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91B1 -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 Google Patents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991B1
KR102620991B1 KR1020210132388A KR20210132388A KR102620991B1 KR 102620991 B1 KR102620991 B1 KR 102620991B1 KR 1020210132388 A KR1020210132388 A KR 1020210132388A KR 20210132388 A KR20210132388 A KR 20210132388A KR 102620991 B1 KR102620991 B1 KR 10262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piece
support piece
post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351A (ko
Inventor
윤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금속
윤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금속, 윤서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금속
Priority to KR102021013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connecting by one or more clamps, clips, screws, wedges or 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쉬망 수나 각도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펜스 내외 측으로 볼트 돌출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는 복수의 포스트 사이에 메쉬망이 결합되는 메쉬펜스에서 상기 메쉬망을 포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포스트 고정편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후단에서 메쉬망 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전단에서 메쉬망 측 수직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사이에 메쉬망이 삽입되는 고정구 본체; 및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볼트; 로 구성되되,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전단에는 삽입공과 걸림공이 T형으로 형성된 결합편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의 단부에는 T형 걸림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T형 걸림편이 결합편의 삽입공을 통해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제2지지편이 포스트 고정편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Mesh net holder for mesh fence}
본 발명은 포스트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ㄷ자형의 고정구 본체와 고정구 본체의 전후면에 구비된 지지편을 관통하여 메쉬망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쉬망 수나 각도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펜스 내외 측으로 볼트 돌출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메쉬펜스는 이웃하는 포스트 사이에 메쉬망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개방감이 우수하여 학교, 주택, 공원, 운동시설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종래 메쉬펜스는 메쉬망(20)을 포스트(10)에 고정하기 위해 포스트(10) 전후에 한 쌍의 고정밴드(30)를 결합하고, 고정밴드(30) 사이에 메쉬망(20)을 위치시킨 다음 볼트로 결합하여 시공하였다(도 1).
이러한 종래의 메쉬펜스는 메쉬망 파손 시 파손된 메쉬망을 교체하기 위해 고정밴드 전체를 분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 파손되지 않은 인접 메쉬망도 고정이 해제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메쉬펜스 설치 시에도 작업자가 메쉬망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밴드를 결합해야 하므로, 최소한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메쉬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1993351호가 개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는 메쉬망(20)을 고정하기 위해 포스트(10)의 전후에 제1지지구(30a)와 제2지지구(30b)를 결합하되, 전면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30b)의 날개부(31b)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도 2). 상기 기술은 메쉬망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을 매우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1인 작업자에 의해 시공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고정구의 제1지지구(30a)와 제2지지구(30b)가 포스트(10)의 전후방에 결합되어 포스트(10) 좌우의 메쉬망을 대칭으로 동시에 고정한다. 따라서 펜스 단부에 위치하여 일측에만 메쉬망이 결합되는 포스트나 코너부 등 펜스 각도가 변경되는 포스트 등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 메쉬펜스들은 밴드 고정을 위한 볼트가 펜스 내외 측으로 돌출되므로, 사용자 충돌 시 부상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쉬망의 수나 각도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메쉬망 고정구를 포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펜스 내외 측으로 돌출되는 않아 안전성이 우수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포스트 사이에 메쉬망이 결합되는 메쉬펜스에서 상기 메쉬망을 포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포스트 고정편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후단에서 메쉬망 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전단에서 메쉬망 측 수직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사이에 메쉬망이 삽입되는 고정구 본체; 및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볼트; 로 구성되되, 상기 포스트 고정편의 전단에는 삽입공과 걸림공이 T형으로 형성된 결합편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의 단부에는 T형 걸림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T형 걸림편이 결합편의 삽입공을 통해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제2지지편이 포스트 고정편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지지편은 포스트 고정편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편에 결합되어 메쉬망의 수평와이어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클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은 상단에 배면으로 하향 절곡되어 제1지지편의 상단에 거치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전면으로 상향 절곡되어 메쉬망의 수평와이어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ㄷ자형의 고정구 본체와 고정구 본체의 전후면에 구비된 지지편을 관통하여 메쉬망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메쉬망 고정구는 메쉬망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포스트에 고정되므로, 포스트에 결합되는 메쉬망의 개수나 설치 각도 등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구 본체를 포스트에 결합하는 고정볼트가 포스트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충돌 등의 경우에 볼트 돌출로 인한 