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84Y1 -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 Google Patents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84Y1
KR200489084Y1 KR2020167000025U KR20167000025U KR200489084Y1 KR 200489084 Y1 KR200489084 Y1 KR 200489084Y1 KR 2020167000025 U KR2020167000025 U KR 2020167000025U KR 20167000025 U KR20167000025 U KR 20167000025U KR 200489084 Y1 KR200489084 Y1 KR 200489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ank
toile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7000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53U (ko
Inventor
샤오파 린
샤오산 린
산 린
다하이 취에
진양 정
Original Assignee
코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229261.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455164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1051804.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22421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1051585.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22420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0100033.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369434U/zh
Application filed by 코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코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02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8Bowl integral with the flushing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E03D1/306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with articulated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8Pusher plates and actuating mechanisms for built-in cis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6Water pressure regulating means in flush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급수기의 배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탱크 상단에는 물 주입구를, 하단에는 배수구를 설치하고, 배수구와 트랩 수로가 서로 통하도록 한다. 물탱크 내부에 배수구를 여닫는데 사용되는 탱크볼을 설치하고, 물탱크 내부에 물저장구역을 설치한다. 이것은 유체 가이드 통로도 포함하고 있다. 이 유체 가이드 통로의 한쪽은 물 주입구와 연결시키고, 또 다른 쪽은 물저장구역까지 확장시키며,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 밑에 있거나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물 주입 시 물이 물탱크를 타격하는 소음을 없앰으로써 물 주입 소음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WATER SUPPLY DEVICE USED IN TRAP AND TOILET BOWL WITH A TRAP WATER SUPPLY DEVICE}
본 고안은 양변기 모듈과 관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에 관련된 것이다.
원피스 양변기 등 기존 기술을 적용한 많은 물을 보충하는 양변기는 수조가 낮기 때문에 배수 후 양변기가 물을 씻겨 내리기 전에 수위가 물 주입밸브의 급수 시작 시까지 내려가면 물 주입밸브로 들어오는 물이 파이프를 통해 직접 양변기의 트랩 등을 보충해줌으로써 세정 및 양변기 물내림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수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물 주입밸브의 물 보충 속도의 편차가 크다. 그러므로 이런 방식으로 물을 보충하게 되면 양변기의 수요에 따라 정확하게 물을 보충할 수 없으며, 수압이 낮을 경우 물 보충 양도 적어져 세라믹 면을 세정하지 못해 양변기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압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물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기존의 물 보충은 배수 시작 후 양변기가 물을 씻겨 내리기 전에 수위가 물 주입밸브의 급수 시작 시까지 내려가면 물 주입밸브로 들어오는 물이 파이프를 통해 직접 양변기의 트랩 등을 보충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은 양변기 수조의 물이 가득 찰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물 주입밸브가 닫혀야 트랩으로의 물 공급이 중단된다. 트랩으로의 물 공급 시간이 길어지고 수압이 너무 클 경우 물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 보충장치가 출현하였으며 이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있다. 이 물탱크는 물 주입구와 물 배출구를 갖고 있으며, 넘침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 넘침관은 양변기의 수조와 연결되어 있다. 물이 들어오면 물 주입밸브로부터 들어온 물이 물 주입구를 통해 물탱크로 들어가고, 물탱크 안의 수위가 넘침관의 높이만큼 상승하면 물은 넘침관을 통해 양변기 수조 안으로 들어가서 수조 안의 수위가 작동수위까지 다다르면 물 주입밸브는 급수를 멈춘다. 배수가 시작되면 수조는 배수를 하고, 물탱크의 물이 빠져 나가며, 양변기의 트랩에 물이 공급된다. 흔들림 방지 흡입 기관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물탱크의 물 주입구는 일반적으로 물탱크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물탱크의 물 주입구와 물탱크의 하단이면 사이에 일정한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직접 물탱크를 씻어내려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존 기술의 부족을 보완하여 소음 감소 기능을 갖춘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와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이며, 이 급수기의 배수는 양변기 수조의 배수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탱크 상단에는 물 주입구를, 하단에는 배수구를 설치하고, 배수구와 트랩 수로가 서로 통하도록 한다. 물탱크 내부에 배수구를 여닫는데 사용되는 탱크볼을 설치하고, 물탱크 내부에 물저장구역을 설치한다. 이것은 유체 가이드 통로도 포함하고 있다. 이 유체 가이드 통로의 한쪽은 물 주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쪽은 물저장구역까지 확장시키고,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 밑에 있거나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물탱크 안에 넘침관이 설치되어 있고, 이 넘침관의 하단이 양변기 수조 안까지 뻗어 있으며,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 아래 있거나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소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소음기는 넘침관 안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음기는 중심축과 이 중심축 주변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이 나사선형 블레이드의 바깥지름 사이즈와 상기 넘침관의 안지름은 서로 맞물린다. 