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85Y1 -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85Y1
KR200488985Y1 KR2020180004023U KR20180004023U KR200488985Y1 KR 200488985 Y1 KR200488985 Y1 KR 200488985Y1 KR 2020180004023 U KR2020180004023 U KR 2020180004023U KR 20180004023 U KR20180004023 U KR 20180004023U KR 200488985 Y1 KR200488985 Y1 KR 200488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ottom plate
hip
hip suppor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베캐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베캐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베캐슬
Priority to KR2020180004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64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Mounting fram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욕조의 바닥판 표면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대의 위치를 아기의 체형에 따라 변경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기욕조(10)의 엉덩이 받침대(20)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20) 좌측 저면에 일정한 폭의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삽입돌기(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대(20) 우측 저면에 삽입홈(26)이 형성되고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돌기(24)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21)의 끼움홈(22)에 대응하는 바닥판(13)에 우측 방향으로 제1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공(16)이 형성된 복수 쌍의 제1고정구(14)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24)의 삽입홈(26)에 대응하는 바닥판(13)에 제2걸림턱(18)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결합공(19)이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구(17)가 구비된 것이다. 본 고안은 아기욕조의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엉덩이 받침대 저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와 결합돌기를 억지끼움으로 고정 결합하여 엉덩이 받침대가 바닥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아기의 체형에 따라 엉덩이 받침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목욕 때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아기욕조의 기능향상 및 신뢰성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Structure for Combination Bottom Supporter of Baby Bathtub}
본 고안은 아기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욕조의 바닥판 표면에 설치된 엉덩이 받침대의 위치를 아기의 체형에 따라 변경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욕조는 아기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욕조이다. 아기욕조는 아기를 손으로 들고 목욕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를 편안하게 눕힌 상태에서 몸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 아기욕조의 바닥판에 아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각도로 설치된 엉덩이 받침대는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지만 목욕 중에 아기가 움직이거나 아기를 들거나 놓는 등 아기를 움직일 때마다 엉덩이 받침대가 바닥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으로 유아를 안치하는 욕조바디(90)를 구비한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바디(90)는 상측면 테두리를 따라 터널 형상의 결합구(60)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수공(18)이 형성된 베스판(12)과, 상기 베스판(12) 테두리를 따라 단턱지게 연결되되 상기 결합구(60)에 대응하는 삽입홈(15)이 형성되는 삽입구(14)로 이루어진 샴푸바디(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샴푸바디(10)는 상기 욕조바디(90) 상측으로 탈착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미끄럼방지구를 바닥판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엉덩이를 받치는 미끄럼방지구가 바닥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유아의 목욕 중에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8927호(2014.09.16.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욕조 내에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엉덩이 받침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제공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 좌측 저면에 일정한 폭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삽입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대 우측 저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의 끼움홈에 대응하는 바닥판에 우측 방향으로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복수 쌍의 제1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홈에 대응하는 바닥판에 제2걸림턱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구가 구비된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돌기 단부에 끼움턱이 돌출 형성되되, 결합돌기 단부와 끼움턱 단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삽입돌기와 결합돌기 내측으로 수직하는 보강돌기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 좌측면에 손잡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기욕조의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엉덩이 받침대 저면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와 결합돌기를 억지끼움으로 고정 결합하여 엉덩이 받침대가 바닥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아기의 체형에 따라 엉덩이 받침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목욕 때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아기욕조의 기능향상 및 신뢰성을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아기욕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를 바닥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에서 엉덩이 받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아기욕조는 욕조(10), 엉덩이 받침대(20) 및 샴푸대(30)로 구분된다. 욕조(10)는 일정량의 목욕물을 받아 저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으로, 내부 일측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아기의 등이 닿도록 하여 일정 각도로 눕힌 상태에서 한 쌍의 팔걸이(12) 내측으로 양쪽 팔을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엉덩이 받침대(20)는 욕조(10)의 바닥판(13)에 고정되어 일정 각도로 누운 아기가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샴푸대(30)는 욕조(10) 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아기를 반듯이 눕힌 상태에서 머리가 욕조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샴푸대배수공(31)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복수의 관통된 배수공(31)이 형성된다.
