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50Y1 - 피어싱 천공기 - Google Patents

피어싱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50Y1
KR200488950Y1 KR2020180005721U KR20180005721U KR200488950Y1 KR 200488950 Y1 KR200488950 Y1 KR 200488950Y1 KR 2020180005721 U KR2020180005721 U KR 2020180005721U KR 20180005721 U KR20180005721 U KR 20180005721U KR 200488950 Y1 KR200488950 Y1 KR 200488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needle
piercing
hole
perf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용 filed Critical 서성용
Priority to KR202018000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1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동력에 의해 피어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피어싱을 위한 신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천공침의 장착이 수월하도록 한 피어싱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단에 체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통형의 홀더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 파이프 형태로 되어 내측으로 천공침이 장착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 상기 홀더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로드를 전진시키고, 상기 로드가 천공침 장착부의 내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천공침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피어싱 천공기{Piercing boring appliance}
본 고안은 피어싱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에 의해 피어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피어싱을 위한 신체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천공침의 장착이 수월하도록 한 피어싱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537307호에서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피어싱 할 수 있는 피어싱 천공기를 제안한 바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천공기는 피어싱을 위한 천공침(30)과 체결구(35)를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장착시키기 위한 피어싱 천공기에 있어서,
일단에 체결구(35)를 장착하기 위한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22)가 마련되며, 타단에 지지대(24)와 지지대 상부에 원통형의 홀더(50)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20);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관통된 홀에 천공침(30)이 장착되어 상기 홀더(50)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45);
천공침 장착부(45)의 홀에 삽입 되며, 천공침(30)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체결구(35)에 결합되도록 하는 밀대봉(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천공기메인바디(20)의 후단에는 밀대부재(10)가 장착된다.
밀대부재(10)는 밀대봉(40)의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져 밀대봉(40)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천공침(30)을 체결할 신체부위 예를 들면 귓볼 등을 홀더(50)와 체결구 장착부(22)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밀대부재(10)와 체결구 장착부(22)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밀대부재(10)를 밀어서 전진시키게 되면, 밀대봉(40)이 천공침(30)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천공침(30)이 신체를 관통하여 체결구(35)와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천공기는 천공침(30)을 천공침 장착부(45)의 관통된 홀에 삽입하여 장착하기 위해서는 천공침 장착부(45)의 전방으로부터 천공침(30)을 홀에 끼워넣어야 하지만, 이는 홀더(50)의 전단부위와 체결구 장착부(22) 사이의 거리가 천공침(30)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 천공침 장착부(45)에 천공침(30)을 장착하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다.
또한, 천공침 장착부(45)를 홀더(5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후 천공침(45)을 장착할 수도 있겠지만, 밀대부재(10)와 밀대봉(40)의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천공기메인바디(20)와 밀대부재(10)를 완전히 분리시켜야만 천공침 장착부(45)를 홀더(5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서 이 또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천공기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두려움을 가지게 되어 매우 힘든 체결작업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으로 밀대봉을 전진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홀더에 천공침 장착부를 손쉽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공침의 장착이 매우 수월하도록 한 피어싱 천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단에 체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통형의 홀더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관통된 홀에 천공침이 장착되어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 천공침 장착부의 홀에 삽입되며, 천공침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밀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후방부에 형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밀대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이동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스크류 볼트;
상기 스크류 볼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그 선단부터 후단까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천공침 장착부가 개방부를 통해 홀더에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홀더가 장착된 천공침 장착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천공침에는 천공침이 천공침 장착부의 홀에 삽입되었을 때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부재가 장착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천공침 장착부를 홀더에 손쉽게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침의 교체가 매우 쉽도록 하며, 또한 전동 또는 공압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보다 두려움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어싱 천공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피어싱 천공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홀더와 천공침 장착부, 지지부재, 천공침의 구조를 별도로 보인 도.
도4는 도3의 결합 단면도.
도5는 지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7 및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9는 도6의 회로부 블럭도.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11은 도10의 단면 구조도.
도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피어싱 천공기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천공기메인바디(100)의 상측 일단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110)가 구비되어 체결구(11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111)와 타측방향으로 일직선상에는 홀더(120)가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홀더(120)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다.
홀더(120)의 후방에서 천공기메인바디(100)의 상측 바닥부위에는 홀더(120)와 일직선상으로 가이드(1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101)는 홈 또는 레일 구조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 가이드(101)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직선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130)가 장착된다.
