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43Y1 -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 Google Patents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43Y1
KR200488243Y1 KR2020170003567U KR20170003567U KR200488243Y1 KR 200488243 Y1 KR200488243 Y1 KR 200488243Y1 KR 2020170003567 U KR2020170003567 U KR 2020170003567U KR 20170003567 U KR20170003567 U KR 20170003567U KR 200488243 Y1 KR200488243 Y1 KR 200488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tributor
protective clothing
pip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노인식
Original Assignee
(주)애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테크 filed Critical (주)애니테크
Priority to KR2020170003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3Fire-resistant or fire-fighter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가 개시된다. 방호복 기구는 방호복과, 호흡을 위해 휴대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연결된 공기밸브와, 상기 공기밸브에 연결된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입관에 연결된 공기분배기, 및 상기 공기분배기에 연결되고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관을 가지며, 상기 방호복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 냉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A protective clothing device with cooling function}
본 고안은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방관과 같이 열악하고 위험한 현장에 투입되는 인력과 관련되어 별도의 냉각수단을 이용하여 신체를 보호하면서 조금이라도 쾌적한 여건을 조성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0363호의 "냉난방용 조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54415호의 "냉각 의복", 및 한국등록특허 1339891호의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0363호에는, 내피수지층와 외피수지층로 구성되는 조끼 중 내피수지층상에 통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상기 통공을 통해 작업작의 체온을 적당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특히, 하절기 노상이나 비닐하우스 실내 또는 온도가 높은 장소에서 작업의 능률을 높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방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54415호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를 인입시키는 공기 인입구와, 공기 인입구로부터 공기를 인입하고, 인체에 대해서 거의 평행한 평행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평행풍 발생 수단과, 평행풍을 인체에 평행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트와, 평행풍을 외부에 방출하는 공기 출구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수단을 갖고, 평행풍발생 수단에 의해 공기를 상기 안내 시트와 속옷의 사이에 송풍함으로써 땀에 의한 수증기를 외부에 배출함과 아울러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인입하는 냉각의복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339891호에 의하면, 소방용 호스와 진압대원의 호흡을 위해 휴대하는 공기탱크, 상기 호스 및 공기탱크에서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관이음구, 상기 소화수와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수관과 공기관을 구비하는 조끼; 상기 호스와 공기탱크를 각각 조끼의 수관과 공기관에 연결하는 연결호스, 및 상기 조끼의 공기관 입구측에 설치되어 냉각공기를 생성하는 볼텍스튜브로 구성된 냉가기능의 방호복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0363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54415호는 화재현장 등에서 작동신뢰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기 곤란하다. 한국 등록특허 1339891호는 물과 공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로 실용화가 어렵고 불편하며, 수관과 공기관을 통해 순환하는 정도로는 충분한 냉각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며, 냉각 기능이 우수한 방호복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각 기능을 가진 방호복 기구가 제공된다. 방호복 기구는 방호복과, 호흡을 위해 휴대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연결된 공기밸브와, 상기 공기밸브에 연결된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입관에 연결된 공기분배기, 및 상기 공기분배기에 연결되고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관을 가지며, 상기 방호복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호복 기구는 방호복 내측에서 분배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골고루 분산하고, 분산되는 공기를 중간 방출함으로써 냉각기능이 우수하다.
상기 공기방출부는 상기 공기분배기에 연결된 공기전달관, 상기 공기전달관에 연결된 제2공기분배기, 및 상기 제2공기분배기로부터 분배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방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방출부는 '工'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배기 및 상기 제2공기분배기를 커버하며, 상기 공기전달관 또는 공기방출관이 통과하는 관통과공을 가진 루프 밴드 형상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호복은 상기 공기전달관 및 상기 공기방출관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망사형 관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방호복은 호흡을 위한 공기탱크의 공기를 이용하여 방호복 내부로 방출하는 형태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고, 효율적인 냉각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공기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공기방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후면 및 정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호복 기구(1)는 방호복(10), 호흡을 위해 휴대하는 공기탱크(20), 상기 공기탱크(20)에 연결된 공기밸브(30), 및 방호복(10) 내에 배치되는 공기방출부(40)를 포함한다.
