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726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726Y1
KR200488726Y1 KR2020180003700U KR20180003700U KR200488726Y1 KR 200488726 Y1 KR200488726 Y1 KR 200488726Y1 KR 2020180003700 U KR2020180003700 U KR 2020180003700U KR 20180003700 U KR20180003700 U KR 20180003700U KR 200488726 Y1 KR200488726 Y1 KR 200488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waste tire
building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관
Original Assignee
이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관 filed Critical 이진관
Priority to KR2020180003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의 복수의 측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측면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상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상부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하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하부결합공, 상기 측면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평결합봉 및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직결합봉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결합공은 측면을 높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 상에 형성되고, 측면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은 상면 및 하면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과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호 연통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응력집중을 최소화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의 깊이는 상기 타이어가 내설된 위치와 접하는 않는 범위 내에서 가공되고, 상기 조립식 블록은 하나의 폐타이어가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중앙부에 집중시키고, 상기 폐타이어의 상면이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PREFABRICATED ARCHITECTURE BLOCK USING WASTE TIRE}
본 발명은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부면과 좌우측면에 대향하는 소정 크기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봉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좌우로 쌓을 수 있게 하여, 건축용 블록의 제조에 폐타이어의 원형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폐타이어를 매립, 또는 재활용 폐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존자원으로서 시멘트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이동수단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자동차의 보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률이 높은 만큼 자동차에서 비롯되는 폐기물 또한 엄청나게 많은 양이 쏟아지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로 폐타이어를 들을 수 있다.
폐타이어는 각종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재활용 방안을 찾지 못하면 그대로 매립되어야 하는 현실 때문에 폐타이어는 매립지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폐타이어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 계기는 어린이 놀이터에 깔려 있는 우레탄 바닥재로 사용된 것이다.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만든 우레탄 바닥재는 푹신푹신한 재질이 놀이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린이들의 사고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여겨지면서 커다란 호응을 받았다.
하지만 일부 바닥재에서 납을 포함한 유해한 성분들이 검출되면서 폐타이어를 어린이들의 놀이시설이나 공원 및 일반도로의 포장용재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지 못하면 이를 소각하거나 땅에 묻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지만, 특히 매립의 경우에는 부패되지 안는 문제점과 함께 매립지 선정에도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에 따라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폐타이어 재활용 연구는 우레탄 바닥재처럼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은 되도록 배제하고,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는 구조물에 사용되거나 대체 에너지를 만드는데 투입되는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폐타이어의 재활용은 폐타이어를 분해하여 오일을 부산물로 얻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핵심이 되어 왔으며, 이 시스템만이 폐타이어 문제를 지구상에서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 재활용 시스템은 가장 근본적인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첫째는 폐타이어를 열분해하기 위하여 폐타이어를 가열하는 방법의 문제이며, 둘째는 폐타이어를 열분해한 후 얻어지는 카본의 처리 문제이다.
