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40Y1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840Y1 KR200489840Y1 KR2020170002624U KR20170002624U KR200489840Y1 KR 200489840 Y1 KR200489840 Y1 KR 200489840Y1 KR 2020170002624 U KR2020170002624 U KR 2020170002624U KR 20170002624 U KR20170002624 U KR 20170002624U KR 200489840 Y1 KR200489840 Y1 KR 2004898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purifier
- fine dust
- 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서 사용되며,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물 흐름 유도판을 따라 하강하는 물만으로 제거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순환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가 삽입되었을 때에만 정상동작하도록 고안된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제안한다.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는, 정화기 케이스, 정화용 물 순환부, 물 정화부, 미세먼지 흡입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사용되며,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물 흐름 유도판을 따라 하강하는 물만으로 제거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물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순환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가 삽입되었을 때에만 정상동작하도록 고안된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 중의 미세먼지 때문에 실외 활동을 자제하며, 어쩔 수 없이 실외에서 활동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미세먼지는 실외의 공기에만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실내의 공기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70099호에서는, 광 촉매의 표면에 접촉하는 오염물질을 산화하여 소멸시키는 광 촉매반응과 가는(thin) 물줄기를 낙하시켜 생성하는 워터 커튼(water curtain)을 이용하여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해 물을 이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광 촉매와 물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은 실내의 습도 조절에도 유익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만 광 촉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자외선램프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적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워터 커튼이 실내의 장치에서 구현되었을 때 발생하는 소음도 무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에서 사용되며,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물 흐름 유도판을 따라 하강하는 물만으로 제거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순환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가 삽입되었을 때에만 정상동작하도록 고안된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는, 정화기 케이스, 정화용 물 순환부, 물 정화부, 미세먼지 흡입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기 케이스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외면에 복수의 스위치, 표시등 및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며, 측면 또는 후면의 하부에 물 저장탱크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정화용 물 순환부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세먼지 정화용 물(이하 정화용 물)을 물 흐름 유도판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한 후 상기 물 저장탱크에 재수집한다. 상기 물 정화부는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의 하부에서 상기 정화용 물을 수집하여 상기 정화용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하부에 설치된 상기 물 저장탱크로 이송한다.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의 외부에 설치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물 흐름 유도판에 강제로 충돌시킨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정화용 물의 양, 공기 중 미세먼지의 양,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상기 정화용 물 순환부는, 물 저장탱크, 물 흡입관, 물 흐름 유도판, 물 배출관 및 물 저장탱크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 저장탱크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상기 물 저장탱크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용 물을 저장한다. 상기 물 흡입관은 상기 물 저장탱크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용 물이 흐르는 면의 상부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후면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물 배출관은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정화용 물을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방향을 향하는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의 표면의 상부로 분산 배출한다. 상기 물 저장탱크 감지부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저장탱크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는,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물 흐름 유도판을 따라 하강하는 물만으로 제거하고,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물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순환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가 삽입되었을 때에만 정상동작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 관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물 저장탱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물 저장탱크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정화용 물과 물 흐름 유도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물 정화부를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 관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물 저장탱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물 저장탱크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정화용 물과 물 흐름 유도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물 정화부를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100)는, 크게 정화기 케이스(110), 정화용 물 순환부(120), 물 정화부(140), 미세먼지 흡입부(150), 측정부(160) 및 램프(170)로 구분할 수 있다.
정화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전면의 일부가 개방(113)되고, 외면에 복수의 스위치(111), 표시등(112) 및 디스플레이(113)가 설치되며, 측면 또는 후면의 하부에 물 저장탱크 투입구(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스위치(111)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의 메인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111-1), 램프(170)의 동작을 지시하는 램프 스위치(111-2) 및 미세먼지 흡입 팬(153)의 동작을 지시하는 흡입 팬 스위치(111-3)를 포함한다. 표시등(112)은 전원의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112-1)과 수량 측정기(161)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물 저장탱크(121)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물 없음 지시등(112-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3)는 미세먼지 측정기(162), 습도 측정기(163)와 온도 측정기(164)로부터 전달받은 습도와 온도 정보를 표시한다.
