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03Y1 - 메쉬망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메쉬망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903Y1
KR200489903Y1 KR2020170003383U KR20170003383U KR200489903Y1 KR 200489903 Y1 KR200489903 Y1 KR 200489903Y1 KR 2020170003383 U KR2020170003383 U KR 2020170003383U KR 20170003383 U KR20170003383 U KR 20170003383U KR 200489903 Y1 KR200489903 Y1 KR 200489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sh
fixing part
shaft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72U (ko
Inventor
오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
Priority to KR2020170003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0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connecting by one or more clamps, clips, screws, wedges or 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쉬망 축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정중앙에 상기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끼움홀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핀부를 더 포함하는 메쉬망 고정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쉬망 고정밴드{MESH NET FIXING BAND}
본 고안은 메쉬망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쉽게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단단하게 결속 시키기 위해 고안된 메쉬망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자 형상의 지지 금속 부재를, 예를 들어 L형 강 등의 횡가재에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하고, 이 지지금속 부재의 하측의 원형의 설치 구멍에 다양한 설치 보조 부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전선관이나 케이블, 조명 기구 등의 다양한 물체를 지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나, 이 설치 구멍에 현수 볼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메쉬망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이 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은 신속하게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결속하는 데 있어서 시간과 인력, 추가적인 공구 사용이 불가피하게 사용됨으로써 시간, 인력 등의 낭비가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손쉽게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단단하게 결속 시키기 위해 고안된 메쉬망 고정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축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정중앙에 상기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끼움홀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 고정밴드는 사람의 손으로 잘 구부러지는 0.5T 내지 0.55T의 두께를 가지는 구리, 알루미늄, 철판, 스텐리스 판금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와 제3 고정부는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메쉬망 축과 체결시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의 걸림홀에 상기 제3 고정부의 돌기가 걸리면서 '◁'형태로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결속시키고, 상기 걸림홀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타단에 결합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고정부 타단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C' 형태의 롤러 축; 상기 롤러 축에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노끈 또는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노끈 또는 테이프는 결속된 메쉬망과 메쉬망 축을 이중으로 감싸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축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후면에 구비되며, 메쉬망 축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지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돌기와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와 삽입홀은 서로 후크 형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양끝단면 각각에 네오디움 자석이 더 구비되며, 서로 인력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축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후면에 구비되며, 메쉬망 축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다리로 형성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는,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손쉽게 잘 구부러지는 재질인 구리를 이용하여 결속시킬 수 있어 인력과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릴과 같은 공구 없이도 사람의 손으로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공구가 필요하지 않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와 메쉬망 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가 메쉬망 축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결합된 메쉬망 고정밴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에 롤러부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a)와 롤러부의 사용을 보여주는 평면도(b)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를 도시한 사시도(a)와 메쉬망 축과 결합되는 결합사시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를 도시한 사시도(a)와 메쉬망 축과 결합되는 결합사시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1)와 메쉬망 축(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1)가 메쉬망 축(4)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결합된 메쉬망 고정밴드(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는,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제3 고정부(30), 걸림홀(15), 끼움홀(25), 돌기(35)로 구성되며, 고정핀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쉬망 고정밴드(1)란, 메쉬망 축(4)에 형성된 고정홀(6)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ㄷ'형태를 갖는 메쉬망 고정밴드(1)를 말한다.
