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218Y1 -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218Y1
KR200488218Y1 KR2020180004148U KR20180004148U KR200488218Y1 KR 200488218 Y1 KR200488218 Y1 KR 200488218Y1 KR 2020180004148 U KR2020180004148 U KR 2020180004148U KR 20180004148 U KR20180004148 U KR 20180004148U KR 200488218 Y1 KR200488218 Y1 KR 200488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iron plate
steel plate
roll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승
Original Assignee
한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승 filed Critical 한정승
Priority to KR2020180004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turning devices, e.g.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1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pneumatic or magnetic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방화문 등과 같은 방화시설에 사용하는 철판을 절곡시에 자동으로 정렬은 물론, 안전하게 절곡할 수 있는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근접하게 설치되되 그 상면에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철판이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이동에 의해 상기 철판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판이 안착되되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상부몸체, 상면에 상기 상부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절곡부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홈이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관통공과 대향되게 상기 하부몸체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볼 캐스터,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하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절곡부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절곡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Steel plate press brake for fireproof door}
방화문 등과 같은 방화시설에 사용하는 철판을 절곡시 자동으로 정렬은 물론, 안전하게 절곡할 수 있는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구조물에는 방화벽, 방화셔터 또는 방화문 등과 같은 방화시설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하거나 불이 옮겨 붙는 시간을 늘려주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 준다.
이러한 방화시설에 속하는 방화문은 주로 금속판의 테두리를 절곡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벽체 또는 복도의 개구부에 시공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술한 방화문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금속판의 테두리를 절곡하기 위하여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기와 같은 절곡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곡기를 사용하는 경우, 절곡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른 금형이 각각 마련되어야 하며, 절곡기의 설치를 위한 초기비용이 높고, 고장이나 수리 등에 따른 유지관리가 어려우며, 프레스기와 같은 절곡기의 특성상 규격화된 금속판을 사용해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금속판을 가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절곡기는 기계적 특성이 고압으로 성형물 또는 성형품을 찍어내는 장비인데다가, 소재의 공급과 성형품의 인출 작업을 사용자가 승강대의 승강타이밍을 감안하여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재의 공급 및 성형물의 인출에 따른 타이밍이 맞지 않게 되면 신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되며, 작업 자체가 단순반복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기계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나 기계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가 다른 어떤 장비보다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63734호(공고일: 2011.09.08.) 국내등록특허 제10-1725186호(공고일: 2017.04.11.) 국내등록특허 제10-0783322호(공고일: 2007.12.10.)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방화문에 사용되는 금속(철)판의 선단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절곡하고자 하는 해당 철판의 정렬은 물론, 절곡작업시에 안전성이 보장되며, 작업의 용이성을 갖는 절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는 제어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근접하게 설치되되 그 상면에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철판이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이동에 의해 상기 철판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판이 안착되되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형성된 상부몸체, 상면에 상기 상부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절곡부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홈이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관통공과 대향되게 상기 하부몸체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볼 캐스터,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하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절곡부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절곡부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 캐스터는 상기 철판이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시에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승에 의해 그 외면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철판을 회전시에만 상기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강에 의해 상부가 상기 철판 하면과 접촉될 수 있게 상기 관통공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철판이 상기 상부몸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홈의 내벽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몸체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절곡각도 조절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한 상기 철판을 정렬하고 이동시키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각도 조절체는 그 외면이 절곡하고자 하는 상기 철판의 절곡각도와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렬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서로 대칭되게 상기 하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모터, 일단이 상기 정렬모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삽입되되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철판과 접촉하여 상기 철판을 정렬시키거나 이동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하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나사공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삽입홈 내에서 왕복으로 이동하는 절곡몸체와, 상기 절곡몸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몸체에 안착한 상기 철판을 가압하여 상기 철판을 절곡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절곡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철판의 절곡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절곡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을 절곡시키는 절곡롤러 및 상기 절곡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몸체에 안내되어 상기 절곡몸체가 유동없이 상기 삽입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철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곡몸체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곡롤러는 절곡하고자 하는 상기 철판의 절곡각도에 따라 그 외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절곡롤러로 교체가능하게 상기 절곡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의 정렬은 물론, 절곡작업시에 안전성이 보장되며, 작업의 용이성을 갖는 절곡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상부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상부몸체의 승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대한 하부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대한 정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의 절곡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이하, 간략하게 '절곡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의 제어부(400)는 베이스부(200)에 설치되거나 상기 베이스부(200) 외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가능하게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통상의 제어부(400)를 의미하며, 하기에 기재된 철판(I/P)은 방화문을 제작하기 위한 난연재질의 금속철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1)는 크게 이송부(100), 베이스부(200) 및 절곡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I/P)을 개별적으로 후술하는 베이스부(2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브라켓(110) 및 픽업부재(12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철판(I/P)을 이동시키는 픽업부재(120)의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인 절곡장치(1)가 설치된 작업장의 천장이나 후술하는 하부몸체(220) 상부에 또 다른 다수의 브라켓(110)에 의해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10) 외면에는 픽업부재(120)가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철판(I/P)이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적층된 철판(I/P)이 구비된 구역과 상부몸체(2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그 길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송홈(1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사각을 형성하는 브라켓(110)의 외면에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브라켓(11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철판(I/P)의 절곡이 완성된 이후의 철판(I/P)이 적층될 수 있는 보관부(미도시)까지 연장되어 적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업부재(120)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술한 브라켓(110)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되 이동시에 적층된 철판(I/P) 중 최상부에 위치한 철판(I/P)을 픽업하여 후술하는 상부몸체(210)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몸체(121), 이동모터(127) 및 흡착실린더(130)를 포함한다.