이 나사선형 블레이드의 바닥은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 아래 있거나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물탱크 안쪽 꼭대기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깥지름이 넘침관 안지름 보다 작은 고정기둥이 위치해 있으며, 이 고정기둥은 상기 넘침관 내부까지 들어가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물탱크 꼭대기에 상기 물 주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물 넘침 구멍이 있고, 이 물 넘침 구멍의 윗부분 벽에 대기구멍(大氣口)이 있다. 이 물 넘침 구멍의 하단에는 수원(水源)과 연결되는 물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기구멍은 물 주입구와 위 아래가 서로 대응된다. 또한 대기구멍 위에는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 넘침 구멍의 상단 벽에는 아래방향으로 사방이 막힌 칸막이 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는 이 칸막이 벽 안쪽에 위치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는 가이드 포스트, 제1 가스킷과 제2 가스킷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가스킷 세트는 가이드 포스트 밖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포스트 유동 인서트(insert)는 상기 대기구멍과 연결되어 있고, 제1 가스킷은 대기구멍 하단에 있다. 제2 가스킷은 상기 가이드 포스트 밑단에 위치해 있으며, 이 둘은 같은 축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가스킷은 제2 가스킷 위에 놓여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탱크볼은 배수레버를 통해 상기 물탱크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레버는 오픈 리프트 체인을 통해 구동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를 통해 탱크볼 오픈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변기 수조 안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볼 닫힘을 조절하는 부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부구는 리프트 체인이 닫히면 배수레버와 연결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평형추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수레버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배수레버나 배치모듈(配置塊)에 위치해 있다.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은 제1 체결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은 제2 체결구와 연결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부구에는 물 저장 챔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 안에 수직으로 도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관의 바닥은 물탱크 하단까지 뻗어 있으며, 상기 부구의 이 도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식 슬리브(活動套)는 이 도관 밖에 위치해 있다.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 한쪽은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도관을 지나서 상기 부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에는 부구의 물 저장 챔버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물보충관에서 나온 후 물탱크 바깥쪽 벽을 따라 부구의 물 저장 챔버 안으로 들어간다.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는, 상기 물탱크는 양변기의 수조 상단에 위치해 있다. 수조안의 물 주입밸브로 물을 공급하고, 물탱크의 배수구와 양변기의 트랩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탱크볼은 양변기의 배수밸브와 연동되어 열린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탱크볼은 배수레버를 통해 물탱크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레버는 오픈 리프트 체인과 함께 구동기구를 연결한다. 이 구동기구를 통해 탱크볼 및 양변기의 배수밸브 오픈을 컨트롤 하며, 양변기의 배수밸브는 탱크볼 타입 배수밸브이다. 더불어 양변기 수조 안에 있고, 탱크볼 닫힘에 사용되는 부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구는 리프트 체인이 닫히도록 하여 배수레버와 연결시킨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부구에는 물 저장 챔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 안에 수직으로 도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관의 하단은 물탱크 하단까지 뻗어 있으며, 상기 부구의 이 도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식 슬리브(活動套)는 이 도관 밖에 위치해 있다.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 한쪽은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도관을 지나서 상기 부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에는 부구의 물 저장 챔버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물보충관에서 나온 후 물탱크 바깥쪽 벽을 따라 부구의 물 저장 챔버 안으로 들어간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구동기구는 고정된 본체, 제1 구동 스윙 암, 제2구동 스윙 암, 래크가 있는 버튼, 제1 기어,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버튼은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이 둘 사이에는 복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어는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의 래크와 맞물려 있다. 제1 구동 스윙 암, 제2 구동 스윙 암, 제2 기어는 각각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구동 스윙 암, 제2 기어는 제1 기어와 같은 축에 연동되어 있다. 제2 구동 스윙 암에는 동축 연동을 하는 제3 기어가 연동되어 있으며, 이 제 3기어는 제 2기어와 맞물려 있다. 제1 구동 스윙 암은 배수 리프트 체인을 통해 양변기의 배수밸브와 연결되어 있고, 제2 구동 스윙 암은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을 통해 상기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고안은 물탱크 내부에 유체 가이드 통로를 포함한 물저장구역을 설치하고, 이 유체 가이드 통로의 한쪽이 물 주입구와 연결되고, 또 다른 쪽은 물저장구역까지 확장시키고,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 밑에 있거나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래서 물이 공급되면 물은 유체 가이드 통로를 통해 물저장구역 안으로 들어간 후 다시 물저장구역에서 물탱크의 기타 다른 구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물저장구역 안에 물이 있고, 유체 가이드 통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공급될 때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물의 충격이 약하기 때문에 물 공급 시의 물탱크 타격 소음을 줄일 수 있다.