바닥판(13)에는 복수 쌍의 제1고정구(14)와 복수의 제2고정구(17)가 구성된다. 즉, 제1고정구(14)와 제2고정구(17)는 각각 바닥판(13) 표면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저면도에서, 제1고정구(14)와 제2고정구(17)는 상부로 돌출된 형상이다. 더욱이 제1고정구(14)와 제2고정구(17)는 대략 반원통 형상이다.
도 3에서, 엉덩이 받침대(20)는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엉덩이 받침대(20) 좌측 저면에는 일정한 폭의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삽입돌기(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또한, 엉덩이 받침대(20) 우측 저면에는 삽입홈(26)이 형성되고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돌기(24)가 구비된다. 더욱이 결합돌기(24) 단부에 단턱을 두고 끼움턱(25)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24) 단부와 끼움턱(25) 단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다. 즉, 결합돌기(24) 단부는 좌측 아래로 경사진 형상이고, 끼움턱(25) 단부는 우측 아래로 경사진 형상이다.
또한, 삽입돌기(21)와 결합돌기(24) 내측으로 수직하는 보강돌기(23)(27)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돌기(21)와 결합돌기(24)에 강성을 도모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바닥판(13)에 형성된 복수 쌍의 제1고정구(14)는 내측에 삽입공(16)이 각각 형성되되, 삽입공(16) 위, 즉, 바닥판(13) 표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된다. 제1고정구(14)는 엉덩이 받침대(20) 좌측 아래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21)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제1고정구(14)는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3)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구(17)는 내측에 결합공(19)이 각각 형성되되, 결합공(19) 위, 즉, 바닥판(13) 표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제2걸림턱(18)이 돌출 형성된다. 제2고정구(17)는 엉덩이 받침대(20) 우측 아래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4)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제2고정구(17)는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서, 엉덩이 받침대(20) 좌측 아래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21)를 바닥판(13)에 구비된 제1고정구(14)의 삽입공(16)으로 삽입한다. 이때, 한 쌍의 삽입돌기(21)가 제1고정구(14)의 삽입공(16)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더욱이 삽입돌기(21)의 끼움홈(22)은 제1고정구(14)의 제1걸림턱(15)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 5b에서, 상기 삽입돌기(21)가 제1고정구(14)에 끼워진 상태에서 엉덩이 받침대(20)의 우측을 눌러 결합돌기(24)가 제2고정구(17)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 5c에서, 엉덩이 받침대(20) 우측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누르면, 결합돌기(24)의 끼움턱(25)이 제2걸림턱(18)을 지나 억지끼움으로 끼워진다. 이때, 결합돌기(24)와 끼움턱(25)은 가압할 때에 탄성에 의하여 제2고정구(17)의 결합공(19)으로 삽입된다.
도 5d에서, 엉덩이 받침대(20)의 삽입돌기(21)가 제1고정구(14)에 삽입되고, 결합돌기(24)가 제2고정구(17)에 삽입되면, 엉덩이 받침대(20)를 우측으로 밀어 결합돌기(24)가 제2고정구(17)의 결합공(19)에 결합된다.
따라서 엉덩이 받침대(20)의 삽입돌기(21)와 제1고정구(14)의 결합과, 결합돌기(24)와 제2고정구(17)의 결합으로 엉덩이 받침대(20)는 바닥판(13)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기를 욕조(10) 내에 눕히고 엉덩이 받침대(20)에 엉덩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전한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기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욕조(10)의 안착부(11)와 엉덩이 받침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바닥판(13)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고정구(14)와 제2고정구(17)를 선택하여 엉덩이 받침대(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기의 샴푸나 욕조(10)의 세척을 위하여 엉덩이 받침대(20)를 바닥판(13)에서 분리를 할 때에는 도 5d 내지 도 5a의 과정을 거치면 된다. 즉, 엉덩이 받침대(20)를 좌측으로 밀어 도 5c와 같이 엉덩이 받침대(20) 아래의 삽입돌기(21)가 제1고정구(14)의 삽입공(16)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결합돌기(24)가 제2고정구(17)의 결합공(19)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엉덩이 받침대(20)를 우측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결합돌기(24)의 끼움턱(25) 단부가 제2걸림턱(18)을 지나 분리된다. 이때, 결합돌기(24)와 끼움턱(25)의 탄성이 제2걸림턱(18)을 거쳐 분리된다. 이후, 엉덩이 받침대(20)의 우측을 일정 각도로 들어 올린 후 우측으로 밀면 제1고정구(14)에 삽입되었던 삽입돌기(21)가 분리된다.
