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68A -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68A
KR20200000868A KR1020180073074A KR20180073074A KR20200000868A KR 20200000868 A KR20200000868 A KR 20200000868A KR 1020180073074 A KR1020180073074 A KR 1020180073074A KR 20180073074 A KR20180073074 A KR 20180073074A KR 20200000868 A KR20200000868 A KR 2020000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face
attachment member
adapt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767B1 (ko
Inventor
방기태
Original Assignee
방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태 filed Critical 방기태
Priority to KR102018007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67B1/ko
Priority to PCT/KR2019/007718 priority patent/WO2020004930A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4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부착장치는 내부를 통과하는 동공을 구비하고, 다층 구조로 형성되므로 안면의 피부와 접하는 하면이 피부에 흡인력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부착장치를 안면의 볼이나 이마 양측에 바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를 귀에 걸칠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상품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Attachment member for frontal face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안면에 편리하고 안정하게 부착할 수 있는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글, 안경, 마스크, 보안경, 마사지 장치등 인체 얼굴 전면에 착용하는 많은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끈, 다리나 테를 사용자의 귀에 걸쳐 착용하고 있다. 디바이스를 안면에 부착하는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도 결국은 귀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 제10-2010-0100558호는 "얼굴 부착물 고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용 입가리개"로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위생용 입가리개를 얼굴에 부착하기 위하여, 접촉대(210')와 삽입돌기(211')와 본체부(220')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지지부(200')를 개시하고 있으나, 프레임지지부(200')는 입가리개를 얼굴의 볼에서 지지하는 보조 역할을 수행하며, 입가리개를 실제로 얼굴에 부착하여 떨어지지 않는 기능을 하는 것은 걸림끈 지지대(231')에 연결되는 지지끈(230')이다.
특허등록 제10-1411971호는 안면 마사지 장치를 볼의 양측에 접합하는 도구로 탄성밴드와, 본체부와, 본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연결부 및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부착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부착도구가 얼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면서도 얼굴에 맞추어 맛사지를 하도록 진동과 회전 동작을 부여하는 작동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안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며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는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귀에 걸치지 않도록 간편하게 제작되며 이용과 보관이 편리한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안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안면에서부터 차례로 부착부, 제1어댑터, 제2어댑터 및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부드럽고 탄성 있는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자유로이 신축되고, 상기 부착부에는 부착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공의 입구를 이루는 홀이 형성되어, 부착부재를 안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가압하여 손으로 누를 때 연결부 및 제1 및 제어댑터가 수축되어 안면으로 눌리면서 동공의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동공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점점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부착부의 피부와 접하는 하면이 피부에 흡인력을 가지고 부착되도록 한, 부착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결부는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앞을 향하는 부위의 폭이 넓고, 뒤를 향하는 부위의 폭이 좁은 유선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부착부의 홀은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형상의 유선형이다.
상기 부착부가 안면에 부착되는 하면은 중앙의 오목하게 형성된 바닥면과, 바닥면의 안쪽에서 위를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면과, 바닥의 바깥쪽에서 위를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이며, 바닥면과 내측면 및 외측면의 높이차는 0.5 mm ~ 1.5mm이다.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제1어댑터는 부착부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1본체와, 제1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제2어댑터는 제1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커지는 절두 원추형으로 제1플랜지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2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2본체와, 제2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상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하고, 상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30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네크부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본체는 전방의 폭이 넓고, 후방의 폭이 좁은 유선형의 구조이며, 상기 부착부, 본체부, 제1 및 제2본체의 유선형은 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1, 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2라 할 때, R2/R1의 비율은 1.8 ~ 2.8의 범위이며, 상기 두 폐쇄면 사이가 직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다층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 부착부재를 제공하므로, 부착부재를 안면에 부착할 때 부착부재가 전체적으로 탄력성 좋게 수축하여 안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부착된 이후 반대로 팽창함으로써 부착부재의 원형을 복귀하는데 유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부재에 형성된 하면의 입체 구조와 부착부재 내부에 형성된 동공의 수축에 의한 압축 공기로 인하여 부착부재를 안면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착부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귀에 