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95Y1 - 웨어러블 마스크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95Y1
KR200490095Y1 KR2020180002494U KR20180002494U KR200490095Y1 KR 200490095 Y1 KR200490095 Y1 KR 200490095Y1 KR 2020180002494 U KR2020180002494 U KR 2020180002494U KR 20180002494 U KR20180002494 U KR 20180002494U KR 200490095 Y1 KR200490095 Y1 KR 200490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user
contact member
cas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태
Original Assignee
방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태 filed Critical 방기태
Priority to KR202018000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마스크{WEARABLE MASK}
본 고안은 웨어러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유해가스, 방한 또는 세균 침투 방지 등 여러 목적을 위하여 위생용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의 본체는 필터 역할을 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기능 섬유로 제작된다. 사용자는 본체에 연결된 끈을 당겨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한다.
그런데, 종래 마스크 착용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마스크의 끈을 귀에 걸도록 길게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휴대하기 불편하다.
둘째, 마스크의 끈을 귀에 착용하므로 귀에 부담을 주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으며, 안경과 같이 착용하는 경우 끈이 안경 다리와 중복되어 걸쳐져 번거롭다.
셋째, 끈의 길이는 마스크 마다 일정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지나치게 조이거나 헐거운 느낌을 줄 수 있다. 특히 방진이나 미세먼지 차단용의 마스크는 착용 시 콧등과 얼굴 사이의 공간이 되도록 좁아 측면에서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야 하지만, 끈이 헐거운 경우 예정된 기능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마스크에 있어서 종래의 끈을 대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9999호등 여러 특허는 마스크의 끈 길이를 조절하거나 마스크 본체와 끈 사이의 연결부위를 개조한 발명을 개시하고는 있지만, 끈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웨어러블 마스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9999호
본 고안은 웨어러블 마스크가 안면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에 부가되는 끈과 같은 걸이 도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웨어러블 마스크의 본체를 일회용품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만을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웨어러블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다른 측면에 특정 문자가 배치되는 케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 부재;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상기 제1 서브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접철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중앙에 위치한 전면과, 전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약간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면과, 지지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넓은 확장면을 형성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의 일측면이 상기 확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케이스에 연결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별도의 지지면 없이 전면과 다리부가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면은 내부층과 외부층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는 상기 내부층과 외부층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 및, 투명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중앙에 위치한 전면과, 전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약간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면과, 지지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넓은 확장면을 형성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상기 확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안면 접촉 부재는 사용자의 볼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며,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다른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볼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볼에 안면 접촉 부재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 웨어러블 마스크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고안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마스크가 안면의 일부에 착용될 때 오목홈을 통해 안면의 일부에 밀착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을 위해 끈과 같은 걸이 도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마스크의 본체를 일회용품으로 형성하더라도 본체만을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마스크"는 방안 마스크, 위생용 마스크, 미세먼지 방지용 마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의 일부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200)를 포함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본체(200)의 측면 테두리에 부착되어 본체(200)와 연결된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자가 웨어링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의 일부에 접촉하여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의 안면 고정 부재(100)는 구현되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의 다양한 부위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면 고정 부재(100)는 웨어러블 마스크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면 중 볼 주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본체(200)는 마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 주변을 가려 보호한다. 본체(200)는 천과 같은 섬유 부직포 또는 투명 재질의 글라스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접히거나 늘어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는 마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 주변을 가려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거나 사용자가 말을 할 때 침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연결 부재(102) 및 케이스 부재(103)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단순히 연결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없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 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그 높이가 변경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는 비워있어 공기만이 존재하며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되면 사용자의 안면과 접하는 접촉력에 따라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 부재(102)는 본체(200)에 연결되며,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체(200)가 일회용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연결 부재(102)를 본체(200)에서 분리한 후 다른 본체(200)에 연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체(200)가 일회용 마스크로 구현되는 경우 일회용 마스크를 버려야 할 때 연결 부재(102)를 일회용 마스크의 본체(200)에서 분리한 후 다른 일회용 마스크에 연결하여 다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에는 상기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안면 고정 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어 안면 고정 부재를 본체 방향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안면 접촉 부재(101),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케이스 부재(103),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를 포함한다. 즉, 안면 고정 부재가 힌지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2의 연결 부재가 도 3과 같이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제2 서브 연결 부재(104), 및 접철부재(105)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제 1서브 연결 부재(102)의 삽입 홈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특정 깊이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었을 때 오목홈을 통해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안면 접촉 부재(101)는 웨어러블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웨어러블 되었을 때 안면의 면적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안면 접촉 부재(101)에서 연결 부재(102)에 결합되는 다른 측면에는 특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101)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면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 케이스 부재(103)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와 연결된다.
