가스 공급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고안의 배출부(60)는 상기 화염분사부(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분사부(5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도 6, 도 7,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벨트축(601), 제2벨트축(602), 및 배출벨트(6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벨트축(601)은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 베어링부재(51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으로서,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61)이 축설됨과 아울러 일단부측에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1)과 제2체인(25)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62)이 축설된다.
상기 제2벨트축(602)은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 베어링부재(51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제1벨트축(601)의 후방측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61)이 축설된다.
상기 배출벨트(603)는 상기 화염분사부(50)에 통해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종동스프라켓(61)을 연결하는 제3체인(63)과 결합되어 상기 제3체인(63)과 함께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베어링부재(510)는 도 7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공지의 레이디얼 볼베어링(511)을 구비하여 상기 제1벨트축(601)과 제2벨트축(602)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벨트축(601, 602)과 레이디얼 볼베어링(511)의 결합 구조는 공지의 기계요소 결합 구조가 채택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 장치의 구동 관계를 설명한다.
ON/OFF스위치(S)를 ON조작하여 모터(10)를 구동시키면 제1구동스프라켓(11)이 회전하고 제1체인(12)을 통해 제2구동스프라켓(22)이 회전한다. 그 결과 제1롤러축(20A)이 회전하여 제1가압롤러(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제1종동스프라켓(21)과 제1평기어(23)가 회전한다.
제1평기어(23)가 회전함으로써 이것과 치합된 제2평기어(31)가 회전하여 제2가압롤러(3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종동스프라켓(21)이 회전함으로써 제1종동스프라켓(21)과 제2체인(25)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62)이 회전하여 제1벨트축(601)을 회전시킨다.
제1벨트축(601)이 회전함으로써 제1벨트축(601)에 축설된 제3종동스프라켓(61)이 회전하고 제2벨트축(602)에 축설된 제3종동스프라켓(61)은 제3체인(63)을 통해 상기 제1벨트축(601)의 제3종동스프라켓(61)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제3체인(63)과 결합된 배출벨트(603)는 제3체인(63)과 함께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배출벨트(603)에 올려지는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되게 된다.
이제, 도 10, 도 16,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 장치의 가스 공급 구조 또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분배관(200)은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를 통해 가스(G)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300) 및 압축공기(A)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400)과 연결되는데, 상기 가스분배관(200)과 가스공급관(300)은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화염분사부(50)에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지의 가스를 사용하되 사용되는 가스의 양을 현저하게 줄이기 위해 압축공기와 가스를 동시에 화염분사부(50) 또는 화염분사구(51)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를 이용하여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400)과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300)을 연결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공기유입관(400)은 공지의 에어컴프레서와 연결된 공기공급관(410)과 결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가스분배관(200)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공기공급관(410)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관(400)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400A)이 형성되고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일단부의 내주에 나사산부(70A)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400A)을 나사산부(70A)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유입관(400)을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에 체결한다.
본 고안의 공기유입관(400)은 상기 가스공급관(300)에서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제한되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d)이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경(D) 보다 작은 코어부(401)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부(401)가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측에서 상기 가스분배관(200)이 체결되는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 내부의 일정 공간을 상기 코어부(401)가 차지하게 되므로 가스공급관(300)에서 공급되는 가스(G)는 상기 코어부(401)가 차지하지않는 공간(도 17c에서 70B 공간)을 통해서만 가스분배관(200)으로 유동하게 되고, 도 16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가스(G)는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타단까지 연장된 공기유입관(400)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와 가스분배관(200)에서 혼합되게 된다.
도 17b와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관(400)이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70B로 표기된 공간을 통해서만 배출된 소량 또는 적정량의 가스(G)가 가스분배관(200)에서 역류하지 않고 압축공기(A)와 혼합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가스를 화염분사부(50)로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고화력이면서 매우 경제적으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공급관(300)에는 공급되는 가스(G)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3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410)에는 공급되는 압축공기(A)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42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밸브(310, 420)는 가스공급관(300)과 공기공급관(410)의 내부 관로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밸브가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 일측에 ON/OFF스위치(S) 등이 설치된 제어반(700)이 설치될 수 있고, 제1구동스프라켓(11), 제1체인(12), 제1종동스프라켓(21), 제2구동스프라켓(22), 제2체인(25), 및 제2종동스프라켓(62)의 구성을 외측에서 커버하기 위해 커버부재(800)이 상기 구성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알루미늄 박판, 2: 수지판,
10: 모터, 10A: 모터축, 11: 제1구동스프라켓,
12: 제1체인, 20: 제1가압롤러, 20A: 제1롤러축,
21: 제1종동스프라켓, 22: 제2구동스프라켓, 23: 제1평기어,
24: 제1요철부, 25: 제2체인, 30: 제2가압롤러,
30A: 제2롤러축, 31: 제2평기어, 32: 제2요철부,
40: 안내부, 50: 화염분사부, 51: 화염분사구,
60: 배출부, 61: 제3종동스프라켓, 62: 제2종동스프라켓,
63: 제3체인, 70: T자형 파이프조인트,
100: 롤러측 프레임, 101: 가이드홈,
110: 제1베어링블록, 111: 레이디얼 볼베어링,
120: 제2베어링블록, 121: 레이디얼 볼베어링,
130: 조절볼트, 130A: 핸들, 200: 가스분배관,
201: 분기관, 300: 가스공급관, 400: 공기유입관,
401: 코어부, 410: 공기공급관, 500: 배출측 프레임,
510: 베어링부재, 511: 레이디얼 볼베어링,
601: 제1벨트축, 602: 제2벨트축, 603: 배출벨트.

