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927B1 -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927B1
KR101438927B1 KR1020120137373A KR20120137373A KR101438927B1 KR 101438927 B1 KR101438927 B1 KR 101438927B1 KR 1020120137373 A KR1020120137373 A KR 1020120137373A KR 20120137373 A KR20120137373 A KR 20120137373A KR 101438927 B1 KR101438927 B1 KR 10143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olar module
height
adjus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907A (ko
Inventor
최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너지
Priority to KR1020120137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927B1/ko
Priority to PCT/KR2013/003679 priority patent/WO2014084467A1/ko
Publication of KR2014007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F24S30/45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with two rotation 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고정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결합하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와 결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고 z축 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대를 복수개 사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An apparatus adjusting angle of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안정감 있게 지지되고 자유롭게 회전각 및 높이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태양광 입사를 받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은 대부분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전기에너지는 석유, 석탄 등 이른바 화석 연료를 이용하여 얻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화석 연료는 그 사용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로서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스템에는 태양광주택, 태양광발전기 혹은 태양광전지모듈 등이 태양을 이용한 대체 에너지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스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셀과 셀을 필요한 수만큼 직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 난방을 비롯한 무인등대, 무인중계기, 인공위성, 로켓의 전력원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변화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집열)각도를 가변시켜 태양과 모듈이 이루는 각도가 가능한 수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2009-0124594A는 체결홈(140)들이 형성되고 상단에 태양광전지판(110)이 결합된 제1고정부재(120) 및 제2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전지판지지 장치를 제시한다. 체결홈(140)들의 위치를 달리하여 결합함으로써 태양광 전지판(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의 태양광전지판 지지 장치는 하나의 지지 기둥(150)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큰 태양광전지판(110)을 포함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각도도 체결홈(140)들의 간격 단위로만 조절되기 때문에 미세한 각도 조절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X축으로의 한 축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태양의 궤적에는 맞을지 몰라도 설치 장소가 달라져 태양의 궤적과 어긋나면 각도가 어긋나 집열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도 및 높이를 함께 조절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모듈의 각도 뿐만 아니라 높이도 함께 조절하여 3차원적으로 입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의 태양광 입사각을 만들기 위한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측면에서,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고정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결합하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와 결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고 z축 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는 높낮이를 조정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와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태양광과 상기 태양광 모듈이 수직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대를 복수개 사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각도 및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여 한 방향이 아닌 3차원적인 다양한 방향으로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도록 하여 태양광 시스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 모듈 설치대의 전지판 회전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높이조절부의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 방식의 높이조절부의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는 태양광 모듈(210), 거치대(220), 각도조절부(230) 및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210)은 기본 단위의 다수 개의 태양셀(solar cell)들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태양셀은 태양광을 집광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210) 은 이러한 태양셀들을 포함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태양광 모듈(210)은 움직이지 않도록 거치대(220)에 결합 고정된다.
거치대(220)는 각도가 변하여 회전하는 태양광 모듈을 결합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210)이 태양의 궤적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회전할 때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220)는 상기 태양광 모듈(210)과 이를 자유자재로 회전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인 각도조절부(230) 사이에 위치한다. 거치대(220)는 상기 각도조절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20)는 상기 태양광 모듈(210)을 나사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삽입홈을 포함하여 끼워넣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230)는 상기 태양광 모듈(2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210)이 태양광의 입사를 최적(수직)으로 받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230)는 거치대(220) 하부와 지지대(240)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각도조절부(230)에 연결된 구성을 자유로이 회전하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상기 각도조절부(230)로 쓰이는 연결부재로는 힌지(hinge), 경첩 또는 볼조인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지지대(240)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240)는 각도조절부(230)의 하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각도조절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240)는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310)는 상기 지지대(240)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조절 방식은 추후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240)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동시에 각도조절부(230)에 의한 상기 태양광 모듈(210)의 각도도 변하면, 상기 태양광 모듈(210)은 다양한 범위 및 방향으로 움직여서 최적의 입사각(수직)을 이루며 태양광을 집광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40)에 형성된 높이조절부(3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10)는 지지대(2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대(240)를 복수의 지지대 부분으로 분리하고 상기 지지대 부분을 이동시켜 지지대(2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지지대(240)를 상단부분(241)과 하단부분(242)의 두 부분으로 분리한 그림을 나타낸다. 