부상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메쉬펜스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등록특허 제10-1993351호의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고정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메쉬망 고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레일홈이 형성된 포스트와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분리형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힌지 결합형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메쉬망 거치클립에 의한 메쉬망의 가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메쉬망 거치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메쉬망 거치클립과 제1지지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메쉬망 거치클립 및 체결볼트와 메쉬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메쉬망의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고정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메쉬망 고정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레일홈이 형성된 포스트와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는 복수의 포스트(1) 사이에 메쉬망(2)이 결합되는 메쉬펜스에서 상기 메쉬망(2)을 포스트(1)에 고정하기 위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3)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스트(1)의 일측에 고정되는 포스트 고정편(41)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후단에서 메쉬망(2) 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42)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서 메쉬망(2) 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편(43)으로 구성되어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 사이에 메쉬망(2)이 삽입되는 고정구 본체(4); 및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볼트(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1)에 결합되는 메쉬망(2)의 수나 각도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펜스 내외 측으로 볼트 등 돌출된 부분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3)는 이웃하는 포스트(1) 사이에 위치되는 메쉬망(2) 또는 포스트(1) 일측에 구비된 메쉬망(2)을 포스트(1)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쉬망(2)은 수평와이어(21)와 수직와이어(22)가 각각 복수 열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쉬망 고정구(3)는 포스트(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 고정구(3)는 포스트(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포스트(1)에 결합되는 메쉬망(2)의 개수 및 설치 각도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메쉬망 고정구(3)는 포스트(1)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구 본체(4)와 상기 고정구 본체(4)에 체결되어 메쉬망(2)을 고정하는 체결볼트(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 본체(4)는 포스트 고정편(41)과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 및 후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제2지지편(43)과 제1지지편(42)으로 구성되어, 평면상 메쉬망(2) 측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은 고정구 본체(4)를 포스트(1)에 고정하는 부분으로, 고정볼트(5) 등에 의해 포스트(1) 일측에 고정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에는 고정볼트체결홀(4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도 4).
상기 고정구 본체(4)가 포스트(1)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되는 경우, 포스트(1)를 관통하는 고정볼트(5)에 의해 양측의 고정구 본체(4)가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의 외측면에 복수의 레일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1)에 고정볼트(5)의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4)를 고정볼트(5)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홈(11)은 고정볼트(5)의 헤드가 삽입 가능하도록 단면을 T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포스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후단과 전단에는 각각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이 직각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은 포스트 고정편(41)의 폭만큼 이격되어 사이 공간에 메쉬망(2)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볼트(6)는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을 관통하여 메쉬망(2)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에는 각각 체결볼트체결홀(421, 431)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상기 체결볼트체결홀(421, 431)은 각 지지편(42, 43)에 좌우로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체결홀(421, 431)은 메쉬망(2)의 수직와이어(22) 위치와 상관없이 체결볼트(6) 체결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체결홀(421, 431)을 좌우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하면, 메쉬망(2)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메쉬망 고정구(3)에서 어느 정도 메쉬망(2)의 변형을 흡수하여 완충 가능하다.
상기 메쉬망 고정구(3)는 메쉬망(2)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포스트(1)에 고정되므로, 메쉬망(2)의 개수나 설치 각도 등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구 본체(4)를 포스트(1)에 결합하는 고정볼트(5)가 포스트(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충돌 등의 경우에 볼트 돌출로 인한 부상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도 7은 분리형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편(43)은 포스트 고정편(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본체(4)는 ㄷ자형으로 형성되므로, 고정구 본체(4)를 포스트(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5) 체결 작업이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2)은 양측 포스트(1)에 고정구 본체(4)를 먼저 고정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ㄷ자형 고정구 본체(4)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전방에서 메쉬망(2)을 설치하기가 어려워 상부에서 하부로 양측 고정구 본체(4) 사이에 메쉬망(2)을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편(43)을 포스트 고정편(41)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고정볼트(5)의 체결 및 메쉬망(2)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편(42)은 포스트 고정편(41)과 일체로 형성하여 포스트 고정편(41) 설치 시 같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나의 