상기의 제1 서브 연결 부재(102)는 안면 접촉 부재(101)와 연결되기 위해 중앙에 특정 크기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 홈에는 안면 접촉 부재(101)가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홈의 크기 및 모양은 삽입 홈에 삽입되는 안면 접촉 부재(101)의 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는 본체(200)에 연결된다. 본체(200)가 일회용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를 본체(200)에서 분리한 후 다른 본체에 연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 부재(103)에는 특정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부재(103)는 웨어러블 안면 장치가 스포츠 고글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안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로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접철 부재(105)는 고정핀으로 안면 고정 부재(100)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제1 서브 연결 부재(102) 및 제2 서브 연결 부재(104)를 연결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웨어러블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로, 식당의 주방이나 식음료점의 카운터에서 직원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위생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본체(200)는 투명 재질의 글라스나 합성 수지로 제작되며, 천으로 제작되는 마스크와 달리 경질이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안면 접촉 부재(101)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연결 부재(102) 및 케이스(103)를 포함하지 않으며, 대신 본체(200)를 수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20)는 중앙에 위치한 전면(114)과, 전면(114)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약간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면(116)과, 지지면(114)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지면(114)보다 가느다란 형상의 다리부(112)로 이루어진다. 전면(114)에는 사용자의 턱과 턱 부근에 놓기 위한 패드(114a)가 설치되고, 지지면(116)에는 개방 슬롯(118)이 형성되며, 슬롯(118) 내부에는 방진을 위한 도시하지 않은 필터가 부착될 수 있다.
전면(114)과 지지면(116)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층 사이에 존재하는 틈 또는 슬롯을 통하여 본체(2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다리부(112)의 타측은 넓게 확장된 확장면(110)으로 형성하고, 확장면(110)에 삽입 홈(110a)을 두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101)의 측면(101a)이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의 볼에 접촉되어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100) 및 안면 고정 부재(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입 주변을 가리는 본체(200)를 포함하고 있다.
안면 고정 부재(100)는 사용자의 안면 중 볼 주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면 고정 부재(100)는 다양한 탄력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고정 부재(10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20)에 바로 안면 접촉 부재(101)를 연결하면 되므로, 케이스(120)와 안면 접촉 부재(101)를 모듈로 제조하고, 본체(200)만을 교환하는 것으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별도의 연결 부재(102)나 케이스(103)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상품성이 우수하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이다.
케이스(120)는 중앙과 측면에 위치한 전면(114a)과, 전면(114a)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전면(114a)보다 가느다란 형상의 다리부(112)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지지면(116)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전면(114a)중앙의 하부에는 하나의 패드(114b)를 설치하고 있다.