높이조절부(310)는 지지대 상단부분(241)과 지지대 하단부분(242)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지지대(240)의 높이를 조절하고, 나아가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전체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높이조절부의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1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한다. 도 4a는 지지대(240)를 두 부분으로 나눈 경우를 예시한다. 높이조절부(310)는 지지대(240)를 상단부분(241)과 하단부분(242)으로 분리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 상단부분(241)은 슬라이드 가이드부재(410)를 포함하여 지지대 하단부분(242)과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 하단부분(242)은 지지대 상단부분(241)의 슬라이드 가이드부재(410)가 삽입체결 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홈(420)을 형성하여 지지대 상단부분(241)과 결합한다. 이로써, 높이조절부(310)는 슬라이드 가이드부재(410) 및 슬라이드 가이드홈(420)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대(240)의 높이를 결정한다. 높이조절부(310)는 원하는 높이를 맞춘 후에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높이를 고정한다(도면 미도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재(410)는 지지대 상단부분(241)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홈(420)은 지지대 하단부분(242)에 형성되지만, 반대로 가이드부재(410)가 지지대 하단부분(242)에 형성되고 가이드홈(420)이 지지대 상단부분(24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한 높이조절부의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10)는 체결홈(510) 및 체결구(521,522)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도 5a는 지지대(240)를 두 부분으로 나눈 경우를 예시한다. 높이조절부(310)는 지지대(240)를 상단부분(241)과 하단부분(242)으로 분리하고, 상기 지지대 상단부분(241)은 일정 간격마다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구(521,522)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홈(510)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 하단부분(242)은 지지대 상단부분(241)이 삽입되는 내부공간(530) 및 일정 간격마다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구(521,522)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홈(510)을 형성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310)는 상단부분(2410과 하단부분(242)의 체결홈(510)들이 일치하도록 조절하고 여기에 체결구(521,522)를 관통시켜 높이를 고정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지지대 하단부분(242)이 지지대 상단부분(241)을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530)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대로, 지지대 상단부분(241)이 지지대 하단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5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40)는 반드시 두 지지대 부분이 아니고 세 지지대 부분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지지대 부분들의 결합은 상기 설명한 슬라이드 방식 또는 체결구를 이용하는 방식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도조절부(230) 및 높이조절부(310)는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부(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며 모터부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광 모듈이 태양광과 수직되도록 모터부를 제어하는데, 제어는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각도조절부(230) 및 높이조절부는 모터부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하,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230)는 힌지, 경첩 또는 볼조인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진다.힌지나 경첩은 하나의 축에 대해서는 회전할 수 있으나, 다른 축에 대해서는 회전할 수 없다. 가령, 힌지나 경첩은 x축(6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y축(620) 및 z축(63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없다. 그러나, 볼조인트는 내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x축(610), y축(620) 및 z축(630) 중 두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6은 이러한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각도조절부(230)와 높이조절부(310)에 의한 각도와 높이조절은 태양광 모듈(210)을 3차원적으로 이동시켜서 태양광(640)을 수직으로 집광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각도조절부(230)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회전에 의해 x축 및 y축을 조절하고 높이조절부(310)는 높낮이 조절에 의해 z축을 조절한다. 또한, 높이조절부(310)는 지지대(240) 중 어느 한 쪽의 높이만을 조절함으로써 태양광 모듈(210)을 경사지게 하여 양 지지대(240)의 높이가 수평일 때보다 더욱 다양한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230)에 의한 각도조절과 높이조절부(310)에 의한 높이 조절을 동시에 수행하여, 경사면이나 굴곡면 등의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적의 태양광 입사각(650)으로 태양광(640)을 집광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200 :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210 : 태양광 모듈
220 : 거치대
230 : 각도조절부
240 : 지지대
310 : 높이조절부

Claims (4)

  1.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을 고정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결합하고, x축과 y축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각도조절부; 및
