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77Y1 - Tray for food - Google Patents

Tray for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77Y1
KR200488277Y1 KR2020180004423U KR20180004423U KR200488277Y1 KR 200488277 Y1 KR200488277 Y1 KR 200488277Y1 KR 2020180004423 U KR2020180004423 U KR 2020180004423U KR 20180004423 U KR20180004423 U KR 20180004423U KR 200488277 Y1 KR200488277 Y1 KR 200488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necting portion
projection
fros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이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진 filed Critical 이혜진
Priority to KR2020180004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판형 본체 상부의 구획된 홈에 종류별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는 음식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측 바닥을 모서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국물이나 잔반이 모서리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차선적으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용 판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레이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남은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사방의 모서리를 통해 트레이가 지지되도록 하여, 트레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비틀리더라도 비교적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food which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grooves in the upper part of a plate-shaped body, more specifically, an inner bottom in which food is received is inclined in a corner direction, Shaped tray for food, which allows a stable posture to be maintained in a sub-optimal manner even when there is a de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remaining food can be gathered on one side and easily ingested without tilting the tray. Als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ray is supported through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so that even if the shape of the tray is deformed or twisted, a relatively stable posture can be maintained.

Description

음식용 판형 트레이 {TRAY FOR FOOD}{TRAY FOR FOOD}

본 고안은 음식물을 판형 본체 상부의 구획된 홈에 종류별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는 음식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측 바닥을 모서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국물이나 잔반이 모서리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변형이 있는 경우에도 차선적으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용 판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food which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grooves in the upper part of a plate-shaped body, more specifically, an inner bottom in which food is received is inclined in a corner direction, Shaped tray for food, which allows a stable posture to be maintained in a sub-optimal manner even when there is a deformation.

단체 급식을 하는 학교, 회사, 군부대의 대규모 식당에서는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나 스테인리스 금속판을 사출 또는 프레스 성형하여 식판, 음식용 트레이로 사용하고 있다. In a large-scale restaurant in a school, company, or military school where group meals are used, synthetic resin or stainless steel plate is generally used as a tray for food or plate by injection or press molding.

이러한 음식용 트레이는 손으로 가장자리의 양측부를 잡은 상태로 이동하면서 음식물을 구획된 다수의 수용부에 나눠 담고 식탁으로 운반하여 식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Such a tray for food is handled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edge being handled, and the foo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is transported to a dining table for eating.

음식용 트레이는 한국인의 식습관에 따라, 전방측에는 반찬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후방측으로는 좌측에는 밥을, 우측에는 국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국을 담는 부분에 국물과 건더기가 남게 되는 경우, 바닥면 구조가 평평한 관계로 잔량의 국을 쉽게 먹을 수 없게 되거나, 혹은 조심스럽게 전체를 들어 기울여야만 했다. 또는 꼼꼼하게 숟가락을 빈번히 사용하는 수밖에 없는데 이 때 숟가락과 식기 바닥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반복 발생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물을 남김없이 섭취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eating habits of the Korean people, the tray for food can be provided with a side dish on the front side, a rice on the left side, and a station on the right side depending on the eating habits of Koreans. If soup and soup are left in the station- Because of the flat surface structure, the rest of the country could not be easily eaten or had to be carefully tilted. Or the spoon is used frequently and meticulously. At this time, the noise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spoon and the bottom of the dish is repeatedly generated. Neverthel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sume the soup without leaving the sou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을 담는 부분에 이중으로 국그릇을 추가로 올려 사용하기도 하는데, 식기 비용이 더 소요되고 설거지 감이 많아짐으로써 세제와 물의 낭비는 물론, 배식하여 운반하기도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owl of soup is additionally placed in the portion for storing the soup, and the cost of the dishwar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feeling of washing dishes is increased, so that it is inconvenient not only to waste the detergent and water, .

또한 음식용 트레이는 잦은 사용, 세척 및 운반으로 인해 형상이 비틀어지고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내측 부분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테두리나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굽어지게 되면, 정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마치 오뚜기처럼 수저를 접촉시킬 때마다 흔들흔들 거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ray for food is frequently twisted and deformed due to frequent use, cleaning and transportation. When the inner part protrudes downward convexly and the rim or corner bends upward, There is a problem of wobbling every time you touch a spoon like a twig.

실용신안공개 제20-2017-002642호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7-002642

본 고안은 트레이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남은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that allows the leftover food to be gathered on one side and easily consumed even if the tray is not tilted.

또한 본 고안은 사방의 모서리를 통해 트레이가 지지되도록 하여, 트레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비틀리더라도 최소한 3개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upport the tray through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so that even if the shape of the tray is deformed or twisted, it is supported at least at three points so a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이끼리 겹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상호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유입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쉽게 잡고 하나씩 들어올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facilitating the inflow and drying of the washing water by allowing the trays to be stack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llowing the user to easily hold the washing water and lift it one by one.

또한 본 고안은 국이 수용되는 위치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필요나 선택에 따라 그릇을 써야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안정적으로 그릇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y that can stably position a vessel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vessel according to necessity or selecti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몸체(1)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판형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후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테두리돌출부(2);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의 중간보다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가로분리돌출부(100); 상기 가로분리돌출부로(100)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와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에 의해 좌우로 구분 형성되는 후좌수용홈부(4) 및 후우수용홈부(5); 및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와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에 의해 좌우로 구분 형성되는 전좌수용홈부(6) 및 전우수용홈부(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및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돌출부(2)의 높이보다 낮아 단차부(3)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판형 트레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like tray for accommodating food in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in a body (1), comprising: a rim protrusion (2) formed at front, rea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ody; A lateral separating protrusion (100) formed to cros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ody at a position shifted forward from the middle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 elongated vertical separation protrusion 200 formed rearward from the horizontal separation protrusion 100; A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formed forward from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 rear accommodation groove portion 4 and a rear accommodation accommodation groove portion 5 formed to be laterally divided by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100 and the elongated longitudinal separation projection 200; And a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part (6) and a female housing receiving groove part (7) which are divided laterally by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nd th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and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 And the height of the elongated vertical separation protrusions (200) and the flat elongated protrusions (300) ar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im protrusions (2) and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step (3). to provide.

