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98Y1 - 고추끈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고추끈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98Y1
KR200489698Y1 KR2020180001376U KR20180001376U KR200489698Y1 KR 200489698 Y1 KR200489698 Y1 KR 200489698Y1 KR 2020180001376 U KR2020180001376 U KR 2020180001376U KR 20180001376 U KR20180001376 U KR 20180001376U KR 200489698 Y1 KR200489698 Y1 KR 200489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main body
opening
knif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39U (ko
Inventor
한동윤
Original Assignee
한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윤 filed Critical 한동윤
Priority to KR202018000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9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22Hollow and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추끈 설치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고추끈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고추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게 형성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고추끈이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가리도록 상기 개구부 주연에 힌지 결합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칼을 거치하는 거치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에 거치되는 칼의 하단 칼날 부위는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추끈 수납박스{Pepper-line storage box}
본 고안은 고추끈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추끈 설치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고 휴대하여 사용하는 중에는 의자의 대용품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추끈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고추란, 열대성 식물로 늦봄부터 여름에 걸쳐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추의 재배과정은 밭을 준비하고 모종을 심는 여타 다른 작물의 재배 과정과 유사하나, 고추가 자라 열매를 맺고 줄기를 키우는 과정에서는 고추의 무게가 점차 증가하여, 비나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손쉽게 쓰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어, 고추가 쓰러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추가 심어진 두둑에 말뚝을 박고 고추를 지지할 수 있는 줄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은 고추작물의 생장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고추의 생장과정에서 2~3회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고추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고추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추끈 작업은 대개, 사람이 인력으로 고추가 심어진 두둑 사이를 오가며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추끈을 휴대하여 이동하는 과정과 고추끈을 묶는 과정은 물론이고, 고추작물에 묶인 고추끈의 절단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서, 고추작물의 원활한 생장을 위한 고추끈 작업의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고추끈 작업을 이루는 중에 고추끈을 절단할 수 있는 가위나 칼을 작업자가 휴대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로 작업 중에 가위나 칼을 분실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의 인력으로 고추끈의 절단을 이루며 고추끈 작업을 이루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으며, 고추끈을 일일이 휴대하여 이동하거나 고추끈을 일정한 장소에 올려놓고 인출하며 사용해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고추끈의 인출과정은 물론이고, 이를 통한 고추작물의 고추끈 연결 작업을 원활하게 이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 1에서와 같이, 고추끈과 같은 결속끈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결속끈 엉킴 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방법은 결속끈의 엉킴을 방지할 수는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고추끈과 같은 결속끈을 편리하게 휴대하고, 사용중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가위나 칼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추끈과 같은 결속끈을 원활하게 절단하며 작업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2012-0001652(2012.03.08)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추끈 작업중에 고추끈이 엉키거나 한번에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인 고추끈 설치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고추끈 작업중에 칼이나 가위 등을 작업자가 휴대하지 않고도 고추끈의 휴대와 절단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루며 안정적인 고추끈 설치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보조의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고추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게 형성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고추끈이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가리도록 상기 개구부 주연에 힌지 결합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칼을 거치하는 거치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에 거치되는 칼의 하단 칼날 부위는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둘출 형성하는 끈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끈연결구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에 형성하는 연결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유동 가능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내측 중심부에 인출공이 구비된 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부로 관통공을 형성하며 돌출 형성하는 고추끈지지대와, 상기 고정돌기에 착탈 결합되게 상기 몸체의 외측부로 돌출 형성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구는 상기 칼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와, 상기 제1거치구에 거치된 칼의 칼날 부위를 거치시키는 제2거치구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구는 상기 칼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와, 상기 제1거치구에 거치된 칼의 칼날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절곡되게 구비하는 제2거치구로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는 가위 또는 칼을 보관하는 보조포켓을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거치구, 끈연결구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추끈 작업중에 인출공을 통해 고추끈이 엉키거나 한번에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이고, 고추끈 작업중에 칼이나 가위 등을 작업자가 휴대하지 않고도 고추끈의 휴대와 절단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업자가 앉을 수 있는 보조의자로써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에 고추끈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의 본체와 덮개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끈 수납박스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추끈 수납박스의 본체와 덮개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부(10a)를 형성하고, 고추끈(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b)을 상기 개구부(10a)와 연결되게 형성한 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0b)에 수용된 고추끈(1)이 인출 가능하게 하는 인출공(21a)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a)를 가리도록 상기 개구부(10a) 주연에 힌지(30) 결합하는 덮개(20)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칼(2)을 거치하는 거치구(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11)에 거치되는 칼(2)의 하단 칼날(2a) 부위는 상기 본체(1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10)는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내측에 수용공간(10b)을 형성한 박스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수용공간(10b)은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10a)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개구부(10a)를 통하여 고추끈(1)을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10a)와 연결되는 수용공간(10b)으로 고추끈(1)이 위치되게 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은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힌지(30) 구조를 통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수용된 고추끈(1)이 인출 가능하게 상기 본체(10a)의 개구부를 가리도록 힌지(30) 결합한다.