방호복(10)은 소방관이나 구조대가 화재, 말벌 퇴치 등을 처리할 시에 입는 방수성, 난연성 등의 성질을 가진 의복이다. 방호복(10)은 공기밸브(10)에서 배출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관(42)이 통과하도록 등부위에 형성된 관공(12) 및 등부위 내부에 후술하는 공기전달관(48) 및 공기방출관(45,46,62,66)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관가이드부(14)를 포함한다. 관가이드부(14)는 공기방출관(45,46,62,66)에 형성된 공기방출구멍(47,49,67,69)에서 방출되는 공기가 저항없이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도록 망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공기방출관(45,46,62,66)는 망사형으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방출구멍(47,49,67,69)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탱크(20)는 유독 가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소방관이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공기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밸브(30)는 공기탱크(20)에 연결된 공기호스(22)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공기투입부(32), 투입된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4), 및 공기배출부(34)에 삽입 결합하는 연결부(36)를 포함한다. 공기밸브(30)는 공기탱크(20)로부터 투입된 공기를 배출차단 또는 배출개방하거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조절부(미도시)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공기의 배출차단 또는 배출개방은 공기밸브(30) 대시에 공기탱크(20)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기밸브(30)와 공기탱크(20)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연결부(36)는 생략 가능하다. 대신에, 공기유입관(42)은 직접 공기배출부(34)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방호복 기구의 공기방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방출부(40)는 상기 방호복(10)의 등 부위 내측에 '工'자형으로 설치된다. 물론 공기방출부(40)는 '工'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공기방출부(40)는 공기밸브(30)에 연결된 공기유입관(42), 상기 공기유입관(42)에 연결된 제1공기분배기(50), 제1공기분배기(50)로부터 분배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다수의 공기방출구멍(47,49)이 형성된 제1 및 제2공기방출관(45,46), 상기 공기분배기(50)을 경유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제2공기분배기(70), 상기 공기분배기(50)와 제2공기분배기(7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전달관(48), 및 제2공기분배기(50)로부터 분배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다수의 공기방출구멍(67,69)이 형성된 제3 및 제4공기방출관(62,66)을 포함한다.
공기유입관(42)은 플라스틱 튜브로 일단이 공기밸브(40)에 삽입연결되고 타단이 방호복(10)의 관공(12)을 통과한 후 제1공기분배기(50)에 삽입연결된다. 공기유입관(42)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공기밸브(40) 및 제1공기분배기(50)로부터 분리 및 결합가능하다.
제1공기분배기(50)는 4개의 연결구(52,54,56,58)를 가진다. 4개의 연결구(52,54,56,58)에는 각각 공기유입관(42), 제1공기방출관(45), 제2공기방출관(46) 및 공기전달관(48)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제1공기분배기(50)는 제1보호커버(44)에 의해 커버된다.
제1보호커버(44)는 부드러운 천으로 만든 루프 밴드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1보호커버(44)는 제1공기분배기(50)이 직접 사용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등을 보호한다. 제1보호커버(44)는 제1공기분배기(50)가 배치되는 위치에 재봉 또는 접착제로 부착된다. 제1보호커버(44)는 제1공기분배기(50)를 수용하는 좌우 개방된 개구부와 전후방에 공기유입관(42)과 공기전달관(48)이 통과하는 관통과공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공기방출관(45,46)은 각각 플라스틱 튜브로 제작된다. 제1 및 제2공기방출관(45,46)은 각각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공기방출구멍(47,49)를 포함한다. 다수의 공기방출구멍(47,49)의 크기 및 수는 제1공기분배기(5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제3 및 제4공기방출관(62,66)의 공기방출구멍(67,69)에 충분한 양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정도로 설계되어야 한다. 즉, 제1공기분배기(50)로부터 가까운 쪽의 공기방출구멍에서 지나치게 많은 양의 공기를 배출하면 먼 공기방출구멍까지 도달하는 공기압이 줄어든다. 따라서, 공기방출구멍(47,49)의 크기 및 수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공기량이 전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공기전달관(48)은 플라스틱 튜브로 제작된다. 공기전달관(48)은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제2공기분배기(7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공기분배기(70)는 3개의 연결구(72,74,76)를 가진다. 3개의 연결구(72,74,76)에는 각각 공기전달관(48), 제3공기방출관(62), 및 제4공기방출관(66)이 분리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제2공기분배기(70)는 제2보호커버(64)에 의해 커버된다.
제2보호커버(64)는 제1보호커버(44)와 마찬가지로 부드러운 천으로 만든 루프 밴드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2보호커버(64)는 제2공기분배기(70)이 직접 사용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등을 보호한다. 제2보호커버(64)는 제2공기분배기(70)가 배치되는 위치에 재봉 또는 접착제로 부착된다. 제2보호커버(64)는 제2공기분배기(70)를 수용하는 좌우 개방된 개구부와 전방에 공기전달관(48)이 통과하는 관통과공을 포함한다.