상기 후우수용홈부(5)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2전측벽(51);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우외벽(52);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후외벽(53);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2좌측벽(54); 및 벽들 사이의 후우수용바닥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측벽(51)과 상기 제2우외벽(52)의 사이는 제2측모서리연결부(55)로 연결되고, 상기 제2우외벽(52)과 상기 제2후외벽(53)의 사이는 제2외모서리연결부(56)로 연결되고, 상기 제2후외벽(53)과 상기 제2좌측벽(54)의 사이는 제2후모서리연결부(57)로 연결되고, 상기 제2좌측벽(54)과 상기 제2전측벽(51)의 사이는 제2내모서리연결부(58)로 연결되고,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56)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2측모서리연결부(55), 상기 제2후모서리연결부(57) 및 제2내모서리연결부(58)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후우수용바닥면(50)이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56)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좌수용홈부(4)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1전측벽(41);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좌외벽(44);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후외벽(43);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방향의 제1우측벽(42); 및 벽들 사이의 후좌수용바닥면(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측벽(41)과 상기 제1좌외벽(44)의 사이는 제1측모서리연결부(45)로 연결되고, 상기 제1좌외벽(44)과 상기 제1후외벽(43)의 사이는 제1외모서리연결부(46)로 연결되고, 상기 제1후외벽(43)과 상기 제1우측벽(42)의 사이는 제1후모서리연결부(47)로 연결되고, 상기 제1우측벽(42)과 상기 제1전측벽(41)의 사이는 제1내모서리연결부(48)로 연결되고,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46)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1측모서리연결부(45), 상기 제1후모서리연결부(47) 및 제1내모서리연결부(48)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후좌수용바닥면(40)이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46)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좌수용홈부(6)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3후측벽(63);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좌외벽(64);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전외벽(61);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3우측벽(62); 및 벽들 사이의 전좌수용바닥면(60);을 포함하고, 상기 제3후측벽(63)과 상기 제3좌외벽(64)의 사이는 제3측모서리연결부(65)로 연결되고, 상기 제3좌외벽(64)과 상기 제3전외벽(61)의 사이는 제3외모서리연결부(66)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외벽(61)과 상기 제3우측벽(62)의 사이는 제3전모서리연결부(67)로 연결되고, 상기 제3우측벽(62)과 상기 제3후측벽(63)의 사이는 제3내모서리연결부(68)로 연결되고,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66)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3측모서리연결부(65), 상기 제3전모서리연결부(67) 및 제3내모서리연결부(68)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전좌수용바닥면(60)이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66)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우수용홈부(7)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4후측벽(73);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4우외벽(72);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4전외벽(71);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4좌측벽(74); 및 벽들 사이의 전우수용바닥면(70);을 포함하고, 상기 제4후측벽(73)과 상기 제4우외벽(72)의 사이는 제4측모서리연결부(75)로 연결되고, 상기 제4우외벽(72)과 상기 제4전외벽(71)의 사이는 제4외모서리연결부(76)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외벽(71)과 상기 제4좌측벽(74)의 사이는 제4전모서리연결부(77)로 연결되고, 상기 제4좌측벽(74)과 상기 제4후측벽(73)의 사이는 제4내모서리연결부(78)로 연결되고,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76)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4측모서리연결부(75), 상기 제4전모서리연결부(77) 및 제4내모서리연결부(78)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전우수용바닥면(70)이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76)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The hoist receiving groove (5) comprises: a second front wall (51)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A second right outer wall 52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A second rear outer wall 53 in the rear edge direction; A second left side wall (54)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e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And a second side wall connecting portion (55) between the second front wall (51) and the second right outer wall (52), and a second side wall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nd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outer peripheral frost connecting portion 56 and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nd the second left outer wall 53 are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57), the second left side wall (54) and the second front wall (51) are connected by a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56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econ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5, the second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in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2 outer shield connecting portion 5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4) comprises: a first front wall (41)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 first left outer wall 44 in the left frame direction; A first rear outer wall 43 in the rear edge direction; A first right side wall 42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e longitudinal separation projection 200; And a rear side receiving wall (40) between the walls, wherein the first front wall (41) and the first left outer wall (44) are connected by a first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45) The first rear outer wall 44 and the first rear outer wall 43 are connected by a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46 and the first rear outer wall 43 and the first right outer wall 43 are connected Is connected to a first rear edge connection portion (47), the first right side wall (42) and the first front wall (41) are connected by a first inner corner connection portion (48)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rear end receiving portion 46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irst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45, the first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47 and the first in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48, 1 is formed at an angle to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ost connection part 46. [
The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6) comprises: a third rear side wall (63)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 third left outer wall 64 in the left frame direction; A third front outer wall 61 in the front edge direction; A third right side wall 62 in the direction of the monolithic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100; And a third rear edge wall (64) is connected by a third side edge connection portion (65), and the third rear side wall (63) The third front outer wall 61 and the third front outer wall 61 are connected by a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66 and the third outer front wall 61 and the third right outer wall 61 are connected by a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66, Is connected to the third front edge connecting portion (67), the third right side wall (62) and the third rear side wall (63) are connected by a thir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68) The bottom end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66 is deeper than the bottom end position of the thir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65, the third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67 and the third in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68, 3 is formed obliquely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ost connection part (66).
The cartridge receiving recessed part (7) includes: a fourth rear side wall (73)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 fourth right outer wall 72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A fourth front outer wall 71 in the front edge direction; A fourth left side wall (74) in the direction of the monolithic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100); And between the fourth rear wall (73) and the fourth right outer wall (72) are connected by a fourth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75), and the fourth rear side wall And the fourth outer front wall 71 and the fourth outer front wall 71 are connected by a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76 and the fourth outer front wall 71 and the fourth left wall 74 Is connected to the fourth front edge connecting portion 77 and the fourth left side wall 74 and the fourth rear side wall 73 are connected by a fourth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78,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ourth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76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ourth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75, the fourth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77 and the fourth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78, 4 outer shield connecting portion 76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4전외벽(61,71);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4우외벽(52,72);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2후외벽(43,53); 및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3좌외벽(44,6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전외벽, 우외벽, 후외벽 및 좌외벽은 상방 외측으로 경사 형성되며, 상기 각 전외벽, 우외벽, 후외벽 및 좌외벽 중 어느 둘 이상의 외측으로는 간격유지돌기(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rd and fourth front outer walls (61, 71) in the front edge direction; Second and fourth right outer walls 52, 72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First and second rear outer walls (43, 53) in the rear edge direction; And first and third left outer walls (44, 64) in the left frame direction, wherein the front outer wall, the right outer wall, the rear outer wall, and the left outer wall are inclined upward outward, And a space retaining projection (10) protrudes from the outer wall, the rear outer wall, and the left outer wall.