2. 본 고안은 물탱크의 넘침관을 양변기의 수조 안에 넣고, 넘침관 하단을 수조의 배수 후 수위 아래에 있도록 하여 물이 넘침관을 통해 수조에 들어갈 때 넘침관에서 흘러나온 물이 바로 수조의 수면을 타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 유입 소음을 낮추었다.
3. 본 고안은 넘침관에 소음기를 설치하였으며, 소음기는 중심축과 이 중심축 주변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이로써 본 고안은 나사선형 블레이드로 물이 흐르는 노선을 연장하여 유속을 낮추고 물 흐름을 분산시켜 물의 충격도를 낮춤으로써 소음을 낮추었다.
4. 본 고안은 물 넘침 구멍의 상단 벽에는 아래방향으로 사방이 막힌 칸막이 벽을 설치하고,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를 이 칸막이 벽 안쪽에 놓아 물이 물 넘침 구멍에 가득 차면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칸막이 벽으로 둘러 싸인 독립적인 수역(水域)에 놓이도록 하여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물 흐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대기구멍이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대기구멍 누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5.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의 가이드 포스트와 제1 실링패킹은 독립적 부품이기 때문에 가이드 포스트는 잘 변형되지 않고 마모계수가 작은 재질로 만들 수 있으며, 이로써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움직일 때 이탈 없이 고정된다. 즉, 가이드 포스트의 가이드 효과가 좋기 때문에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의 밀봉력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6. 상기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는 각각 360°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닫힘 리프트 체인과 오픈 리프트 체인이 조작되는 과정에서 엉키지 않고 탱크볼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7. 상기 부구는 물 저장 챔버를 설치하여 물을 저장하고, 해머로 부구의 무게를 늘림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닫힘상태에 있을 때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의 구조설명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열림상태에 있을 때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탱크볼과 배수레버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부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고정기둥의 위치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급수기의 물보충관 설치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부구물 저장 챔버의 물 보충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구동기구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구동기구의 전체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급수 시작 시의 상태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배수 시작 시의 상태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배수과정 중의 상태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배수 종료 시의 상태설명도이다.
다음은 도면과 실시예시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한 것이다.
도 1-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는 물탱크(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물탱크(10) 꼭대기에 물 주입구(11)를 설치하고, 하단에 배수구를 설치한다. 배수구와 양변기(20)의 트랩수관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물탱크(10) 안에 배수레버(41)을 통해 배수구를 닫는 데 사용되는 탱크볼(40)을 설치한다. 이 탱크볼(40)은 오픈 리프트 체인(42)를 통해 구동기구(50)와 연결되며, 이 구동기구(50)는 탱크볼(40)의 열림을 컨트롤 한다. 더불어 양변기 수조(30) 안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볼(40)의 닫힘 컨트롤에 사용되는 부구(60)도 포함하고 있다. 이 부구(60)는 닫힘 리프트 체인(43)을 통해 배수레버(41)와 연결된다. 물탱크(10) 안에 물저장구역(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유체 가이드 통로(13)를 포함하고 있다. 이 유체 가이드 통로(13)의 한쪽은 물 주입구(1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물저장구역(12)까지 뻗어 있고, 물저장구역(12)의 최고 수위 아래에 위치해 있다(물저장구역(12)의 최고 수위와 같아도 됨).
본 실시 예시 중 도 3과 같이 상기 물탱크(10) 안에 넘침관(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넘침관(70)은 수조에 물을 공급한다. 이 넘침관(70)의 바닥은 양변기 수조(30) 안까지 들어가 있으며, 양변기 수조(30)의 배수 후 수위 아래에 위치해 있다(양변기 수조(30)의 배수 후 수위와 같아도 됨).
본 실시 예시 중에는 소음기(80)도 포함되어 있다. 이 소음기(80)는 넘침관(70) 안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소음기(80)는 중심축(81)과 이 중심축(81) 주변을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선형 블레이드(82)를 포함하며, 이 나사선형 블레이드(82)의 바깥지름 사이즈와 상기 넘침관(70)의 안지름은 서로 맞물린다. 이 나사선형 블레이드(82)의 바닥은 양변기 수조(30)의 배수 후 수위 아래에 있다(양변기 수조(30)의 배수 후 수위와 같아도 됨).