여기서, 제1 고정부(10)는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는 일단이 제1 고정부(1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ㄷ'에서 'ㅣ'(세로방향)부분을 말하며, 메쉬망 축(4)과 맞닿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3 고정부(30)는 일단이 제2 고정부(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 끝단에 돌기(3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35)는 제1 고정부(10)에 형성된 걸림홀(15)에 걸리는 것으로, 형태는 서로 부합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일자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일자형태 또는 원형형태 등으로 돌기(35)가 걸림홀(15)에 걸리는 형태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또한, 제1 고정부(10)와 제3 고정부(30)는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메쉬망 축(4)과 메쉬망 축(4)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홀(6)이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20)는 정중앙에 상기 고정홀(6)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메쉬망 축(4)에 형성된 고정홀(6)과 끼움홀(25)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부(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자동차고정키와 같은 것이며, 볼트와 볼트와 결합되며,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여러갈래로 형성되는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트와 여러갈래의 다리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을 이용한 패킹부재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핀부(40)는 고정홀(6)과 끼움홀(25)이 서로 맞닿는 곳에 손가락 힘을 가하여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내부가 빈 관형상의 메쉬망 축(4) 내부로 사람의 힘에 의해 여러갈래의 다리가 들어가고, 사람의 힘에 의해 들어간 탄성이 있는 여러갈래의 다리가 관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의 형태로 돌아오면서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되어 메쉬망 축(4) 고정홀(6)의 외주면 내부벽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로 메쉬망 축(4)에 결합되는 결합사시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와 제3 고정부(30)가 원래는 평행하도록 구성되나, 메쉬망(5)이 그 사이에 삽입되면서 제1 고정부(10)에 형성된 걸림홀(15)에 제3 고정부(30)에 형성된 돌기(35)가 끼워지면서 메쉬망(5)이 그 사이에 결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0)와 제3 고정부(30)가 맞닿으면서 메쉬망 고정밴드(1,2,3)의 형태는 'ㄷ '에서 '▷'로 변형된다.
여기서, 메쉬망 고정밴드(1,2,3)는 메쉬망 축(4)의 오른쪽과 왼쪽에 체결되는 것에 따라 방향은 반대로('왼쪽체결=◁', 오른쪽체결='▷') 변형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망 고정밴드(1,2,3)는 사람의 손으로 잘 구부러지는 0.5T 내지 0.55T의 두께를 가지는 구리, 알루미늄, 철판, 스텐리스 판금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쉬망(5)의 두께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걸림홀(15)에 돌기(35)가 조절되어 끼워질 수 있다.
즉, 메쉬망(5)이 얇을 때는 제일 안쪽에 형성된 걸림홀(15)에 돌기(35)가 끼워지는 경우 제1 고정부(10)의 끝단이 남게 되면 바깥으로 노출되어 시공자나 일반 메쉬망(5) 사용자들에게 위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1 고정부(10,100,400)끝단을 접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메쉬망 고정밴드(1)에 롤러부(50)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a)와 롤러부(50)의 사용을 보여주는 평면도(b)를 보고 설명하면, 메쉬망 고정밴드(1)는 롤러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50)는 롤러축(51), 롤러(52), 테이프 또는 노끈(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여 롤러부(5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축(51)은 'C'형태로 구성되어 제1 고정부(10)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C'형태에서 개구된 부분이 제1 고정부(10)와 결합되게 형성되어 롤러(52)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C'형태로 구비되면 따로 롤러축(51)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가 사용되지 않아도 되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롤러축(5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고정부(10) 상하단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52)는 롤러축(51)에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워지며, 롤러(52)에는 테이프 또는 노끈(53)이 감아져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b)를 보면, 롤러부(50)에 의해 메쉬망(5)과 메쉬망 축(4)이 테이프 또는 노끈(53)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롤러부(50)를 이용하여 고정핀부(40)로 고정된 메쉬망 고정밴드(1)와 메쉬망 축(4)뿐만 아니라, 메쉬망(5)이 결속되어 있는 메쉬망 고정밴드(1)를 한꺼번에 한번 더 보조적으로 결속해주어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메쉬망 고정밴드(1)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하여 일반적인 소모성 고정장치보다 수명이 길어 질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또는 노끈(53)과 같은 일회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테이프 또는 노끈(53)에 감싸져 있던 메쉬망 고정밴드(1)를 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a), (b)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2)는, 제1 고정부(100), 제2 고정부(200), 제3 고정부(300), 걸림홀(150), 거치부(250), 돌기(3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 부재(251)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고정부(100), 제3 고정부(300), 걸림홀(150) 및 돌기(350)는 앞서 도 1내지 4에 기재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메쉬망 고정밴드(1)에서 설명한 제1 고정부(10), 제3 고정부(30), 걸림홀(15), 돌기(35) 구성에 대한 내용과 동일함으로 제1 고정부(100), 제3 고정부(300), 걸림홀(150) 및 돌기(35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메쉬망(5)이 메쉬망 고정밴드(2)의 걸림홀(150)과 돌기(350)를 이용해 결속되는 방식도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에서 설명한 결속 방식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20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고정부(100), 제3 고정부(300)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ㄷ'에서 'ㅣ'(세로방향)부분을 말한다.
