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226B1 - 절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곡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226B1 KR102273226B1 KR1020210032647A KR20210032647A KR102273226B1 KR 102273226 B1 KR102273226 B1 KR 102273226B1 KR 1020210032647 A KR1020210032647 A KR 1020210032647A KR 20210032647 A KR20210032647 A KR 20210032647A KR 102273226 B1 KR102273226 B1 KR 102273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bending
- support piece
- bent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5—With a wiping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21D43/11—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turning devices, e.g. 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의 금속재 피절곡물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절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판형의 피절곡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면 하측이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과 맞물리도록 하강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형의 금속재 피절곡물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절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하기 위해서 절곡된 금형을 착탈 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절곡기의 싱커 부분에 절곡금형 셋팅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종래의 절곡금형셋팅장치는,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전면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메인블록의 전면 상단으 로 중앙에 결합장공이 형성된 평면블록을 볼트로 체결하고, 메인블록의 경사진 상면에 안착되도록 평면블록의 결합장공으로 볼트를 이용하여 테이퍼키를 결합하며, 메인블록의 하측에 절곡금형을 클램핑하여 취부할 수 있도 록 클램퍼를 볼트로 체결하여서 된 절곡금형셋팅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절곡금형셋팅장치를 절곡기의 싱커 하단에 밀착시킨 다음, 메인 블록에 결합된 평면블록의 상단을 클램 퍼를 이용하여 싱커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 설치한 후, 절곡기를 가동시켜서 메인블록에 볼트를 이용하여 클램 퍼에 의해 장착되는 절곡금형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철판을 절곡한다.
이는 절곡기의 싱커 부분에 결합된 메인블록의 하단에 절곡금형을 장착 고정 시 절곡금형을 취부 하도록 클램퍼 를 메인 블록에 볼트를 이용하여 조여서 고정하기 때문에, 볼트를 일일이 조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판형의 금속재 피절곡물을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절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은, 판형의 피절곡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면 하측이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과 맞물리도록 하강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 선반; 및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하측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측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곡홈이 상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 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 선반과 대향하면서 상기 지지 선반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절곡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지지 선반 방향으로 하강하는 싱커; 상기 싱커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탈부착홈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클램퍼; 및 상부가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후 체결되며, 하부가 상기 절곡홈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싱커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상기 절곡홈과 맞물리도록 하강하면서 상기 절곡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절곡물을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절곡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 금형은, 상기 절곡홈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은,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 금형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절곡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 지지부는, 상기 절곡 금형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한 번 더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절곡 금형에 안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전단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금형을 체결하는 다수 개의 체결 볼트; 상기 체결부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체결부의 전단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는 상측면으로부터 보다 전단으로 이격된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체결부의 전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 프레임; 상기 제1 탄성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제1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전단 삽입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탄성 프레임;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 전단 삽입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3 탄성 프레임; 상기 피절곡물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3 탄성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탄성 프레임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편;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대향하며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편;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실린더; 상기 유체 공급 실린더가 내측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에 배치되는 링형 지지편;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하부 간격 지지부;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상부 지지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상부 지지편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다수 개의 상부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편과 대향하는 상기 링형 지지편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 마다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부에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의 하부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유체 공급 실린더로부터 상기 상부 안착홈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 안착홈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탄성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판형의 금속재 피절곡물을 절곡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절곡물의 절곡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착부와 절곡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절곡 금형에 의한 절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착부와 절곡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절곡 금형에 의한 절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10)은, 안착부(100) 및 절곡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0)는, 절곡부(20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판형의 피절곡물(P)이 안착된다.
절곡부(200)는, 안착부(100)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며, 안착부(100)에 피절곡물(P)이 안착되면 하측이 피절곡물이 안착되어 있는 안착부(100)의 상측과 맞물리도록 하강되어 피절곡물(P)을 절곡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10)은,
절곡 공정에 대응하여 안착부(100) 또는 절곡부(200) 등의 장치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부(S)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10)은, 판형의 금속재 피절곡물(P)을 절곡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절곡물의 절곡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착부와 절곡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지지 선반(110) 및 절곡 다이(120)를 포함한다.
지지 선반(110)은, 절곡부(20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절곡 다이(120)가 설치된다.
절곡 다이(120)는, 지지 선반(110)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절곡부(200)의 하측이 맞물릴 수 있도록 절곡부(200)의 하측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곡홈(221)이 상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곡부(200)는, 싱커(210), 클램퍼(220) 및 절곡 금형(230)을 포함한다.