상기 중심축(81)의 꼭대기에는 설치부(83)가 있으며, 이 설치부(83)는 입수구멍이 있다. 상기 소음기(80)는 설치부(83)을 통해 상기 넘침관(70) 안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81)의 설치부(83)는 구체적으로 고리모양과 십자로 교차되는 모양으로, 이 고리모양 안의 고정근(固定筋)에 위치해 있다. 두 개의 인접한 고정근과 고리모양 사이는 입수구멍으로 둘러 싸여 있다. 상기 중심축(81)의 꼭대기는 이들 고정근의 교차부위와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모양은 넘침관(70)에 위치해 있다. 상기 넘침관(70)은 상하가 연결되어 있는 상 파이프와 하 파이프가 있으며, 상기 고리모양은 상 파이프와 하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위치해 있다. 상기 넘침관(70)의 상 파이프의 바닥은 물탱크(10)의 하단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넘침관(70)의 하 파이프는 양변기 수조(30)까지 뻗어 있다. 하 파이프의 꼭대기는 상 파이프의 꼭대기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4-도 6과 같이 상기 물탱크(10) 꼭대기에 상기 물 주입구(11)와 연결된 물 넘침 구멍(14)이 있다. 이 물 넘침 구멍(14)의 상단 벽에는 대기구멍(15)이 있으며, 이 물 넘침 구멍(14)의 바닥에는 수원을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물 주입구(16)(이 물 주입구(16)는 급수관(24)을 통해 수조 안의 물 주입밸브와 연결) 가 있다. 대기구멍(15)은 물 주입구(16)와 상하가 대응되며, 대기구멍(15)에는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 넘침 구멍(14)의 상단 벽에는 아래방향으로 사방이 막힌 칸막이 벽(17)이 있으며,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는 칸막이 벽(17) 안쪽에 위치해 있다. 상기 칸막이 벽(17)의 형태는 고리모양이며, 이 칸막이 벽(17)은 상기 대기구멍(15)과 동일한 축에 위치해 있다.
이밖에, 상기 물 넘침 구멍(14)의 상단 벽에는 아래방향으로 칸막이(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칸막이(18)하단과 상기 물 넘침 구멍(14)의 하단 사이에 과수통로(19)가 있다. 상기 물 주입구(11)와 물 주입구(16)는 물 넘침 구멍의 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각각 과수통로(19)의 양측에 위치해 있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5와 같이,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는 가이드 포스트(92), 제1 가스킷(91)과 2가스킷(93)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가스킷(91)세트는 가이드 포스트(92) 밖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포스트(92) 유동 인서트(insert)는 상기 대기구멍(15)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가스킷(91)은 대기구멍(15) 하단에 위치해 있다. 제2 가스킷(93)은 상기 가이드 포스트(92)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개의 가스킷은 같은 축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스킷(91)은 제2 가스킷(93) 위에 위치해 있다.
본 실시 예시 중,상기 물 넘침 구멍(14)의 상단 벽 대응 대기구멍(15) 사방에는 아래방향으로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가 위로 움직일 때 밀봉시키는 고리모양 상 플랜지(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 플랜지(141)는 상기 칸막이 벽(17)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대기구멍(15)과 같은 축에 위치해 있다. 상기 물 넘침 구멍(14)의 바닥 대응 물 주입구(16)의 사방에는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 아래방향으로 움직일 때 밀봉시키는 고리모양 하 플랜지(1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칸막이 벽(17)의 하단과 하 플랜지(142)의 꼭대기 사이에는 물이 지나가는 틈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리모양 하 플랜지(142)와 상기 물 주입구(16)는 같은 축에 위치해 있다.