엉덩이 받침대(20) 표면은 엠보싱 처리되어 사용자가 엉덩이 받침대(2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에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서, 엉덩이 받침대(20) 좌측면에 손잡이홈(28)이 형성된다. 손잡이홈(28)은 욕조(10)의 바닥판(13)에 고정 결합된 엉덩이 받침대(20)를 쉽게 들어 올려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욕조 11: 안착부 12: 팔걸이 13: 바닥판 14: 제1고정구 15: 제1걸림턱 16: 삽입공 17: 제2고정구 18: 제2걸림턱 19: 결합공 20: 엉덩이 받침대 21: 삽입돌기 22: 끼움홈 23: 보강돌기 24: 결합돌기 25: 끼움턱 26: 삽입홈 27: 보강돌기 28: 손잡이홈 30: 샴푸대 31: 배수공

Claims (4)

  1. 아기욕조(10)의 엉덩이 받침대(20)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대(20) 좌측 저면에 일정한 폭의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좌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내측으로 수직하는 보강돌기(23)가 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대(20) 우측 저면에 삽입홈(26)이 형성되고 우측 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돌기(24)가 구성되며 내측으로 수직하는 보강돌기(27)가 형성되고 단부에 끼움턱(25)이 돌출 형성되되, 끼움턱(25) 단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결합돌기(24)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21)의 끼움홈(22)에 대응하는 바닥판(13)에 우측 방향으로 제1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삽입공(16)이 형성된 복수 쌍의 제1고정구(14)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24)의 삽입홈(26)에 대응하는 바닥판(13)에 제2걸림턱(18)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결합공(19)이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구(17)가 구비되고,
    상기 엉덩이 받침대(20) 좌측면에 손잡이홈(28)이 형성된,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80004023U 2018-08-29 2018-08-29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KR200488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23U KR200488985Y1 (ko) 2018-08-29 2018-08-29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023U KR200488985Y1 (ko) 2018-08-29 2018-08-29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85Y1 true KR200488985Y1 (ko) 2019-04-12

Family

ID=6610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23U KR200488985Y1 (ko) 2018-08-29 2018-08-29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8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350Y1 (ko) * 1985-04-17 1988-03-10 박도순 포장상자 봉합기
KR20120000955U (ko) * 2010-07-30 2012-02-08 박정도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KR101438927B1 (ko) 2012-11-29 2014-09-16 주식회사 한국에너지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350Y1 (ko) * 1985-04-17 1988-03-10 박도순 포장상자 봉합기
KR20120000955U (ko) * 2010-07-30 2012-02-08 박정도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KR101438927B1 (ko) 2012-11-29 2014-09-16 주식회사 한국에너지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0355B2 (en) Chair with adjustable legs
US5687433A (en) Child bath seat
WO1997017877A1 (en) lNFANT BATHTUB WITH MULTIPLE-POSITION INFANT SUPPORT
KR102222110B1 (ko) 샴푸 보조 기구
KR200488985Y1 (ko)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KR20017806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KR102040522B1 (ko) 장애인 또는 노약자를 위한 목욕의자
KR101754024B1 (ko) 유아용 발판 겸용 샴푸의자
US3451069A (en) Bathtub cover
JP2006334387A (ja) 浴槽
KR200373176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JP2008212405A (ja) 浴槽
JP2000060754A (ja) 浴 槽
KR200273455Y1 (ko) 보조좌판이 구비된 욕조
KR200187443Y1 (ko) 좌변기용 받침대
JPH0312316Y2 (ko)
JP2571455Y2 (ja) 浴 槽
KR200273438Y1 (ko) 욕조용 보조좌판
KR920002790Y1 (ko) 유아용 목욕 받침대
KR102140524B1 (ko) 유아용 욕조
KR200202412Y1 (ko)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JPH0880271A (ja) 下半身入浴可能な浴槽
KR20180001279A (ko) 다용도 목욕 의자
KR0137472Y1 (ko) 욕실용 다용도 받침대
CA3164412A1 (en) Four in one infant bath 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