싱커(210)는, 지지 선반(110)과 대향하면서 지지 선반(1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압 피스톤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등에 연결 설치되어, 유압 피스톤 장치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하강 또는 승강 구동되며, 절곡 공정이 시작되면 지지 선반(110) 방향으로 하강한다.
클램퍼(220)는, 싱커(2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탈부착홈(221)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탈부착홈(221)을 따라 절곡 금형(230)이 삽입 체결된다.
절곡 금형(230)은, 상부가 탈부착홈(2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후 체결되며, 하부가 절곡홈(221)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싱커(210)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절곡홈(221)과 맞물리도록 하강하면서 절곡홈(221)에 안착되어 있는 피절곡물(P)을 가압하여 절곡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절곡 금형(230)은, 절곡홈(22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20)은, 안착부(100), 절곡부(200) 및 절곡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00) 및 절곡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절곡 지지부(300)는,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피절곡물(P)의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 금형(2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곡 지지부(300)는, 체결부(310), 다수 개의 체결 볼트(320), 제1 지지부(330) 및 제2 지지부(340)를 포함한다.
체결부(310)는, 절곡 금형(23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한 번 더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 금형(230)에 안착된 뒤 체결 볼트(320)에 의해 절곡 금형(230)에 체결된다.
체결 볼트(320)는, 체결부(310)의 전단을 따라 설치되며, 체결부(310)의 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체결부(310)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절곡 금형(230)을 체결한다.
제1 지지부(330)는, 제2 지지부(34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체결부(310)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피절곡물(P)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340)는, 제1 지지부(33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체결부(310)의 전단 상부에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피절곡물(P)의 제1 지지부(330)에 의해 지지하는 상측면으로부터 보다 전단으로 이격된 상측면을 지지한다.
즉, 작업자가 피절곡물(P)의 전단을 들어올림에 따라 제1 지지부(330)가 먼저 피절곡물(P)에 밀착되어 피절곡물(P)을 저지하게 되고, 작업자가 보다 피절곡물(P)을 들어올리면 제2 지지부(340)가 다음으로 피절곡물(P)을 차례로 저지함으로써, 순차적으로 피절곡물(P)의 승강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시스템(20)은, 작업자가 절곡부(200) 및 절곡 지지부(300)에 의해 절곡 진행 중인 피절곡물(P)의 전단을 들어올려 절곡 공정을 보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들어올리는 피절곡물(P)의 전단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절곡물(P)의 승강이 급작스럽게 수행됨에 따라 피절곡물(P)이 승강 도중에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330)는, 제1 탄성 프레임(331), 제2 탄성 프레임(332), 제3 탄성 프레임(333), 지지 플레이트(334), 제1 프레임 지지부(335) 및 2 프레임 지지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부(340)는, 제1 지지부(330)와 동일하되, 제2 지지부(340)보다 전후 방향으로 좀 더 길게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 지지부(330)의 제1 탄성 프레임(331), 제2 탄성 프레임(332), 제3 탄성 프레임(333), 지지 플레이트(334), 제1 프레임 지지부(335) 및 2 프레임 지지부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을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탄성 프레임(331)은,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체결부(310)의 전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에 제2 탄성 프레임(332)의 후단(33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제1 전단 삽입홈(3311)이 형성된다.
제2 탄성 프레임(332)은, 제1 탄성 프레임(331)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3321)이 제1 탄성 프레임(331)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전단 삽입홈(3311)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 프레임(332)의 후단에는 제1 전단 삽입홈(331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전단 삽입홈(331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제1 전단 삽입홈(331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3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탄성 프레임(333)은, 제2 탄성 프레임(332)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제2 탄성 프레임(332)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 전단 삽입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지지 플레이트(334)는, 피절곡물(P)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3 탄성 프레임(333)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프레임 지지부(335)는, 제1 전단 삽입홈(33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전단 삽입홈(33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2 탄성 프레임(332)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프레임 지지부는,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제3 탄성 프레임(333)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부(330)는,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곡물(P)이 지지 플레이트(334)에 밀착됨에 따라 아치 형태가 절곡됨에 따라 피절곡물(P)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치 형태가 절곡됨에 따라 제1 탄성 프레임(331), 제2 탄성 프레임(332) 및 제3 탄성 프레임(333)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삽입 또는 분리를 통해 충격 등을 추가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1 프레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지지부(400)는, 상부 지지편(410), 하부 지지편(420), 유체 공급 실린더(430), 링형 지지편(440), 다수 개의 하부 간격 지지부(450), 다수 개의 상부 간격 지지부(460) 및 다수 개의 탄성 조절부(47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편(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 공급 실린더(430)와 다수 개의 상부 간격 지지부(460)에 의해 하부 지지편(420)으로부터 이격 지지되어 제2 탄성 프레임(332)를 지지한다.