도 6과 같이, 급수 시(물 흐름 방향과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의 움직임 방향은 도 6의 화살표와 같음), 물은 물 주입구(16)에서 물 넘침 구멍(14)으로 들어가고,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는 물 흐름의 충격과 수압의 영향으로 위로 움직인다.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의 제1 가스킷(91)은 빠르게 고리모양 상 플랜지(141)를 밀봉시켜 대기구멍(15)을 막음으로써 대기구멍(15)에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은 과수통로(19)에서 물 주입구(11)로 흘러간다. 급수 중단 시 물 넘침 구멍(14)의 상단 벽 아래방향으로 칸막이(18)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칸막이(18) 하단과 물 넘침 구멍(14)의 하단 사이에 과수통로(19)가 있기 때문에 물 넘침 구멍(14) 안의 남아 있는 물은 배수가 완료되기 전에 물 주입구(11)와 물 주입구(16)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대부분 물 주입구(11)에서 물탱크(10)로 흘러 급수 중단 시,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가 아래로 떨어지고,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90)의 제2 가스킷(93)이 고리모양 하 플랜지(142)를 밀봉한다. 물 넘침 구멍(14)은 대기구멍(15)을 통해 대기(大氣)와 연결되고, 진공이 손상되어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7과 같이 배치모듈(47,配置塊)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상기 배수레버(41)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제1 체결구(48)와 제2 체결구(49)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체결구(48) 이동식 슬리브(活動套)는 배치모듈(47,配置塊) 밖에 위치해 있으며, 제2 체결구(49)는 상기 배수레버(41)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42)은 제1 체결구(48)를 연결하며,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43)은 제2 체결구(49)를 연결한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8과 같이 상기 부구(60)에는 물 저장 챔버(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물 저장 챔버(62) 꼭대기는 열려 있어서 급수에 사용된다. 이밖에, 부구(60)의 물 저장 챔버(62)주변에는 하단이 열려 있는 빈 공간(63)이 있다. 이 빈 공간(63)을 이용하여 부구(60)에 부력을 제공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물탱크(10) 안에 도관(61)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도관(61)의 하단은 물탱크(10)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부구(60)에서 도관(6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식 슬리브(活動套)가 도관(61) 밖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43) 한쪽은 배수레버(41)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에는 도관(61)을 넘어서 상기 부구(6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10)에는 부구(60)의 물 저장 챔버(62)에 물을 보충하는 데 사용되는 물보충관(26)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물보충관(26)에서 나온 후 물탱크(10) 외벽을 따라 부구(60)의 물 저장 챔버(62) 안으로 들어가 조용히 물 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9와 같이 상기 물탱크(10) 안쪽 꼭대기에서 아래방향으로 바깥지름이 넘침관(70) 안지름 보다 작은 고정기둥(71)이 위치해 있으며, 이 고정기둥(71)은 상기 넘침관(70) 내부까지 들어가 있다. 고정기둥(71)을 이용하면 오픈 리프트 체인(42)이 넘침관(70)에 엉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0) 안쪽 꼭대기에 두 회전자(45,46)(도 2 참조)가 있으며,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42) 한쪽은 상기 제1 체결구(48)에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쪽은 회전자(45)를 휘감은 후 상기 구동기구(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닫힘 리프트 체인(43) 한쪽은 상기 제2 체결구(49)에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쪽은 회전자(46)을 휘감은 후 도관(61)을 통과하여 상기 부구(6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10과 같이 T자 관(25) 하나를 설치한다. 이 T자 관(25)의 1단은 급수관(251)을 통해 수조(30) 안의 물 주입밸브(21)와 연결되어 있다. 2단은 양변기 배수밸브의 넘침구멍과 연결되어 있어서 양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3단은 상기 물보충관(26)과 연결되어 있다. 물은 물보충관(26)에서 나온 후 물탱크(10) 바깥측 벽을 따라 부구(60)의 물 저장 챔버(62) 안으로 들어가고, 도 11과 같이 물탱크(10) 바깥측 벽 대응 물 저장 챔버(62)의 위치에는 흐름 가이드 수조(111,導流槽)가 설치되어 물이 물 저장 챔버(62)로 들어가게 가이드 함으로써 소음 감소 효과를 향상시켰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T자 관(25)의 1단을 바로 물탱크(10)의 물 넘침 구멍(14)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는 도 1-도 13과 같이 상기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물탱크(10)는 수조(30)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수조(30) 안의 물 주입밸브(21)를 통해 물을 공급한다. 물탱크(10)의 배수구는 양변기(20)의 트랩수관(27)과 연결되어 있으며(도 13 참조), 상기 탱크볼(40)은 양변기의 배수밸브(22)와 상기 구동기구(50)를 통해 연동되어 열린다. 상기 부구(60)는 수조(3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시 중 도 12, 도 13과 같이, 상기 구동기구(50)는 고정 본체, 제1 구동 스윙 암(56), 제2 구동 스윙 암(57), 래크가 있는 버튼(52), 제1 기어(55) 제2 기어(58)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본체는 제1 받침대(54)와 제2 받침대(59)를 고정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수조(30)에 고정되어 있다. 버튼(52)은 제1 받침대(54)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두 사이에는 복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어(55)는 제1 받침대(54)에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52)의 래크와 맞물려 있다. 제1 구동 스윙 암(56), 제2 구동 스윙 암(57), 제2 기어(58)는 각각 제1 받침대(54)와 제2 받침대(59)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구동 스윙 암(56), 제2 기어(58)는 제1 기어(55)와 같은 축에 연동되어 있다. 제2 구동 스윙 암(57)에는 동축 연동을 하는 제3 기어(571)가 연동되어 있으며, 이 제3 기어(571)는 제2 기어(58)와 맞물려 있다. 제1 구동 스윙 암(56)은 배수 리프트 체인(23)을 통해 상기 양변기의 배수밸브(2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밸브(22)는 탱크볼식 배수밸브이다. 제2 구동 스윙 암(57)은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42)을 통해 상기 배수레버(4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원 탄성체는 구체적으로 스프링(53)이며, 이는 커버(51)를 갖고 있다. 이는 나사못을 이용하여 제1 받침대(54)에 고정되어 있으며, 버튼(52)의 위치를 제한하여 버튼(52)이 스프링(53)으로 인해 제1 받침대(54)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52)을 누르면 래크는 제1 기어(55)와 제2 기어(58), 제1 구동 스윙 암(56)을 움직이게 하여 제1 구동 스윙 암(56)이 배수 리프트 체인(23)을 잡아당겨 양변기의 배수밸브(22)가 열리게 만든다. 더불어 제2 구동 스윙 암(57) 및 제3 기어(571)는 제2 기어(58)를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며, 제2 구동 스윙 암(57)은 오픈 리프트 체인(42)을 잡아당겨 물탱크(10) 안의 탱크볼(40)을 연다.