상기 홀더(120)에는 천공침 장착부(140)가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도2 및 3에서와 같이 홀더(120)는 원통형 즉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전단부터 후단까지 절개되어 개방된 개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부(121)는 그 폭이 천공침 장착부(140)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 개방부(121)를 통하여 천공침 장착부(140)가 홀더(120)의 내측으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탈시켜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홀더(120)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므로, 이에 천공침 장착부(140)가 장착되었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측면 부위를 탄성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천공침 장착부(140)는 홀더(120)로부터 개방부(121)를 통하여 이탈시켜 분리한 다음 천공침(150)을 삽입홀(141)에 삽입시켜 장착하게 되고, 천공침(150)이 장착된 천공침 장착부(140)를 개방부(121)를 통해 홀더(120)에 끼워넣어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홀더(120)에 천공침 장착부(140)를 원터치에 의해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삽입홀(141)에 천공침(150)를 삽입시켜 장착하는 경우에 후두부(152)의 외경이 삽입홀(14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천공침 본체(151)의 경우에는 삽입홀(141)의 내경보다 훨씬 작으므로 천공침(150)이 삽입홀(141)의 내측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공침(150)이 신체를 쉽게 관통할 수 없고, 또한 관통하였다 할지라도 체결구(111)와 곧바로 체결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와서 재차 피어싱을 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고통이 사용자에게 가중된다.
따라서, 천공침(150)이 삽입홀(141)의 내측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80)를 천공침(150)의 본체(151)에 끼워 장착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80)는 링의 형태로서 그 외경은 삽입홀(14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고, 또한 그 내경은 천공침(15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며, 그 내경으로부터 외경까지 절개된 절개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천공침(150)을 끼움공(181)에 끼운 다음 천공침 장착부(140)의 삽입홀(141)에 삽입시키게 되면, 도4의 결합단면도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80)가 삽입홀(141)의 내경에 맞닿게 되면서 천공침(150)이 삽입홀(141)의 중심부위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천공침(150)의 후두부(152)도 삽입홀(141)의 내경에 맞닿게 되어 천공침(150)을 지지부재(180)와 함께 2군데에서 지지하게 되어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천공침(150)이 신체를 관통하여 체결구(111)에 체결된 후에는 절개부(182)를 통하여 지지부재(180)를 천공침(150)으로부터 이탈시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개부(182)가 없어도 천공침(150)을 삽입홀(141)내에서 지지가 가능하며, 이때는 천공침(150)과 체결구(111)의 체결후에 굳이 지지부재(180)를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80)의 또 다른 형태로서 도5(a)에서와 같이 홀더 형태의 지지부재(190)를 적용할 수 있는데, 천공침(150)의 몸체(151)와 후두부(152)가 장착되는 장착홈(191)이 안쪽면으로 형성되며, 양편으로 나누어지 두 개의 홀더편(190,19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두 개의 홀더편(190,190')이 천공침(150)을 가운데 두고 포개지며, 그 포개진 상태의 외측 둘레의 크기는 도5(b)의 결합 단면도에서와 같이 천공침 장착부(140)의 삽입홀(141)에 꼭 맞게 삽입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홀더편(190,190')에 의해 삽입홀(141)의 내측에서 천공침(150)을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6과 같이 천공기메인바디(100)의 내측 하부에는 모터(230)와 스크류 볼트(231)로 구성된 동력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체(130)의 하측으로는 이송간(132)이 연장되고, 그 이송간(132)에는 너트(1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너트(133)에 스크류 볼트(231)가 이동체(13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히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 볼트(231)는 모터(230)의 축에 축결됨으로써 회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모터(230)에 의해 스크류 볼트(231)가 정회전하게 되면, 이송간(132)이 스크류 볼트(231) 상에서 전진하게 되어 이동체(130)가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체(130)는 가이드(101) 상에서 이동하여 밀대봉(160)(도1의 밀대봉(40)과 동일)을 전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천공침(150)이 천공침 장착부(140)의 내측에서 전진하여 신체를 관통후 체결구(111)와 체결된다.
또한, 모터(230)에 의해 스크류 볼트(231)가 역회전하게 되면, 이동체(130)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이동체(130)에 밀대봉(160)이 고정되어 있다면, 이동체(130)의 후진에 의해 밀대봉(160)도 함께 후진하게 된다.
