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973U - Plate - Google Patents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973U
KR20090012973U KR2020080008001U KR20080008001U KR20090012973U KR 20090012973 U KR20090012973 U KR 20090012973U KR 2020080008001 U KR2020080008001 U KR 2020080008001U KR 20080008001 U KR20080008001 U KR 20080008001U KR 20090012973 U KR20090012973 U KR 200900129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late
plate body
groove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제헌
Original Assignee
한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제헌 filed Critical 한제헌
Priority to KR2020080008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973U/en
Publication of KR20090012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97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25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attachable to a plate, table,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식판 몸체와; 식판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되며, 음식을 담는 복수의 음식 수용홈;을 포함하며, 복수의 음식 수용홈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상면을 연결하며,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면을 갖는 측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이 개시된다.Plate body; A plurality of food accommodat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and containing foo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 accommodating grooves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plat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from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late portion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to be curved inward; has a plan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유아, 식판, 밥, 국물, 컵 홀더 Toddler, plate, rice, broth, cup holder

Description

식판{..}Plates {..}

본 고안은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식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that is convenient for children to use.

일반적으로 식판은 급식을 주로 하는 대규모 식당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식판은 통상, 국을 담는 국 수용홈과, 밥을 담는 밥 수용홈과, 반찬들을 담는 복수의 반찬 수용홈을 가진다. 상기 여러 종류의 홈들은 식판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홈의 바닥과 식판의 상면 사이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general, the plate is widely used in large restaurants, such as the main food, it is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Such a conventional plate usually has a soup receiving groove containing a soup, a rice receiving groove containing a rice, and a plurality of side dish receiving grooves containing side dishes. The various types of grooves are formed to be drawn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is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bottom of each gro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또한, 성인용 식판 이외에도 유아들의 식생활을 돕고, 식사 시간을 즐겁게 하여 식사를 잘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식판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식판의 경우에도,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성인용 식판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유아용 식판의 경우에는 다양한 칼라로 예쁘게 디자인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dult plate, in order to help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to enjoy a meal time to eat well, a variety of infant plate is sold. In the case of such a baby plate, it is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and has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adult plat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ase of a baby plate in a variety of colors beautifully designed.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종류의 식판의 경우에는 밥, 국, 반찬들을 담는 여러홈들의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홈의 바닥에서 식판의 상면까지는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저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유아의 경우에는, 식판에 담은 밥이나 국 등을 제대로 퍼올리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은 손을 이용하여 밥을 먹게 되거나, 아니면 밥과 국을 숫가락에 담기 힘들어 식사를 유아 혼자서 하기 힘들게 되고, 따라서 보호자가 밥이나 국을 떠 먹여 주어여 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arious types of conventional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f the various grooves containing the rice, soup, side dishes are formed flat, and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an infant who does not use the cutlery properly, the rice or soup in a plate may not be spread properly. Therefore, infants eat rice by hand, or it is difficult to eat rice and soup in a spo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eat alone, the guardian has to feed the rice or soup is inconveni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late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be convenient for children to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판은, 식판 몸체와; 상기 식판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되며, 음식을 담는 복수의 음식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음식 수용홈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상면을 연결하며,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면을 갖는 측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late body; A plurality of food accommodating groove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and containing foo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 accommodating grooves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And a sidewall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from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to be curved inwardly.

여기서, 상기 만곡면은 식판 몸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측벽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urved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walls of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user using the plate body.

또한, 상기 음식 수용홈은, 상기 만곡면을 가지며, 밥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제1음식 수용홈과; 상기 제1음식 수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국물을 담을 수 있는 제2음식 수용홈; 및 상기 제1 및 제2음식 수용홈보다 사용자로부터 더 먼 위치에 마련되어 반찬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제3음식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food receiv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food receiving groove having the curved surface and provided to hold rice; A second food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food accommodation groove and capable of containing a soup; And a plurality of third food accommodation grooves provid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user than the first and second food accommodation grooves to hold the side dishes.

또한, 상기 제2음식 수용홈은 평평한 바닥면의 소정 부분에서 소정 깊이로 더 깊게 형성되어 소량 남은 국물을 모이도록 하는 국물 모임홈을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deeper to a predetermined depth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lat bottom surface has a broth gathering groove to collect a small amount of the remaining soup.

또한, 상기 국물 모임홈은, 좌우 방향으로의 폭이 전후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broth gathering groove may have a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arger than a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식판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컵을 쓰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컵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up holder for supporting the cup not to fall.