이러한 본체(10)와 덮개(20)가 힌지(30)를 통하여 결합하는 구성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일 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덮개(20)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유동 가능한 고정돌기(13)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고정돌기(1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23)를 덮개(20)를 이루는 판 형상의 몸체(21)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3)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0a)와 인접한 위치에 유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결합돌기(23)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덮개가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3)와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덮개(20)가 본체(10)의 개구부(10a)를 가리도록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와 덮개(2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끈연결구(1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끈연결구(12)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하는 연결몸체(12a)와, 상기 연결몸체(12a)에 형성하는 연결공(12b)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는, 상기 연결공(12b)에 작업자의 허리띠 또는 작업자의 신체에 걸칠 수 있는 끈(3) 등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끈연결구(12)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의 허리띠 또는 작업자의 신체에 결칠 수 있는 끈(3) 등을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끈연결구(12)의 설치되는 위치, 방향, 갯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본체(10)에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위치된 고추끈(1)이 덮개(20)를 관통하며 거치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는 즉,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 내측에 위치된 고추끈(1)이 본체(10)의 외측으로 풀리며 인출되는 경우, 인출이 이루어지는 고추끈(1)이 덮개(20)를 관통하며 거치 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20)를 이루는 판 형상의 몸체(21)에는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위치된 고추끈(1)이 몸체(21)를 관통하며 인출될 수 있는 인출공(21a)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출공(21a)은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위치된 고추끈(1)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인출이 이루어지는 고추끈(1)이 몸체(21)를 관통하며 걸리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둔덕에 심어진 고추를 바로 세우고, 비나 바람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하여 고추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추끈 설치 작업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에 수용된 고추끈(1)이 바람에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고추끈 설치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20)를 이루는 몸체(21)에는 관통공(22a)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21)의 외측부로 돌출 형성하는 고추끈지지대(22)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추끈지지대(22)는 상기 몸체(21)의 인출공(21a)을 통하여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위치된 고추끈(1)이 인출되는 경우, 인출이 이루어진 고추끈(1)이 상기 고추끈지지대(22)의 관통공(22a)을 관통하며 결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0b)에 수용한 고추끈(1)을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인출하며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20)의 인출공(21a)과, 관통공(22a)이 구비된 고추끈지지대(22)의 구성을 통하여 외부환경에 의하여 고추끈(1)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고추끈 설치 작업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구(11)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칼(2)의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거치구(11)는 칼(2)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11a)와,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된 칼(2)의 칼날(2a) 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제2거치구(11b)로 구성한다.
상기 제1거치구(11a)와, 제2거치구(11b)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21)의 인출공(21a)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된 고추끈(1)을 칼(2)의 칼날(2a)을 통하여 절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거치구(11a)와 제2거치구(11b)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칼날(2a)이 구비된 칼(2)을 견고하게 거치시켜 작업자가 고추끈(1)을 파지하여 칼날(2a)과 밀착을 이루며 고추끈(1)의 절단 작업을 편리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칼(2)은 고추끈(1)이 밀착되는 경우, 고추끈(1)의 밀착면을 잘라낼 수 있는 종래의 칼(2)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칼날(2a)이 구비되는 부위에 별도의 덮개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손이 칼날(2a)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거치구(11a)와 제2거치구(11b)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구멍을 형성한 띠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나, 이러한 제1거치구(11a)와 제2거치구(11b)의 형상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칼(2)의 거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구(11)는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칼(2)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11a)와,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된 칼(2)의 칼날(2a)이 삽입되는 삽입홈(11b-1)을 구비한 제2거치구(11b)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거치구(1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거치구(11a)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2거치구(11b)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절곡되게 제2거치구(11b)를 구성한 후, 도시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거치구(11b)에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시킨 칼(2)의 칼날(2a)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b-1)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1b)에 위치된 고추끈(1)을 덮개(20)를 이루는 몸체(21)의 인출공(21a)으로 인출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출이 이루어진 고추끈(1)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거치구(11a)의 절곡된 부위에 걸리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거치구(11b)의 삽입홈(11b-1)에 삽입된 칼날(2a)을 통하여 고추끈(1)의 절단 과정을 편리하게 이루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칼날(2a)이 구비된 칼(2)의 형상을 칼날(2a)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칼(2)을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시키고 