상기 모터(230)의 전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회로부(170)가 천공기메인바디(100) 내부에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로부(170)는 도9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300)를 통하여 전진신호를 RF 신호 또는 적외선으로 송신하게 되면, 수신부(172)는 이를 인가받아 컨트롤러(171)로 제공하고, 컨트롤러(171)는 그 수신된 신호에 의해 모터(230)를 제어하여 이동체(130)를 전진 및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300) 조작에 의해 피어싱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직접 손으로 작동시키는 경우보다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는 무선에 의해 제어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회로부(170)를 리모콘(300)에 장착하고, 그 리모콘(300)과 모터(230)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이동체(130)를 모터의 회전력이 아닌 공압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조로서, 외부로부터 양압을 인가받아 피스톤(241)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체(130)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밀대봉(160)을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조이다.
즉, 공압 실린더(240)에 양압이 인가되면, 피스톤(243)이 전진하게 되고, 음압이 인가되면, 피스톤(243)이 후진하는 구조이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체(130)가 피스톤(243)과 결합되어 있다면 이동체(130)도 함께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체(130)와 밀대봉(16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인 경우에도 피스톤(243)이 전진 및 후진에 의해 밀대봉(160)도 전진 및 후진하여 홀더(140)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압 실린더(240)에는 외부로부터 에어호스(246)가 연결되어 양압 및 음압을 공압 실린더(240)에 인가하게 되며, 이러한 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기 탱크(260) 및 압축 펌프(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80)는 압축 펌프(270)를 구동하여 공기 탱크(260)에 양압을 채우게 되고, 사용자가 리모콘(300)을 통해 전진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밸브(250)를 열어 공압 실린더(240)에 양압을 인가함으로써 피스톤(243)이 전진하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후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는 밸브(250)를 닫은 상태에서 공기 탱크(260)의 공기를 흡입하여 음압상태로 하게 되고, 밸브(250)를 열어 음압이 공압 실린더(240)에 작용토록 함으로써 피스톤(243)이 그 음압에 의해 후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8과 같이 압축 펌프(270)와 공기 탱크(260), 그리고 회로부(170)가 천공기메인바디(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 기본 동작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고, 도10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리모콘(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가받아 압축 펌프(270)와 밸브(25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11은 도10의 단면 구조도도로서, 도7의 구조에서 가이드(101), 이동체(130), 밀대봉(160)이 삭제되고, 공압 실린더(240)의 로드(243)가 홀더(140)로 직접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천공침(150)을 로드(243)가 직접 밀어서 신체를 관통 후 체결구(111)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공압 실린더(240)의 후방에는 외부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인가받기 위한 호스 연결구(241)가 구비되고, 내측의 피스톤(242)의 전방에는 스프링(244)이 장착되며, 그 스프링(244)이 장착된 부위에서 공압실린더(240)에는 내측과 연결된 배기공(2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압에 의해 피스톤(242)이 전진하게 되면, 배기공(245)을 통해 피스톤 전방의 공기가 배기되고, 로드(243)가 홀더(140)의 내측에서 천공침(150)을 전진시키게 되면, 스프링(244)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242)이 후진하게 되고, 이때 배기공(245)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피스톤(242)의 전진 및 후진이 수월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음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스프링(244)에 의해 피스톤(242)을 후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압 실린더(240)의 동작도 무선 또는 유선 리모콘(290)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상기 리모콘(290)의 입력에 의해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280)는 밸브(250)를 열어서 공기 탱크(260)에 충전된 공압을 호스 연결구(241)를 통해 공압실린더(240)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6의 이동체(130)를 스프링(247)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함으로써 로드(243)가 공압에 의해 전진 후 다시 스프링(247)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가이드(101)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130)의 전방 하측에 가이드(101)와 나란히 스프링(247)이 장착되게 된다.
