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99Y1 - 기능성 옷장 - Google Patents

기능성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99Y1
KR200489899Y1 KR2020180001778U KR20180001778U KR200489899Y1 KR 200489899 Y1 KR200489899 Y1 KR 200489899Y1 KR 2020180001778 U KR2020180001778 U KR 2020180001778U KR 20180001778 U KR20180001778 U KR 20180001778U KR 200489899 Y1 KR200489899 Y1 KR 200489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an
cloth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추원
Original Assignee
박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추원 filed Critical 박추원
Priority to KR2020180001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소용돌이 기류를 이용하여 옷장에 수납되는 의류를 건조 또는 탈취하는 기능성 옷장으로서, 옷장, 팬마운트부, 송풍구동부, 에어벤트부, 연결호스 및 기류안내부를 포함한다. 옷장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과, 의류가 건조되는 건조공간으로 구획된다. 팬마운트부는 상부에 개구홈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건조공간의 하측에 결합된다. 송풍구동부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팬마운트부의 개구홈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가 내부에 장착된다. 에어벤트부는 건조공간의 상부에 결합된다. 연결호스는 송풍구동부의 흡입구와 에어벤트부를 연결한다. 기류안내부는 중공을 갖으며 팬마운트부의 개구홈을 가로막게 결합되는 지지하우징과, 지지하우징의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펠러 형상의 팬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옷장{A functional closet}
본 고안은 기능성 옷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용돌이 기류를 이용하여 옷장에 수납되는 의류를 건조 또는 탈취하는 기능성 옷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을 착용하여 외출한 상태에서, 귀가하게 되면 옷장 등에 보관하거나 또는 수회 착용한 후에는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많이 부착되어 오염된 옷은 세탁을 한 후 건조시켜 옷장 등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옷을 세탁하여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배어 있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많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 일례로 등록실용 제20-0374421호의 "옷장 건조장치"가 있다.
상기 "옷장 건조장치"는 옷장(10) 내부에 발열체(30), 분배기(40) 및 다공판(50)이 설치되는 구조로서, 옷장(10)의 제일 하단부에 발열체(30)가 설치되어 공기를 데우는 역할을 하고, 분배기(40)는 외부 공기를 1차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그 위에 설치된 다공판(50)은 1차 분배된 공기를 2차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옷장 건조장치"는 공기가 옷장 전체에 배분되면서 옷이 균일하게 건조·탈취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었다. 그러나,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단순히 상승하는 단조로운 순환경로를 보임으로 인해, 옷 구석구석 존재하는 습기나 이물질이 깔끔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공판(50)이 옷장(10)의 중간 높이에 설치됨으로 인해, 수납공간 확보 등 공간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421호(공고일자 2005년01월29일, 고안의 명칭 : 옷장 건조장치)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옷 구석구석에 존재하는 습기나 이물질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고, 공간활용이 유리한 기능성 옷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능성 옷장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A1)과, 의류가 건조되는 건조공간(A2)으로 구획되는 옷장(100); 상부에 개구홈(210)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상기 건조공간(A2)의 하측에 결합되는 팬마운트부(200);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10)와,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구(320)를 구비하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330)가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구동부(300); 상기 송풍구동부(300)의 토출구(320)와 마주보도록, 상기 건조공간(A2)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벤트부(400); 상기 송풍구동부(300)의 흡입구(310)와 상기 에어벤트부(4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500); 및 중공(611)을 갖으며 상기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가로막게 결합되는 지지하우징(610)과, 상기 지지하우징(610)의 중공(6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팬(620)을 구비하는 기류안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안내부(600)의 팬(620)은, 상기 송풍구동부(300)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팬(6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팬(620)의 블레이드 경사면(621)을 따라 사방으로 발산되어 상기 건조공간(A2) 내에 나선을 그리는 소용돌이 기류(t)로 변한 후, 상기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인 소용돌이 기류(t')를 형성하며, 상기 의류에 붙어있던 이물질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t, t')에 휩쓸려 분리된 후 상기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어 상기 필터(330)에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기능성 옷장에 따르면, 소용돌이 기류를 이용함으로써, 옷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건조 및 탈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무동력의 소형 기류안내부가 토출구에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수납공간, 제작비용, 전력 소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옷장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B" 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옷장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옷장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B" 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옷장(1)은 옷장(100), 팬마운트부(200), 송풍구동부(300), 에어벤트부(400), 연결호스(500) 및 기류안내부(600)를 포함한다.