폐타이어를 열분해하는 방법에는 크게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가열식은 연소가스를 통하여 과량의 산소가 동반되므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일증기와 함께 폭발이 일어나기 때문에 위험하다. 또한 연소공기가 직접 주입되므로 많은 수분이 제품에 섞인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온의 산소와 고무가 반응하여 다량의 카본이 생겨 제품에 섞여 얻어지는 오일의 품질이 매우 불량하다. 간접가열식은 낮은 열효율로 인해 연료의 소모가 많아서 얻어지는 오일의 상당 부분을 연료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의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폐타이어를 재활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폐타이어를 분쇄하고 고무분말, 타이어 칩 등으로 가공하여 연소 가능한 고형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형연료는 폐타이어를 잘게 분쇄하여 가공한 고체 연료로, 발열량은 약 8,000kcal/kg이다. 폐타이어는 석탄이나 기타 연료와 혼합하여 시멘트 킬른, 발전소 또는 제지 공장에서 연료로 사용된다. 석탄이나 석유를 대체하는 연료로 이용 가능하며, 폐타이어를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것보다 폐타이어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그러나 연소 시에 다이옥신 등과 같은 환경 오염 배출을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위와 같이 폐타이어를 가공함에 따르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폐타이어의 원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폐타이어를 원형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의 하나로 건축용 자재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페타이어의 원형을 이용하는 건축용 자재의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5066호 "폐타이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것은 상하측 모두 절단되거나 또는 상하측의 어느 한쪽면이 선택적으로 절단되어진 상하부절단면을 형성하고, 바닥면으로 부터 엇쌓기나 정쌍기로 적층되어져서 내측 공간부에 골재를 매립하는 폐타이어와; 상기 폐타이어들 끼리 서로 접촉되는 네 접촉면 혹은 여섯 접촉면을 서로 연결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타이어 연결부재와; 상기 폐타이어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전면벽체 역할을 하도록 전면에서 자립되는 보강옹벽과; 상기 보강옹벽(40)과 폐타이어 사이에 매립되는 석재와; 상기 보강옹벽과 폐타이어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앵커로 이루어지는 옹벽 시공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 시공구조는 폐타이어의 내주면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골재가 매립되며, 골재가 매립된 복수의 폐타이어가 타이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폐타이어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폐타이어의 내주면에서 상기 타이어 연결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야 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으로, 작업성이 좋지 않고, 또한, 폐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않으며, 또한, 외부로 노출될 폐타이어끼리 접촉하며 연결 고정됨으로써 고무재인 폐타이어의 특헝상 유동이 발생하여 경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페타이어의 원형을 이용하는 건축용 자재의 다른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395421호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사면공법"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폐타이어의 양 측면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상기 절개된 폐타이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서,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지지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면서, 윗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이다.
이러한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은 해안제방이나 성토사면 축조공사에서 성토부위 양 측면의 저면에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에 경사지게 형성된 폐타이어 콘크리트블록 지지대에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된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을 최종 성토 높이까지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폐타이어 콘크리트 블록 결합재가 없이도 피복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폐타이어의 내주면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콘크리트가 매립되며, 폐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예로부터 건축 시공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던 방법으로서 습식 조적은 벽돌, 콘크리트 블록, 돌 등의 재료를 모르타르(mortar)와 같은 교착재를 사용하여 차근차근 적층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 시공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습식 조적은 벽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바르면서 조적할 때 수평을 맞추지 못하게 되면 벽이 기울어지거나, 벽이 받는 하중이 불규칙적으로 작용하여 무너질 수 있다. 그래서 현장작업에서 숙련된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숙련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고 시공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모르타르로 인해 건축물 부재의 자중이 커지게 되고, 횡력에 약해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습도와 온도에 민감한 모르타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계절적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 장마철과 빙점 이하의 동절기에는 균열, 처짐 및 누수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블록의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1422445호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이 있다.
이것은 벽에 부착되는 앵글; 상기 앵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벽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앵글의 제 1 관통구멍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제 2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 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이음핀; 상기 이음핀에 끝단이 삽입되며, 상기 벽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철근; 및 일측면에 상기 제 1 철근이 삽입 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의 끝단과 기 설정된 각을 이루며 상기 제 1 철근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공간을 포함하는 결합부를 갖는 벽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건식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벽돌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벽을 조적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가 너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되는 장비를 지지할 하나의 벽이 먼저 필요하여 시공과정이 복잡하며, 게다가 벽돌의 형상도 복잡하여 벽돌을 제조하는 공정이 늘어나게 되므로 인해 벽돌의 판매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 다른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957호 "벽돌"이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벽돌돌출부와 대응되는 벽돌삽입부를 상호 반대측면에 좌우 양측 소정위치에 대칭되게 설치하고 또한 일단의 돌출부 및 삽입부는 경사 형태로 되어 있으며, 돌출부와 삽입부 중앙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철근삽입구멍이 중앙에 일정수 형성 되어있어 벽돌끼리 조립하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건식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벽돌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다란 파이프를 설치해 놓고, 그 위로 벽돌을 맞춰 끼우면서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벽돌의 측면을 이용하여 연속결합하거나 바닥면을 시공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철근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하나의 철근이 복수의 벽돌을 관통하게 됨에 따라 작업현장의 벽체 높이에 대응하는 철근을 구비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도 있는 것이었다.