물 저장 시, 탱크볼(40)은 배치모듈(47,配置塊)과 자체 무게로 인해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물은 물 주입밸브(21)에서 급수관(24), 물 넘침 구멍(14), 유체 가이드 통로(13)를 거쳐 물저장구역(12)으로 들어간다. 물의 계속된 흐름에 따라 물저장구역(12)이 가득 차면, 물이 물탱크(10)의 다른 구역으로 흘러 넘친다. 처음 물 공급 전에 물저장구역(12) 안에는 물이 없다. 이후에는 물이 공급되기 전에도 물저장구역(12) 안에 일정 양의 물이 담겨 있으며, 이 물은 물탱크(10) 배수 시에도 배출되지 않는다. 급수 시(첫 급수 제외), 이 물저장구역(12) 안에 물이 담겨 있고 유체 가이드 통로(1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시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물의 충격이 약하기 때문에 물 공급 시의 물탱크(10) 타격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급수 과정이 계속됨에 따라 물탱크(10)의 수위도 점차 높아지고, 수위가 넘침관(70) 높이에 다다르면 물이 넘침관(70)으로 들어간다. 이 넘침관(70)을 통해 물이 양변기 수조(30)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도 14 참조. 넘침관(70)이 양변기 수조(30)의 배수 후 수위 아래 있고 상기 소음기(8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넘침관(70)을 통해 수조(30)으로 들어갈 때, 물이 직접 양변기 수조(30)의 수면을 타격하지 않고, 이 소음기(80)를 통해 물 흐름 선로를 연장하여 유속을 줄여주고 물 흐름을 분산시킴으로써 물의 충격을 낮춰 소음을 낮춘다. 양변기 수조(30)의 수위가 작업수위까지 상승하면 물 주입밸브(21)는 급수를 중단하여 급수과정을 완료하고, 수조(30) 안에 있는 부구(60)는 수조(30)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한다.
도 15, 도 16, 도 17과 같이 배수 시 버튼(52)을 누르면 구동기구(50)의 제1 구동 스윙 암(56)이 배수리프트 체인(23)을 잡아 당겨 배수밸브(22)를 연다. 구동기구(50)의 제2 구동 스윙 암(57)은 오픈 리프트 체인(42)를 잡아 당겨 탱크볼(40)을 열어 수조(30) 안의 물이 양변기의 분사 수관(28)으로 들어가고 물탱크(10) 안의 물이 양변기의 트랩수관(27)로 들어가게 한다. 탱크볼(40)은 배치모듈(47,配置塊)의 중력작용 하에 열림을 유지한다. 부구(60)는 수조(30)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같이 내려가고, 닫힘 리프트 체인(43)이 구동하여 탱크볼(40)을 닫을 때까지 당긴다. 배수 완료 후 배수밸브(22)가 닫히고, 물 주입밸브(21)로 물이 들어오면 상술한 물 저장 과정이 반복된다.