Claims (1)

  1. 알루미늄 박판(1) 사이에 수지판(2)이 접착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으로 분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ON/OFF제어하는 ON/OFF스위치(S)와 연결되고 모터축(10A)에 제1구동스프라켓(11)이 결합된 모터(10);
    제1롤러축(20A)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1베어링블록(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롤러축(20A)의 일측에 제1종동스프라켓(21) 및 상기 제1구동스프라켓(11)과 제1체인(12)을 통해 연결된 제2구동스프라켓(22)이 축설되며, 상기 제1롤러축(20A)의 타측에 제1평기어(23)가 축설되고, 외주면에 요철부(24)가 형성된 제1가압롤러(20);
    상기 제1가압롤러(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롤러축(30A)이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2베어링블록(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롤러축(30A)의 일측에 상기 제1평기어(23)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31)가 축설되며, 외주면에 요철부(32)가 형성된 제2가압롤러(30);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로 상기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안내하는 안내부(40);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상하부를 가열하는 화염분사부(50); 및
    상기 화염분사부(5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분사부(5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배출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과 제2베어링블록(120)은 상기 제1가압롤러(20)와 제2가압롤러(30)의 양측에 설치되는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설치되되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은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은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의 상측에서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10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핸들(130A)을 가진 조절볼트(130)가 상기 롤러측 프레임(10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블록(120)의 상측에 직립 배치되고,
    상기 화염분사부(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염분사구(51)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염분사구(51)는 가스분배관(2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01)과 각각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받으며,
    상기 가스분배관(200)은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를 통해 가스(G)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300) 및 압축공기(A)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400)과 연결되되 상기 가스분배관(200)과 가스공급관(300)은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기유입관(400)은 에어컴프레서와 연결된 공기공급관(410)과 결합하여 압축공기를 상기 가스분배관(200)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일단에 체결되되 상기 가스공급관(300)에서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이 제한되도록 외경(d)이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경(D) 보다 작은 코어부(401)를 구비하여 상기 코어부(401)가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내측에서 상기 가스분배관(200)이 체결된 T자형 파이프 조인트(70)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스공급관(300)에는 공급되는 가스(G)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3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410)에는 공급되는 압축공기(A)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420)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부(60)는,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 베어링부재(51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61)이 축설됨과 아울러 일단부측에 상기 제1종동스프라켓(21)과 제2체인(25)을 통해 연결된 제2종동스프라켓(62)이 축설된 제1벨트축(601)과,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 베어링부재(51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제1벨트축(601)의 후방측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양측에 제3종동스프라켓(61)이 축설된 제2벨트축(602)과,
    서로 분리된 알루미늄 박판(1)과 수지판(2)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3종동스프라켓(61)을 연결하는 제3체인(63)과 결합되어 상기 제3체인(63)과 함께 배출측 프레임(500) 상에서 회전하는 배출벨트(6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어링블록(110)과 제2베어링블록(120)은 각각 레이디얼 볼베어링(111, 121)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111, 121)이 상기 제1롤러축(20A)과 제2롤러축(30A)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베어링부재(510)는 레이디얼 볼베어링(511)을 구비하여 상기 레이디얼 볼베어링(511)이 상기 제1벨트축(601)과 제2벨트축(602)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KR2020190003097U 2019-07-24 2019-07-24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KR200490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97U KR200490107Y1 (ko) 2019-07-24 2019-07-24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97U KR200490107Y1 (ko) 2019-07-24 2019-07-24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107Y1 true KR200490107Y1 (ko) 2019-09-25

Family

ID=6806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97U KR200490107Y1 (ko) 2019-07-24 2019-07-24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437B1 (ko) 2021-04-05 2021-08-24 유성운 개량된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73Y1 (ko) 2002-07-08 2002-10-11 신명철 복합판넬의 분리장치
US20070028432A1 (en) * 2005-08-03 2007-02-08 Alc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site panels into metal skins and polymer co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73Y1 (ko) 2002-07-08 2002-10-11 신명철 복합판넬의 분리장치
US20070028432A1 (en) * 2005-08-03 2007-02-08 Alco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site panels into metal skins and polymer co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437B1 (ko) 2021-04-05 2021-08-24 유성운 개량된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107Y1 (ko) 알루미늄 복합패널 분리장치
CN104056757A (zh) 隔震支座骨架材料胶黏剂的自动喷涂线及工艺
CN103072290A (zh) 连续玻纤布热塑性塑料叠压板的生产设备
KR20060024838A (ko)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WO2020087832A1 (zh) 桶身激光焊接机及其使用方法
DE4026802A1 (de) Vorrichtung zum kaschieren einer leiterplatte
CN106623214A (zh) 一种高压热水清洗机
KR102240154B1 (ko) 유리판 다중 공급장치
CN205522858U (zh) 一种封闭式冷却型单、双面玻纤布覆膜机
EP18883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lamination
CN210706146U (zh) 一种pvc阻燃塑木复合材料热压装置
CN111409159A (zh) 竹展平板的连续化生产系统及其生产方法
CN103287051B (zh) 一种蜂窝复合轻隔墙的复合压板系统和制造方法
CN2579528Y (zh) 薄膜复贴机
KR200420328Y1 (ko) 방수시공장치
CN206481499U (zh) 贴片元件更换设备
CN105365331A (zh) 一种封闭式冷却型单、双面玻纤布覆膜机
CN112917341B (zh) 一种实木复合板生产加工工艺
CN110497685B (zh) 一种台布热压印花生产线
WO20070946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with multi-layer wall
CN209999783U (zh) 一种节能型瓦楞纸板单面瓦加工设备
CN210063480U (zh) 一种水冷脱气封口一体机
CN215030541U (zh) 一种用于多层瓦楞纸板生产的快速涂胶装置
CN214419768U (zh) 一种瓦楞纸预热装置
CN207903395U (zh) 溜槽形变除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