이동몸체(1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브라켓(110)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브라켓(1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송홈(111)에 삽입되어 이동모터(127)에 이해 상기 브라켓(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동몸체(121) 하부에는 흡착실린더(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 판 형상의 설치판(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판(123)에는 해당 흡착실린더(130)의 로드가 관통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천공부(125)가 형성된다.
이동모터(127)는 브라켓(110)의 상부나 설치판(123) 등에 회전가능하도로 고정설치되며,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몸체(121)가 왕복으로 브라켓(110)을 이동로로 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이동모터(127)는 그 구동축이 브라켓(110)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이동하거나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축에 고정결합하는 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이동모터(127)에 의해 이동몸체(121)가 브라켓(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인장/수축이 가능한 실린더를 통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착실린더(130)는 설치판(123)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설치되어 이동몸체(12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설치판(123)의 천공부(125)를 통해 로드가 승강하여 철판(I/P)을 픽업 후, 상부몸체(2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흡착실린더(130)의 로드 하단에는 판 형상의 철판(I/P)을 흡착하여 칙업할 수 있는 흡착기(131)가 구비되며, 상기 흡착기(131)는 제어신호에 의해 흡착과 비 흡착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철판(I/P)의 픽업이나 상부몸체(210)에 안착하기 위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이송부(100)를 통해 픽업된 철판(I/P)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후술하는 절곡부(300)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철판(I/P)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몸체(210), 하부몸체(220), 볼 캐스터(230), 승강실린더(240) 및 회전부재(25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몸체(2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픽업부재(120)에 의해 이송된 철판(I/P)의 하면이 상기 상부몸체(210) 상면과 접하도록 안착된다.
상부몸체(210)의 면적은 공지된 방화문을 형성하는 철판(I/P)의 최대 규격까지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외면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 하게 다수의 관통공(211)이 천공형성된다.
관통공(211)은 볼 캐스터(230)의 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천공형성되며, 승강실린더(240)의 승강에 의해 상기 볼 캐스터(230)가 상기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천공형성된다(도 5 참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몸체(220)는 상부몸체(210) 하부에 위치하되 그 하면은 작업장의 바닥면 등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면에는 승강실린더(24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210)가 출입할 수 있는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하부몸체(220) 일측에는 후술하는 절곡부(300)가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상부몸체(210)에 안착한 철판(I/P)이 절곡될 수 있는 이동홈(221)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몸체(220)에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이동홈(221)은 상기 이동홈(221)에서 연장되게 상기 하부몸체(220)에 형성되되 절곡부(300)의 가이드롤러(340)가 삽입되어 절곡몸체(31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홈(2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안내홈(223)의 내벽에는 가이드롤러(340) 외면에 형상맞춤으로 삽입되어 절곡몸체(3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224)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24)는 상기 안내홈(223)의 내부로 인입되는 가이드롤러(340) 이외에 절곡몸체(310) 외면에 형성된 다른 가이드롤러(340) 외면에 삽입될 수 있게 하부몸체(220) 상면에도 추가적으로 돌출형성된다.