100 - 천공기메인바디
110 - 체결구 장착부
120 - 홀더
121 - 개방부
130 - 이동체
132 - 이송간
133 - 너트
140 - 천공침 장착부
150 - 천공침
160 - 밀대봉
170 - 회로부
180 - 지지부재
182 - 절개부
190 - 홀더편
191 - 장착홈
230 - 모터
231 - 스크류 볼트
240 - 공압 실린더
241 - 호스 연결구
242 - 피스톤
243 - 로드
244 - 스프링
245 - 배기공
250 - 밸브
260 - 공기탱크
270 - 압축펌프
280 - 컨트롤러
290,300 - 리모콘

Claims (11)

  1. 일단에 체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통형의 홀더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관통된 홀에 천공침이 장착되어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 천공침 장착부에 삽입되며, 천공침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밀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후방부에 형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밀대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이동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스크류 볼트;
    상기 스크류 볼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2. 일단에 체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통형의 홀더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관통된 홀에 천공침이 장착되어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 천공침 장착부에 삽입되며, 천공침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밀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후방부에 형성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밀대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동체;
    공압에 의해 상기 이동체를 전진 또는 및 후진시키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3. 일단에 체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체결구 장착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통형의 홀더가 설치되어진 천공기메인바디;
    파이프 형태로 되어 내측으로 천공침이 장착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 설치되는 천공침 장착부;
    상기 홀더의 후방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로드를 전진시키고, 상기 로드가 천공침 장착부의 내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천공침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도록 하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그 선단부터 후단까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천공침 장착부가 개방부를 통해 홀더에 장착 및 이탈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홀더가 장착된 천공침 장착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침에는 천공침이 천공침 장착부의 홀에 삽입되었을 때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링으로서,
    상기 링의 외경은 상기 천공침 장착부에 형성된 홀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고, 링의 내경은 천공침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내경부터 외경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천공침의 후두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안쪽면으로 형성되어 양편으로 나누어진 두개의 홀더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한 신호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는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의 전방부위에 스프링이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을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는 리모콘의 입력에 의해 공기 탱크로부터 공압을 인가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천공기.
KR2020180005721U 2018-12-11 2018-12-11 피어싱 천공기 KR200488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21U KR200488950Y1 (ko) 2018-12-11 2018-12-11 피어싱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21U KR200488950Y1 (ko) 2018-12-11 2018-12-11 피어싱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50Y1 true KR200488950Y1 (ko) 2019-04-08

Family

ID=6610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721U KR200488950Y1 (ko) 2018-12-11 2018-12-11 피어싱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807A (ja) * 1992-08-28 1994-04-05 Inverness Corp 耳孔あけ装置
KR20070026565A (ko) * 2004-06-08 2007-03-08 블라디미르 레일 신체용 피어싱 기구
KR101064079B1 (ko) * 2010-03-18 2011-09-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내 주사 삽입 기구
KR20170065270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노바메디 피어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807A (ja) * 1992-08-28 1994-04-05 Inverness Corp 耳孔あけ装置
KR20070026565A (ko) * 2004-06-08 2007-03-08 블라디미르 레일 신체용 피어싱 기구
KR101064079B1 (ko) * 2010-03-18 2011-09-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골내 주사 삽입 기구
KR20170065270A (ko) * 2015-12-03 2017-06-13 주식회사 노바메디 피어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43B2 (en) Multiple connector compression tool
CA2479339A1 (en) Vacuum biopsy device
US11166746B2 (en) Integrated device for hair follicle extraction and implanting
EP1604611A4 (en) PERFORATION DEVICE
CN112399721B (zh) 一种pcb板用安装孔自动打孔设备
KR200488950Y1 (ko) 피어싱 천공기
CN213372367U (zh) 一种自动冲击进针穿刺装置
JP2013154357A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
EP3560851A1 (en) A handheld electric packing machine
CN106859090A (zh) 用于可移动家具部件的推出器组件
CN208514418U (zh) 一种膨胀卡扣安装装置
CN209632934U (zh) 开口销装配装置
US10919099B2 (en) Hand-held device
US3072279A (en) Riveting machine
CN208644809U (zh) 一种阀座钻孔机
CN106308864B (zh) 齿线非对称环形切割吻合器
CN109843515A (zh) 工具联接器
CN220695671U (zh) 微针经皮给药装置
CN211381470U (zh) 一种内分泌撑开取样装置
KR100457807B1 (ko) 재봉기의 노루발과 재봉물 이송기의 로울러 현가장치
US11096676B2 (en) Biopsy device having a hydraulic drive assembly
CN212307927U (zh) 腕骨外科手术用缝线器
CN208826553U (zh) 一种雀金绣加工中使用的带锥子的镊子
JPS6018264Y2 (ja) ピアスナツト自動組立装置におけるナツトの一時給送停止装置
CN107802316B (zh) 一种手动开颅钻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