걸쳐지는 필요를 없애므로 제작 및 보관에 유리하며, 디바이스의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특허의 위생용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를 안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바라 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착부의 하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부착부재의 유선형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생용 마스크인 경우 본 발명의 부착부재의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1)의 사시도, 도 3은 측면도, 그리고 도 4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부착장치(1)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부착부(2), 제1어댑터(8), 제2어댑터(16) 및 연결부(18)를 포함하며 위로 갈수록 전반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점층형 구조를 이룬다. 부착장치(1)의 내부는 비어 있는 동공형이다. 부착부(2)는 안면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재이며, 부착 부위는 눈과 같은 선 상의 얼굴 양측 또는 양측 볼이 될 수 있으나,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부(18)는 고글 또는 마스크와 같은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시하지 않은 본체나 프레임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연결부(18)의 형상은 본체나 프레임 연결부의 형상에 맞추어지기 보다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부착부(2)의 홈(200a: 도 5 참조)에 따라 결정되고, 이에 맞추어 본체나 프레임 연결부의 형상도 결정된다. 제1어댑터(8) 및 제2어댑터(16)는 부착부(2)와 연결부(18)를 연결하는 중간 통로로 다층 구조를 이룬다. 부착부(2), 제1어댑터(8), 제2어댑터(16) 및 연결부(18)는 실리콘과 같은 부드럽고 탄성 있는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며, 부착장치(1) 전체적으로 자유로이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착장치(1)의 부착부(2)는 전방부, 즉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앞을 향하는 부위의 폭이 넓고, 후방부, 즉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뒤를 향하는 부위의 폭이 좁은 유선형이다. 제1어댑터(8)는 부착부(18)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1본체(4)와, 제1본체(4)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제1플랜지(6)로 이루어진다. 제2어댑터(16)는 제1플랜지(6)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커지는 절두 원추형으로 제1플랜지(6)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2플랜지(10)와, 제2플랜지(10)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2본체(12)와, 제2본체(12)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상부플랜지(10a)와, 상부플랜지(10a)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하고, 상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30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네크부(14)로 이루어진다.
제1어댑터(8)의 제1본체(4)의 외경과 제2어댑터(16)의 제2본체(12)의 외경은 동일하다. 또, 제1플랜지(6)와 제2플랜지(10)의 경계선의 외경과 상부플랜지(10a)와 네크부(14)의 경계선의 외경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동일”의 의미는 수치적으로 완전히 같은 것은 물론, 일견 같다고 시인할 수 있는 정도의 근사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제2본체(12)의 외경은 제1본체(4)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제1어댑터(8)와 제2어댑터(16) 각각의 본체와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복합 구조의 결합은 본 발명의 부착부재(1)를 안면에 부착할 때 부착부재(1)가 전체적으로 탄력성 좋게 수축하여 안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고, 부착된 이후 반대로 팽창함으로써 부착부재(1)가 원형으로 복귀하는데 유리하다. 또, 신체나 얼굴의 움직임에 따라 부착부재(1)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조절하는데 편리하다.
연결부(18)는 네크부(14)의 상면 위에서 가는 패드형으로 제작되며, 그 상면에는 통기공(180)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연결부(18)는 네크부(14)의 상면과 동일하게, 측면에서 보아 수평선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30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18)에 각도를 부여하는 이유는, 안면의 입체적인 윤곽에 의하여, 예를 들어 볼인 경우 일반적으로 볼의 뒤쪽에서 앞으로 갈수록 윤곽이 커지므로 부착부(2)를 실제로 볼에 부착하면 얼굴의 뒷쪽으로 부착부(2)가 치우치거나 경사지는 모양으로 부착되고 그 반대로 연결부(18)는 측면에서 바라 본 상기의 경사가 해소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와 평행한 평면을 이루게 되므로, 디바이스와의 연결 작업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의 부착장치(1)의 공통 형상에 대하여 도 4의 평면도 및 도 8의 개념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18), 제1 및 제2본체(4,12) 및 부착부(2)의 외면 형상이, 전방(부착부의 경우 2B)의 폭이 넓고, 후방(부착부의 경우 2A)의 폭이 좁은 유선형의 구조를 공통된 기본으로, 안면에 부착되는 부착부(2)에서 위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설계된다. 전방과 후방의 폐쇄면은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예를 들어 연결부(18)를 기준으로, 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1, 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2라 할 때, R1은 0.5 ~ 0.7mm, R2는 1.2 ~ 1.4mm, 따라서 R2/R1의 비율은 1.8 ~ 2.8의 범위로 선정되며, 두 폐쇄면 사이는 직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유선형으로 곡률 반경에 차이를 둔 이유는 얼굴의 전방에 더 넓은 접촉 면적을 부여하여 부착부재(1)가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고글이나 마스크의 외관 프레임 형상에 맞추어 미려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또 형태의 일관성 및 통일은 부착부재(1)의 설계와 제작에도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1)를 반대 방향, 즉 안면에 부착되는 방향에서 바라 본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부착부(2)의 하면(200)에는 홀(200a)이 형성된다. 홀(200a)의 형상은 전술한 유선형과 동일하며, 부착부재(1)의 가장 윗쪽에 위치한 연결부(18)와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또 전술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홀(200a)의 크기는 제1플랜지(6)와 제2플랜지(10)의 경계선 및 상부플랜지(10a)와 네크부(14)의 경계선의 외경을 따라 절단한 홀의 크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부착부재(1)의 내부에는 최소한 홀(200a) 보다 큰 동공이 제1 및 제2어댑터(8,16)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속 형성되어 있다. 동공은 연결부(18)에 의하여 폐쇄된다.