한편, 하부몸체(220)는 서로 마주보는 이동홈(221)의 내벽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홈(221)을 따라 이동하는 절곡몸체(310)에 의해 철판(I/P)을 절곡시, 외면이 상기 철판(I/P)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철판(I/P)의 절곡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 절곡각도 조절체(22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각도 조절체(225)는 상기 하부몸체(22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철판(I/P)의 절곡각도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경사면(226)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즉, 철판(I/P)의 절곡각도는 후술하는 절곡롤러(330)가 상기 철판(I/P)을 소정각도로 가압한 상태에서 절곡몸체(3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철판(I/P)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절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절곡각도 조절체(225)의 경사면(226)이 상기 철판(I/P)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절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경사면(226)이 항시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철판(I/P)의 절곡각도를 변경시에는 다른 절곡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경사면(226)의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부몸체(220)에 절곡각도 조절체(225)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여 다양하게 철판(I/P)의 절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볼 캐스터(230)는 상술한 삽입홈(222)의 바닥면에 그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몸체(220)에 다수 형성되되 승강실린더(240)가 하강시에 상부몸체(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몸체(210) 상부로 노출되어 철판(I/P)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도 5 참조).
볼 캐스터(230)는 제어신호에 상관없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하부몸체(220) 상부에 구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철판(I/P)의 회전은 물론, 여러 방향으로 상기 철판(I/P)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철판(I/P)을 절곡하기 위한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승강실린더(240)는 하부몸체(220)에 다수 구비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그 로드가 승강하여 상부몸체(210)가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도 5 참조).
이때, 제어신호에 의한 승강실린더(240)의 동작은 철판(I/P)을 절곡시에 상기 승강실린더(240)가 상승하여 삽입홈(222)에 삽입된 상부몸체(210)의 상면이 하부몸체(220)의 상면과 수평선상으로 일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철판(I/P)의 절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절곡이 완료된 이후에는 하강하여 상기 상부몸체(210) 하면이 볼 캐스터(23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철판(I/P)의 회전이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재(250)는 상술한 이동홈(221) 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220)에 설치되되 제어신호에 의해 절곡부(300)가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크류(252) 및 회전모터(251)를 포함한다.
스크류(252)는 소정깊이를 갖는 이동홈(221)의 바닥면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되 일단이 회전모터(251)의 구동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모터(2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스크류(252)는 후술하는 절곡몸체(310) 하부와 서로 치(齒)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치 결합에 의해 절곡몸체(310)가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252)의 길이는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적어도 상기 절곡몸체(310)가 이동홈(221)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이동시에도 절곡몸체(310)가 상기 스크류(252)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부(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고자 하는 철판(I/P)을 정렬하되 정렬이 완료된 상기 철판(I/P) 끝단이 이동홈(221)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정렬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재(270)는 정렬모터(271) 및 회전체(273)를 포함한다.
정렬모터(271)는 상술한 스크류(252)와 대칭되게 하부몸체(220)에 구비되되 그 구동축은 소정길이를 갖는 회전봉(275)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봉(275)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회전체(273)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하부가 회전봉(275) 외면에 고정될 수 있게 관통 삽입되며, 상기 회전봉(27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상부몸체(210)에 안착된 철판(I/P)을 이동홈(221)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부몸체(210) 또는 하부몸체(220)는 회전에 의해 철판(I/P)을 이동시키는 회전체(273)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회전체(273)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공(213)은 볼 캐스터(23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부몸체(210)가 삽입홈(222)에 삽입된 상태(볼 캐스터 상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부몸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체(273)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체(273) 외면이 철판(I/P)과 접촉하여 상기 철판(I/P)의 끝단이 삽입홈(222)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하여 상기 철판(I/P)의 정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철판(I/P)이 정렬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240)에 의해 상부몸체(210) 상면이 하부몸체(220) 상면과 수평선상으로 서로 일치할 수 있도록 삽입홈(222) 내에서 상승하면 