정화용 물 순환부(120)는 정화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 저장탱크(121)에 저장된 미세먼지 정화용 물(이하 정화용 물)을 물 흐름 유도판(125)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한 후 물 저장탱크(121)에 재수집한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화용 물 순환부(120)는, 물 저장탱크(121), 물 흡입관(122), 물 배출관(123), 펌프(124), 물 흐름 유도판(125) 및 물 저장탱크 감지부(126)를 포함한다.
물 저장탱크(121)는 정화기 케이스(110)의 물 저장탱크 투입구(115)를 통해 정화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정화용 물을 저장한다. 물 저장탱크(121)가 물 저장탱크 투입구(115)를 통해 설치와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화용 물을 보충하는 것이 간단하고 쉽다. 물 흡입관(122)은 물 저장탱크(121)와 펌프(124) 사이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하여 공기정화기(100)가 정상 동작을 할 때, 물 저장탱크(121)에는 미세먼지 정화용 물(이하 정화용 물)이 채워져 있으며 동시에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물 흡입관(122)의 일단은 물 저장탱크(121)에 채워진 정화용 물에 잠겨있게 되며, 펌프(124)의 동작에 따라 물 저장탱크(121)에 채워져 있는 물을 후술하는 물 배출관(123)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펌프(124)는 소음을 최소로 하기 위해 임펠라 방식의 펌프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물 배출관(123)은 펌프(124)로부터 전달받은 물 저장탱크(121)에 저장된 정화용 물을 복수의 배출구(123-1)를 통해 정화기 케이스(110)의 개방된(114) 방향을 향하는 물 흐름 유도판(125)의 표면의 상부로 분산 배출한다. 물 배출관(123)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된 배출구(123-1)의 간격은 배출구(123-1)로부터 배출되는 정화용 물이 물 흐름 유도판(125)의 전체 표면을 덮으면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흐름 유도판(125)은 정화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전면(114) 내부에 설치되며, 정화용 물이 흐르는 면의 상부가 정화기 케이스(110)의 후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물 흐름 유도판(125)은 유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정화용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부착될 수 있고 이를 세척하는데 불편하며, 후술하는 램프(170)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물 저장탱크 감지부(126)는 정화기 케이스(11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21)가 정화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 저장탱크 감지부(126)는, 2개의 회전축 고정패널(127, 128), 회전축(129), 탱크 감지 패널(130), 스프링 고정 기둥(131) 및 스프링(132)을 포함한다.
2개의 회전축 고정패널(127, 128)은 제1 회전축 고정홀(127-1, 128-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하부 면이 정화기 케이스(110)에 각각 장착된다. 회전축(129)은 양 단이 2개의 회전축 고정패널(127, 128)의 제1 회전축 고정홀(127-1, 128-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탱크 감지 패널(130)은 활처럼 휘어져 있는 감지 바디(130-1), 감지 바디(130-1)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회전축 고정홀(130-2)에 회전축(129)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감지 바디(130-1)의 일단은 물 흡입관(122)과 연결되고, 감지 바디(130-1)의 다른 일 단은 물 저장탱크(122)가 위치하는 곳에 위치한다. 스프링 고정 기둥(131)은 하부 면이 정화기 케이스(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스프링(132)은 일 단이 스프링 고정기둥(131)에 고정되고 다른 일 단은 감지 바디(130-1)에 연결되어, 감지 바디(130-1)의 다른 일 단이 물 저장탱크 (12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물 정화부(140)는 물 흐름 유도판(125)과 물 저장탱크(121) 사이에 위치하여, 물 흐름 유도판(125)에서 낙하하는 정화용 물을 수집하여 정화용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하부에 설치된 물 저장탱크(121)로 이송하며, 물 수집기(141), 필터 케이스(142) 및 필터(143)를 포함한다. 물 수집기(141)는 상부의 넓은 면으로 물 흐름 유도판(125)의 하부로 이동하는 정화용 물을 하부의 좁은 면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마치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고 납작한 깔대기(hopper)의 형태를 가진다. 필터 케이스(142)는 물 수집기(141)의 하부에 설치되며, 필터(143)는 필터 케이스(142)의 내부에 장착되어 바이패스(by-pass) 하는 정화용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미세먼지 흡입부(150)는 정화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전면(114)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물 흐름 유도판(125)에 강제로 충돌시키며, 흡입패널(151), 복수의 흡입 팬(152) 및 램프(170)를 포함한다. 흡입패널(151)은 정화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면(114)의 외부에 설치되며 팬 고정용 홀(151-1)이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의 미세먼지 흡입 팬(152)은 복수의 팬 고정용 홀(151-1)에 각각 장착된다. 램프(170)는 흡입패널(151)의 내면에 설치되어 물 흐름 유도판(125) 방향으로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한다.