상기 후좌수용홈부(4), 상기 후우수용홈부(5), 상기 전좌수용홈부(6) 및 전우수용홈부(7)의 각 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이 하방으로 가장 낮게 위치되어, 상기 네 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이 외측의 식탁으로 접촉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rface of eac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4, the rear receiving groove portion 5, the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portion 6 and the female housing receiving groove portion 7 is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downwar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s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outer table.

상기 후우수용홈부(5)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100) 방향의 제2전측벽(51);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우외벽(52); 후측 방향의 제2후외벽(53);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방향의 제2좌측벽(54); 및 상기 벽들 사이의 후우수용바닥면(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측벽(51)과 상기 제2우외벽(52)의 사이는 제2측모서리연결부(55)로 연결되고, 상기 제2우외벽(52)과 상기 제2후외벽(53)의 사이는 제2외모서리연결부(56)로 연결되고, 상기 제2후외벽(53)과 상기 제2좌측벽(54)의 사이는 제2후모서리연결부(57)로 연결되고, 상기 제2좌측벽(54)과 상기 제2전측벽(51)의 사이는 제2내모서리연결부(58)로 연결되고, 상기 후우수용바닥면(50)은 상기 제2내모서리연결부(58)로부터 연장되는 수평한 평면지지부(501),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56)로 하방 연장되는 경사하강부(502) 및 상기 평면지지부(501)와 상기 경사하강부(502)가 만나는 경계부(50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모서리연결부(55), 상기 제2후모서리연결부(57) 및 제2내모서리연결부(58) 하단 위치는 동일 깊이이며,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56)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2측모서리연결부(55), 상기 제2후모서리연결부(57) 및 제2내모서리연결부(58) 하단 위치보다 깊으며, 상기 경계부(503)는 상기 제2측모서리연결부(55)의 하단 및 상기 제2후모서리연결부(57)의 하단을 연결한 지점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한 지점보다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56)로 더 근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평면지지부(501)의 수평면적이 상기 경사하강부(502)의 수평면적과 같거나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ist receiving groove (5) comprises: a second front wall (51)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100); A second right outer wall 52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A second rear outer wall 53 in the rearward direction; A second left side wall (54)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e longitudinal separation projection (200); And a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55)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front wall (51) and the second right side wall (52), and a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nd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re connected by a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and between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and the second left outer wall 53, Is connected to a second rear edge connection (57), the second left side wall (54) and the second front wall (51) are connected by a second inner corner connection (58) (50) includes a horizontal flat support portion (501) extending from the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a slanting down portion (502) extending downward to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Depth, and the seco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corner connecting portion 56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econ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5, the second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57 and the second in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point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55)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57) are connected, or is closer to the second outside frost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horizontal area of the flat support portion 501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slant descending portion 502.

본 고안은 트레이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남은 음식물이 한쪽으로 모여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remaining food can be gathered on one side and easily ingested without tilting the tray.

또한 본 고안은 사방의 모서리를 통해 트레이가 지지되도록 하여, 트레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비틀리더라도 비교적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ray is supported through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so that even if the shape of the tray is deformed or twisted, a relatively stable posture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이끼리 겹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상호 밀착되지 않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수의 유입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들어올릴 때 쉽게 하나씩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flow and drying of the washing water by allowing the trays to be stack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eing easily separated one by one when the user lifts the tray.

또한 본 고안은 국이 수용되는 위치에 필요나 선택에 따라 그릇을 써야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is design also has the effect of not having problems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bowl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 sel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station is accommoda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상면을 후측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좌우, 전후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저면을 후측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국을 담는 후우수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후우수용부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station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posterior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트레이는 원거리에서 보면 통상적인 식판과 마찬가지로, 좀 크게 형성된 밥과 국 수용부, 좀 작게 3개로 나뉘어진 반찬들 수용부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sized rice and soup storage portion, and a small-sized three-side dish storage portion, as in a conventional plate as seen from a distance.