본 발명에서 부착부재(1)의 동공은, 부착부재(1)를 안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연결부(18)를 가압하여 손으로 누를 때 연결부(18) 및 제1 및 제어댑터(8,16)가 수축되어 안면으로 눌리면서 동공의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동공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점점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부착부(2)의 하면(200)이 안면의 피부에 흡인력을 가지고 부착되는 것을 돕는다. 안면에 부착한 이후 손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어 부착부재(1)가 위로 펴질 때, 동공 내부에 포집된 공기의 일부는 통기공(18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부착부재(1)의 원형 복귀가 원활히 행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부착부재(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부착부(2)의 하면(200)은, 중앙의 오목하게 형성된 바닥면(202)과, 바닥면(202)의 안쪽(도 7의 좌측)에서 위를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면(204)과, 바닥면(202)의 바깥쪽(도 7의 우측)에서 위를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면(206)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를 취한다. 바닥면(202)과 내측면 및 외측면(204,206)의 높이차는 0.5 mm ~ 1.5mm이며, 높이차에 의해 형성된 간극에 포집된 공기가 부착부(2)가 눌릴 때 압축되므로 하면(200)이 피부에 더 강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재(1) 내부에 형성된 동공과 부착부(2) 하면(200)의 입체 구조의 조합에 의하여 부착부재(1)가 안면에 안정적으로 흡착 및 지지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생용 마스크인 경우 본 발명의 부착부재(1)의 활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착부재(1)는 디바이스의 다리부에 좌우 한 쌍 설치되며, 간편하게 볼 뒤쪽에 부착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다리부가 귀에 걸치도록 성형하거나 다리부에 끈과 같은 걸이도구를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디바이스의 보관이 편하고 상품성이 우수하다.
(1): 부착장치 (2): 부착부 (8): 제1어댑터 (16): 제2어댑터 (18): 연결부 (180): 통기공 (200): 하면 (200a): 홀

Claims (7)

  1.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안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안면에서부터 차례로 부착부, 제1어댑터, 제2어댑터 및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부드럽고 탄성 있는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어 자유로이 신축되고, 상기 부착부에는 부착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동공의 입구를 이루는 홀이 형성되어, 부착부재를 안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가압하여 손으로 누를 때 연결부 및 제1 및 제어댑터가 수축되어 안면으로 눌리면서 동공의 길이가 축소됨으로써, 동공 내부에 포집된 공기가 점점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부착부의 피부와 접하는 하면이 피부에 흡인력을 가지고 부착되도록 한, 부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결부는 안면에 부착되는 경우 앞을 향하는 부위의 폭이 넓고, 뒤를 향하는 부위의 폭이 좁은 유선형으로 제작되며, 부착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홀은 상기 연결부와 동일한 형상의 유선형인, 부착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가 안면에 부착되는 하면은 중앙의 오목하게 형성된 바닥면과, 바닥면의 안쪽에서 위를 향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면과, 바닥의 바깥쪽에서 위를 향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이며, 바닥면과 내측면 및 외측면의 높이차는 0.5 mm ~ 1.5mm인, 부착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부착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제1어댑터는 부착부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1본체와, 제1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제2어댑터는 제1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커지는 절두 원추형으로 제1플랜지와 대칭되는 형상의 제2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한 짧은 칼럼 형상의 제2본체와, 제2본체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절두 원추형의 상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의 상단에서 일체로 위로 연장되며, 외경이 일정하고, 상면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30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네크부로 이루어지는, 부착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본체는 전방의 폭이 넓고, 후방의 폭이 좁은 유선형의 구조이며, 상기 부착부, 본체부, 제1 및 제2본체의 유선형은 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1, 전방 폐쇄면의 곡률반경을 R2라 할 때, R2/R1의 비율은 1.8 ~ 2.8의 범위이며, 상기 두 폐쇄면 사이가 직선으로 연결되는, 부착부재.