회전체(273)는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철판(I/P)의 끝단이 이동홈(221)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철판(I/P)의 끝단이 후술하는 가압롤러(320) 및 절곡롤러(330) 내측으로 안정되게 진입하여 자동으로 절곡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3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도록 하부몸체(220)에 형성된 이동홈(221)을 따라 왕복으로 이동하여 가압에 의해 철판(I/P)을 절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절곡몸체(310), 가압롤러(320), 절곡롤러(330) 및 가이드롤러(34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절곡몸체(310)는 상술한 이동홈(221)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스크류(252)와 치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313)이 형성된 제1몸체(311), 상기 제1몸체(311) 상부와 이어지게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하부몸체(220)와 철판(I/P) 상면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제2몸체(312)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철판(I/P)이 구비된 방향과 서로 마주보는 제1몸체(311) 외면에는 상기 철판(I/P) 끝단이 삽입되는 홈부(3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315)는 상기 철판(I/P)의 절곡 위치에 따라 상기 철판(I/P) 끝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이동홈(221)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몸체(311)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몸체(311) 외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340)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340)는 서로 다른 안내홈(223)에 각각 삽입되어 제1몸체(311)가 이동홈(221)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몸체(311)와 상부와 이어지게 형성된 제2몸체(312)는 이동홈(221)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되 일측 하부에는 가이드롤러(34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타측에는 가압롤러(320)와 절곡롤러(33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절곡롤러(330)가 구비된 제2몸체(312)는 외경이 서로 다른 다른 절곡롤러(3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홈(3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롤러(3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몸체(312)의 타측에 철판(I/P)의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면은 철판(I/P)의 상면을 가압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가압롤러(320) 외면에는 철판(I/P)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연질의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절곡롤러(330)는 설치홈(314) 내부에 소정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압롤러(320)에 가압된 철판(I/P)을 가압하여 절곡몸체(310)가 이동시에 상기 철판(I/P)이 절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I/P)의 절곡각도는 제2몸체(312)와 교체가능하게 설치된 절곡롤러(330)의 외경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과 일치하는 철판(I/P)의 각도를 0°라 가정한 상태에서 철판(I/P)의 절곡각도를 크게 하고자 하면 절곡롤러(330)의 외경이 큰 것을 선택하여 상기 철판(I/P)의 절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절곡롤러(330) 역시, 상술한 가압롤러(320)와 동일하게 패드(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절곡의 위해 상기 절곡롤러(330)에 가압되는 부분은 사실상 폐기되는 부분으로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가이드롤러(340)는 제1 및 제2몸체(3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는 하부몸체(220)의 상면에 지지되되 다른 하나는 안내홈(223)의 내벽에 지지되어 그 회전에 의해 안정적으로 절곡몸체(310)가 이동홈(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롤러(340)는 그 외면에 상술한 돌출부(224)가 형상맞춤으로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절곡몸체(3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I/P)의 정렬은 물론, 절곡작업시에 안전성이 보장되며, 작업의 용이성을 갖는 절곡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100: 이송부 110: 브라켓
120: 픽업부재 130: 흡착실린더
200: 베이스부 210: 상부몸체
220: 하부몸체 230: 볼 캐스터
240: 승강실린더 250: 회전부재
270: 정렬부재
300: 절곡부 310: 절곡몸체
320: 가압롤러 330: 절곡롤러
340: 가이드롤러 400: 제어부
I/P: 철판

Claims (4)

  1. 제어신호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I/P)을 이동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와 근접하게 설치되되 그 상면에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철판(I/P)이 회전가능하게 안착하는 베이스부(200);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00)에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이동에 의해 상기 철판(I/P)을 절곡시키는 절곡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20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철판(I/P)이 안착되되 다수의 관통공(211)이 천공형성된 상부몸체(210); 상면에 상기 상부몸체(2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절곡부(300)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홈(221)이 형성된 하부몸체(220); 상기 관통공(211)과 대향되게 상기 하부몸체(22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설치되는 볼 캐스터(230); 상기 하부몸체(220)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몸체(210)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40);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절곡부(300)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절곡부(300)를 이동시키는 회전부재(250); 상기 이동홈(221)의 내벽을 형성하되 상기 하부몸체(22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절곡각도 조절체(225); 및 상기 상부몸체(210)에 안착한 상기 철판(I/P)을 정렬하고 