전면(114a)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층 사이에 존재하는 틈 또는 슬롯을 통하여 본체(200)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리부(112)의 타측은 넓게 확장된 확장면(110)으로 형성하고, 확장면(110)에 삽입 홈(110a)을 두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101)의 측면(101a)이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도 4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와 기능을 발휘하며, 더욱 간단하고 심플한 구조인 점에서 제작이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안면 고정 부재 101: 안면 접촉 부재
102: 연결 부재 103: 케이스 부재
200: 본체

Claims (7)

  1. 웨어러블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 및,
    투명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중앙에 위치한 전면과, 전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약간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면과, 지지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넓은 확장면을 형성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상기 확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안면 접촉 부재는 사용자의 볼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며,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다른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볼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볼에 안면 접촉 부재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
    웨어러블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웨어러블 마스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 중 입 부위를 가려 보호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고정 부재; 및,
    투명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중앙과 측면에 위치한 전면과, 전면의 양측에서 분기되어 곡선형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넓은 확장면을 형성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면 고정 부재는 사용자의 안면 중 일부에 접촉하여 해당 부위에 밀착되는 안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상기 확장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면 접촉 부재가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안면 접촉 부재는 사용자의 볼에 접촉하여 밀착되고,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며,
    안면에 접촉되는 일측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다른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안면 접촉 부재가 웨어러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볼의 면적에 따라 높이가 변경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볼에 안면 접촉 부재가 밀착 접촉되도록 한
    웨어러블 마스크.
  6. 삭제
  7. 삭제
KR2020180002494U 2018-06-07 2018-06-07 웨어러블 마스크 KR200490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94U KR200490095Y1 (ko) 2018-06-07 2018-06-07 웨어러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94U KR200490095Y1 (ko) 2018-06-07 2018-06-07 웨어러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95Y1 true KR200490095Y1 (ko) 2019-09-24

Family

ID=6806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94U KR200490095Y1 (ko) 2018-06-07 2018-06-07 웨어러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95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68A (ko) * 2018-06-26 2020-01-06 방기태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KR20210084318A (ko) * 2019-12-27 2021-07-07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20010345A (ko) * 2020-07-17 2022-01-25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KR102362274B1 (ko) * 2020-09-09 2022-02-14 주식회사 루비원 호흡기용 공기 청정 장치
KR20220019219A (ko) 2020-08-09 2022-02-16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WO2022035007A1 (ko)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20021388A (ko) 2020-08-13 2022-02-22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20045354A (ko) * 2020-10-05 2022-04-12 박승영 마스크 지지장치
KR20220050473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볼라르 조리용 위생 마스크
KR20220121653A (ko) 2021-02-25 2022-09-01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WO2022181853A1 (ko) * 2021-02-25 2022-09-01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KR20230120912A (ko) 2022-02-10 2023-08-17 (주)코리아테크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172A (ko) * 2010-02-11 2011-08-18 (주)유영지앤아이 위생 마스크
CN102370271A (zh) * 2010-08-06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口罩
CN102370272A (zh) * 2010-08-06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口罩
WO2012077875A1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위생 마스크
KR101196265B1 (ko) * 2010-07-02 2012-11-05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KR20130013454A (ko) * 2011-07-28 2013-02-06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KR20130013450A (ko) * 2011-07-28 2013-02-06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KR101274165B1 (ko) * 2010-09-07 2013-06-13 심규성 한쪽 귀 고정타입 위생마스크
KR20130006070U (ko) * 2012-04-11 2013-10-21 창훙 라이 분리 조절형 구강 마스크
