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21Y1 -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21Y1
KR200488921Y1 KR2020170006852U KR20170006852U KR200488921Y1 KR 200488921 Y1 KR200488921 Y1 KR 200488921Y1 KR 2020170006852 U KR2020170006852 U KR 2020170006852U KR 20170006852 U KR20170006852 U KR 20170006852U KR 200488921 Y1 KR200488921 Y1 KR 200488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line
supply line
blind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이 애쉬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 호퍼에 제1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 및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사일로 호퍼에 제2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를 포함하고, 또한, 라인에는 블라인드 플랜지 및 점검구를 구비하며,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는 편심 레듀서를 구비하여, 에어레이션 블로어 쪽으로의 고온의 공기와 애쉬의 역류를 차단하여 효율을 증대시키며, 쉽고 신속하게 라인을 차단하여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점검구를 통해 진공을 흡입하여 플라이 애쉬를 항상 유동화된 상태로 유지하고 습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름이 축소되는 에어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 편심 레듀서를 설치하여 애쉬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Apparatus for Reducing Fly Ash Silo Blower Line Plugging}
본 고안은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애쉬 저장 사일로 호퍼(Ash Storage Silo Hopper)에 저장된 애쉬 입자의 자유운동을 촉진시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션 블로어 라인(Aeration Blower Line)의 플러깅(Plugging)을 해소하여 호퍼 내부의 애쉬(Ash)가 굳거나 부착되어 배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애쉬(Fly Ash)는 흡습성이 아주 강해 대기 중에 방치하면 수분을 흡수하여 굳어지는 성질이 있다. 플라이 애쉬를 사일로(Silo)에 장기간 저장하면 온도가 저하되면서 흡습으로 인해 굳어진다.
애쉬 저장 사일로 내에 애쉬의 흡습성으로 인해 내부에서 굳어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에어레이션 블로어(Aeration Blower)를 통해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
에어레이션 블로어란 플라이 애쉬의 배출시 호퍼 내부의 회가 굳거나 부착되어 잘 내려오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공기를 불어 넣어 애쉬 입자의 자유운동을 촉진시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해주는 설비이다.
하지만, 에어레이션 블로어 라인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애쉬 포집 상태에 문제점이 대두하게 된다.
계획예방정비 기간 내부점검을 통해 블로어 라인의 플러깅 해소를 위해 진공(Vacuum) 차량으로 작업을 하게 되어 많은 작업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 이후에도 한시적으로 에어레이션 블로어의 차압은 해소되었지만, 지속적인 애쉬 플러깅 발생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차압의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애쉬 블로우 라인을 점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6072호(공고일: 2004년01월31일)
본 고안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애쉬의 역류를 방지하고, 블로어 라인 외부에서 진공을 흡입할 수 있게 하여, 플러깅을 해소하여 호퍼로 원활한 예열공기를 공급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는, 플라이 애쉬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 호퍼에 제1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 및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사일로 호퍼에 제2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를 포함한다.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에서 제1 사일로 호퍼 사이의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에서 제2 사일로 호퍼 사이의 제2 에어공급 라인에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과 제2 에어공급 라인에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히터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과 제2 에어공급 라인은 서로 합류하여 공통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공통 라인을 거친후 분기되는 제1 에어공급 라인과 제2 에어공급 라인에는 블라인드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플랜지는, 일단이 블라인드 형태로 구성되는 제1 블라인드와, 타단은 중공이 형성된 제2 블라인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라인드와 제2 블라인드의 연결부의 일정 위치에는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이 사일로 내부 라인을 경유한 후의 라인에는 점검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일로 내부 라인은,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는 편심 레듀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공급 라인 중 하나를 블라인드 플랜지로 차단하여 한 쪽 사일로 호퍼로 향하는 에어공급 라인을 독립적으로 만들고, 에어레이션 블로어 쪽으로의 고온의 공기와 애쉬의 역류를 차단하여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2가지 형태로 구성된 블라인드 플랜지를 하나의 플랜지로 구성하여, 쉽고 신속하게 라인을 차단하여 정비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점검구를 통해 진공을 흡입하여 플라이 애쉬를 항상 유동화된 상태로 유지하고 습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름이 축소되는 에어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 편심 레듀서를 설치하여 애쉬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관 내에 플라이 애쉬가 플러깅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의 설비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플랜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플랜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검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심 레듀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배관 내에 플라이 애쉬가 플러깅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애쉬는 흡습성이 아주 강해 대기 중에 방치하면 수분을 흡수하여 굳어지는 성질이 있다. 플라이 애쉬를 사일로에 장기간 저장하면 온도가 저하되면서 흡습으로 인해 굳어진다. 또한, 에어공급 라인 내에서도 흡습으로 인해 굳어진 애쉬가 축적되어 라인 플러깅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에어레이션 블로어의 차압이 증대되고, 에어공급의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라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의 설비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는 플라이 애쉬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 호퍼(70)에 제1 에어공급 라인(80)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10) 및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10)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사일로 호퍼(71)에 제2 에어공급 라인(81)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10)에서 제1 사일로 호퍼(70) 사이의 제1 에어공급 라인(80) 및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11)에서 제2 사일로 호퍼(71) 사이의 제2 에어공급 라인(81)에는 필터부(20)를 더 포함한다. 필터부(20)는 플라이 애쉬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공기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한 상태의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필터부(20)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80)과 제2 에어공급 라인(81)에는,히터(30)가 더 구비된다. 히터(30)에서는 에어레이션 공기를 150℃ 내지 170℃로 예열시켜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충분히 예열되고 건조한 에어레이션 공기를 공급하여, 플라이 애쉬 내의 수분도 증발시키게 되고 유동성 효율도 높이게 된다.