플레이트를 수직 절곡하여 포스트 고정편(41)과 제1지지편(4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편(42)이 일체로 형성된 포스트 고정편(41)을 포스트(1)의 일측에 고정볼트(5)로 고정하고, 제1지지편(42)의 전면에 메쉬망(2)을 설치한 후 제2지지편(43)을 포스트 고정편(41)의 일측에 결합하여 메쉬망(2)을 고정하는 순서로 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는 삽입공(441)과 걸림공(442)이 T형으로 형성된 결합편(44)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43)의 단부에는 T형 걸림편(45)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T형 걸림편(45)이 결합편(44)의 삽입공(441)을 통해 걸림공(442)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제2지지편(43)이 포스트 고정편(4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편(43)을 포스트 고정편(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일실시예로,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 결합편(44)을 수직 절곡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44)에 제2지지편(43)을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44)에는 삽입공(441)과 걸림공(442)이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441)은 걸림공(442)보다 상하 폭이 크게 형성되어 삽입공(441)과 걸림공(442)은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편(43)에는 제2지지편(43)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연결부(451)와 상기 연결부(451)의 단부에서 폭이 확대된 확대부(452)로 구성되는 T형 걸림편(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T형 걸림편(45)을 결합편(44)의 삽입공(441)을 통해 삽입한 후 걸림공(442)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확대부(452)가 걸림공(442)의 내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2지지편(43)을 포스트 고정편(4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T형 걸림편(45)이 결합편(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편(43)이 제1지지편(42)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연결부(451)는 결합편(44)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 교체 시에도 제2지지편(43)만 제거하면 간단하게 메쉬망(2)을 제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8은 힌지 결합형 고정구 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편(43)은 포스트 고정편(41)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편(43)을 포스트 고정편(4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2지지편(43)의 단부를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을 포스트(1)에 고정볼트(5)로 고정하거나 메쉬망(2)을 제1지지편(42)의 전면에 설치할 때, 도 8의 (a)와 같이 제2지지편(43)을 외측으로 회전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쉬망(2) 교체 시에는 체결볼트(6) 제거 후 제2지지편(43)을 외측으로 연 다음 메쉬망(2)을 제거 가능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에는 각각 제2지지편(43)이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9는 메쉬망 거치클립에 의한 메쉬망의 가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42)에 결합되어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클립(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은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2지지편(42, 43)을 관통하는 체결볼트(6) 체결에 의해 고정구 본체(4)에 고정된다.
그런데 이 경우 체결볼트(6)의 체결 전까지 메쉬망(2)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메쉬망(2)의 위치를 직접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지지편(43)을 결합하고 체결볼트(6)를 체결해야 하여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2) 설치 시 메쉬망(2)을 제1지지편(42)에 가고정할 수 있도록 제1지지편(42)에 메쉬망 거치클립(7)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편(42)이 일체로 형성된 포스트 고정편(41)을 먼저 포스트(1)의 일측에 고정하고, 제1지지편(42)에 메쉬망 거치클립(7)을 결합한 후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에 메쉬망(2)을 결합하여 메쉬망(2)의 위치를 가고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 제2지지편(43)을 결합하고,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6)를 체결하여 메쉬망(2)을 본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메쉬망 거치클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메쉬망 거치클립과 제1지지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메쉬망 거치클립 및 체결볼트와 메쉬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은 상단에 배면으로 하향 절곡되어 제1지지편(42)의 상단에 거치되는 걸림부(7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전면으로 상향 절곡되어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은 상단에 걸림부(71)가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 메쉬망 거치부(72)가 절곡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S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71)는 메쉬망 거치클립(7)의 배면 측, 즉 제1지지편(42) 측으로 하향 절곡되어 제1지지편(42)의 상단에 거치된다.
상기 메쉬망 거치부(72)는 메쉬망 거치클립(7)의 전면 측, 즉 제2지지편(43) 측으로 상향 절곡되어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과 메쉬망(2)을 단순 거치에 의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뛰어나다.
이때, 상기 메쉬망 거치부(72)를 체결볼트체결홀(421, 431)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수평와이어(21)의 하부는 메쉬망 거치부(72)가 지지하고, 수평와이어(21)의 상부는 체결볼트(6)가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쉬망(2)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메쉬망(2)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2).
도 13은 메쉬망의 설치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내지 (e)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메쉬망(2)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지지편(42)이 일체로 구비된 포스트 고정편(41)을 고정볼트(5)로 포스트(1)에 고정한다(도 13의 (a)).
다음으로, 상기 제1지지편(42)에 메쉬망 거치클립(7)을 거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의 걸림부(71)를 제1지지편(42)의 상단에 거치할 수 있다(도 13의 (b)).
그리고 (c)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메쉬망 거치클립(7)의 메쉬망 거치부(72)에 거치되도록 메쉬망(2)을 설치하여 가고정시킨다(도 13의 (c)).
이후,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 제2지지편(43)을 결합한다(도 13의 (d)).
