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40B1 - safty tray for food - Google Patents
safty tray for fo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2940B1 KR101152940B1 KR1020100075801A KR20100075801A KR101152940B1 KR 101152940 B1 KR101152940 B1 KR 101152940B1 KR 1020100075801 A KR1020100075801 A KR 1020100075801A KR 20100075801 A KR20100075801 A KR 20100075801A KR 101152940 B1 KR101152940 B1 KR 1011529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p
- food
- plate
- receiving groov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에 수용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넘쳐흘러 다른 음식 수용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국물 받이홈에 의해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전 식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판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국물 받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plate that prevents water or broth from spill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overflow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as well as facilitating transport by the soup receiving groove. It i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body forming the plate, th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the soup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에 수용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넘쳐흘러 다른 음식 수용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국물 받이홈에 의해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전 식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plate that prevents water or broth from spill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overflow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as well as facilitating transport by the soup receiving groov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다수가 급식을 제공받는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판은 도 1의 (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식판으로 밥(1)과 반찬(3,4,5)을 담는 부분은 수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남기지 않고 섭취가 가능하나, 국담는 부분(2)은 바닥부위 구조가 평평한 관계로 국물과 건더기가 남게 되므로, 잔량의 음식물을 모두 섭취하고자 할 경우 수저와 식기 바닥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크며, 바닥부분이 평평하여 국물의 경우 남기지 않고 섭취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plate that is used in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meals are provided is an existing plate as shown in (a) and (b) of FIG. 1 and the portion containing rice (1) and side dishes (3, 4, 5) is cutlery. It can be consumed without leaving food, but the part of the soup is flat because the bottom part has a flat structure so that the soup and the dryness remain, so if you want to eat all the remaining foo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utlery and the bottom of the tableware. The noise was high, and the bottom part was flat, so that the soup was difficult to eat without leav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단체에서는 국 담는 부분에 이중으로 일반 국그릇을 올려서 사용하고 있지만, 식기 비용이 더 소요되며, 세척양이 많아짐으로써 세제와 물의 낭비는 물론, 배식하여 운반하기도 불편하고, 세척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국담는 부분에 있는 잔량의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식기를 기울일 경우에는 국물이 흘러 내려 옷을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ome groups use double soup bowls on the soup, but the tableware costs more, and the amount of washing increases, so it is inconvenient to dispose of detergents and water, and to dispose of them. The problem occurs such as a long time, and when the dish is inclined to ingest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in the part of the gut, the broth flows down and discards the clothes.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 신안 제20-0176809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바닥부위가 평평한 기존 단체급식용기의 국담는 부분의 바닥 중앙부위에 약 10mm정도 높이를 주어 볼록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u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76809, as shown in Fig. 2, was developed, an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bottom part of the existing part of the existing group food container with a flat bottom par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height of about 10mm to convex.
그러나, 등록실용 신안 제20-0176809호에 기재된 기술은 국담는 부분의 바닥 중앙부를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로 국물이 모이도록 하여 바닥에 남은 국물을 어느 정도까지는 남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여전히 음식물을 배굽대에서 받아서 식탁으로 이동할 때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가 식판의 다른 음식 수용부로 흘러 넘쳐 혼합됨으로써 음식이 본연의 맛을 일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ique described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76809 has the advantage of forming a convex bottom part of the gut, so that the soup is collected at the edge so that the soup remaining on the floor can be stably eaten without leaving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when the food is received from the hungry table and moved to the table, the water contained in the soup or food flows 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of the plate overflow and mixed, causing the food to cause its original taste.
또한, 뜨거운 밥과 국물을 담을 경우 식판도 뜨거워져 식판을 잡은 손에 까지 열기가 전달되어 식판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t rice and soup to put the plate is hot, the heat is delivered to the hand holding th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te is not easy to transpor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판에 형성된 음식 수용부의 상단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수용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plate to prevent the drainage of the food received, the soup overflows by forming a step on the upper end of th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plate.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판의 가장자리에 국물 받이홈을 형성함으로써 음식 수용부에서 흘러넘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뜨거운 밥이나 국물을 담았을 경우 밥과 국물을 수용하는 부분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함으로써 뜨거운 열기의 전달을 줄여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안전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oup gutter groove on the edge of the plate to prevent the water spilled from the food receiving portion or the soup to overflow to the floor, as well as to the hot rice or soup when the rice and soup It is to provide a safety plate that can be transported more stably by reducing hot heat transmission by being separated from the soup receiving part by a certain distan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식판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국물 받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forming the plate, th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oup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여기서,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주연부에는 제1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tep is form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food container.
그리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 중 국수용부는 바닥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noodle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한편, 상기 국물 받이홈에는 제2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oth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ep is formed.
이때, 상기 제2단턱은 2 ~ 4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to four are formed.