또한, 상기 컵 홀더는, 링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식판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has a ring shape, and one side of the cup holder may be rotatably fitted to the bear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본 고안의 식판에 의하면, 밥을 담는 제1음식 수용홈의 측벽부에 내측으로 만곡지게 만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유아들이 숫가락을 이용하여 밥을 퍼 올릴 때, 만곡면을 따라 올라가던 답이 숫가락으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가이드함으로써, 유아 혼자서도 쉽게 식사를 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urved surface to be curved inwardly o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first food receiving groove containing the rice, when the infants spread the rice using the spoon, the answer that went up along the curved surface By guiding them naturally to the spoon, you can easily eat your own meals.

또한, 국물을 담는 제2음식 수용홈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더 깊게 국물 모임홈을 형성함으로써, 소량 남은 국물이 모이도록 하여 숫가락으로 쉽게 떠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containing the broth has a merit that can be easily eaten into the spoon by forming a small broth gathering groove deeper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a small amount of the soup gathers.

또한, 식판 본체에 컵 홀더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컵을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되어, 유아들의 실수로 인하여 컵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cup holder rotatably on the plate bod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cup from falling due to the mistakes of infa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판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판은, 식판 몸체(10)와, 상기 식판 몸체(10)에 형성된 제1 및 제2음식 수용홈(11,12)과, 반찬과 같은 음식을 담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3음식 수용홈(13)과, 컵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식판 몸체(10)에 설치되는 컵 홀더(20)를 구비하다.1 and 2, th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body 10, the first and second food receiving grooves (11, 12) formed in the plate body 10, side dishes A plurality of third food receiving groove 13 is provided to contain food, such as, and a cup holder 20 is installed on the plate body 10 to mount the cup.

상기 식판 몸체(10)의 유아들에게 친근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동물 모양 또는 캐릭터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본 고안에서는 곰돌이 얼굴 모양을 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한 종류의 동물 및 캐리터 모양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판 몸체(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식판 몸체(1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손잡이(15)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15)는 미끄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접착제 등에 의해 식판 몸체(10)에 부착되거나, 또는 식판 몸체(10)에 로킹홀을 형성하고, 상기 로킹홀에 로킹결합되도록 손잡이(15)에 로킹돌기를 형성시켜서 소위 원터치 식으로 압입 결합시킬 수도 있다.Preferably, the plate body 10 may be formed in an animal shape or a character shape so as to be recognized intimately with the infant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ddy bear face shape,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kinds of animals and carier shapes are possible. The plate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resin material, including a plastic material. Handles 15 are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body 10. The handle 15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prevent slippage, etc., is attached to the plate body 10 by an adhesive or the like, or forming a locking hole in the plate body 10, the locking coupling to the locking hol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locking projection on the handle 15 so as to press-fit the so-called one-touch method.

상기 제1음식 수용홈(11)은 음식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밥을 담는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판 몸체(10)의 상면(10a)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된 바닥부(11a)와, 바닥부(11a)와 상기 상면(10a)을 연결하는 측벽부(11b)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11a)는 평평한 구조 즉, 상면(10a)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1b) 중에서 좌측 및 우측의 측벽부(11b)는 내측면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면(11c)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면(11c)은 유아가 숫가락(30)을 들고 제1음식 수용홈(11)의 바닥부(11a)에 담긴 밥을 퍼올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가락(30)의 수용부(31)의 테두리를 상기 바닥부(11a)로부터 만곡면(11c) 쪽으로 밀착시켜 이동시키면서 올리게 되면, 상기 만곡면(11c)의 상부쪽으로 밀려 올라간 밥(40)이 제1음식 수용홈(11)에서 이탈하지 않고 낙하하여 숫가락(30)의 수용부(31)에 담기게 된다. 따라서, 숫가락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유아의 경우라도, 도 3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숫가락(30)을 놓고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면, 밥을 쉽게 숫가락으로 퍼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이 식판을 사용하여 식사를 할 때, 밥이 식판 외부로 이탈하거나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면서, 유아들이 스스로 숫가락으로 밥을 용이하게 떠서 먹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st food receiving groove 11 is a portion containing rice, preferably in the food, as shown in Figure 2, the bottom portion 11a drawn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plate body 10 And a side wall portion 11b connecting the bottom portion 11a and the upper surface 10a. The bottom portion 11a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that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10a. The sidewall portions 11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wall portions 11b preferably have a curved surface 11c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inner side. The curved surface 11c is when the infant lifts the rice 30 and spreads the rice contained in the bottom portion 11a of the first food receiving groove 11, as shown in Figure 3, the spoon 30 When the edge of the receiving portion 31 of the c) is raised while mov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11c from the bottom portion 11a, the rice 40 pushed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surface 11c accommodates the first food. Falling without leaving the groove 11 is put in the receiving portion 31 of the spoon 30. Therefore, even if the infant does not use the spoon freely, if you put the spoon 30 in the state shown in the virtual line of Figure 3 and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t is possible to easily spread rice to the spoon. . Therefore, when infants eat using the plate, while the rice is restrained from leaving or outside the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fants can easily float the rice by yourself to eat.