하부 지지편(42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편(410)과 대향하며 설치되며, 유체 공급 실린더(430)와 다수 개의 하부 간격 지지부(450)에 의해 상부 지지편(410)으로부터 이격 지지되어 제1 전단 삽입홈(3311)의 내측면에 안착된다.
유체 공급 실린더(430)는, 상부 지지편(41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를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부 지지편(41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유체 공급라인(480)을 통해 상부 안착홈(440a)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공급 실린더(430)는, 상측이 상부 지지편(410)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이 상부 지지편(410)의 하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부 지지편(410)과 하부 지지편(420) 간의 간격이 해당 이격 간격 만큼 줄어든 이후에 상부 지지편(410)의 하측과 밀착된 후 수축됨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시킴으로써 상부 간격 지지부(460)의 탄성력의 변이가 일정 힘이 전달된 이후에 시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링형 지지편(440)은, 유체 공급 실린더(430)가 내측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간격 지지부(450)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 지지편(41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지지편(410)과 대향하는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상부 간격 지지부(460)가 설치된다.
하부 간격 지지부(450)는, 링형 지지편(44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링형 지지편(44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를 지지한다.
상부 간격 지지부(460)는, 링형 지지편(440)과 상부 지지편(410)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링형 지지편(440)과 상부 지지편(41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탄성 조절부(470)는, 상부 지지편(410)과 대향하는 링형 지지편(440)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440a) 마다 삽입 설치되며, 상부 안착홈(440a)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부에 상부 간격 지지부(460)의 하부가 체결되어 상부 간격 지지부(460)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편(410)과 하부 지지편(42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유체 공급 실린더(430)로부터 상부 안착홈(440a)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부 안착홈(440a)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노출되면서 상부 간격 지지부(460)를 승강시켜 줌으로써, 상부 간격 지지부(460)에 의한 상부 지지편(410)의 지지력을 증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 지지부(400)는, 제2 탄성 프레임(332)의 후단(3321)이 제1 전단 삽입홈(3311)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2 탄성 프레임(33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절곡 시스템
100: 안착부
200: 절곡부
300: 절곡 지지부
100: 안착부
200: 절곡부
300: 절곡 지지부
Claims (2)
- 판형의 피절곡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이격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면 하측이 상기 피절곡물이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과 맞물리도록 하강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지지 선반; 및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절곡부의 하측이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의 하측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절곡홈이 상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곡 다이;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 선반과 대향하면서 상기 지지 선반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절곡 공정이 시작되면 상기 지지 선반 방향으로 하강하는 싱커;
상기 싱커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탈부착홈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클램퍼; 및
상부가 상기 탈부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삽입된 후 체결되며, 하부가 상기 절곡홈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싱커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되어 상기 절곡홈과 맞물리도록 하강하면서 상기 절곡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피절곡물을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절곡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 금형은,
상기 절곡홈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차례로 삽입 및 체결되며,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 금형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절곡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곡 지지부는,
상기 절곡 금형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각각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한 번 더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절곡 금형에 안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전단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의 전단을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금형을 체결하는 다수 개의 체결 볼트;
상기 체결부의 전단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체결부의 전단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절곡 공정 도중에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는 상기 피절곡물의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는 상측면으로부터 보다 전단으로 이격된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지지부는,
작업자가 상기 피절곡물의 전단을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가 먼저 상기 피절곡물에 밀착되어 상기 피절곡물을 저지하게 되고, 작업자가 보다 상기 피절곡물을 들어올리면 상기 제2 지지부가 다음으로 상기 피절곡물을 차례로 저지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피절곡물의 승강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체결부의 전단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탄성 프레임;