또한, 제2 고정부(200)는 후면에 거치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거치부(250)는 미끄럼방지 부재(251), 고정돌기(253), 삽입홀(25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250)에 대해 도 6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이 개구된 원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부(250)가 일측이 개구된 원형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은 메쉬망 축(4)에 메쉬망 고정밴드(2)를 고정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형태이다.
즉, 도 6의 (b)를 참고하면, 개구된 곳으로 메쉬망 축(4)이 인입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굳이 메쉬망 축(4)에 고정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쉽게 메쉬망 고정밴드(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된 일측 양끝단에는 각각 고정돌기(253), 삽입홀(25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253)는 'ㄴ'과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삽입홀(252)에 걸리는 후크형식으로 거치부(250)의 양끝단이 맞닿도록 결속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돌기(253)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며, 삽입홀(252)에 걸려 결속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즉, 고정돌기(253)는 갈고리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메쉬망 축(4)의 직경에 따라 후크형식이 불리할 경우에는 양끝단면에 각각 네오디움 자석을 구비하여 서로 인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메쉬망 축(4)에 단단하게 메쉬망 고정밴드(2)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거치부(250)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 부재(251)는 페인트로 도색된 메쉬망 축(4)에 거치부(250)가 끼워질 때 미끄러져 고정이 안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 (b)를 참고하며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3)는, 제1 고정부(400), 제2 고정부(500), 제 3 고정부(600), 걸림홀(450), 돌기(650), 끼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고정부(400), 제3 고정부(600), 걸림홀(450) 및 돌기(650)는 앞서 도 1 내지 4에 기재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메쉬망 고정밴드(1)에서 설명한 상기 구성에 대한 내용과 동일함으로 제1 고정부(400), 제3 고정부(600), 걸림홀(450) 및 돌기(65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메쉬망(5)이 메쉬망 고정밴드(3)의 걸림홀(450)과 돌기(650)를 이용해 결속되는 방식도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망 고정밴드(1)에서 설명한 결속 방식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500)는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고정부(400), 제3 고정부(600)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메쉬망 축과 맞닿는 부분이다.
또한, 제2 고정부(500)는 후면에 끼움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부(550)는 도 7의 (a)를 참고하여 보면, 여러갈래의 다리(551)로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러갈래로 된 다리(551)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메쉬망 축(4)에 구비된 고정홀(6)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손가락 힘을 이용해 제2 고정부(500)의 전면을 누르면 다리(551)가 메쉬망 축(4)의 고정홀(6)로 삽입되고, 다시 관성에 의해 여러갈래의 다리(551)가 오므려졌다 펴지면서 고정홀(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핀부(40)와 유사한 방식을 적용하여 메쉬망 축(4) 고정홀(6)에 끼워지는 것이다.