설명을 위해,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밥과 국 수용부의 방향을 후방, 반찬 수용부가 있는 먼쪽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하고, 양 쪽을 각각 좌우방으로 정의한다.For the sake of explanation, it is defined that the direction of the rice and the station receiving portion facing the user's body is rearward and the farther side with the side dish accommodating portion is defined as the front, and both sides are defined as the left and right chambers, respectively.

사각 판형의 몸체(1)는 외측으로 테두리돌출부(2)가 사방에 형성되며, 그 사이의 좌우방향으로는 가로분리돌출부(100)가 경계를 형성하며, 그 중앙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가 경계를 형성한다. 경계에 따른 좌측의 공간은 후좌수용홈부(4)라 칭하며 통상 이 부분에 쌀밥이 담기게 되고, 우측의 수용 공간은 후우수용홈부(5)라 칭하며 국물이 담기게 된다.In the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1, the rim protrusions 2 are formed on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ateral separating protrusions 100 form a boundary between them. The protrusions 200 form a boundary. The space on the left side along the border is called a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4, and rice is normally contained in this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space on the right side is called a hoof receiving groove portion 5, and soup is contained therein.

가로분리돌출부(100)로부터 전방을 향해 2분할, 3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구획되도록 다수의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가 형성되는데, 이 때 좌측 끝의 공간은 전좌수용홈부(6)라 하고, 우측 끝의 공간은 전우수용홈부(7)라 하며, 그 사이에는 중간홈부(8)가 선택에 따라 1~2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다수의 수용홈부에는 반찬을 종류별로 나눠서 담을 수 있는데, 통상 밥과 국이 수용되는 공간을 크게 하므로 가로분리돌출부(100)가 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전방의 세로분리돌출부(300)는 단형으로, 후방의 세로분리돌출부(200)는 장형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short-type vertical separating protrusions 300 are formed so as to be divided into two, three or more from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toward the front. In this case, the space at the left end is referred to as a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6, The space at the right end is referred to as a rack receiving groove 7, and between the two, an intermediate trench 8 can be optionally formed. The lateral separation protrusions 100 are disposed in a forwardly biased arrangement so that the vertical separation protrusions 300 are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ar vertical separation protrusion 200 is formed in a long shape.

가로분리돌출부(100),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및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는 일종의 벽을 형성하는데, 이 때 이 벽들을 내용물이 넘치는 한이 있더라도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테두리돌출부(2)는 높은 위치에 형성하고, 가로분리돌출부(100),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및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단 높이를 갖도록 한다. 그에 따라 가로분리돌출부(100),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 및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와 테두리돌출부(2)가 연결되는 부분은 높이가 다른 부분이 연결되면서 단차부(3)가 형성된다. 예컨대 전좌수용홈부(6) 내의 내용물이 과다한 경우 외측으로 넘치기 이전에 상대적으로 낮은 단형세로분리돌출부(300)나 가로분리돌출부(100) 방향으로 넘쳐 측방의 중간홈부(8)나 후방의 후좌수용홈부(4)로 넘어가게 되므로, 외부 넘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the long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200 and th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form a kind of wall in which the rim 2 protrudes so as not to overflow even if the contents are overflowing And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the long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200, and th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have a relatively low top height. Accordingly, the step portion 3 is formed while the portions having the different height are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100, the long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200, and th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are connected to the frame projection 2 . For example, if the content in the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6 is excessive, it may overflow in the direction of the relatively short vertical separating protrusion 300 or the lateral separating protrusion 100 before the overflowing to the outside,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ing.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상면을 후측에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좌우, 전후 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상 밥을 담는 후좌수용홈부(4)는 저면의 후좌수용바닥면(40)을 중심으로, 전방의 가로분리돌출부(100)측의 제1전측벽(41), 우측의 장형세로분리돌출부(200)측의 제1우측벽(42), 후방의 제1후외벽(43), 좌측의 제1좌외벽(44)으로 감싸진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and FIG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2 to 4,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4 for holding rice generally has a first front wall 41 on the side of the front lateral separation protrusion 100, The first right rear wall 42 on the right elongated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200 side, the first rear outer wall 43 on the rear side, and the first left outer wall 44 on the left side.

이 때 벽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분 모서리를 내측부터 시계바늘 회전 방향 순으로, 각각 제1내모서리연결부(48), 제1후모서리연결부(47), 제1외모서리연결부(46), 제1측모서리연결부(45)라 하며, 후좌수용바닥면(40)은 제1내모서리연결부(48)로부터 제1외모서리연결부(46)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corners connecting the wall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inner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48, the first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47, the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46, And the rear receiving bottom surface 40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first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48 toward the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46. [

마찬가지로, 전좌수용홈부(6)도 전좌수용바닥면(6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부터 제3전외벽(61), 제3전모서리연결부(67), 제3우측벽(62), 제3내모서리연결부(68), 제3후측벽(63), 제3측모서리연결부(65), 제3좌외벽(64), 제3외모서리연결부(66)가 일체로 구비되어 형성되며, 전좌수용바닥면(60)은 제3내모서리연결부(68)로부터 제3외모서리연결부(66)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한다.Likewise, the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portion 6 also has a third front outer wall 61, a third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67, a third right side wall 62, a third inner corner 62, A third rear outer wall 64 and a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66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rear wall 63 and the third rear wall 63. The third rear wall 63, the thir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65, the third left outer wall 64, (60) is inclined from the thir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68) toward the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66).