KR 20-0212745 Y1 (2000. 11. 25.) KR 10-1422445 B1 (2014. 07. 16.)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블록의 제조에 폐타이어의 원형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폐타이어를 매립, 또는 재활용 폐기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존자원으로서 시멘트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적이 가능하며, 기울어지거나 무너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을 조적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필요치 않으며, 저렴한 제작비용과 단순한 시공과정에 의해 의도하는 건축시설물을 시공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블록들이 개별적인 연결봉이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의 복수의 측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측면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상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상부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하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하부결합공, 상기 측면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평결합봉 및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직결합봉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결합공은 측면을 높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 상에 형성되고, 측면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은 상면 및 하면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과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호 연통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응력집중을 최소화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의 깊이는 상기 타이어가 내설된 위치와 접하는 않는 범위 내에서 가공되고, 상기 조립식 블록은 하나의 폐타이어가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중앙부에 집중시키고, 상기 폐타이어의 상면이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용 블록의 제조에 폐타이어의 원형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폐타이어를 매립하거나 재활용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카본과 미세분진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존자원으로서 시멘트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부면과 좌우측면에 대향하는 소정 크기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봉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좌우로 쌓을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장비나 모르타르 등의 교착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어서 간편하고 빠른 속도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을 의도하는 목적지에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블록 조립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요소의 특정 방향과 위치에 관한 용어의 기재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은 폐타이어(20)가 매립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사방의 측면에는 각각 2개의 측면결합공(111, 112)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4개의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과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블록 조립체는 각각의 블록(10)들을 연결고정시켜주기 위한 복수의 수평연결봉(30)과 수직연결봉(4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의 사방 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측면결합공(111, 112)들은 인접하는 일측의 다른 블록과 복수의 수평결합봉(30)들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과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들은 복수의 수직결합봉(40)들에 의해 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사방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결합공(111, 112)은 복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의 측면이 나란하게 결합되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결합될 경우 대응하는 위치에서 마주보며 수평결합봉(30)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을 좌우로 구분하는 수직중심선(V1)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의 측면결합공(111, 112)은 임의의 수직중심선(V1)이 구획하는 2개의 사각형 영역(E1, E2)에서 좌측의 변으로부터 측면결합공(111)의 중심까지의 거리(A)와, 상기 측면결합공(111)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중심선(V1)까지의 거리가 같도록 수평중심선(H1)상에 형성되며, 다른 일측의 측면결합공(112)은 수직중심선(V1)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결합공(111)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수평중심선(H1)상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의 상부면에는 각각 4개의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 4개의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과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은 복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이 나란하게 결합되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결합될 경우 대응하는 위치에서 마주보며 결합될 수 있도록 도 2의 수평중심선(H1)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임의의 수직중심선(V1)과 수평중심선(H2)이 구획하는 4개의 사각형 영역(E3, E4, E5, E6)에서 각각의 사각형 영역(E3, E4, E5, E6)의 중심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수직중심선(V2)과 수평중심선(H2)이 구획하는 4개의 사각형 영역(E3, E4, E5, E6)중 하나의 사각형 영역(E3)에서 좌측의 변으로부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 및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의 중심까지의 거리 B와, 상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 및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에서 상기 수직중심선(V2)까지의 거리 B'가 같으며, 상부의 변으로부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 및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의 중심까지의 거리 C와, 상기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 및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에서 수평중심선(H2)까지의 거리 C'가 같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각형 영역(E3)에서의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과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이 형성되는 위치는 다른 사각형 영역(E4, E5, E6)에 형성되는 다른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 및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에서도 좌우측변 및 상하부의 변으로부터 같은 조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이 기초 바닥면에 놓여져서 상하로 적층될 경우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상부결합공(121, 122, 123, 124)과 윗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하부결합공(131, 132, 133, 134)이 어느 위치에서도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은 폐타이어(20)가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바람직하게 보통 콘크리트보다 단위 용적당의 중량이 작은 경량 콘크리트로서 기포성 콘크리트와 오토클레이브 경량 콘크리트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당의 중량을 작게하는 방법으로서는 경량 골재를 사용하는 외에 기포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많은 기포를 형성한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 경량 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의 제조 방법은 미분쇄된 석회계 원료 및 실리카계 원료에 금속 알루미늄의 분말을 혼합하고 발포하여 만들어지는 지름 1㎜ 정도의 기포를 컨크리트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고온, 고압에서 오토클레이브 양생하여 경화시킨 것을 사용한다. 그 조성은 시멘트 수화물 중에서 가장 안정된 칼슘, 실리케이트 수화물로 되며, 비중이 0.5인 경량성이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면서 불연내화성도 있다.