KR1020180073074A 2018-06-26 2018-06-26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KR102127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74A KR102127767B1 (ko) 2018-06-26 2018-06-26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PCT/KR2019/007718 WO2020004930A1 (ko) 2018-06-26 2019-06-26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074A KR102127767B1 (ko) 2018-06-26 2018-06-26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68A true KR20200000868A (ko) 2020-01-06
KR102127767B1 KR102127767B1 (ko) 2020-06-29

Family

ID=6898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074A KR102127767B1 (ko) 2018-06-26 2018-06-26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767B1 (ko)
WO (1) WO2020004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000228U1 (de) 2022-01-28 2022-02-09 Gerhard Ochsenfeld Reflektor-Absorber-Einheit mit variabler akustischer Dämmung, den Raumkanteneffekt löschend und Nutzsignale unterstützend, insbesondere für kleine bis mittelgroße Räu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768A (ko) * 2004-04-16 2006-05-17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조직의 목표 부위를 랜싱하기 위한 방법
KR20120002322U (ko) * 2010-09-24 2012-04-03 배삼훈 원통주가 구조된 신축 흡착관
KR20150144180A (ko) * 2014-06-16 2015-12-24 고정찬 공기부압을 이용한 부착식 안경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0490095Y1 (ko) * 2018-06-07 2019-09-24 방기태 웨어러블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25B1 (ko) * 2011-07-28 2013-04-08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768A (ko) * 2004-04-16 2006-05-17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조직의 목표 부위를 랜싱하기 위한 방법
KR20120002322U (ko) * 2010-09-24 2012-04-03 배삼훈 원통주가 구조된 신축 흡착관
KR20150144180A (ko) * 2014-06-16 2015-12-24 고정찬 공기부압을 이용한 부착식 안경
KR20170132188A (ko) * 2015-04-03 2017-12-01 마이크로스페레 피티이. 엘티디. 호흡 마스크, 시스템, 및 방법
KR200490095Y1 (ko) * 2018-06-07 2019-09-24 방기태 웨어러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930A1 (ko) 2020-01-02
KR102127767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4139A1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10798979B2 (en) Mask
US5894606A (en) Swimming goggle
US11653135B2 (en) Skirt attachment
TW201741201A (zh) 水鏡面罩結構
US20200221201A1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10603548B2 (en) Swimming goggles
JP2020195827A (ja) フルフェイスマスク用のマスククッション
WO2016033857A1 (zh) 一种用于呼吸面罩的框架及包括其的呼吸面罩
US11042042B2 (en) Flexible temples for glasses frames
JP2016533821A (ja) 個人用呼吸保護装置
US20170290706A1 (en) Swimming goggle cushion pad
KR101370128B1 (ko) 고글 및 밀봉부
US5345616A (en) Pair of goggles with pad elements at the ends of the temples or at the nose piece
KR20200000868A (ko) 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부착 장치
KR101987583B1 (ko) 마스크
KR200494166Y1 (ko) 마스크
GB2567175A (en) Swimming goggles
JP7352270B2 (ja) マスク
KR20200133646A (ko) 부분적인 걸이끈 조절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20156959A (ko) 마스크용 프레임 및 그 사용 방법
AU2017236043B2 (en) Swimming Goggles
US1677747A (en) Goggles
TWM468114U (zh) 可調整位置的分離式耳機
JP6930732B2 (ja) ゴーグ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