또한, 전우수용홈부(7)도 전우수용바닥면(7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부터 제4전외벽(71), 제4외모서리연결부(76), 제4우외벽(72), 제4측모서리연결부(75), 제4후측벽(73), 제4내모서리연결부(78), 제4좌측벽(74), 제4전모서리연결부(77)가 일체로 구비되어 형성되며, 전우수용바닥면(70)은 제4내모서리연결부(78)로부터 제4외모서리연결부(76)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emale housing accommodation groove 7 also has a fourth front outer wall 71, a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76, a fourth right outer wall 72, a fourth lateral corner 72, And a fourth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77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ortion 75, the fourth rear side wall 73, the fourth in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78, the fourth left side wall 74 and the fourth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77, (70) is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from the fourth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78) toward the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76).

또한, 통상 국을 담는 후우수용홈부(5)도 후우수용바닥면(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부터 제2전측벽(51), 제2측모서리연결부(55), 제2우외벽(52), 제2외모서리연결부(56), 제2후외벽(53), 제2후모서리연결부(57), 제2좌측벽(54), 제2내모서리연결부(58)가 일체로 구비되어 형성되며, 후우수용바닥면(50)은 제2내모서리연결부(58)로부터 제2외모서리연결부(56)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한다.The hoist receiving groove portion 5 for holding the normal station also has a second front wall 51, a secon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5, a second right outer wall 52, A second rear outer wall 53, a second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57, a second left side wall 54 and a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the second rear outer wall 53, The hoist receiving bottom surface 50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toward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이러한 경사 형성으로 인해, 도면과 같이 중심으로부터 사방 모서리를 향하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수용된 음식물들이 치우치며 모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유체의 경우 그 효과가 분명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 내모서리연결부(48,58,68,78)의 하단부 높이(깊이)보다, 각 외모서리연결부(46,56,66,76)의 하단부 높이(깊이)가 하측에 있어 위치에너지 차이가 있도록 하여야 한다.Due to this inclination, the food co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rom the center toward the four corners as shown in the figure can be gathered in a deflected manner, and the effect becomes clea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fluid. To this end, the height (depth) of the lower end of each outer frost joint 46, 56, 66, 76 is lower than the height (depth) of the lower end of each inner joint 48, 58, 68, .

이러한 외모서리연결부(46,56,66,76)의 하단이 몸체(1)의 중앙부분 저면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몸체(1)는 각 모서리 부분만이 식탁에 접촉되고 안쪽은 다소 떠있게 된다. When the lower ends of the outer frost joints 46, 56, 66, 76 are positioned below the central portion bottom portion of the body 1, only the corner portions of the body 1 are contacted to the table, .

종래에는 일체화 판형 몸체(1)의 후좌수용홈부(4), 후우수용홈부(5), 전좌수용홈부(6) 및 전우수용홈부(7)의 하측 저면이 식탁과 전체적인 면접촉을 하는 방식이었는데, 잦은 사용, 운반, 온도변화, 외부 충격 등의 이유로 몸체(1)가 전반적으로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경우에는 일부 면은 접촉되고 일부 면은 상대적으로 떠오르게 되는 형태가 된다. 변형되거나 떠오르는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최악의 경우 오뚜기나 시소처럼 몸체(1)가 수저를 접촉시킬 때마다 과도하게 흔들거리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 lower bottom surfaces of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4,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5, the translating receiving groove portion 6, and the female receiving recess portion 7 of the integrated plate-shaped body 1 are in total surface contact with the table. When the body 1 is twisted or deformed as a whole due to frequent use, transportation, temperature change, external shock, etc., some surfaces are in contact and some surfaces are relatively floating. In the worst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ody 1 was excessively shaken each time it contacted the spoon, such as a crosswind or a seesaw.

그런데 본 고안처럼 저면의 가장 먼 코너측의 모서리들 위주로 4군데의 외모서리연결부(46,56,66,76)의 하단부분 위주로 식탁을 국부적으로 지지하게 되면, 몸체(1)가 다소 변형되더라도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적어도 3개의 모서리는 항상 식탁에 접촉하며 기존의 1/2 면적의 기저면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흔들거림은 있더라도 최악의 폭으로 불규칙하게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the table is locally supported around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our outer frost joints 46, 56, 66, and 76 around the corners at the farthest corners of the bottom a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ody 1 is somewhat deformed, At least three distantly located corners always touch the table and maintain the original 1/2 area of the ba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irregular wobbling in the worst case even if there is a certain level of wobbling.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국이 수용되는 후우수용홈부(5)만 후우수용바닥면(50)이 경사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후우수용홈부(5)의 제2외모서리연결부(56) 높이(깊이)와 다른 후좌수용홈부(4), 전좌수용홈부(5), 전우수용홈부(7)의 후좌, 전좌, 전우수용바닥면(40,60,70)의 수평한 저면 높이(깊이)를 일치시키도록 한다.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of the hoist receiving groove portion 5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hoist receiving groove portion 5 in which the station is accommodated is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th) of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4,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5, the rear seat of the rear arm receiving recess portion 7, the translator, and the bottom surfaces 40, 60, .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저면을 후측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4전외벽(61,71),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4우외벽(52,72),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2후외벽(43,53),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3좌외벽(44,64)의 외측은 상방으로 경사지며 벌어지게 형성되고 있고, 그 외측에는 간격유지돌기(1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Referring to FIG. 5, the third and fourth front outer walls 61 and 71 in the front edge direction, the second and fourth right and left outer walls 52 and 72 in the right edge direction, The outer walls 43 and 53 and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third left outer walls 44 and 64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frame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nd open on the outer side and the space retaining protrusions 10 are protruded .