끼움부(550)의 다리(551)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2, 3 : 메쉬망 고정밴드
4 : 메쉬망 축
5 : 메쉬망
6 : 고정홀
10, 100, 400 : 제1 고정부
15, 150, 450 : 걸림홀
20, 200, 500 : 제2 고정부
25 : 끼움홀
30, 300, 600: 제3 고정부
35, 350, 650 : 돌기
40 : 고정핀부
50 : 롤러부
51 : 롤러축
52 : 롤러
53 : 테이프 또는 노끈
250 : 거치부
251 : 미끄럼방지 부재
252 : 삽입홀
253 : 고정돌기
550 : 끼움부
551 : 다리

Claims (9)

  1. 메쉬망 축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정중앙에 상기 고정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끼움홀 사이를 체결하는 고정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망 고정밴드는,
    상기 제1 고정부 타단에 결합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고정부 타단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C' 형태의 롤러 축;
    상기 롤러 축에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노끈 또는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노끈 또는 테이프는 결속된 메쉬망과 메쉬망 축을 이중으로 감싸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 고정밴드는 사람의 손으로 잘 구부러지는 0.5T 내지 0.55T의 두께를 가지는 구리, 알루미늄, 철판, 스텐리스 판금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제3 고정부는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메쉬망 축과 체결시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걸림홀에 상기 제3 고정부의 돌기가 걸리면서 '◁'형태로 메쉬망을 메쉬망 축에 결속시키고, 상기 걸림홀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5. 삭제
  6. 메쉬망 축에 구비되는 메쉬망 고정밴드에 있어서,
    전면에 복수 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고정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돌기가 형성된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후면에 구비되며, 메쉬망 축의 외주면을 따라 끼워지는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내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양끝단면 각각에 네오디움 자석이 더 구비되며, 서로 인력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양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돌기와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와 삽입홀은 서로 후크 형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망 고정밴드.


  8. 삭제
  9. 삭제
KR2020170003383U 2017-06-29 2017-06-29 메쉬망 고정밴드 KR200489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83U KR200489903Y1 (ko) 2017-06-29 2017-06-29 메쉬망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83U KR200489903Y1 (ko) 2017-06-29 2017-06-29 메쉬망 고정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2U KR20190000072U (ko) 2019-01-08
KR200489903Y1 true KR200489903Y1 (ko) 2019-08-27

Family

ID=6501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83U KR200489903Y1 (ko) 2017-06-29 2017-06-29 메쉬망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49B1 (ko) * 2019-07-04 2021-02-24 주식회사 아시아 메쉬망 체결구
KR102620991B1 (ko) * 2021-10-06 2024-01-04 주식회사 대양금속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1978A1 (en) * 1983-10-24 1985-05-09 Sfs Stadler Ag Sec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8609A (en) * 1929-02-14 1929-12-10 Anchor Post Fence Company Means for fastening wire fabrics to fence or gate posts and the like
US2947055A (en) * 1957-06-14 1960-08-02 Warren B Mchenry Fence post clamp
JPS5547507U (ko) * 1978-09-22 1980-03-28
JPH0735111A (ja) * 1993-07-27 1995-02-03 Takagi Seiko:Kk バネ付きクランプ
KR20100009421U (ko) * 2009-03-17 2010-09-29 유윤희 내장 너트 체결 방식의 주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5001978A1 (en) * 1983-10-24 1985-05-09 Sfs Stadler Ag Sec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2U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93046A1 (en) Sha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489903Y1 (ko) 메쉬망 고정밴드
CA2830104C (en) Flexible metal conduit to electrical metallic tubing/rigid conduit transition coupler
JP2010090906A (ja) クリップ
US20160316902A1 (en) Safety Strap
US20120222829A1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US8292114B1 (en) Securing device for garbage bags in receptacles
US9963060B1 (en) Vehicle running board assembly for use as a ramp
US10000359B2 (en) Collapsible cord spool
JPS6065193A (ja) 引張りコ−ド付き編みスリ−ブ
US9730352B2 (en) Clamp for panel-mounted electronics modules or other devices
GB2468945A (en) Re-useable cable tie
US3053303A (en) Tire chain attaching device
KR20130021057A (ko) 사다리용 지그
KR200481773Y1 (ko) 절개형 케이블 타이
US20130284992A1 (en) Opening assembly for intergrated circuit socket
US11942766B2 (en) Clamp apparatus
JP5823997B2 (ja) ロープ係止具
WO2018057642A1 (en) Cord sleeve device and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for use
JP2010107007A (ja) 線条体固定具
KR101657904B1 (ko) 흔들림방지용 손잡이
JP2015074412A (ja) キャスターストッパ
KR101431111B1 (ko) 탄약통 고정 장치
KR200471539Y1 (ko) 깃대
KR200316492Y1 (ko) 물품결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