측정부(160)는 정화용 물의 양, 공기 중 미세먼지의 양,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며, 물 흡입관(122) 중 물 저장탱크(121)의 내부에 잠기는 곳에 설치되어 정화용 물의 양의 감지하는 수량 측정기(161),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기(162),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기(163) 및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164)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는, 정화기 케이스(110), 정화기 케이스(110)의 개방된 면(114)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로 유도하여 물 흐름 유도판(125)에 전달하는 복수의 미세먼지 흡입 팬(152)이 장착된 흡입패널(151)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입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기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물 저장탱크(121)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물 저장탱크 투입구(115)가 형성되어 있고, 정화기 케이스(110)에는 전원스위치(111-1), 램프 스위치(111-2) 및 흡입 팬 스위치(111-3)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위치(111), 표시등(112) 및 디스플레이(113)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 관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100)의 내부 구성, 각 구성들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물 저장탱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물 저장탱크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a는 물 저장탱크(121)가 정화기 케이스(110)에 장착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물 저장탱크(121)가 정화기 케이스(1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스프링(132)의 작용에 의해 탱크 감지 패널(130)의 하단이 나중에 물 저장탱크(121)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탱크 감지 패널(130)의 상단과 연결된 물 흡입관(122) 및 수량 측정기(161)가 공중에 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물 저장탱크(121)가 탱크 감지 패널(130)의 하단을 밀고 들어오면서 위치하게 될 때, 탱크 감지 패널(130)의 상단과 연결된 물 흡입관(122) 및 수량 측정기(161)가 물 저장탱크(121)에 채워진 정화용 물에 잠기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량 측정기(161)에서 검출된 정화용 물의 양은 디스플레이(113)에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정화용 물과 물 흐름 유도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a는 정화용 물이 물 흐름 유도판(125)에 공급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정화용 물이 물 배출관(123)의 복수의 배출구(123-1)로부터 물 흐름 유도판(125)에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복수의 배출구(123-1)의 직경 및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물 흐름 유도판(125)을 따라 하강하는 정화용 물이 물 흐름 유도판(125)에 골고루 분포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 팬(152)에 의해 물 흐름 유도판(125)으로 강제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정화용 물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될 것이다.
도 6은 물 정화부를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물 정화부(140)는, 물 수집기(141), 필터 케이스(142) 및 필터(143)로 구성되며, 물 수집기(14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 물 흐름 유도판(125)을 따라 하강하는 정화용 물을 수집하기 용이하도록 고안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터 케이스(142)의 내부에는 필터(143)가 내장되며, 필터 케이스(142)의 표면에는 필터(143)를 통과한 정화용 물이 물 저장탱크(121)로 재수집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42-1)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사진이다.
도 7a는 공기정화기(100)의 정면에서 찍은 것이고 도 7b는 측면에서 찍은 것이다.