이동시키는 정렬부재(270);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각도 조절체(225)는 그 외면이 절곡하고자 하는 상기 철판(I/P)의 절곡각도와 동일한 경사면(226)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정렬부재(270)는 상기 회전부재(250)와 서로 대칭되게 상기 하부몸체(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모터(271), 일단이 상기 정렬모터(27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봉(275), 상기 회전봉(275)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삽입되되 상기 회전봉(27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철판(I/P)과 접촉하여 상기 철판(I/P)을 정렬시키거나 이동시키는 회전체(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캐스터(230)는 상기 철판(I/P)이 상기 상부몸체(210)에 안착시에 상기 승강실린더(240)의 상승에 의해 그 외면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관통공(211)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철판(I/P)을 회전시에만 상기 상기 승강실린더(240)의 하강에 의해 상부가 상기 철판(I/P) 하면과 접촉될 수 있게 상기 관통공(211)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철판(I/P)이 상기 상부몸체(21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00)는
    상기 삽입홈(222)에 삽입되되 하부는 상기 회전부재(250)와 서로 치(齒) 결합하는 나사공(313)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2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삽입홈(222) 내에서 왕복으로 이동하는 절곡몸체(310);
    상기 절곡몸체(31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몸체(210)에 안착한 상기 철판(I/P)을 가압하여 상기 철판(I/P)을 절곡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롤러(320);
    상기 절곡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철판(I/P)의 절곡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절곡몸체(310)에 설치되어 상기 철판(I/P)을 절곡시키는 절곡롤러(330); 및
    상기 절곡몸체(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부몸체(220)에 안내되어 상기 절곡몸체(310)가 유동없이 상기 삽입홈(22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롤러(34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롤러(320)는 상기 철판(I/P)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절곡몸체(31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절곡롤러(330)는 절곡하고자 하는 상기 철판(I/P)의 절곡각도에 따라 그 외경이 서로 다른 상기 절곡롤러(330)로 교체가능하게 상기 절곡몸체(3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KR2020180004148U 2018-09-05 2018-09-05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KR200488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48U KR200488218Y1 (ko) 2018-09-05 2018-09-05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48U KR200488218Y1 (ko) 2018-09-05 2018-09-05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218Y1 true KR200488218Y1 (ko) 2018-12-28

Family

ID=6495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148U KR200488218Y1 (ko) 2018-09-05 2018-09-05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2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26B1 (ko) 2021-03-12 2021-07-02 김기영 절곡 시스템
KR102550553B1 (ko) 2023-01-13 2023-07-03 신영방화문 주식회사 방화문 제조용 철판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22B1 (ko) 2006-09-15 2007-12-10 (주) 일광메탈포밍 수동 절단 절곡기
KR20110001611A (ko) * 2009-06-30 2011-01-06 (주)토인 절곡장치용 추종장치
KR101063734B1 (ko) 2011-06-29 2011-09-08 이옥례 방화문 엔씨티가공 스테인레스 철판 및 칼라철판 포밍절곡장치
KR20150012605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유닛
KR101725186B1 (ko) 2015-12-01 2017-04-11 주식회사 오성테크 판재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22B1 (ko) 2006-09-15 2007-12-10 (주) 일광메탈포밍 수동 절단 절곡기
KR20110001611A (ko) * 2009-06-30 2011-01-06 (주)토인 절곡장치용 추종장치
KR101063734B1 (ko) 2011-06-29 2011-09-08 이옥례 방화문 엔씨티가공 스테인레스 철판 및 칼라철판 포밍절곡장치
KR20150012605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유닛
KR101725186B1 (ko) 2015-12-01 2017-04-11 주식회사 오성테크 판재 절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26B1 (ko) 2021-03-12 2021-07-02 김기영 절곡 시스템
KR102550553B1 (ko) 2023-01-13 2023-07-03 신영방화문 주식회사 방화문 제조용 철판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218Y1 (ko)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CN104276409B (zh) 刻码机
CN107416522B (zh) 铜箔贴装机的自动上下料系统
CN110788974A (zh) 一种全自动卫浴陶瓷施釉线补偿器
CN216785015U (zh) 一种光伏玻璃生产用玻璃固定机构
EP1937446B1 (en) Apparatus for frame fabrication
KR102094257B1 (ko) 철판절곡기의 철판자동공급장치
CN210966520U (zh) 下压驱动式翻边成型机及电磁铁组装系统
CN109339426B (zh) 一种安装工程用高度可调的搭载架
JP6488450B1 (ja) 自動化送り設備
KR101247560B1 (ko) 소재 이송로봇의 그리퍼 자동교체장치
KR20130139887A (ko) 에어식 쇼트 처리 장치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KR20080040838A (ko) 아파트용 유로폼 인양기
CN211278974U (zh) 一种全自动卫浴陶瓷施釉线补偿器
CN114713694A (zh) 一种全自动送料的冲床
KR20120067091A (ko) 절곡장치용 클램프의 길이가변식 지지대
CN114789206B (zh) 一种用于卷材成型的装置
KR20190045559A (ko) 금속판재 이송설비
KR100529688B1 (ko) 자동식 억지끼움장치
CN117583759B (zh) 自动化激光切割生产线用转运机器人
CN116618478B (zh) 一种螺柱校直系统
CN118458324B (zh) 一种过渡装置及板材出板机
KR102435694B1 (ko) 프레스장치용 슬라이드바
CN220138112U (zh) 一种变压器铁芯边缘平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