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82B1 -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82B1
KR100221182B1 KR1019920002818A KR920002818A KR100221182B1 KR 100221182 B1 KR100221182 B1 KR 100221182B1 KR 1019920002818 A KR1019920002818 A KR 1019920002818A KR 920002818 A KR920002818 A KR 920002818A KR 100221182 B1 KR100221182 B1 KR 10022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ipe
pipeline
inle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히라구치
미쓰오 이이자와
미노루 사사키
아키타카 기무라
야스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사쿠마 하지메
신카타피라 미쓰비시 가부시키가이샤
다테 유우스케
미쓰비시 나가사키기코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3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30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3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66226B2/ja
Application filed by 사쿠마 하지메, 신카타피라 미쓰비시 가부시키가이샤, 다테 유우스케, 미쓰비시 나가사키기코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쿠마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82B1/ko

Links

Landscapes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에 투입되는 피반송물을 원활하게 파이프 내에 받아 넣을 수 있고, 피반송물의 영향으로 링크체인등의 반송수단이 떠오르는 것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반송을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호퍼와 파이프라인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통하는 측의 연통구를 파이프라인측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설정하고, 이 연통구와 파이프라인과의 사이에, 서서히 개구를 좁힘과 동시에 호퍼의 투입구 방향으로 편심한 통형상의 편심레듀서를 설치한다.
또 호퍼의 투입구 중심선이 파이프라인의 센터보다 일측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설정하고, 호퍼의 측단면에서, 파이프의 바로 위를 덮도록 하여 블레이드나 체인의 떠오름을 억제한다.
또 호퍼와 파이프라인이 연결되어 통하는 투입구의 상부에서, 파이프라인의 중심선을 따라서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의 외면을, 중심선에서부터 축방을 따라서 점차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설정하면, 파이프라인내를 이동하는 체인이나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충돌하여 만나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제1도는 편심레듀서를 연결하여 접속한 호퍼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횡단면도.
제4도는 단른 편심레듀서를 설치한 호퍼의 단면도.
제5도는 호퍼의 투입구상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사시도.
제7도는 파이프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제8도는 투입구를 파이프의 센터에서 오프세트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제 5도의 횡단면도.
제10도는 투입구를 블레이드가 떠오르지 않는 폭으로 설정한 경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링크체인식 파이프 컨베이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종래의 파이프라인의 코너부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사시도.
제14도는 종래의 호퍼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5도는 종래의 호퍼와 피반송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6도는 종래의 호퍼와 피반송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선관 1' : 관로
2 : 엘보우관 3 : 공급구
3A : 내벽면 4 : 배출부
5 : 무단체인 6 : 원반
9 : 구동바퀴 11 : 파이프
11a,12a,12b : 개구 12,22 : 편심레듀서(파이프라인)
13,23,33,43,53 : 호퍼 13a,13b : 연통구
14,34,44,54 : 투입구 22H : 수평면
32 : 가이드레일 32a : 하강하는 면
32b : 홈 32c : 후단부
35 : 가로편 41 : 큰직경의 파이프
41a : 벽면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내에 블레이드나 버켓트등의 압출체를 소정간격으로 연결한 반송수단을 내장하고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링크체인에 블레이드 또는 버켓트등의 압출체를 등간격으로 연결한 반송수단을 내장한 파이프 컨베이어에서는, 상기 반송수단을 순환운동시켜서 여러 가지 고체물질(일예를 들면, 목재 또는 금속칩, 토사, 광물원료, 금속성 물질, 종이제품, 플라스틱, 어패류, 눈, 쓰레기등)이나 기타 과립상의 물질등을 반송하고 있다.
제11도는 종래 링크체인식 파이프컨베이어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직선관(1)과, 대략 L자형상이나 U자형상으로 구부린 엘보우관(2)과의 조합에 의하여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라인이 설치되고 있다.