위와 같이 경량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은 일반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경우보다 무게가 가벼워져서, 이동 및 운반이 편리하여 작업현장에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블록이 결합되는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블록들이 나란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블록 조립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의 사방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결합공(11, 112)이 수직중심선(V1)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양쪽에 배치되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10a, 10b)에서 일측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a)의 측면결합공(111a, 112a)에 수평삽입봉(30a)을 삽입하고, 이 수평삽입봉(30a)이 노출된 쪽이 다른 하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b) 측면에 형성된 측면결합공(111b, 112b)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블록들이 수평상으로 나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조립체(100)는 단층구조를 설명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복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서 서로 결합된 2개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b)의 결합면 상부에 다른 하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c) 중앙이 일치되게 하면서, 적어도 2개의 상부결합공(121b, 122b, 123b, 124b)에 수직결합봉(40b)을 삽입하고,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직결합봉(40b)에는 상부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c)에서 하부결합공(131c, 132c, 133c, 134c)이 삽입되게 하여 복층구조의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 4개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d, 10e, 10f, 10g)의 결합면 상부에서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로부터 인접한 4개의 상부결합홈(122d, 124d, 121f, 124b)에 수직결합봉(40c)을 삽입하고, 노출된 수직결합봉(40c)의 상부가 다른 하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h)에 구비된 하부결합공(131h, 132h, 133h, 134h)이 삽입되게 하여, 나란한 단층 구조에 엇갈리는 복층구조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도립식 건축용 블록이 결합되는 블록 조립체(11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들이 서로 엇갈리며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블록 조립체(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의 사방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결합공(111, 112)이 수직중심선(V1)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양쪽에 배치되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10i, 10j)의 경계면에 인접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결합공(112i, 112j)에 수평결합봉(30b)를 삽입하고, 이 수평결합봉(30b)의 노출된 단부를 인접한 하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k)의 일측면에 형성된 측면결합공(111k, 112k)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들이 서로 엇갈리게 수평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조립체(110)는 단층구조를 설명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복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서 서로 엇갈리게 결합된 3개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10l, 10m, 10i)의 결합면에 서로 인접한 모서리부로부터 인접한 4개의 상부결합홈(131m, 132l, 133l, 134i)에 수직결합봉(40d)을 삽입하고, 상부로 노출된 수직결합봉(40d)이 단부가 다른 하나의 블록(10l)에 구비된 하부결합공(131n, 132n, 133n, 134n)이 삽입되게 하여, 엇갈리게 결합된 단층 구조에 엇갈리는 복층구조의 블록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는, 수평상으로 시공되어 주차장, 차도, 인더, 공원의 보도블록, 양어장의 바닥면 등을 시공할 수 있으며,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옹벽이나 절개지 성토사면 등에 호안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 엇갈리게 시공되는 경우 양쪽 마감부에서 요입되는 부위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 이등분된 것을 준비하여 상기 요입되는 부위에 삽입결합되게 하여 마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50)은 상부면의 중앙에 걸고리(60)를 형성하여 이동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걸고리(60)는 철사, 또는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쪽 단부가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게 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고리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고리(60)는 크레인의 훅크(도시되지 아니함)를 걸어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층시 걸고리(60)에 의해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고리(60)가 형성되는 주변은 상부면으로부터 요입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10)에서 각각의 일측면에 2개의 측면결합공(111, 1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에서 보듯이 4개의 측면결합공(511, 512, 513, 5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은 폐타이어를 건축자재로 재활용하여 건설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바닥면이나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유동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건축용 조립식 블록