    상기 각도조절부와 결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고 z축 방향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와 상기 각도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태양광의 방위각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태양광과 상기 태양광 모듈이 수직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상단부분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분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재가 삽입체결되는 슬라이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상단부분의 끝단에 제공되는 볼조인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높낮이를 조정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20137373A 2012-11-29 2012-11-29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43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73A KR101438927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PCT/KR2013/003679 WO2014084467A1 (ko) 2012-11-29 2013-04-29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73A KR101438927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07A KR20140070907A (ko) 2014-06-11
KR101438927B1 true KR101438927B1 (ko) 2014-09-16

Family

ID=5082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73A KR101438927B1 (ko) 2012-11-29 2012-11-29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8927B1 (ko)
WO (1) WO201408446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08B1 (ko) * 2014-10-01 2015-01-09 이재용 태양광 패널용 설치 구조물
KR101594736B1 (ko) 2015-09-02 2016-02-16 황월상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1783032B1 (ko) 2016-02-16 2017-11-06 고광대 태양광 증류수 제조 시스템
WO2018151418A1 (ko) * 2017-02-15 2018-08-23 에스제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 장치
KR200488980Y1 (ko) 2018-09-05 2019-04-11 임서현 에어컨 실외기 햇빛 가리개
KR200488985Y1 (ko) 2018-08-29 2019-04-12 주식회사 베베캐슬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KR20210117855A (ko) 2020-03-20 2021-09-29 (주)에스엠전력에너지 기울기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16149B1 (ko) 2022-02-17 2022-07-01 신정민 수동형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89803B1 (ko) 2022-02-17 2023-01-17 신정민 수동형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19B1 (ko) * 2015-08-18 2016-03-07 운지파워텍(주) 태양전지모듈 위치조절장치
CN107508541A (zh) * 2017-09-28 2017-12-22 何珠贞 一种太阳能光伏电板及其支架
KR102119269B1 (ko) * 2019-10-30 2020-06-26 박명길 IoT단말용 태양광 인버터 자동탐색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IoT통신모듈, 이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
KR102237779B1 (ko) 2020-08-14 2021-04-09 대유이엔에스주식회사 태양광발전모듈의 회전 및 기울기 조절장치
KR102434386B1 (ko) * 2021-09-16 2022-08-22 이기환 태양광 발전설비의 패널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395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태양광 추적장치
KR20110007573A (ko) * 2009-07-16 2011-01-24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을 높인 태양광 발전 시설물
KR101056192B1 (ko) * 2011-04-12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94B1 (ko) * 2007-02-21 2010-12-22 주식회사 폴리플러스 태양광 집광기구 및 그를 이용한 태양광 집속식 발전장치
KR100956451B1 (ko) * 2008-01-29 2010-05-06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태양광 발전장치
KR100950563B1 (ko) * 2009-11-11 2010-04-01 주식회사 광동메가텍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트랙커
US8161962B2 (en) * 2010-04-16 2012-04-24 Yi-Tieng Kuo Sun tra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395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태양광 추적장치
KR20110007573A (ko) * 2009-07-16 2011-01-24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을 높인 태양광 발전 시설물
KR101056192B1 (ko) * 2011-04-12 2011-08-11 유한회사 엔젤시스템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08B1 (ko) * 2014-10-01 2015-01-09 이재용 태양광 패널용 설치 구조물
KR101594736B1 (ko) 2015-09-02 2016-02-16 황월상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1783032B1 (ko) 2016-02-16 2017-11-06 고광대 태양광 증류수 제조 시스템
WO2018151418A1 (ko) * 2017-02-15 2018-08-23 에스제이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설비 장치
KR200488985Y1 (ko) 2018-08-29 2019-04-12 주식회사 베베캐슬 아기욕조의 엉덩이 받침대 결합구조
KR200488980Y1 (ko) 2018-09-05 2019-04-11 임서현 에어컨 실외기 햇빛 가리개
KR20210117855A (ko) 2020-03-20 2021-09-29 (주)에스엠전력에너지 기울기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16149B1 (ko) 2022-02-17 2022-07-01 신정민 수동형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89803B1 (ko) 2022-02-17 2023-01-17 신정민 수동형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정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907A (ko) 2014-06-11
WO2014084467A1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927B1 (ko) 태양광 모듈 각도조절장치
KR101162844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EP2060928A1 (en) Light tracking device
KR101672752B1 (ko) 각도 조절형 태양광 단축 트랙커
MX2011001849A (es) Rastreador solar alimentado con energia solar.
KR101264846B1 (ko) 태양광 트랙커 및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73069B1 (ko) 태양광 모듈 효율 향상 시스템
WO2015037230A1 (ja) ヘリオスタット装置ならびに太陽熱集熱装置および太陽光集光発電装置
WO2011067772A1 (en) A solar collector apparatus
KR100780571B1 (ko) 현가장치를 이용한 태양 추적장치
KR200481150Y1 (ko) 원호형 각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일축 가변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89915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패널 각도조절장치
KR100916629B1 (ko)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US20080282828A1 (en) Pointing a plurality of elements in the same direction
KR101935783B1 (ko) 태양광 트랙커
US8474445B2 (en) Concentrating solar energy device
RU18090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риентации солнечной батареи
KR20140005878U (ko) 태양광 경사 가변형 구조물
WO2021105162A2 (en) Solar photovoltaic tracking system and use thereof
KR101594736B1 (ko) 태양광 발전 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1729218B1 (ko) 수동 각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20100022540A (ko)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50031808A (ko) 태양열 에너지의 집광비 조절장치
KR100767704B1 (ko) 태양추적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416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