이 파이프 라인에는 적당한 개소에 피반송물의 투입구로되는 호퍼(3)가 설치되고, 소정개소에 상기 피반송물을 폐기 또는 반송하기 위한 배출부(4)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체인식 파이프컨베이어의 내부에는, 무단체임(5)이 내장되어 있고, 배출부(4)가 형성된 구동케이싱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동바퀴(9)에 걸쳐지고, 상기 파이프라인 내를 그 최단거리를 연결하도록 팽팽히 설치하여 순환구동하도록 되어있다(제12도∼제14도 참조).
여기에서, 상기 링크체인식 파이프컨베이어에서는, 구동바퀴(9)에 의한 무단체인(6)의 되돌림방향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하방향(도시예)이나 좌우방향이나 다 좋다.
또, 파이프라인은 되돌림이 없는 일방통행적으로 레이아우트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무단체인(5)은 달걀형링크(6) 방향을 서로 직교하여 다수연결한 것이며, 적당한 간격마다 원형상으로 외주를 가지는 블레이드(7)가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이 블레이드(7)에 의하여 피반송물을 반송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무단체인(5)은 파이프라인의 각 코너부의 내측코너의 내주면에 항상 접하여 순환하고, 또 블레이드(7)가 상기 내주면에 충격적으로 만나고 무단체인(5)을 비틀면서 선회하고있고, 파이프라인의 코너부를 넘으면 블레이드(7)는 무단체인(5)의 비틀림의 반발력으로 영방향으로 선회하여 복귀하며, 이것을 되풀이하면서 순환하여 피반송물을 배출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링크체인식 파이프컨베이어에 있어서, 종래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의 파이프의 일부를 절단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에 피반송물을 넣기위한 호퍼(3)를 용접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피반송물이 소량이고, 또 부피가 크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하여 투하되면 블레이드에 의하여 파이프내에 지장없이 인입될 수 있으나, 피반송물이 다량이고, 또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제15도와 같이 체인이송방향(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는 호퍼의 내벽면(3A)이 장애물이 되어 피반송물이 충돌하여 만나버리고, 원활하게 파이프내로 들어갈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 호퍼(3)의 횡단면은 단면이 대략 U자형을 하고 있으나, 호퍼의 피반송물이송방향의 길이가 1m를 넘는 긴 치수로 설정되거나, 피반송물의 비중이 크고, 가느다란 경우에는 제16도에서와 같이, 체인(5)이 피반송물상에 타고 올라 떠버리며, 피반송물상을 미끄러지는 등 효율적인 반송이 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상기 구성의 링크체인식 파이프 컨베이어에 한정되지 않고, 파이프 컨베이어로서, 이 파이프의 관로내를, 블레이드나 버켓트등의 압출체를 소정간격으로 연결한 로울러 체인이나 와이어나 기타 견인용 전동부재가 이동하는 구조의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일어나고 있고, 이러한 종류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해결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과제는, 호퍼와 파이프 사이에 편심레듀서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피반송물을 원활하게 파이프내로 받아서 넣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과제에 부가하여 피반송물에 링크체인등의 반송수단이 타고 오르는 호퍼의 개구에서 부상하는 것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반송함에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제1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발명에서는, 파이프라인내에, 체인 또는 와이어에 블레이드등의 압출체를 연결한 반송수단을 내장함과 동시에, 파이프라인의 중도부에 호퍼를 설치한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호퍼와, 호퍼에 투입된 피반송물의 반송방향 전방에 연이어 접하는 파이프와의 연통구를 이 파이프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설정하고,
이 연통구와 파이프와의 사이에, 저면을 파이프의 저면과 맞추고, 호퍼의 투입구 방향의 개구를 서서히 좁혀서 연이어 접하도록 편심한 통형상의 편심레듀서를 설치한다고 하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도 있다.