동일한 몸체(1)를 다수 포개는 경우 몸체들끼리 상호 밀착되면, 사이사이로 세척수나 헹굼수가 유입되기도 힘들게 된다. 또한 내측에 물기가 있는 상태로 포개어 쌓여 있는 경우, 압착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으로 떼어 내기가 힘들다는 문제는 물론 물기가 잘 건조되지 않아 물기가 남아 있는 트레이를 사용함에 따른 불쾌감을 줄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same bodies 1 are overlaid, when the bodi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difficult for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e water to flow into the space. In addition, when the inner side is piled up with water,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user's hand due to the pressing force, and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due to the use of the tray with the water being not dried well.

간격유지돌기(10)는 외벽들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사이를 벌리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세척수, 헹굼수, 외기의 유입이 쉽도록 하고, 사용자가 그로 인한 틈에 손가락이나 손톱을 쉽게 넣어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간격유지돌기(10)의 돌출되는 배면측(외벽의 내부측)이 내입되지 않으며, 내부가 채워져 배면측으로는 간격유지돌기(10)가 확인되지 않는 평평한 면상태여야 한다.Since the gap holding protrusions 10 serve to sprea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s without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water, the rinsing water, and the outside air are easily introduced, and the user easily inserts fingers or nails into the gap It is the role that can be raised. The projecting back side (the inn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gap retaining projection 10 should be in a flat surface state in which the inner side is filled and the gap retaining projection 10 is not recognized on the back side.

이 때 간격유지돌기(10)를 테두리돌출부(2)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할 수도 있겠으나 사용자가 테두리돌출부(2) 부분을 손으로 쥘 때 자칫 간격유지돌기(10)가 손에 닿게 되어 이물감이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손이 닿지 않는 외벽측 경사 부분에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저면 부분에 받침돌기(20)를 더 구비하여, 간격유지 효과를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p retaining protrusion 10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protrusion 2, but when the user grips the rim protrusion 2 by hand, the gap retaining protrusion 10 is in contact with the hand There is a problem of inducing a foreign body sensation or pain, so that it is formed on an inclined portion on the outer wall side where the hand can not reach. Further, the support projection 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so as to achieve the gap maintaining effect.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이의 국을 담는 후우수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후우수용부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체인 국을 수용하는 후우수용부(5)는 경사면이 형성이 다른 수용부과 비교하여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trailing portion of the tr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Referring to FIGS. 6 and 7, it is to be noted that,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portion 5 accommodating the fluid station will be essential as compar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따라서 도 7의 (a)와 같이, 내모서리연결부(58)의 하단 위치가 가장 높고, 제2측모서리연결부(55)와 제2후모서리연결부(57)의 하단 위치가 중간이고, 제2외모서리연결부(56)의 하단 위치가 가장 낮도록 하여, 일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a),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58 is the highest and the lower end positions of the secon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55 and the second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57 are midd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rost connection portion 56 is the lowest, thereby forming a straight inclined face.