본 고안은 아이디어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고, 도 7에 첨부하는 것과 같이 실제 제작하여 실험을 거쳐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정화기 케이스
111: 복수의 스위치 112: 표시등
113: 디스플레이 114: 개방 면
115: 물 저장탱크 투입구
120: 정화용 물 순환부
121: 물 저장탱크 122: 물 흡입관
123: 물 배출관 124: 펌프
125: 물 흐름 유도판 126: 물 저장탱크 감지부
140: 물 정화부
141: 물 수집기 142: 필터 케이스
143: 필터
150: 미세먼지 흡입부
151: 흡입패널 152: 복수의 미세먼지 흡입 팬
160: 측정부
161: 수량 측정기 162: 미세먼지 측정기
163: 습도 측정기 164: 온도 측정기
170: 램프
111: 복수의 스위치 112: 표시등
113: 디스플레이 114: 개방 면
115: 물 저장탱크 투입구
120: 정화용 물 순환부
121: 물 저장탱크 122: 물 흡입관
123: 물 배출관 124: 펌프
125: 물 흐름 유도판 126: 물 저장탱크 감지부
140: 물 정화부
141: 물 수집기 142: 필터 케이스
143: 필터
150: 미세먼지 흡입부
151: 흡입패널 152: 복수의 미세먼지 흡입 팬
160: 측정부
161: 수량 측정기 162: 미세먼지 측정기
163: 습도 측정기 164: 온도 측정기
170: 램프
Claims (6)
-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의 일부가 개방되고, 외면에 복수의 스위치, 표시등 및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며, 측면 또는 후면의 하부에 물 저장탱크 투입구가 형성된 정화기 케이스;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미세먼지 정화용 물(이하 정화용 물)을 물 흐름 유도판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한 후 상기 물 저장탱크에 재 수집하는 정화용 물 순환부;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의 하부에서 상기 정화용 물을 수집하여 상기 정화용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하부에 설치된 상기 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물 정화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의 외부에 설치되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물 흐름 유도판에 강제로 충돌시키는 미세먼지 흡입부; 및
상기 정화용 물의 양, 공기 중 미세먼지의 양,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용 물 순환부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상기 물 저장탱크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용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
상기 물 저장탱크와 펌프 사이에 설치되는 물 흡입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용 물이 흐르는 면의 상부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후면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 물 흐름 유도판;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물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정화용 물을 복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방향을 향하는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의 표면의 상부로 분산 배출하는 물 배출관; 및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 저장탱크가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물 저장탱크 감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물 저장탱크 감지부는,
제1 회전축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하부면이 상기 정화기 케이스에 각각 장착된 2개의 회전축 고정패널;
양 단이 상기 2개의 회전축 고정패널의 제1 회전축 고정홀에 각각 삽입되는 회전축;
활처럼 휘어져 있는 감지 바디, 상기 감지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회전축 고정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감지 바디의 일단은 상기 물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 바디의 다른 일 단은 상기 물 저장탱크가 위치하는 곳에 위치하는 탱크 감지 패널;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된 스프링 고정 기둥; 및
일 단이 상기 스프링 고정기둥에 고정되고 다른 일 단은 상기 감지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 바디의 다른 일 단이 상기 물 저장탱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물 정화부는,
상부의 넓은 면으로 상기 물 흐름 유도판의 하부로 이동하는 상기 정화용 물을 하부의 좁은 면으로 집중시키는 물 수집기;
상기 물 수집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제1항에서,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는,
상기 정화기 케이스의 개방된 외부에 설치되며 팬 고정용 홀이 복수 개 형성된 흡입패널;
상기 복수의 팬 고정용 홀에 각각 장착된 복수의 미세먼지 흡입 팬; 및
상기 흡입패널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물 흐름 유도판에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하는 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제4항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물 흡입관 중 상기 물 저장탱크의 내부에 잠기는 곳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용 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량 측정기;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장소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기;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장소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기; 및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기의 메인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램프의 동작을 지시하는 램프 스위치; 및