또 제2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호퍼의 투입구의 상부에, 압출체를 소정위치 이상으로 투입구 방향에 떠오르지 않도록 충돌하여 만나게하고 압출체가 미끄럼 가능한 구소 수단을 설치한다고 하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편심레듀서에 의하여, 호퍼로부터 투입된 피반송물이 반송될 때에, 그 이송방향(반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설치되는 호퍼의 내벽면은 서서히 파이프의 직경에 가깝도록 작게되기 때문에 투입된 피반송물은 벽면과 충돌하여 만나지 않고 원활하게 파이프내로 들어갈 수 있다.
또 구속수단을 설치하면, 압출체가 구속되어 소정이상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호퍼근방의 파이프라인내에 피반송물이 퇴적되어 있어도 반송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의 가장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파이프 컨베이어는, 호퍼(13)와 파이프(도시한 예에서는 직선관)(11)사이에 편심레듀서(12)를 설치하고 있다.
호퍼(13)는, 그 전후에 형성되어 파이프라인과 연결되어 통하는 측의 연통구(13a),(13b)를 파이프라인의 파이프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또 하단의 위치를 맞추어서 설정하고 있다.
편심레듀서(12)는, 기초단측의 개구(12a)가 상기 연통구(13a),(13b)와 가지런히 맞추어져 있고, 서서히 개구(12b)를 좁게하여 선단측의 개구(12b)가 상기 파이프(11)의 개구(11a)와 가지런히 맞도록 설정된 통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편심레듀서(12)의 저면은 상기 파이프(11)와 동일면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레듀서(12)는 호퍼의 개구방향에 편심하고, 상기 호퍼(13)와 파이프(11)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호퍼(13)의 투입구(14)에서 파이프 내로 투입된 피반송물은, 체인 방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는 내벽면(13a)이 높은 위치로 설정되고, 연통구(13a),(13b)가 넓은 면적으로 되어, 서서히 좁은 면적으로변형하여 파이프(11)에 연통하여 있기 때문에, 편심레듀서(12)의 상벽면이 도시예의 경우 경사면으로 설정되고, 피반송물을 원활하게 파이프라인내로 넣을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7)를 연결한 체인(5)은 정역(正逆)중 어느 것이라도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편심레듀서(12)를 호퍼(13)의 전후 양측으로 한 쌍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송방향이 1방향의 경우에는, 호퍼(13)의 반출측 연통구에 접하여 편심레듀서를 설치하면 좋다.
또 상벽면은 둥글게 구부려진 형상으로 되어 서서히 작은 직경으로 되는 것도 좋다.
제4도에 나타내는 호퍼(23)는, 편심레듀서(22)를 호퍼(23)의 반출측에만 설치한 경우이고, 또 편심레듀서(22)의 중도부에 수평면(22H)을 형성하여 2단계로 개구를 좁아지도록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편심레듀서(22)의 부분을 길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피반송물의 투입을 서서히, 또 일층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편심레듀서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파이프의 개구면적을 포함하고, 호퍼의 투입구측에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개구면적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제5도 ∼ 제7도에 나타내는 호퍼(33)는, 호퍼(33)의 투입구(34) 상부에, 반송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32)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32)은, 도시예의 경우, 단면이 거꾸로 세운 V자형상으로 되어 호퍼(33)의 전후방향의 개구 폭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32)은, 호퍼(33)의 전후 한 쌍에 고정 부착된 가로편(35)에 의하여 호퍼(33)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32)은, 호퍼(33)와 파이프라인(12)이 연결되어 통하여 피반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4)의 상부에서, 파이프라인(12)의 중심선을 따라서 무단체인(5)의 반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32)의 우치는, 호퍼(33)와 연이어 접하는 관로(1')내에서, 파이프라인의 둘레벽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 레일(32)의 후단부(32c)는, 제7도에서 일층 명료하게 나타낸바와 같이, 투입구(3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시한 예에서는 위 쪽)으로 서서히 둥글게 구부려져 있고, 체인(5) 또는 블레이드(7)가 호퍼(33)의 투입구에 진입하여 온 때에, 상기 가이드 레일(32)의 후단부(32c)와 충돌하여 구속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체인(5) 또는 블레이드(7)중 어느 하나가 투입구(34) 근처에 오는가는, 호퍼의 전후에서 파이프라인이 구부러지는 방향에 따라 다르다.