또한, 상기 국물 받이홈은 바닥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oup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식판에 형성된 음식 수용부의 상단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수용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by forming a step on the upper end of th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plat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ter and the soup from overflowing the accommodated foo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판의 가장자리에 국물 받이홈을 형성함으로써 음식 수용부에서 흘러넘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바닥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뜨거운 밥이나 국물을 담았을 경우 밥과 국물을 수용하는 부분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함으로써 뜨거운 열기의 전달 속도와 전달량을 줄여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oup gutter groove on the edge of the plate to prevent the water spilled from the food receiving portion or the soup to overflow to the floor, as well as to the hot rice or soup when the rice and soup By separating the broth from a certain distance and reducing the rate and amount of heat transf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ransported more safely.
도 1의 (가)는 종래의 식판의 평면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2의 (가)는 종래의 개선된 식판의 평면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다른 실시예로 국물 받이홈에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국물 받이홈이 단차지게 형성된 단면도이다.1 (a)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late, (b) is a side view.
2 (a)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improved plate, (b) is a side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pped groove in the soup receiving groov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tt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다른 실시예로 국물 받이홈에 단턱이 형성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식판의 또 다른 실시예로 국물 받이홈이 단차지게 형성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p plate formed in the soup gutter gro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p receiving groov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안전 식판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식판을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110)와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국물 받이홈(13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configuration is the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몸체(100)에는 음식물 수용부(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는 가장 기본적인 밥을 수용할 수 있는 밥 수용부(112)와 국을 수용할 수있는 국 수용부(114) 그리고 반찬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반찬 수용부(11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식판을 배식대에서 식탁으로 운반할 때, 흔들리게 되면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넘쳐 흘러 밥이나 다른 반찬에 섞이게 되어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게 되고, 또한 바닥으로 흐르거나 사용자의 옷에 묻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e is moved from the serving table to the table, when shak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soup or food overflows and mixes with the rice or other side dishes, which reduces the taste of the food and also flows to the floor or to the user's clothes. It often happens.
이때, 상기 국물 받이홈(130)은 상기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4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국물 받이홈(130)은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흘러 넘치더라도 상기 국물 받이홈(130)에 고이게 되어 바닥으로 흘러넘치거나 사용자의 옷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us,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oup or food overflows in the
그리고, 상기 국물 받이홈(130)은 수저를 놓거나, 요구르트, 바나나 같은 후식을 놓으면 식판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음식 수용부(110)에 뜨거운 밥과 국을 담더라도 국물 받이홈(130)까지는 뜨거운 열기가 모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국물 받이홈(130)을 잡고 식판을 운반하게 되면 사용자가 뜨거움을 덜 느끼게 되어 안전하게 식판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you put hot rice and soup in the
그리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의 상단에는 제1단턱(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단턱(120)은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식판을 운반할 때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쉽게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흘러넘치더라도 밥수용부(112), 국수용부(114) 및 반찬수용부(116)에 형성된 제1단턱(120)에 의해 국물이 국물 받이홈(130)으로 흐르게 통로를 형성하여 밥이나 다른 반찬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음식의 맛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일반적인 식판의 국을 담는 부분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는데, 이렇게 평평하게 바닥이 형성되게 되면 국을 다 먹기 위해 식판을 기울이면 음식물이 식탁이나 바닥으로 흘러 넘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portion that contains the soup plate of the general plate is formed flat, so when the floor is formed flat, the food is spilled on the table or the floor when the plate is tilted to eat the soup.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식물 수용부(110) 중에서 국을 수용하는 국 수용부(114)의 바닥면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부(114a)를 형성함으로써 국이 식판의 낮은 쪽으로 모이게 되어 국물을 남기지 않고 먹을 수 있게 된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114a) inclined to form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에는 제2단턱(1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단턱(140)은 국물 받이홈(130)의 모서리 부분의 바닥면에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그래서, 음식 수용부(110)에 수용된 국이나 음식물의 수분이 흘러 넘쳐 국물 받이홈(130)에 고이게 될 경우, 상기 국물 받이홈(130)에 형성된 제2단턱(140)을 경계로 흘러 넘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o, when the water in the soup or food accommodated in the
한편, 식판에 음식을 배식받을 때는 수저도 같이 공급받게 되는데, 일반 적인 식판에는 수저를 수용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손에 수저를 들고 식판을 운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몸체(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에 수저를 보관하고 식판을 운반함으로써 식판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보다 용이하게 식판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od is fed to the plate is also supplied with a cutlery, the general plate is not formed to accommodate the cutlery is carried to the plate holding the cutlery in the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of the
또한, 식판의 운반중에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흘러 넘치더라도 국물 받이홈(130)에 형성된 제2단턱(140)에 의하여 국물 받이홈(130)에 흘러넘친 국물이나 음식물의 수분이 제2단턱(140)을 넘어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저에 국물이나 음식물의 수분이 묻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어 수저 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oup or food during the transport of the plate overflows the moisture of the soup or food spilled into the
이때, 상기 제2단턱(140)은 2개소에 형성하여 국물 받이홈(130)을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거나, 제2단턱(140)을 4개의 개소에 형성하여 국물 받이홈(130)을 4개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흘러내린 국물이 국물 받이홈(130) 전체를 더럽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국물 받이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국물 받이홈(130)은 위치에 따라 바닥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좌측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의 바닥면은 깊게 형성하고, 몸체(100)의 우측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의 바닥면은 얕게 형성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뭄체(100)의 전부와 후부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의 바닥면은 몸체(100)의 좌측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의 바닥 깊이와 몸체(100)의 우측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의 깊이의 중간 정도 깊이로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래서, 식판을 운반할 때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흘러 넘쳐 국물 받이홈(130)에 고이게 될 경우, 상기 국물 받이홈(130)에 고인 국물은 바닥면이 깊게 형성된 몸체(100)의 좌측에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 부분으로 흐르게 하여 한쪽으로 모이게 한다.So, when the plate is transported whe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oup or food overflows and accumulates in the
여기서, 식판을 사용하여 배식을 받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수저를 같이 받게 되는데, 이때 수저를 국물 받이홈(130)의 바닥면이 얕게 형성된 부분에 올려두게 되면 국물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 흘러 넘치더라도 바닥이 깊게 형성된 국물 받이홈(130)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수저에 국물이나 음식물의 수분이 묻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Here, when receiving food using a plate, as described above to receive a cutlery, when the cutlery is placed on the shallow bottom portion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hich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안전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판에 수용된 음식물의 물기나 국물이 넘쳐흘러 다른 음식 수용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국물 받이홈에 의해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전 식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plate that prevents water or broth from spill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overflowing into the other food receiving portion, as well as facilitating transport by the soup receiving groove. It is about.