히터(30)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80)과 제2 에어공급 라인(81)은 서로 합류하여 공통 라인(82)을 포함하게 된다. 공통 라인(82)을 포함하여, 블라인드 플랜지(40)의 적용방식에 따라,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10)과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11)를 동시에 운전하여 하나의 사일로 호퍼에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게 된다. 높은 풍량과 압력으로 에어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공통 라인(82)을 거친후 분기되는 제1 에어공급 라인과 제2 에어공급 라인에는 블라인드 플랜지(40)가 구비된다. 에어레이션 라인을 통해 애쉬가 역류하여 플러깅 현상이 발생하여 사일로 호퍼에 공기가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블라인드 플랜지로 하나의 라인은 폐쇄하고 병렬로 연결된 다른 라인은 개방하여 사일로에 연결되는 독립된 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애쉬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플랜지(4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에 따라 블라인드 플랜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플랜지(40)는 일단이 블라인드 형태로 구성되는 제1 블라인드(41)와, 타단은 중공이 형성된 제2 블라인드(42)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4의 (a)에서는 제1 블라인드(41)가 라인외부에 위치하고, 중공이 형성된 제2 블라인드(42)가 라인 내에 체결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에서는, 중공이 형성된 제2 블라인드(42)가 라인외부에 위치하고, 제1 블라인드(41)가 라인 내에 체결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와 같이 체결할 경우에는, 라인 내가 개방되어 공기가 공급되지만, (b)와 같이 체결할 경우에는, 라인을 완전히 폐쇄되어 공기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에 드러나 있는, 블라인드가 제1 블라인드(41)인지 제2 블라인드(42)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 라인 내부가 개방된 상태인지 폐쇄된 상태인지를 쉽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라인의 개폐확인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외부에 제1 블라인드(41)가 드러나 있으면, 라인 내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외부에 제2 블라인드(41)가 드러나 있으면, 라인 내부는 폐쇄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 타입의 블라인드를 갖춘 블라인드 플랜지(40)를 사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라인을 차단하여 정비 작업 시간의 단축할 수 있다.
제1 블라인드(41)와 제2 블라인드(42)의 연결부의 일정 위치에는 볼트홀(43)이 형성된다. 연결부의 볼트홀(43)을 라인 연결부의 단면에 형성된 볼트홀(44) 중의 하나와 일치시킨후, 볼트로 관통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하면 정확한 위치에 블라인드 플랜지(4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검구(5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 라인이 사일로 내부 라인(83)을 경유한 후의 라인에는 점검구(50)가 구비된다.
점검구(50)은 볼트 체결되어 덮개가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덮개를 분리하면 라인 내부가 개방되어 라인 내부에 플러깅 된 애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점검구를 통해 외부에서 진공을 흡수하여 라인 내부의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다. 점검구(50)를 통한 점검시에는 해당 라인을 블라인드 플랜지(50)를 사용하여 폐쇄후 정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나의 라인을 폐쇄하고 정비할 때, 다른 라인은 개방하여 에어레이션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기존에는 집진기 등에서 포집된 플라이 애쉬가 항상 사일로에 포집되는 상황으로 인해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10)와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11)를 정지시키지 아니하면 내부점검이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블라인드 플랜지(40)와 점검구(50)를 함께 적용하여, 하나의 라인은 정지시키지 않고도 라인 내부를 정비할 수 있게 개선을 하였다.
사일로 내부 라인(83)은, 제1 에어공급 라인(80) 및 제2 에어공급 라인(81)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된다. 이는 라인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사일로 내부의 애쉬와 많은 접촉면적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레이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심 레듀서(6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는 편심 레듀서(60)가 구비된다.