또한, 상기 제2음식 수용홈(12)은 국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담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10a)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바닥부(12a)와, 상기 바닥부(12a)의 소정 위치에서 바닥부(12a)보다 낮은 위치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국물 모임홈(12b)과, 상기 바닥부(12a)와 상면(10a)을 연결하는 측벽부(11c)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12 is for holding food with soup, such as soup, at the bottom portion 12a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10a 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12a. It has a broth gathering groove 12b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ottom portion 12a, and a side wall portion 11c connecting the bottom portion 12a and the top surface 10a.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음식 수용홈(12)은 국물이 있는 음식을 담는 곳이다. 상기 바닥부(12a)는 대략 상기 제1음식 수용홈(11)의 넓이에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며, 상기 국물 모임홈(12b)은 바닥부(12a)의 대략 중심부분에 소정 넓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국물 모임홈(12b)은 상기 제1음식 수용홈(11)의 바닥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음식 수용홈(12)을 형성하게 되면, 바닥부(12a) 남은 소량의 국물이 상기 국물 모임홈(12b)에 모이게 되므로, 유아는 국 물 모임홈(12b)에 모인 국물을 숫가락으로 쉽게 떠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을 남기지 않고 모두 먹을 수 있다. 즉, 유아의 경우에는 성인과는 달리 식판을 기울이거나 하여 소량 남은 국물을 한쪽으로 모이게 하여 먹을 수 없기 때문에, 본 고안과 같이 바닥부(12a)의 중앙 부분에 국물 모임홈(12b)을 형성함으로써, 유아가 숫가락으로 소량 남은 국물까지도 쉽게 떠서 먹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국물 모임홈(12b)은 좌우 방향으로의 폭(d1)이 전후 방향으로의 폭(d2)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숫가락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국물 모임홈(12b)에 고인 국물을 보다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12 is a place for containing the food soup. The bottom portion 12a is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food receiving groove 11, and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2a. .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is formed to the same depth as the bottom of the first food receiving groove 11. Whe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1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a small amount of soup remaining in the bottom portion 12a is collected in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the infant collects the broth gathered in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It's easy to eat with water, so you can eat everything without leaving food. That is, in the case of infants, unlike adults, by tilting the plate or a small amount of the remaining soup can not be gathered to one side to eat, by forming a broth gathering groove 12b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12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fants can easily scoop up small amounts of soup from the spoon. Here, preferably,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may have a width d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maller than a width d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eat the soup stuck in the broth gathering groove (12b) while mov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the spoon.

상기 제3음식 수용홈(13)은 식판 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되며, 복수가 소정 위치마다 마련된다. 상기 제3음식 수용홈(13)은 제1 및 제2음식 수용홈(12,13)보다는 먼 거리(유아가 않은 위치로부터)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3음식 수용홈(13)은 반찬 등을 담기 위한 곳으로서, 제1 및 제2음식 수용홈(12,13)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ood receiving groove 13 is formed to be drawn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0, a plurality is provided for each predetermined position. The third food receiving groove 13 is formed to be located at a far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no infant) than the first and second food receiving grooves (12, 13). The third food receiving groove 13 is a place for storing side dishes and the like, and may be formed to the same depth as the first and second food receiving grooves 12 and 13.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컵 홀더(20)는 상기 식판 몸체(10)의 상면(10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컵 홀더(20)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양단이 도 5와 같이 식판 몸체(10)에 형성된 축받이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컵 홀더(20)를 식판 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20)를 B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컵(40)을 컵 홀더(20)에 끼워 넣어서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컵 홀더(20)에 컵(40)을 끼워서 지지하게 되면, 유아가 실수로 인하여 컵(40)을 건드 리더라도 컵(40)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므로, 컵(40)에 수용된 음식을 흘리지 않게 된다.1 and 4, the cup holde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plate body 10. The cup holder 20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aring portion 21 formed in the plate body 10 as shown in FIG. 5. When the cup holde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late body 1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imaginary line of FIG. 4, the cup holder 20 is rotated in the B direction, and the cup 40 is rotated. ) Can be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20 to be supported. As such, when the cup 40 is inserted into the cup holder 20 and supported, the cup 40 does not fall even when the infant touches the cup 40 due to a mistake, and thus maintains a stable posture. No food will be spilled.