상기 실시예시는 본 고안 설명은 참고용으로만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기술적 요인에 근거하여 실시예시에 변화나 변형 등이 발생할 경우도 모두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Claims (13)

  1. 배수는 양변기 수조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물탱크를 포함하며, 물탱크 상단에는 물 주입구, 하단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배수구와 트랩 수로가 서로 통하도록 하며, 물탱크 내부에 배수구를 여닫는데 사용되는 탱크볼이 설치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에 물저장구역을 설치하고, 물저장구역은 유체 가이드 통로도 포함하고, 유체 가이드 통로의 한쪽은 물 주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또 다른 쪽은 물저장구역까지 확장되어 있으며,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 밑에 있거나 물저장구역의 최고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에 넘침관을 설치하고, 넘침관의 하단을 양변기 수조 안에 넣어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 아래 있거나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넘침관 안에 설치된 소음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소음기는 중심축과 중심축 주변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사선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나사선형 블레이드의 바깥지름 사이즈와 상기 넘침관의 안지름은 서로 맞물리며, 나사선형 블레이드의 하단은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 아래 있거나 양변기 수조의 배수 후 수위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물탱크 안쪽 꼭대기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깥지름이 넘침관 안지름 보다 작은 고정기둥이 위치해 있으며, 고정기둥은 상기 넘침관 내부까지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물탱크 꼭대기에 상기 물 주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물 넘침 구멍이 있고, 물 넘침 구멍의 윗부분 벽에 대기구멍이 있으며, 상기 물 넘침 구멍의 하단에는 수원(水源)과 연결되는 물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기구멍은 물 주입구와 위 아래가 서로 대응되며, 또한 대기구멍 위에는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물 넘침 구멍의 상단 벽에는 아래방향으로 사방이 막힌 칸막이 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는 칸막이 벽 안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흔들림 방지 흡착패드는 가이드 포스트, 제1 가스킷과 제2 가스킷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가스킷 세트는 가이드 포스트 밖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포스트 유동 인서트(insert)는 상기 대기구멍과 연결되어 있고, 제1 가스킷은 대기구멍 하단에 있으며, 제2 가스킷은 상기 가이드 포스트 밑단에 위치해 있고, 상기 두개의 가스킷은 같은 축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1 가스킷은 제2 가스킷 위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탱크볼은 배수레버를 통해 상기 물탱크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레버는 오픈 리프트 체인을 통해 구동기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기구를 통해 탱크볼 오픈을 조절할 수 있고, 양변기 수조 안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볼 닫힘을 조절하는 부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구는 리프트 체인이 닫히면 배수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배수레버에 설치되어 있는 평형추를 포함하고, 이는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를 포함하고 있고,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는 각각 상기 배수레버나 배치모듈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오픈 리프트 체인은 제1 체결구와 연결되어 있고, 닫힘 리프트 체인은 제2 체결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9. 제 7항에 있어서,
    부구에는 물 저장 챔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탱크 안에 수직으로 도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관의 하단은 물탱크 하단까지 뻗어 있고, 상기 부구 상의 도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식 슬리브는 도관 밖에 위치해 있으며, 닫힘 리프트 체인 한쪽은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도관을 지나서 상기 부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에는 부구의 물 저장 챔버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물보충관에서 나온 후 물탱크 바깥쪽 벽을 따라 부구의 물 저장 챔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10. 제1 항의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를 포함하며, 물탱크는 양변기의 수조 상단에 위치해 있으며, 수조안의 물 주입밸브로 물을 공급하고, 물탱크의 배수구와 양변기의 트랩수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탱크볼은 양변기의 배수밸브와 연동되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탱크볼은 배수레버를 통해 물탱크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레버는 오픈 리프트 체인과 함께 구동기구를 연결하고, 구동기구를 통해 탱크볼 및 양변기의 배수밸브 오픈을 컨트롤 하며, 양변기의 배수밸브는 탱크볼 타입 배수밸브이며 더불어 양변기 수조 안에 있고, 탱크볼 닫힘에 사용되는 부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부구는 리프트 체인이 닫히도록 하여 배수레버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부구에 물 저장 챔버를 설치하고, 물탱크 안에 수직으로 도관을 설치하며, 도관의 하단은 양변기 수조 안까지 뻗어 있으며, 부구의 이 도관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식 슬리브는 도관 밖에 위치해 있고, 닫힘 리프트 체인 한쪽은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쪽은 도관을 지나서 상기 부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에는 부구의 물 저장 챔버에 물을 보충하는 물보충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물은 물보충관에서 나온 후 물탱크 바깥쪽 벽을 따라 부구의 물 저장 챔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구동기구는 고정된 본체, 제1 구동 스윙 암, 제2구동 스윙 암, 래크가 있는 버튼, 제1 기어,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버튼은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이 둘 사이에는 복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고, 제1 기어는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의 래크와 맞물려 있고, 제1 구동 스윙 암, 제2 구동 스윙 암, 제2 기어는 각각 고정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구동 스윙 암, 제2 기어는 제1 기어와 같은 축에 연동되어 있으며, 제2 구동 스윙 암에는 동축 연동을 하는 제3 기어가 연동되어 있으며, 제3 기어는 제2 기어와 맞물려 있고, 제1 구동 스윙 암은 배수 리프트 체인을 통해 양변기의 배수밸브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구동 스윙 암은 오픈 리프트 체인을 통해 배수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KR2020167000025U 2015-04-16 2016-02-03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KR2004890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229261.0U CN204551646U (zh) 2015-04-16 2015-04-16 一种带配重块的拍盖结构