옷장(100)은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A1)과, 의류가 건조되는 건조공간(A2)으로 좌우로 구획된다. 이는 건조·탈취가 필요한 더러운 옷과, 건조·탈취가 끝난 깨끗한 옷을 구분하여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공간을 구분하지 않고 한 공간에 옷을 모두 수납할 경우, 건조·탈취해야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력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더러운 옷에 뭍은 이물질이 깨끗한 옷에 다시 달라붙으면서 건조·탈취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옷장(100)의 각 공간에는 옷을 걸 수 있는 걸이봉이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옷장(100)의 하반부에는 속옷이나 양말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팬마운트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홈(210)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건조공간(A2)의 하측에 결합된다.
송풍구동부(300)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10)와, 흡입된 공기를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구(320)를 구비하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330)가 내부에 장착된다.
송풍구동부(300)의 토출구(320)와 필터(330) 사이에는 일정 수준의 진공상태를 만들어내는 모터(340)가 설치된다. 모터(340)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는 모터(340)의 방열부(미도시)를 지나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가 가열되면서 시간이 갈수록 뜨거운 공기가 나오게 된다.
이 뜨거운 공기에 의해 건조공간(A2)의 상대습도가 낮아짐으로써, 소정의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필터(330)는 일정 메쉬 단위를 갖는 섬유원단(먼지 봉투), 탈취층 및 항균제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있는 음이온 필터, 초미세먼지를 잡아주는 헤파 필터와 같은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 필터(330)는 옷장의 정면에서 서랍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청소 등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에어벤트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흡인덕트와, 흡인덕트의 단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후드 형상의 흡인호퍼로 구성되고, 건조공간(A2)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연결호스(500)는 송풍구동부(300)의 흡입구(310)와 에어벤트부(40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호스(500)는 옷장(100)의 외측으로 우회하여 설치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된 더러운 공기는 연결호스(500)를 통해 송풍구동부(300)의 흡입구(310)로 다시 순환된 후, 필터(330)에 의해 여과되어 건조공간(A2)으로 다시 토출된다.
기류안내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611)을 갖으며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가로막게 결합되는 지지하우징(610)과, 지지하우징(610)의 중공(6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펠러 형상의 팬(620)을 구비한다.
기류안내부(600)의 팬(620)은 송풍구동부(300)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되고, 팬(620)을 통과하는 공기는 팬(620)의 블레이드 경사면(621)을 따라 사방으로 발산된 후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소용돌이 기류(t)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동부(300)에서 토출된 공기가 기류안내부(600)에 의해 건조공간(A2) 내에 나선을 그리는 소용돌이 기류(t)로 변하게 된다.
송풍구동부(300)에서 토출된 공기는 윗 방향을 향해 소폭의 범위로 토출되는데, 토출된 공기는 기류안내부(600)에 의해 불규칙하게 건조공간(A2)을 선회하면서 상승하는 와류가 되고, 이 와류들이 전체적으로 소용돌이 기류(t)를 형성하면서 여러 방향을 가지면서 확대된 폭을 갖는 기류로 바뀌는 것이다.
종래에는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단순히 상승하는 단조로운 순환경로를 보임으로 인해, 옷 구석구석 존재하는 습기나 이물질이 깔끔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납공간 확보 등 공간활용에 제약이 컷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은 광범위하게 변화된 소용돌이 기류(t)에 의해 의류에 붙어있던 이물질(땀, 습기, 냄새 분자, 미세먼지, 꽃가루 등)이 휩쓸려 분리된 후,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어 필터(330)에 포집됨으로써, 건조 및 탈취 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류안내부(600)가 송풍구동부(300)보다 부피가 작고, 토출구(320)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무동력 방식으로 피동적으로 회전됨으로써, 기류의 방향과 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력, 공간, 설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수납공간, 제작비용, 전력 소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모터(340)가 간헐적으로 구동되면서 소용돌이 기류(t)의 강약이 변하게 할 수도 있다. 소용돌이 기류(t)의 강약이 시시각각 변하면서 의류를 타격하게 되면, 의류의 자세 및 형태가 달라지면서 건조 및 탈취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미설명부호 30은 옷장의 측면에 원형으로 뚫린 통기 구멍이다. 통기 구멍은 옷장 내부에 음압 또는 양압이 형성되는 경우, 공기가 옷장 내부로 흡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옷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미설명부호 40은 메쉬망으로서, 옷장에 걸린 옷이 바닥으로 떨어지더라도 바닥에 있는 기류안내부(600)를 가리지 않도록 하는 안전망 기능을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성 옷장은, 소용돌이 기류를 이용함으로써, 옷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건조 및 탈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무동력의 소형 기류안내부가 토출구에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수납공간, 제작비용, 전력 소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옷장
200 : 팬마운트부
300 : 송풍구동부
400 : 에어벤트부
500 : 연결호스
600 : 기류안내부