지름이 서로 다른 라인이 서로 연결된 경우에, 고체의 애쉬 같은 경우 자중에 의해 라인 아래로 침적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원활한 흐름이 방해하였지만, 편심 레듀서(60)로 인해 침적을 억제함으로써 플러깅현상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
20 : 필터부
30 : 히터
40 : 블라인드 플랜지
50 : 점검구
60 : 편심 레듀서
70 : 제1 사일로 호퍼

Claims (10)

  1. 플라이 애쉬를 저장하는 제1 사일로 호퍼에 제1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와 병렬로 연결되어, 제2 사일로 호퍼에 제2 에어공급 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
    제1 에어레이션 블로어에서 제1 사일로 호퍼 사이의 제1 에어공급 라인 에 구비된 제1 필터부;
    제2 에어레이션 블로어에서 제2 사일로 호퍼 사이의 제2 에어공급 라인에 구비된 제2 필터부;
    제1 필터부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에 구비되는 제1 히터;
    제2 필터부를 경유한 제2 에어공급 라인에 구비되는 제2 히터;
    제1 히터를 경유한 제1 에어공급 라인과 제2 히터를 경유한 제2 에어공급 라인이 서로 합류하는 공통 라인;
    공통 라인을 거친후 분기되는 제1 에어공급 라인에 구비되는 제1 블라인드 플랜지;
    공통 라인을 거친후 분기되는 제2 에어공급 라인에 구비되는 제2 블라인드 플랜지;
    를 포함하고,
    제1 블라인드 플랜지와 제2 블라인드 플랜지는,
    일단이 블라인드 형태로 구성되는 제1 블라인드와, 타단은 중공이 형성된 제2 블라인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제1 블라인드와 제2 블라인드의 연결부의 일정 위치에는, 하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볼트홀은, 라인 연결부의 단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 중 하나와 볼트로 관통 체결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는,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이 사일로 내부 라인을 경유한 후의 라인에는 점검구가 구비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일로 내부 라인은,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에어공급 라인 및 제2 에어공급 라인과 배출 라인의 연결부에는 편심 레듀서가 구비되는,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KR2020170006852U 2017-12-29 2017-12-29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KR200488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52U KR200488921Y1 (ko) 2017-12-29 2017-12-29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852U KR200488921Y1 (ko) 2017-12-29 2017-12-29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21Y1 true KR200488921Y1 (ko) 2019-04-04

Family

ID=6610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852U KR200488921Y1 (ko) 2017-12-29 2017-12-29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522B1 (ko) * 2019-12-31 2021-05-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회처리 설비용 에어록 밸브의 자동처리 불량 감지와 해소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182B1 (ko) * 1991-08-08 1999-10-01 사쿠마 하지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KR200279677Y1 (ko) * 2002-02-21 2002-06-26 (주) 빛과환경 정미 시스템의 곡물 보관용 진공용기
KR200325042Y1 (ko) * 2003-05-23 2003-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펙타클 플랜지
KR100416072B1 (ko) 2000-08-03 2004-01-31 한국동서발전(주) 유동층 연소로의 플러깅 제거장치
KR20100097068A (ko) * 2009-02-25 2010-09-02 모레토 에스피에이 입자 형태의 재료들의 습기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플랜트
KR101536621B1 (ko) * 2014-07-31 2015-07-14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의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182B1 (ko) * 1991-08-08 1999-10-01 사쿠마 하지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KR100416072B1 (ko) 2000-08-03 2004-01-31 한국동서발전(주) 유동층 연소로의 플러깅 제거장치
KR200279677Y1 (ko) * 2002-02-21 2002-06-26 (주) 빛과환경 정미 시스템의 곡물 보관용 진공용기
KR200325042Y1 (ko) * 2003-05-23 2003-09-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펙타클 플랜지
KR20100097068A (ko) * 2009-02-25 2010-09-02 모레토 에스피에이 입자 형태의 재료들의 습기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플랜트
KR101536621B1 (ko) * 2014-07-31 2015-07-14 정우이앤이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가스 이중배관의 점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522B1 (ko) * 2019-12-31 2021-05-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회처리 설비용 에어록 밸브의 자동처리 불량 감지와 해소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24B1 (ko) 열교환기용 복합 세정 시스템
KR200488921Y1 (ko)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WO200707147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komponenten einer kraftwerksanlage durch einblasen eines mediums sowie messeinrichtung zur messung des reinheitsgrads des mediums
DE102022110312A1 (de) Entstaubungsvorrichtung und Entstaubungsverfahren
CN104925485A (zh) 一种常态混凝土浇注隧道衬砌台车皮带输送机皮带清洗装置
AT502529B1 (de) Anlage zur ableitung von metallspänen mittels eines saugluftstromes
CN206919048U (zh) 一种锅炉烟道输灰系统
JP2016097352A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バグフィルタ及び粘着性ダストの付着防止方法
US20130263742A1 (en) Tube separator as a separator of very fine particles for reducing fine dust emissions and avoiding stack rain
EP2885190B1 (de) Streugutaustraganlag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e, und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streugut
JP5595132B2 (ja) バイオマス貯留装置
CN103910149B (zh) 除尘器
EP0303641B1 (de) Transportgebläse
JP5408958B2 (ja) 燃焼灰のホッパー灰詰り解消装置及びその灰詰り解消方法
CN205708977U (zh) 一种水泥均化库侧放散系统
CN210949956U (zh) 一种防漏风插板装置
EP0849008B1 (de) Ventilatoreinheit für Absaugsysteme
CN208758299U (zh) 一种除尘管道杂物阻拦清理装置
CN209849464U (zh) 一种除尘风管自动清灰控制系统
CN220370775U (zh) 一种应用于scr出口的污泥处置脱硫系统
KR101033941B1 (ko) 플라이애시 배출 장치
JP2011051501A (ja) 車両用水タンクの膨らみ防止装置
US1792587A (en) Dust-collecting system
CN203208828U (zh) 煤气过滤器
CN213599385U (zh) 一种环保行业刮板机第二出料口挡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