그런데 필요에 따라, 내지는 사용처에 따라 이 공간에 국그릇과 같은 평면 저면을 갖는 용기를 배치해야 할 수가 있다. 만약 도 7의 (a)와 같은 경사형 후우수용바닥면(50)에 평면 저면의 국그릇이 안착되면 국그릇은 제2외모서리연결부(56)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될 수밖에 없다.However, depending on the necessity or necessity, it may be necessary to dispose a container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such as a soup bowl in this space. 7 (a), if the bowl of the flat bottom is seated on the inclined bottom receiving surface 50, the soup bowl must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따라서 필요에 따라 그릇을 수평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일부는 수평한 평면지지부(501)를 구비하고, 모서리측 단부에만 경사진 경사하강부(502)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릇의 평면 저면의 50% 이상이 평면지지부(501)에 놓이게 되면 그릇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채택되는 그릇의 중심이 후우수용바닥면(50)의 가로, 세로 중심에 위치하더라도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려면, 평면지지부(501)가 후우수용바닥면(50)의 가로, 세로 중심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평면지지부(501)는 제2측모서리연결부(55)의 하단 및 제2후모서리연결부(57)의 하단을 연결한 지점보다 더 제2외모서리연결부(56) 까지 연장되어 있어야 하며, 적어도 상기 지점과 동일선상까지는 포함되어야 50%의 안착율을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에 평면지지부(501)가 끝나고 경사하강부(502)가 시작되는 절곡 형태의 경계인 경계부(503)는 제2측모서리연결부(55)의 하단 및 제2후모서리연결부(57)의 하단을 연결한 지점보다 더 제2외모서리연결부(56) 방향에서 형성되어 있거나, 적어도 같은 지점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상측에서 보면 평면지지부(501)의 평면 면적이, 경사하강부(502)의 평면 투영 면적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같도록 하여야 한다. 물론 그릇의 지름이 작아 경사하강부(502)의 면적이 작더라도 그 내측으로 빠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으나, 통상 사용되는 국그릇 크기가 후우수용바닥면(50)의 세로 길이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점을 본다면, 위와 같은 조건에서 충분히 안정감을 가지며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horizontal flat support portion 501 and to have a sloping descending portion 502 inclined only at the edge side end portion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placed horizontally as needed. When more than 50% of the flat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is placed on the flat support portion 501, the container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tilting to one side. In ord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even when the center of the vessel to be adopted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of the hoist receiving floor 50, the flat supporting portion 501 is extend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enter positions of the rear receiving floor 50 . The flat support portion 501 must extend to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on portion 56 more than the point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on portion 55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on portion 57 are connected, It should be included to the same line as the point so that it can show a seating rate of 50%. The boundary portion 503 which is a folded boundary where the flat support portion 501 ends and the inclined descending portion 502 starts is formed b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55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57 Or at least at the same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than the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56.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surface area of the flat support portion 501 is larger than the flat projected area of the slant descending portion 502 and should be at least equal. Although the diameter of the bowl may be small and the area of the inclined lower part 502 may be small, the bowl may be pulled inward.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soup bowl used is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bottom wall 50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sufficient stability under the above conditions.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몸체 2: 테두리돌출부
3: 단차부 4: 후좌수용홈부
5: 후우수용홈부 6: 전좌수용홈부
7: 전우수용홈부 8: 중간홈부
10: 간격유지돌기 20: 받침돌기
40,50,60,70: 후좌, 후우, 전좌, 전우수용바닥면
41,51: 제1,2전측벽 63,73: 제3,4후측벽
54,74: 제2,4좌측벽 42,62: 제1,3우측벽
61,71: 제3,4전외벽 43,53: 제1,2후외벽
44,64: 제1,3좌외벽 52,72: 제2,4우외벽
45,55,65,75: 제1,2,3,4측모서리연결부
46,56,66,76: 제1,2,3,4외모서리연결부
47,57: 제1,2후모서리연결부 67,77: 제3,4전모서리연결부
48,58,68,78: 제1,2,3,4내모서리연결부
100: 가로분리돌출부 200: 장형세로분리돌출부
300: 단형세로분리돌출부 501: 평면지지부
502: 경사하강부 503: 경계부
1: body 2: rim protrusion
3: step 4:
5: a housing accommodating groove 6: a translucent housing groove
7: female housing receiving groove 8: intermediate groove
10: spacing retaining projection 20: retaining projection
40, 50, 60, 70: rear seat, rear seat, translator,
41, 51: first and second side walls 63, 73:
54, 74: second and fourth left side walls 42, 62: first and third right side walls
61,71: the third and fourth outer walls 43, 53: the first and second outer walls
44, 64: first and third left outer walls 52, 72: second and fourth right outer walls
45, 55, 65, 75: first, second,
46, 56, 66, 76: 1st, 2nd,
47,57: first and second rear edge connection portions 67,77: third and fourth front edge connection portions
48, 58, 68, 78: 1st,
100: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200: elongated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300: Singl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501: Flat support
502: slope descending part 503:

Claims (6)