또한, 컵 홀더(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식판 몸체(10)의 상부에 놓이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up holder 20 is not used, the cup holder 20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o be positioned so as to be placed on the top of the plate body 10.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판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FIG.

도 4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5는 도 1의 Ⅲ-Ⅲ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식판 몸체 11..제1음식 수용홈10. Plate body 11. First food receiving groove

12..제2음식 수용홈 13..제3음식 수용홈12. Second food receiving home 13. Third food receiving home

15..손잡이 20..컵 홀더15. Handle 20. Cup Holder

30..숫가락 40..컵30 cups 40 cups

Claims (7)

식판 몸체와;Plate body; 상기 식판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되며, 음식을 담는 복수의 음식 수용홈;을 포함하며,Includes a plurality of food receiving groove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to a predetermined depth, containing the food; 상기 복수의 음식 수용홈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 accommodation grooves, 상기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형성된 바닥부와;A bottom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상면을 연결하며,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면을 갖는 측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And a sidewall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from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med to be curved inward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면은 식판 몸체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측벽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The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sidewal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using the plate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수용홈은,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ood receiving groove, 상기 만곡면을 가지며, 밥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제1음식 수용홈과;A first food accommodation groove having the curved surface and provided to hold rice; 상기 제1음식 수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국물을 담을 수 있는 제2음식 수용홈; 및A second food accommodation groove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food accommodation groove and capable of containing a soup; And 상기 제1 및 제2음식 수용홈보다 사용자로부터 더 먼 위치에 마련되어 반찬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제3음식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And a plurality of third food accommodation grooves provided at a position farther from the user than the first and second food accommodation grooves to accommodate the side dish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식 수용홈은 평평한 바닥면의 소정 부분에서 소정 깊이로 더 깊에 형성되어 소량 남은 국물을 모이도록 하는 국물 모임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The food tra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food receiving groove has a broth gathering groove which is formed deeper in a predetermined depth on a flat bottom surface to collect a small amount of the remaining bro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 모임홈은, 좌우 방향으로의 폭이 전후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The pl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roth gathering groove has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greater than a width in a front-rear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판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컵을 쓰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컵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The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up hold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late body and supports the cup so as not to fa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up holder, 링 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상기 식판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A plate having a ring shape,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fitted into the bear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KR2020080008001U 2008-06-16 2008-06-16 Plate KR2009001297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01U KR20090012973U (en) 2008-06-16 2008-06-16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01U KR20090012973U (en) 2008-06-16 2008-06-16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973U true KR20090012973U (en) 2009-12-24

Family

ID=4612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01U KR20090012973U (en) 2008-06-16 2008-06-16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973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28U (en) 2015-11-24 2017-06-01 윤세은 Mess tray for children
KR20180111022A (en) * 2017-03-31 2018-10-11 최준혁 Baby food plate
KR20190046028A (en) 2017-10-25 2019-05-07 성주현 Water-wall for food tray
KR20200121612A (en) 2019-04-16 2020-10-26 김대현 piping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28U (en) 2015-11-24 2017-06-01 윤세은 Mess tray for children
KR20180111022A (en) * 2017-03-31 2018-10-11 최준혁 Baby food plate
KR20190046028A (en) 2017-10-25 2019-05-07 성주현 Water-wall for food tray
KR20200121612A (en) 2019-04-16 2020-10-26 김대현 pip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1864A1 (en) Reusable placemat
US8387263B1 (en) Easy use utensil
US20150090726A1 (en) Assisted eating aid
US20130125402A1 (en) Feeding Utensil
KR20090012973U (en) Plate
KR20120038858A (en) Tableware for infant
KR20120013673A (en) safty tray for food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442946Y1 (en) Cake or pizza container
KR200496299Y1 (en) Baby tableware
KR102410827B1 (en) Baby food plate
KR101648691B1 (en) Food tray for infant
KR200488277Y1 (en) Tray for food
JP3187961U (en) Children&#39;s tableware set
KR101344844B1 (en) Tableware for toddler
JP4475626B2 (en) Tableware
KR101908849B1 (en) Baby food plate
CN210581962U (en) Tableware
KR200414421Y1 (en) Plate
US20130160298A1 (en) Easy Use Utensil
JP3012306U (en) Eating device
KR200471393Y1 (en) Multi function food tray set
KR20180000188U (en) Spoon
CN211324185U (en) Children dinner plate
JP2012157492A (en) Baby dish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