이 둥글게 구부러진 부분은 가이드 레일(32)의 전후양단에 형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는 무단체인(5)의 반송방향을 정역으로 변경하여도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단부(32c)에 의하여 체인(5) 또는 블레이드(7)가 확실하게 가이드 레일(32)과 걸어맞춤 또는 충돌하여 호퍼(33)의 개구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32)은, 단면이 거꾸로 세워진 V자상으로되어 있기 때문에, 호퍼(33)에서 투입된 피반송물은 경사면(32a)에서 가이드되고, 그 위로 쌓이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32)은, 그 외면이, 중심선에서 측방을 따라서 점차 하강하는 면(32a)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들면 단면이 거꾸로 세워지는 U자형상이나 원호형상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32)의 내면에는 홈(3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떠오른 체인(5)을 억제함과 동시에, 홈(32b)에 걸어맞춤하여 반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블레이드(7)가 돌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32)의 내면을 블레이드(7)의 외주면을 따라서 둥글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이 가이드 레일(32)의 내면형상은, 결국 체인(5)(또는 와이어)나 블레이드(7)(또는 버켓트)와 충돌하여 만남과 동시에, 반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이어서,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내는 호퍼(43)는, 투입구(44)를 파이프의 센터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 설치하고, 이 투입구(44)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호퍼(43)를 형성하는 벽면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호퍼(43)의 하측을 덮는 큰 직경 파이프(41)의 벽면(41a)은 이 파이프(41)의 중심선을 따르는 수직위치를 덮고 있다.
그리하여, 호퍼(43)의 아래를 링크체인(5)이 이송될 때에 블레이드 또는 링크체인은 상기 호퍼(43)의 하측을 덮는 큰 직경 파이프(41)의 벽면(41a)과 충돌하여 만나기 때문에, 그 이상 위로 떠오르는 일은 없고, 피반송물의 위를 미끌어지지 않고 눌러서 동작할 수 있다.
또 호퍼(43)의 투입구(44)측에는 호퍼(43)와 연결되어 접하는 파이프의 구부림방향에 의하여 큰 직경의 파이프(41)의 센터를 넘어서 이 파이프(41)의 벽면이 덮여져 있을 필요가 있으나, 블레이드의 돌출을 억제하는 경우에는, 투입구의 폭으로 규제하여도 좋다.
이러서, 제10도에 나타내는 호퍼(53)는, 투입구(54)의 개구폭을, 링크체인에 연결되어 피반송물을 눌러서 동작하는 블레이드를 소정이상, 위 쪽으로 돌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속하는 폭의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투입구(54)는, 블레이드가 소정이상 돌출하지 않도록, 예를들면 직경이 약 2/3 이하로 설정되어 블레이드의 떠오름을 억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도 상기와 같이 효율적으로 피반송물의 반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심레듀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부피가 큰 피반송물 일지라도 경사면 내지 둥글게 구부린 면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파이프내로 넣을 수 있고, 호퍼의 벽면이 장애로 되어 반송을 저해하는 일이 없게된다.
또 호퍼의 투입구의 위 쪽에 구속수단을 설치하면 체인이나 블레이드등의 반송수단의 떠오름을 억제할 수 있고, 반송수단은 피반송물 위를 미끌어지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피반송물을 반송방향으로 눌러서 보낼 수 있다.