상기 미세먼지 흡입 팬의 동작을 지시하는 흡입 팬 스위치; 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등은,
전원의 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 및
상기 수량 측정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물 저장탱크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는 물 없음 지시등;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미세먼지 측정기, 상기 습도 측정기 및 상기 온도 측정기로부터 전달받은, 미세먼지 양, 습도 및 온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624U KR200489840Y1 (ko) | 2017-05-29 | 2017-05-29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CN201820343563.4U CN208205227U (zh) | 2017-05-29 | 2018-03-14 | 用水的空气净化器 |
PCT/KR2018/003153 WO2018221843A1 (ko) | 2017-05-29 | 2018-03-19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624U KR200489840Y1 (ko) | 2017-05-29 | 2017-05-29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415U KR20180003415U (ko) | 2018-12-07 |
KR200489840Y1 true KR200489840Y1 (ko) | 2019-10-14 |
Family
ID=6445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2624U KR200489840Y1 (ko) | 2017-05-29 | 2017-05-29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840Y1 (ko) |
CN (1) | CN208205227U (ko) |
WO (1) | WO2018221843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030B1 (ko) * | 2007-12-20 | 2008-06-24 | 박이동 | 공기세척정화장치 |
KR100953455B1 (ko) | 2009-07-07 | 2010-04-16 | 윤석인 | 먼지입자 클리닝장치 |
JP2010284259A (ja) | 2009-06-10 | 2010-12-24 | Ecovital:Kk | 空気清浄機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7486A (ko) * | 2005-12-02 | 2007-06-07 | 박지영 | 습식 공기청정기 |
KR20080001082U (ko) * | 2006-11-10 | 2008-05-15 | (주)에프에이테크 |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
CN103776223B (zh) * | 2009-03-27 | 2016-08-17 | 三菱电机株式会社 | 静电雾化装置、设备、空气调节器以及电冰箱 |
KR101028519B1 (ko) * | 2009-05-21 | 2011-04-11 | 정영민 | 습식 공기정화 장치 |
KR101152015B1 (ko) * | 2010-08-30 | 2012-06-01 | 정영민 |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
KR101328449B1 (ko) * | 2011-12-15 | 2013-11-14 | 강석원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워터 스크린 장치 |
KR102521510B1 (ko) * | 2015-09-15 | 2023-04-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제습기 |
-
2017
- 2017-05-29 KR KR2020170002624U patent/KR200489840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3-14 CN CN201820343563.4U patent/CN208205227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03-19 WO PCT/KR2018/003153 patent/WO20182218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030B1 (ko) * | 2007-12-20 | 2008-06-24 | 박이동 | 공기세척정화장치 |
JP2010284259A (ja) | 2009-06-10 | 2010-12-24 | Ecovital:Kk | 空気清浄機 |
KR100953455B1 (ko) | 2009-07-07 | 2010-04-16 | 윤석인 | 먼지입자 클리닝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08205227U (zh) | 2018-12-07 |
WO2018221843A1 (ko) | 2018-12-06 |
KR20180003415U (ko) | 2018-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69007A (zh) | 包括净化装置的涂装隔间 | |
ES2861653T3 (es) | Campana extractora de humos | |
EP3163201A1 (en)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KR101963328B1 (ko) | 가스 감지 및 유분 자동 제거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레인지 후드 | |
KR100920182B1 (ko) | 슬림형 집진기 | |
KR101958308B1 (ko) | 수막형 공기청정기 | |
KR200489840Y1 (ko) |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 |
EP3163190B1 (en) |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 |
CN218096172U (zh) | 组合灶 | |
CN218096173U (zh) | 组合灶 | |
KR101015604B1 (ko) | 습식 진공청소기 | |
CN207262897U (zh) | 一种电路板烘干设备 | |
JP2005283057A (ja) | ドレン排水装置付き空気調和機 | |
KR101877911B1 (ko) | 멀티 공기청정시스템 | |
JP2008122063A5 (ko) | ||
KR102204943B1 (ko) | 공기 청정 장치 | |
JPH09155139A (ja) | 空気清浄装置 | |
KR19980014703A (ko) | 습식공기정화장치 | |
CN208809715U (zh) | 一种用于颗粒物处理的滤筒式除尘设备 | |
KR101245757B1 (ko) | 바닥의 자동 청소 장치 | |
JP2009142813A (ja) | 集塵機 | |
KR100580968B1 (ko) | 습식 공기청정기 | |
JP2021058841A (ja) | 集塵機及び濾過機付き集塵機 | |
JP3070057U (ja) | 動物飼育ラック | |
JP2553358Y2 (ja) | 空気清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