100 : 몸체 110 : 음식물 수용부
112 : 밥 수용부 114 : 국 수용부
116 : 반찬 수용부 120 : 제1단턱
130 : 국물 받이홈 140 : 제2단턱100: body 110: food container
112: rice receiving unit 114: soup receiving unit
116: side dish receiving unit 120: first step
130: soup receiving groove 140: the second step
Claims (6)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국물 받이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국물 받이홈에는 제2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식판.
The body forming the plat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Being made of soup gutter groov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The soup plate groove safet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ep is formed.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단 주연부에는 제1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식판.
The method of claim 1,
Safet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tep is form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food container.
상기 음식물 수용부 중 국수용부는 바닥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식판.
The method of claim 1,
Safety food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ood receiving portion.
상기 제2단턱은 2 ~ 4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식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is a safet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wo to four.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국물 받이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국물 받이홈은 몸체의 전부,후부,좌측,우측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바닥부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식판.
The body forming the plate,
Food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Being made of soup gutter groov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The soup receiving groove is a safety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hole, rear, left, right of the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801A KR101152940B1 (en) | 2010-08-06 | 2010-08-06 | safty tray for fo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801A KR101152940B1 (en) | 2010-08-06 | 2010-08-06 | safty tray for fo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673A KR20120013673A (en) | 2012-02-15 |
KR101152940B1 true KR101152940B1 (en) | 2012-06-08 |
Family
ID=4583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801A KR101152940B1 (en) | 2010-08-06 | 2010-08-06 | safty tray for fo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29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7337A (en) | 2020-10-29 | 2022-05-09 | 전운하 | Tra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07576A (en) * | 2014-09-26 | 2014-12-17 | 无锡优萌模塑制造有限公司 | Plate inserting type dinner plate |
KR200485099Y1 (en) | 2016-04-12 | 2017-11-28 | 주식회사 아이엔피 | Food tray container |
KR102083457B1 (en) * | 2019-07-08 | 2020-03-02 | 진용상 | A tray for food |
KR102340336B1 (en) * | 2020-04-29 | 2021-12-16 | 김지유 | Food tray for overflow prevention of soup |
-
2010
- 2010-08-06 KR KR1020100075801A patent/KR10115294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7337A (en) | 2020-10-29 | 2022-05-09 | 전운하 | Tr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3673A (en) | 2012-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2940B1 (en) | safty tray for food | |
CN101229010B (en) | Dish rack with adjustable spout and removable drip tray | |
US8690133B1 (en) | Perforated cutting board and tray | |
US20150284937A1 (en) | Dish and sink protector | |
CN206381154U (en) | A shelf and a dishwasher equipped with the shelf | |
BR112016015527B1 (en) | KITCHEN UTILITIES ARTICLE WITH A SUPPORT STRUCTURE AND FLUID IMMERSION METHOD | |
KR101483671B1 (en) | a chopping board | |
KR20150002676U (en) | dish drying rack | |
KR20090012973U (en) | Plate | |
CN205513804U (en) | Dishware for children | |
KR200488277Y1 (en) | Tray for food | |
KR101344844B1 (en) | Tableware for toddler | |
KR101408558B1 (en) | Tableware guide finger for tableware washer | |
CN207384154U (en) | A kind of chopping block external member | |
CN206342382U (en) | A kind of Combined chopping block | |
KR20100099966A (en) | A dish | |
CN217161883U (en) | Multifunctional chopping board | |
KR20110005353U (en) | Kitchen cutting board | |
JPH11216055A (en) | Plate | |
KR20160084274A (en) | Lid of Kitchen Containers Reducing Dirts | |
KR101704339B1 (en) | Sweeping bar for food tray | |
JP3031655U (en) | Curry plate | |
CN207285787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service plate component | |
JPH083315Y2 (en) | Eating device | |
CN204071499U (en) | A kind of novel children service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