20: 폐타이어
111, 112: 측면결합공
121, 122, 123, 124: 상부결합공
131, 132, 133, 134: 하부결합공
30: 수평연결봉
40: 수직연결봉
V1, V2: 수직중심선
H1, H2: 수평중심선
E1, E2, E3, E4, E5, E6: 사각형 영역

Claims (1)

  1.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블록의 복수의 측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측면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상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상부결합공;
    상기 조립식 블록의 하면에 소정 깊이 가공되는 복수의 하부결합공;
    상기 측면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평결합봉; 및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조립식 블록을 결합하는 수직결합봉;
    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결합공은
    측면을 높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 상에 형성되고,
    측면을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은
    상면 및 하면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평중심선과 폭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임의의 수직중심선이 구획하는 각 영역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호 연통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폐타이어를 관통하지 않고 응력집중을 최소화하며.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의 깊이는
    상기 타이어가 내설된 위치와 접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공되고,
    상기 조립식 블록은
    하나의 폐타이어가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무게중심을 중앙부에 집중시키고,
    상기 폐타이어의 상면이
    상기 상부결합공 및 하부결합공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2020180003700U 2018-08-10 2018-08-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200488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00U KR200488726Y1 (ko) 2018-08-10 2018-08-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00U KR200488726Y1 (ko) 2018-08-10 2018-08-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28 Division 2017-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726Y1 true KR200488726Y1 (ko) 2019-03-12

Family

ID=6572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00U KR200488726Y1 (ko) 2018-08-10 2018-08-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89B1 (ko) * 2021-02-04 2021-07-30 신용관 폐타이어를 이용한 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689B1 (ko) * 2021-02-04 2021-07-30 신용관 폐타이어를 이용한 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4112B (zh) Green building light partition brick
WO2015192764A1 (zh) 一种空心砌块及用其砌筑的墙体
US8667752B2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systems and methods
Nandi et al. Cellular concrete and its facets of application in civil engineering
US20080184640A1 (en) Movable building and building foundation
KR20048872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블록
KR101030221B1 (ko) 천연 석재 층과 이 천연 석재 층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층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복합석재블록 및 그제조방법
KR20070107510A (ko) 발포 우레탄폴과 폐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콘크리트용모르터 및 그 제조방법
CN108145835B (zh) 一种剖面十字形水泥预混料连接柱及其生产工艺方法
CN105669238A (zh) 环保建筑保温材料、保温板、遮缝板、环保保温墙面
CN205330078U (zh) 一种地面复合装饰板的铺装结构
CN2923876Y (zh) 卡口保温砌块
CN108642985B (zh) 一种基于再生塑料的快速环保路面
JPH10121403A (ja) 構造物の凍上防止工法
CN111379279A (zh) 一种变深度模块化防渗隔振沟及其施工方法
CN107447903B (zh) 一种现浇筑保温一体式坡屋顶结构及施工方法
CN114164725A (zh) 一种公路桥梁路基路面及其施工方法
RU94248U1 (ru)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JP4669586B2 (ja) 土木構造体および土木構造体用外装構築部材
US20050166477A1 (en) Multi-layer vacuum assembly-enabled fundamental building material
KR20200111986A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JP2538814Y2 (ja) 土木・建築用構造体
KR101695634B1 (ko)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CN101852033A (zh) 抗地震活动房屋
CN203080532U (zh) 一种蜂窝形砌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