Claims (7)

  1. 파이프라인 내에 체인 또는 와이어에 블레이드등의 압출체를 연결한 반송수단을 내장함과 동시에, 파이프라인의 중도부에 호퍼를 설치한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호퍼와 이 호퍼에 투입된 피반송물의 반송방향 전방에 연결되는 파이프와의 연통구를 이 파이프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설정하고, 이 연통구와 파이프와의 사이에 바닥면을 파이프의 바닥면과 일치시켜, 호퍼의 투입구 방향의 개구를 서서히 좁혀 연결하도록 편심한 통형상의 편심레듀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이 편심레듀서가 단계적으로 개구를 좁히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2. 파이프라인 내에 체인 또는 와이어에 블레이드등의 압출체를 연결한 반송수단을 내장함과 동시에, 파이프라인의 중도부에 호퍼를 설치한 파이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호퍼(23)의 투입구(34)의 상부에, 압출체를 소정위치 이상으로 투입구 방향으로 떠오르지 않도록 충돌하여 만나게 하고, 압출체의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속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호퍼(23)와 파이프라인이 연결되어 통하는 투입구(34)의 상부에서, 파이프라인의 중심선을 따라서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가이드 레일(32)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32)의 외면이,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을 따라서 점차 하강하는 면(32a)으로 설정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2)이, 단면이 대략 거꾸로 세운 V자형상 또는 대략 거꾸로 세운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2)의 후단을, 투입구(3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점차 둥글게 구부려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호퍼(23)의 투입구(34)의 중심선을 파이프라인의 중심선보다 일측방향으로 오프셋트하여 설정하고, 상기 호퍼(23)의 측벽면이, 적어도 파이프 라인의 중심선을 따르는 수직위치를 덮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7. 제2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호퍼(23)의 투입구(34)의 개구(12a)를, 링크체인 또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피반송물을 눌러서 동작하는 압출체의 위 쪽에의 돌출을 규제하는 간격과 길이를 가지도록 구속하는 간격으로 설정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KR1019920002818A 1991-08-08 1992-02-24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KR100221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3377A JP2813081B2 (ja) 1991-08-08 1991-08-08 ホッパ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JP91-223377 1991-08-08
JP3223376A JP2866226B2 (ja) 1991-08-08 1991-08-08 ホッパ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JP91-223376 1991-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182B1 true KR100221182B1 (ko) 1999-10-01

Family

ID=2652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818A KR100221182B1 (ko) 1991-08-08 1992-02-24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21Y1 (ko) * 2017-12-29 2019-04-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21Y1 (ko) * 2017-12-29 2019-04-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플라이 애쉬 블로어 라인 플러깅 해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0280B1 (en) Transferring articles between oppositely running conveyors
KR100494818B1 (ko) 교차 컨베이어 체인장치
EP1375391B1 (en) Chain for three-dimensional transfer line
JP2003531081A (ja) ローラ支持体を有する側方屈曲性ベルトを備えたモジュラーコンベヤーシステム
US6918486B2 (en) Conveyor chain
US7032737B2 (en) Conveying apparatus for open containers
AU685409B2 (en) Hose belt conveyor, and drive assembly therefor
KR100625932B1 (ko) 공기 부상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0221182B1 (ko) 호퍼를 구비한 파이프 컨베이어
US4712650A (en) Hood conveying apparatus having an outwardly reaching basket
GB2124989A (en) Transport system for workpieces
EP3825261B1 (en) A conveyor and a conveying system
JP2003104530A (ja) 物品、特に印刷物を搬送する搬送装置
JPH0648540A (ja) ホッパ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US5263574A (en) Interlocking flight for conveyor systems
US2601558A (en) Conveyer for grain and like materials
US3822779A (en) Flexible material conveying chain of interlocking identical wire links
EP0060009B1 (en) A conveyor system
WO1990009333A1 (en) Conveyor
CN214398438U (zh) 一种基于区块链的物流运输处理装置
EP0647202B1 (en) Arrangement for a conveyor
KR20080083503A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EP4370450A1 (en) Conveyor chain link and conveyor chain comprising such a chain link and conveyor system
US3502199A (en) Conveyor assembly
CA1220155A (en) Bulk material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