제2거치구(11b)의 삽입홈(11b-1)에 칼날(2a)을 삽입하여 작업자의 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고추끈(1) 절단 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본체(10)의 외측부에는 가위 또는 칼을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조포켓(40)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포켓(40)은 가위 또는 칼을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보조포켓(40)은 본 고안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덮개 또는 뚜껑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10)와 거치구(11)는 플라스틱재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높이고, 이에 따른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본체(10)와 거치구(11)의 구성과,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구비하는 끈연결구(12)의 구성은 사출성형법을 통하여 본 고안인 고추끈 수납박스를 제작하기 위한 형태로서, 상기 본체(10), 거치구(11), 끈연결구(12)를 사출성형법을 통하여 제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양하게 그 형상과 결합하는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고추끈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본체와 덮개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의자의 대용품으로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 고추끈 2: 칼
2a: 칼날 3: 끈
10: 본체 10a: 개구부
10b: 수용공간 11: 거치구
11a: 제1거치구 11b: 제2거치구
11b-1: 삽입홈 12: 끈연결구
12a: 연결몸체 12b: 연결공
13: 고정돌기 20: 덮개
21: 몸체 21a: 인출공
22: 고추끈지지대 22a: 관통공
23: 결합돌기 30: 힌지
40: 보조포켓

Claims (7)

  1. 박스 형상으로 일측에 개구부(10a)를 형성하고, 고추끈(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b)을 상기 개구부(10a)와 연결되게 형성하며,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하는 끈연결구(12)를 구비하며, 외주면에 유동 가능한 고정돌기(13)를 형성한 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0b)에 수용된 고추끈(1)이 인출가능하게 하고 인출되면서 걸리도록 인출공(21a)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0a)를 가리도록 상기 개구부(10a) 주연에 힌지(30) 결합하며, 내측 중심부에 인출공(21a)을 구비한 판 형상의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외측부로 관통공(22a)을 형성하며 돌출 형성하는 고추끈지지대(22)와, 상기 고정돌기(13)에 착탈 결합되게 상기 몸체(21)의 외측부로 돌출 형성하는 결합돌기(23)를 구비한 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칼(2)을 거치하는 거치구(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구(11)에 거치되는 칼(2)의 하단 칼날(2a) 부위는 상기 본체(1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끈연결구(12)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 형성하는 연결몸체(12a)와, 상기 연결몸체(12a)에 형성하는 연결공(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끈 수납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11)는
    상기 칼(2)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11a)와,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된 칼(2)의 칼날(2a) 부위를 거치시키는 제2거치구(11b)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끈 수납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11)는
    상기 칼(2)의 손잡이를 거치시키는 제1거치구(11a)와,
    상기 제1거치구(11a)에 거치된 칼(2)의 칼날(2a)이 삽입되는 삽입홈(11b-1)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둘레에 절곡되게 구비하는 제2거치구(11b)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끈 수납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측부에는
    가위 또는 칼을 보관하는 보조포켓(40)을 더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끈 수납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거치구(11), 끈연결구(12)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끈 수납박스.
KR2020180001376U 2018-03-29 2018-03-29 고추끈 수납박스 KR200489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6U KR200489698Y1 (ko) 2018-03-29 2018-03-29 고추끈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76U KR200489698Y1 (ko) 2018-03-29 2018-03-29 고추끈 수납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61A Division KR20180030816A (ko) 2018-03-16 2018-03-16 고추끈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39U KR20180000939U (ko) 2018-04-04
KR200489698Y1 true KR200489698Y1 (ko) 2019-07-25

Family

ID=6196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76U KR200489698Y1 (ko) 2018-03-29 2018-03-29 고추끈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9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337B2 (ja) * 1995-08-08 2001-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1139084A (ja) * 1999-08-31 2001-05-22 Toshiko Fujisaki 紐玉入れ
JP2013244978A (ja) * 2012-05-24 2013-12-09 Mitsunobu Abe 紐収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345A (ja) * 1996-10-09 1998-05-06 Kawasaki Seal Seisakusho:Kk 梱包紐用容器
JP3140337U (ja) * 2008-01-10 2008-03-21 ユーカリ商事株式会社 結束紐用容器
KR20120001652U (ko) 2010-08-30 2012-03-08 장인식 결속끈 엉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337B2 (ja) * 1995-08-08 2001-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1139084A (ja) * 1999-08-31 2001-05-22 Toshiko Fujisaki 紐玉入れ
JP2013244978A (ja) * 2012-05-24 2013-12-09 Mitsunobu Abe 紐収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39U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316A1 (en) Rose pruning and stripping device
US4515423A (en) Extension device for electrically powered tools
MXPA04001298A (es) Herramienta de corte circular para usos multiples con cabezales intercambiables.
US5582338A (en) Tool holder for storing pruning and cutting implements
KR200489698Y1 (ko) 고추끈 수납박스
KR20180030816A (ko) 고추끈 수납박스
KR101715711B1 (ko) 고소 전지칼
KR20170037044A (ko) 고추끈 수납박스
US20020134017A1 (en) Post planter
JP2000024340A (ja) 剪定鋏の鞘
KR20170124269A (ko) 박피기능을 갖춘 안전 과도
CN108323307B (zh) 一种绿化草坪修理设备
CN216626750U (zh) 一种树木修剪工具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CN210840780U (zh) 一种鲜花的种植用剪枝钳
CN211064236U (zh) 一种用于茶叶种植的修剪设备
CN217336556U (zh) 一种森林抚育修枝装置
CN215683547U (zh) 一种园林绿化用的高空枝干裁剪手锯
CN212876819U (zh) 一种新型的户外绿篱修剪机
KR102478837B1 (ko) 다용도 낫
JP3173140U (ja) 園芸バリカン用コード保護具
CN210928704U (zh) 一种苗木嫁接、修整多用便持刀
CN212910880U (zh) 一种用于户外的新型绿篱机
CN211867931U (zh) 一种花卉裁剪装置
CN218570919U (zh) 一种可调节的绿植裁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