몸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판형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후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테두리돌출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의 중간보다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가로분리돌출부;
상기 몸체에 상기 가로분리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장형세로분리돌출부;
상기 몸체에 상기 가로분리돌출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는 단형세로분리돌출부;
상기 가로분리돌출부와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에 의해 좌우로 구분 형성되는 후좌수용홈부 및 후우수용홈부; 및
상기 가로분리돌출부와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에 의해 좌우로 구분 형성되는 전좌수용홈부 및 전우수용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 및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테두리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아 단차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후좌수용홈부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1전측벽;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좌외벽;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1후외벽;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1우측벽; 및 벽들 사이의 후좌수용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측벽과 상기 제1좌외벽의 사이는 제1측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좌외벽과 상기 제1후외벽의 사이는 제1외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후외벽과 상기 제1우측벽의 사이는 제1후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우측벽과 상기 제1전측벽의 사이는 제1내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1측모서리연결부, 상기 제1후모서리연결부 및 제1내모서리연결부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후좌수용바닥면이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고,
상기 후우수용홈부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2전측벽;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우외벽; 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2후외벽; 상기 장형세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2좌측벽; 및 벽들 사이의 후우수용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측벽과 상기 제2우외벽의 사이는 제2측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우외벽과 상기 제2후외벽의 사이는 제2외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후외벽과 상기 제2좌측벽의 사이는 제2후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좌측벽과 상기 제2전측벽의 사이는 제2내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2측모서리연결부, 상기 제2후모서리연결부 및 제2내모서리연결부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후우수용바닥면이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고,
상기 전좌수용홈부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3후측벽; 좌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좌외벽;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3전외벽;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3우측벽; 및 벽들 사이의 전좌수용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후측벽과 상기 제3좌외벽의 사이는 제3측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3좌외벽과 상기 제3전외벽의 사이는 제3외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전외벽과 상기 제3우측벽의 사이는 제3전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3우측벽과 상기 제3후측벽의 사이는 제3내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3측모서리연결부, 상기 제3전모서리연결부 및 제3내모서리연결부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전좌수용바닥면이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고,
상기 전우수용홈부는:
상기 가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4후측벽; 우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4우외벽; 전측 테두리부 방향의 제4전외벽; 상기 단형세로분리돌출부 방향의 제4좌측벽; 및 벽들 사이의 전우수용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후측벽과 상기 제4우외벽의 사이는 제4측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4우외벽과 상기 제4전외벽의 사이는 제4외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전외벽과 상기 제4좌측벽의 사이는 제4전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4좌측벽과 상기 제4후측벽의 사이는 제4내모서리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제4측모서리연결부, 상기 제4전모서리연결부 및 제4내모서리연결부 하단 위치보다 깊고 상기 전우수용바닥면이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 형성되어,
상기 후좌수용바닥면, 상기 후우수용바닥면, 상기 전좌수용바닥면, 상기 전우수용바닥면이 각각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 및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로 형성되는 동시에, 단면상 일자형의 경사면이 되도록 하고,
상기 후좌수용홈부의 상기 제1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 상기 후우수용홈부의 상기 제2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 상기 전좌수용홈부의 상기 제3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 및 상기 전우수용홈부의 상기 제4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이 하방으로 가장 낮게 위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외모서리연결부의 저면이 외부에 접촉 및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판형 트레이.
1. A plate-like tray for accommodating food in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in a body,
A rim protrusion formed on front, rear, right and left rims of the body;
A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forward from the middle of the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ransversely to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body;
An elongated vertical separa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body rearward from the transverse separation projection;
A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body in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A rear receiving groove portion and a rear receiving groove portion that are formed laterally by the lateral separating projection and the elongated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And
And a translucent housing groove portion and a female housing accommodating groove portion that are divided laterally by the horizontal separation projection and the short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separating projection, the long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and the vertical separating projec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dge projection, and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step,
The rear seat receiving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front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A first left outer wall in the left frame direction; A first rear outer wall in the rear side direction; A first right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e longitudinal separation projection; And a rear receiving flo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outer walls, wherein the first front wall and the first left outer wall are connected by a first side edg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left outer wall and the first rear outer wall Wherein the first rear wall and the first front wall are connected to a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rear outer wall and the first right wall are connected to a first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between the first right wall and the first front wall, Wherein a lower end position of the first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is deeper than a lower end position of the first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rear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Direction,
Wherein:
A second front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A second right outer wall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A second rear outer wall in the rear frame direction; A second left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elongate longitudinal separation projection; And between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outer wall, wherein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outer wall are connected by a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rear wall is connected to a second rear edge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rear outer wall and the second left side wall are connected to a second rear corner connection portion, and between the second left side wall and the second front wall,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secon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rear edg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bottom receiving bottom surfa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Direction,
Wherein the translucent receiving groove portion comprises:
A third rear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A third left outer wall in the left frame direction; A third front outer wall in the front edge direction; A third right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And a rear side receiving wall between the third rear side wall and the third left outer wall is connected by a third side edge connecting portion, and between the third left outer wall and the third front outer wall, And the third front wall and the third rear wall are connected by a third front edge connection, and a third inner corner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right side wall and the third rear wall,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third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the third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third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bottom face of the third outer corner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Direction,
Wherein the female housing accommodation portion comprises:
A fourth rear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lateral separation projection; A fourth right outer wall in the right frame direction; A fourth front outer wall in the front edge direction; A fourth left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vertical separation projection; Wherein the first rear outer wall and the fourth rear outer wall are connected by a fourth side edg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ourth rear outer side wall and the fourth outer side wall, And the fourth outer wall and the fourth left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ourth front edge connection portion, and between the fourth left wall and the fourth rear wall is connected to the fourth inner edge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is deeper tha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fourth side corner connecting portion, the fourth front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fourth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bottom face of the fourth inner corner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Direction,
Wherein the rear receiving bottom face, the rear receiving bottom face, the translator receiving bottom face, and the blade receiving bottom fac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sheath connecting portion, the second outer sheath connecting portion, the third outer sheath connecting portion, And is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ost connection portion,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housing receiving groove portion,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housing receiving groove portion, and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housing receiving groov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downward, so that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outer frost connecting portions contact and are supported by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4423U 2018-09-21 2018-09-21 Tray for food KR2004882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23U KR200488277Y1 (en) 2018-09-21 2018-09-21 Tray for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23U KR200488277Y1 (en) 2018-09-21 2018-09-21 Tray for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77Y1 true KR200488277Y1 (en) 2019-01-07

Family

ID=6501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23U KR200488277Y1 (en) 2018-09-21 2018-09-21 Tray for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7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37A (en) * 2020-10-29 2022-05-09 전운하 Tr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90Y1 (en) * 1983-08-05 1985-11-25 동아합성공업 주식회사 Tableware
KR20010000140U (en) * 1999-06-03 2001-01-05 박영철 A meal tray
KR20170002642U (en)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이씨엠디 Multi functional food p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90Y1 (en) * 1983-08-05 1985-11-25 동아합성공업 주식회사 Tableware
KR20010000140U (en) * 1999-06-03 2001-01-05 박영철 A meal tray
KR20170002642U (en)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이씨엠디 Multi functional food pla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37A (en) * 2020-10-29 2022-05-09 전운하 Tray
KR102419317B1 (en) * 2020-10-29 2022-07-08 전운하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558B2 (en) Removable tray insert and tray set
JP2006503643A (en) Ergonomically improved disposable dish
USD962713S1 (en) Four receptacle tray with platform
KR200488277Y1 (en) Tray for food
US20070119744A1 (en) Handle for cookware
KR101152940B1 (en) safty tray for food
KR20090012973U (en) Plate
JP5496724B2 (en) Bag packaging container
CN216932622U (en) Positive and negative dinner plate
KR102569777B1 (en) A Bowl with a Spoon and Chopsticks Groove
KR20240042908A (en) A tableware storage tray
KR20210094313A (en) Eco friendly bio based plate
CN1951266A (en) A ladle capable of sieving food from soup
JP3709392B2 (en) Folding container
CN218219812U (en) Melamine tableware for children
CN212394863U (en) Tableware basket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CN210748521U (en) Double-sided disc
JP5078292B2 (en) Stable self-help tableware
CN205568457U (en) Chair for children
CN217533657U (en) Two-sided cake container
US10028590B2 (en) Couch cot cover
KR102544100B1 (en) Food tray for blind people
CN217659758U (en) Integrated chopstick cage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CN206499298U (en) A kind of 3D tableware tray
CN218127941U (en) Servic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