CN201520229261.0 2015-04-16
CN201521051804.0U CN205224213U (zh) 2015-12-16 2015-12-16 一种具有消音功能的大补水装置
CN201521051585.6 2015-12-16
CN201521051585.6U CN205224200U (zh) 2015-12-16 2015-12-16 一种大补水装置的防虹吸结构
CN201521051804.0 2015-12-16
CN201620100033.8U CN205369434U (zh) 2016-02-01 2016-02-01 一种用于洗圈的补水器及具有洗圈补水器的马桶
CN201620100033.8 2016-02-01
PCT/CN2016/073364 WO2016165456A1 (zh) 2015-04-16 2016-02-03 一种用于洗圈的补水器及具有洗圈补水器的马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53U KR20170002153U (ko) 2017-06-19
KR200489084Y1 true KR200489084Y1 (ko) 2019-04-26

Family

ID=5712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7000025U KR200489084Y1 (ko) 2015-04-16 2016-02-03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51506B2 (ko)
KR (1) KR200489084Y1 (ko)
AU (2) AU2016248150A1 (ko)
TW (1) TWM527898U (ko)
WO (1) WO2016165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6408B (zh) * 2017-03-03 2023-05-16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虹吸式补水装置及补水方法
CN109208719A (zh) * 2017-07-06 2019-01-15 厦门松霖家居有限公司 马桶进水阀防逆流结构
US11946240B2 (en) * 2019-08-07 2024-04-02 Eco (Xiamen) Technology Inc. Water outlet box of pressure-type flushing system and toilet using the water outlet box
CN110439075A (zh) * 2019-08-20 2019-11-12 厦门科陶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进排水联动的冲刷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76Y1 (ko) 2006-05-30 2006-08-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JP2010531399A (ja) 2007-06-25 2010-09-24 イスーイ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2436A (en) * 1945-08-29 1949-12-27 Jesse C Owens Antisiphonic toilet flush tank
JPH06287989A (ja) * 1993-04-06 1994-10-11 Toto Ltd 水洗便器
US5685026A (en) * 1996-04-12 1997-11-11 Chuang; Ming-Jung Structure of toilet bowl
KR20010044216A (ko) * 2001-01-16 2001-06-05 이미경 양변기 저소음 자동 볼탑
CN100342093C (zh) * 2002-09-25 2007-10-10 东陶机器株式会社 便器装置
US7159251B2 (en) * 2004-07-22 2007-01-09 Philip Hennessy Water saver flush system
JP2006274540A (ja) * 2005-03-28 2006-10-12 Toto Ltd 便器用洗浄水タンク装置
US20100058524A1 (en) * 2008-09-11 2010-03-11 Wajda George J Dual toilet tank system
CN201933579U (zh) * 2011-01-28 2011-08-17 泉州科牧智能厨卫有限公司 双水箱马桶
CN202214796U (zh) * 2011-06-30 2012-05-09 泉州科牧智能厨卫有限公司 一种低轮廓型马桶
JP5742085B2 (ja) * 2013-09-24 2015-07-01 Toto株式会社 洗浄水量調整装置、この洗浄水量調整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CN104264755B (zh) * 2014-10-13 2015-12-09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洗圈的补水器及具有洗圈补水器的马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276Y1 (ko) 2006-05-30 2006-08-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JP2010531399A (ja) 2007-06-25 2010-09-24 イスーイ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48150A1 (en) 2016-12-08
WO2016165456A1 (zh) 2016-10-20
KR20170002153U (ko) 2017-06-19
US9951506B2 (en) 2018-04-24
AU2016102077A4 (en) 2017-02-16
US20170058503A1 (en) 2017-03-02
TWM527898U (zh)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084Y1 (ko) 트랩에 사용되는 급수기 및 트랩 급수기가 있는 양변기
US10119260B2 (en) Discharge valve apparatus, flush water tank apparatus, and flush toilet
JP2004156382A (ja) 便器
JP2013521419A (ja) 水洗装置の水栓での漏水検出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CN105926735A (zh) 一种利用压力差排水的水箱排水装置
JP2013100668A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5828268B2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2013204268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2012202121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6187759B2 (ja) 水洗大便器装置
JP2013028965A (ja) 洗浄タンクの給水装置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JP2010236201A (ja) 水洗大便器
CN111691522A (zh) 一种马桶补水装置及方法和虹吸马桶
KR20080111240A (ko) 자동 물내림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JP6788213B2 (ja) 排水弁装置、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水洗大便器
CN111074983A (zh) 一种新型侧进水阀
CN111321786A (zh) 一种节水坐便器
JP2021055418A (ja) 水洗大便器
JP666213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1468884B1 (ko) 넘침 방지 기능을 갖는 분사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양변기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WO2018054294A1 (zh) 落水管及洗衣机
CN219033431U (zh) 水阀结构和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