마지막으로,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6)를 체결하여 메쉬망(2)을 본고정함으로써 설치 작업을 마무리한다(도 13의 (e)).
1: 포스트 11: 레일홈
2: 메쉬망 21: 수평와이어
22: 수직와이어 3: 메쉬망 고정구
4: 고정구 본체 41: 포스트 고정편
411: 고정볼트체결홀 42: 제1지지편
421: 체결볼트체결홀 43: 제2지지편
431: 체결볼트체결홀 44: 결합편
441: 삽입공 442: 걸림공
45: T형 걸림편 451: 연결부
452: 확대부 5: 고정볼트
6: 체결볼트 7: 메쉬망 거치클립
71: 걸림부 72: 메쉬망 거치부

Claims (6)

  1. 복수의 포스트(1) 사이에 메쉬망(2)이 결합되는 메쉬펜스에서 상기 메쉬망(2)을 포스트(1)에 고정하기 위한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3)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포스트(1)의 일측에 고정되는 포스트 고정편(41)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후단에서 메쉬망(2) 측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편(42)과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서 메쉬망(2) 측 수직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편(43)으로 구성되어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 사이에 메쉬망(2)이 삽입되는 고정구 본체(4); 및
    상기 제1지지편(42)과 제2지지편(4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볼트(6); 로 구성되되,
    상기 포스트 고정편(41)의 전단에는 삽입공(441)과 걸림공(442)이 T형으로 형성된 결합편(44)이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편(43)의 단부에는 T형 걸림편(45)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T형 걸림편(45)이 결합편(44)의 삽입공(441)을 통해 걸림공(442)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제2지지편(43)이 포스트 고정편(4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지지편(42)에 결합되어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클립(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6. 제5항에서,
    상기 메쉬망 거치클립(7)은 상단에 배면으로 하향 절곡되어 제1지지편(42)의 상단에 거치되는 걸림부(7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전면으로 상향 절곡되어 메쉬망(2)의 수평와이어(21)가 거치되는 메쉬망 거치부(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1020210132388A 2021-10-06 2021-10-06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10262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88A KR102620991B1 (ko) 2021-10-06 2021-10-06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88A KR102620991B1 (ko) 2021-10-06 2021-10-06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51A KR20230049351A (ko) 2023-04-13
KR102620991B1 true KR102620991B1 (ko) 2024-01-04

Family

ID=8597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88A KR102620991B1 (ko) 2021-10-06 2021-10-06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351B1 (ko) * 2017-09-06 2019-06-26 주식회사 대양금속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102251012B1 (ko) * 2020-03-23 2021-05-12 황정봉 메쉬휀스용 휀스지주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703Y1 (ko) * 2007-08-08 2009-05-29 이우춘 차음 펜스용 브래킷
KR100898007B1 (ko) * 2007-08-13 2009-05-18 원승묵 메시 펜스용 지주
KR200489903Y1 (ko) * 2017-06-29 2019-08-27 주식회사 아시아 메쉬망 고정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351B1 (ko) * 2017-09-06 2019-06-26 주식회사 대양금속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KR102251012B1 (ko) * 2020-03-23 2021-05-12 황정봉 메쉬휀스용 휀스지주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51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9322A (en) Post brace apparatus and system
US4986513A (en) Fence connector assembly
BR112019017055B1 (pt) Suporte para interconectar uma pluralidade de membros estruturais e armação modular
US4951925A (en) Fence connector assembly
KR101997788B1 (ko) 메쉬펜스
US20030066995A1 (en) Fence post connector
KR10262099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JP7028573B2 (ja) 足場におけるカバー部材用パネル装置
US6796549B1 (en) Fence structure
KR20090113997A (ko) 낙석방지책 겸용 와이어 가드레일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101993351B1 (ko) 메쉬펜스용 메쉬망 고정구
WO2019185922A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101341868B1 (ko) 공사장 가설 가림막 패널 조립용 고정장치
KR100276396B1 (ko) 방조망설치용와이어고정구
KR102485371B1 (ko) 조립식 휀스
KR101114308B1 (ko) 인삼밭 차광막 골조
JPH1088539A (ja) 仮設防護柵
KR101377011B1 (ko)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CN216380880U (zh) 一种台架防鼠围栏
US20060202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encing structure to a fence pole
GB2314355A (en) Fencing system
KR200493327Y1 (ko) 호이스트용 방호선반
KR20110133743A (ko) 울타리용 메시 연결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