US20140096778A1 (en) * 2012-10-09 2014-04-10 Wen-Chun Huang Mask
KR101510142B1 (ko) * 2014-03-10 2015-04-08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150105267A (ko) * 2014-03-07 2015-09-16 오앤피주식회사 위생마스크
KR20160024766A (ko) * 2014-08-26 2016-03-07 씨우 니 리 마스크
KR20170000698A (ko) * 2015-06-24 2017-01-03 임욱 마스크
KR20170119999A (ko) 2016-04-20 2017-10-30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CN107485082A (zh) * 2017-10-10 2017-12-19 安徽淝上人家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餐饮用口罩
JP3216077U (ja) * 2018-02-21 2018-05-10 株式会社旭創業 衛生マスク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172A (ko) * 2010-02-11 2011-08-18 (주)유영지앤아이 위생 마스크
KR101196265B1 (ko) * 2010-07-02 2012-11-05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CN102370271A (zh) * 2010-08-06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口罩
CN102370272A (zh) * 2010-08-06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口罩
KR101274165B1 (ko) * 2010-09-07 2013-06-13 심규성 한쪽 귀 고정타입 위생마스크
WO2012077875A1 (ko) * 2010-12-06 2012-06-14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위생 마스크
KR20130013454A (ko) * 2011-07-28 2013-02-06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KR20130013450A (ko) * 2011-07-28 2013-02-06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KR20130006070U (ko) * 2012-04-11 2013-10-21 창훙 라이 분리 조절형 구강 마스크
US20140096778A1 (en) * 2012-10-09 2014-04-10 Wen-Chun Huang Mask
KR20150105267A (ko) * 2014-03-07 2015-09-16 오앤피주식회사 위생마스크
KR101510142B1 (ko) * 2014-03-10 2015-04-08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160024766A (ko) * 2014-08-26 2016-03-07 씨우 니 리 마스크
KR20170000698A (ko) * 2015-06-24 2017-01-03 임욱 마스크
KR20170119999A (ko) 2016-04-20 2017-10-30 박정호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CN107485082A (zh) * 2017-10-10 2017-12-19 安徽淝上人家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餐饮用口罩
JP3216077U (ja) * 2018-02-21 2018-05-10 株式会社旭創業 衛生マスク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767B1 (ko) 2018-06-26 2020-06-29 방기태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KR20200000868A (ko) * 2018-06-26 2020-01-06 방기태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KR102389033B1 (ko) * 2019-12-27 2022-04-22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10084318A (ko) * 2019-12-27 2021-07-07 (주)코리아테크 안면에 고정되는 장치
KR20220010345A (ko) * 2020-07-17 2022-01-25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KR102502771B1 (ko) 2020-07-17 2023-03-24 (주)케이인벤티오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마스크
KR20220019219A (ko) 2020-08-09 2022-02-16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재와 코 덮개를 포함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
WO2022035007A1 (ko) 2020-08-13 2022-02-17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20021388A (ko) 2020-08-13 2022-02-22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WO2022055057A1 (ko) * 2020-09-09 2022-03-17 주식회사 루비원 호흡기용 공기 청정 장치
KR102362274B1 (ko) * 2020-09-09 2022-02-14 주식회사 루비원 호흡기용 공기 청정 장치
KR20220045354A (ko) * 2020-10-05 2022-04-12 박승영 마스크 지지장치
KR102549194B1 (ko) * 2020-10-05 2023-06-30 권용환 마스크 지지장치
KR20220050473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볼라르 조리용 위생 마스크
KR20220121653A (ko) 2021-02-25 2022-09-01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WO2022181853A1 (ko) * 2021-02-25 2022-09-01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KR102562912B1 (ko) * 2021-02-25 2023-08-04 (주)코리아테크 측면 고정부와 누름부를 포함하는 uv 차단 마스크
KR20230120912A (ko) 2022-02-10 2023-08-17 (주)코리아테크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095Y1 (ko) 웨어러블 마스크
EP2191736B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020126253A1 (en) Resilient non-smooth projection member on eyeglasses temples
US20220079267A1 (en) Face mask attachment device
KR200240801Y1 (ko)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3153206U (ja) マスク付ゴーグルおよびそのマスク
WO2004075992A1 (en) Spit splash preventing mask
US20210360997A1 (en) Transparent Protective Face Mask
US20190324295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20210113771A (ko) 안경 김서림방지 클립
KR20170028685A (ko) 안경용 기능성 보조기구
KR102441569B1 (ko) Uv와 유해물질 차단을 위한 안면 보호 마스크
KR20200013561A (ko) 마스크 탈부착용 코 패드
US20220079266A1 (en) Face mask attachment device
JP3221925U (ja) 保護用眼鏡
KR102461924B1 (ko) 안경을 위한 김서림 방지장치
KR102347421B1 (ko) 안면 보호용 마스크부재
JP3691006B2 (ja) 防塵眼鏡
KR200474269Y1 (ko) 안대
KR20180113798A (ko) 귀마개 겸용 마스크
KR102390655B1 (ko) 기능성 마스크
CN213487076U (zh) 一种防护面罩
CN208807661U (zh) 具眼镜功能的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