제3 및 제4공기방출관(62,66)은 각각 플라스틱 튜브로 제작된다. 제3 및 제4공기방출관(62,66)은 각각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공기방출구멍(67,69)를 포함한다. 다수의 공기방출구멍(67,69)의 크기 및 수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공기량이 전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방호복 기구
10: 방호복
20: 공기탱크
30: 공기밸브
40: 공기방출부
42: 공기유입관
44: 제1보호커버
45,46,62,66: 공기방출관
48: 공기전달관
50: 제1공기분배기
66: 제보호커버
70: 제2공기분배기

Claims (5)

  1.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에 있어서,
    방호복과;
    호흡을 위해 휴대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연결된 공기밸브와;
    상기 공기밸브에 연결된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입관에 연결된 공기분배기, 및 상기 공기분배기에 연결되고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방출관을 가지며, 상기 방호복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방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방출부는 상기 공기분배기에 연결된 공기전달관, 상기 공기전달관에 연결된 제2공기분배기, 및 상기 제2공기분배기로부터 분배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방출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공기방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출부는 '工'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기 및 상기 제2공기분배기를 커버하며, 상기 공기전달관 또는 공기방출관이 통과하는 관통과공을 가진 루프 밴드 형상의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복은 상기 공기전달관 및 상기 공기방출관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망사형 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KR2020170003567U 2017-07-10 2017-07-10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KR200488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67U KR200488243Y1 (ko) 2017-07-10 2017-07-10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67U KR200488243Y1 (ko) 2017-07-10 2017-07-10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43Y1 true KR200488243Y1 (ko) 2019-01-04

Family

ID=6501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67U KR200488243Y1 (ko) 2017-07-10 2017-07-10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24B1 (ko) * 2019-01-29 2020-05-28 주식회사 호신 땀 흡수 및 냉각 구조를 갖는 방화복용 내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753B1 (ko) * 1986-10-27 1993-07-23 시미즈 겐세쯔 가부시끼 가이샤 방진의복
KR100264353B1 (ko) * 1997-06-23 2000-08-16 이상종 이동식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용접용 작업복 및 용접용 마스크의 냉기공급시스템
KR101339891B1 (ko) * 2011-08-11 2013-12-10 박용갑 냉각 기능을 지니는 방호복 기구
KR20140003216U (ko) * 2012-11-20 2014-05-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분배밸브를 가지는 에어 자켓용 에어 호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753B1 (ko) * 1986-10-27 1993-07-23 시미즈 겐세쯔 가부시끼 가이샤 방진의복
KR100264353B1 (ko) * 1997-06-23 2000-08-16 이상종 이동식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용접용 작업복 및 용접용 마스크의 냉기공급시스템
KR101339891B1 (ko) * 2011-08-11 2013-12-10 박용갑 냉각 기능을 지니는 방호복 기구
KR20140003216U (ko) * 2012-11-20 2014-05-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분배밸브를 가지는 에어 자켓용 에어 호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24B1 (ko) * 2019-01-29 2020-05-28 주식회사 호신 땀 흡수 및 냉각 구조를 갖는 방화복용 내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468B2 (en) Garment
CA1106101A (en) Wearable ventilation system
JP4836789B2 (ja) 人体の胴体のための温度調整装置
US6596019B2 (en) Apparel ventilation system
US20070118956A1 (en) Personal ventilating garment apparatus
JP7023896B2 (ja) 衣服
JP2007532205A5 (ko)
CN204306113U (zh) 带送风功能的轻便式外科手术头箍及具有该头箍的头盔
EP2929913B1 (en) Back integral air distribution in ventilated suit
US20160128396A1 (en) Air distribution system for individual cooling
KR101339891B1 (ko) 냉각 기능을 지니는 방호복 기구
US9851113B2 (en) Air distribution system for individual cooling
KR200488243Y1 (ko) 냉각 기능을 지닌 방호복 기구
JP2020070502A (ja) 衣服
WO2016016996A1 (ja) ヘルメット対応空調服
KR101404233B1 (ko) 소방용 방화복
KR20110009613A (ko) 일회용 구명의
JP2018165426A (ja) 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の服本体及びヘルメット対応空調衣服
KR20150001907U (ko) 에어 상의
CN217012865U (zh) 一种带降温功能的正压防护服
WO2021100587A1 (ja) 空気呼吸器および空気呼吸器とともに着用される防火服
CN211752021U (zh) 一种消防背包
CN213045282U (zh) 一种用于全封闭头套上的环形管道通风排气系统
CN214286348U (zh) 一种带有消防用头罩自动除雾的消防服
CN219939767U (zh) 一种通风透气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