Claims (4)

  1.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공간(A1)과, 의류가 건조되는 건조공간(A2)으로 구획되는 옷장(100);
    상부에 개구홈(210)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상기 건조공간(A2)의 하측에 결합되는 팬마운트부(200);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10)와,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향해 토출하는 토출구(320)를 구비하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330)가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구동부(300);
    상기 송풍구동부(300)의 토출구(320)와 마주보도록, 상기 건조공간(A2)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에어벤트부(400);
    상기 송풍구동부(300)의 흡입구(310)와 상기 에어벤트부(4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500); 및
    중공(611)을 갖으며 상기 팬마운트부(200)의 개구홈(210)을 가로막게 결합되는 지지하우징(610)과, 상기 지지하우징(610)의 중공(6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팬(620)을 구비하는 기류안내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안내부(600)의 팬(620)은, 상기 송풍구동부(300)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팬(62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팬(620)의 블레이드 경사면(621)을 따라 사방으로 발산되어 상기 건조공간(A2) 내에 나선을 그리는 소용돌이 기류(t)로 변한 후, 상기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인 소용돌이 기류(t')를 형성하며,
    상기 의류에 붙어있던 이물질은, 상기 소용돌이 기류(t, t')에 휩쓸려 분리된 후 상기 에어벤트부(400)로 흡입되어 상기 필터(330)에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옷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1778U 2018-04-23 2018-04-23 기능성 옷장 KR200489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78U KR200489899Y1 (ko) 2018-04-23 2018-04-23 기능성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778U KR200489899Y1 (ko) 2018-04-23 2018-04-23 기능성 옷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899Y1 true KR200489899Y1 (ko) 2019-08-27

Family

ID=6776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778U KR200489899Y1 (ko) 2018-04-23 2018-04-23 기능성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099A (zh) * 2020-06-29 2020-10-13 周代远 一种智能家居用多功能衣柜
KR102259459B1 (ko) * 2019-11-29 2021-06-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먼지제거 옷장
CN114376345A (zh) * 2022-01-13 2022-04-22 陈小曼 一种智能衣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55A (ja) * 1998-08-27 2000-03-07 Namitei Kk 衣服収納ロッカー
KR200374421Y1 (ko) 2004-11-05 2005-01-29 현대건설주식회사 옷장 건조장치
KR100857269B1 (ko) * 2007-03-06 2008-09-08 주식회사 우드림 빨래건조장치
KR100899948B1 (ko) * 2008-08-11 2009-05-29 (주)대현하이텍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101436754B1 (ko) * 2013-09-10 2014-09-02 곽병진 옷 건조시스템
US20160348301A1 (en) * 2015-06-01 2016-12-01 Robert K. Spitz Portable, collapsible clothes dry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55A (ja) * 1998-08-27 2000-03-07 Namitei Kk 衣服収納ロッカー
KR200374421Y1 (ko) 2004-11-05 2005-01-29 현대건설주식회사 옷장 건조장치
KR100857269B1 (ko) * 2007-03-06 2008-09-08 주식회사 우드림 빨래건조장치
KR100899948B1 (ko) * 2008-08-11 2009-05-29 (주)대현하이텍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101436754B1 (ko) * 2013-09-10 2014-09-02 곽병진 옷 건조시스템
US20160348301A1 (en) * 2015-06-01 2016-12-01 Robert K. Spitz Portable, collapsible clothes dr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459B1 (ko) * 2019-11-29 2021-06-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먼지제거 옷장
CN111759099A (zh) * 2020-06-29 2020-10-13 周代远 一种智能家居用多功能衣柜
CN114376345A (zh) * 2022-01-13 2022-04-22 陈小曼 一种智能衣柜
CN114376345B (zh) * 2022-01-13 2023-11-17 广东集结鼠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衣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899Y1 (ko) 기능성 옷장
CN106939493A (zh) 衣物处理装置
CN209307702U (zh) 衣物护理设备
CN205612382U (zh) 一种带有除臭功能的暖房用烘干装置
CN103300610B (zh) 存放装置
CN111058257A (zh) 衣物护理设备
KR101312024B1 (ko) 의류 관리기
JP2017113655A (ja) 空気清浄機
KR20160089669A (ko) 만능 옷장
CN209789798U (zh) 洗碗机过滤换气干燥装置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861241Y (zh) 干衣衣柜
JP2021531848A (ja) ドアの内側の水滴付着防止のための多機能収納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てドアの内側を乾燥させる方法
JP4284530B2 (ja) 除湿乾燥機
KR20200081072A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4386642U (zh) 衣物管理模块及多功能收纳系统
KR20070088012A (ko) 의류 청결 장치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40073328A (ko) 건조 덕트부와 탈취부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2562207B1 (ko) 다기능 건조 수납 시스템
KR100865905B1 (ko) 습기제거장치가 부설된 농수산물 건조기
CN210797012U (zh) 一种多功能的烘干装置
CN209341431U (zh) 一种香氛净化除湿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