상기 제1 탄성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제1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전단 삽입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탄성 프레임;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2 전단 삽입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3 탄성 프레임;
상기 피절곡물의 상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탄성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탄성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전단 삽입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3 탄성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탄성 프레임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편;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대향하며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단 삽입홈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편;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지지하고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실린더; 상기 유체 공급 실린더가 내측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에 배치되는 링형 지지편;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하부 간격 지지부;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상부 지지편 사이를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편과 상기 상부 지지편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다수 개의 상부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편과 대향하는 상기 링형 지지편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 마다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부 안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부에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의 하부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편과 상기 하부 지지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유체 공급 실린더로부터 상기 상부 안착홈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 안착홈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상부 간격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는 다수 개의 탄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절곡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647A KR102273226B1 (ko) | 2021-03-12 | 2021-03-12 | 절곡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647A KR102273226B1 (ko) | 2021-03-12 | 2021-03-12 | 절곡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226B1 true KR102273226B1 (ko) | 2021-07-02 |
Family
ID=7689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647A KR102273226B1 (ko) | 2021-03-12 | 2021-03-12 | 절곡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2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1661A (zh) * | 2022-06-29 | 2022-09-30 | 江苏中海重型机床有限公司 | 一种可实现自翻面效果的数控折弯机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4822A (ja) * | 1987-12-12 | 1989-06-16 | Yutaka Seiko:Kk | 折曲げ機の折曲げ幅変更装置 |
KR20110082211A (ko) * | 2010-01-11 | 2011-07-19 | 차재욱 | 금속판 케이스 성형 장치 |
KR101300135B1 (ko) * | 2013-05-21 | 2013-08-26 | 문운하 | 대형 금속판 절곡을 위한 탈부착형 절곡보조장치 |
KR200488218Y1 (ko) | 2018-09-05 | 2018-12-28 | 한정승 |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
KR102039978B1 (ko) | 2019-06-03 | 2019-11-04 | 백승진 | 철판절곡장치 |
JP2020131272A (ja) * | 2019-02-25 | 2020-08-31 | 株式会社吉野機械製作所 | プレス機械 |
JP2020192575A (ja) * | 2019-05-28 | 2020-12-03 | 株式会社吉野機械製作所 | プレス機械 |
-
2021
- 2021-03-12 KR KR1020210032647A patent/KR102273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4822A (ja) * | 1987-12-12 | 1989-06-16 | Yutaka Seiko:Kk | 折曲げ機の折曲げ幅変更装置 |
KR20110082211A (ko) * | 2010-01-11 | 2011-07-19 | 차재욱 | 금속판 케이스 성형 장치 |
KR101300135B1 (ko) * | 2013-05-21 | 2013-08-26 | 문운하 | 대형 금속판 절곡을 위한 탈부착형 절곡보조장치 |
KR200488218Y1 (ko) | 2018-09-05 | 2018-12-28 | 한정승 | 방화문 제작용 철판절곡장치 |
JP2020131272A (ja) * | 2019-02-25 | 2020-08-31 | 株式会社吉野機械製作所 | プレス機械 |
JP2020192575A (ja) * | 2019-05-28 | 2020-12-03 | 株式会社吉野機械製作所 | プレス機械 |
KR102039978B1 (ko) | 2019-06-03 | 2019-11-04 | 백승진 | 철판절곡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1661A (zh) * | 2022-06-29 | 2022-09-30 | 江苏中海重型机床有限公司 | 一种可实现自翻面效果的数控折弯机 |
CN115121661B (zh) * | 2022-06-29 | 2023-11-07 | 江苏中海重型机床有限公司 | 一种可实现自翻面效果的数控折弯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44472Y2 (ko) | ||
KR102273226B1 (ko) | 절곡 시스템 | |
KR20100048149A (ko) | 가공용 지그장치 | |
CN105916606A (zh) | 压弯机 | |
JP2016511170A (ja) | 金型位置決め装置 | |
JP3222295U (ja) | バーフィーダーのリフティング機構 | |
CN105149915B (zh) | 一种定位销快速压装装置和方法 | |
KR100875708B1 (ko) | 절곡기의 베드 크라운닝 장치 | |
CN111468609A (zh) | 一种汽车天窗导轨铝材压弯装置 | |
KR102320588B1 (ko) | 홀 성형 장치 | |
CN211764153U (zh) | 一种机架和一种印花机 | |
CN212310601U (zh) | 汽车天窗导轨铝材压弯装置 | |
KR20140001897U (ko) | 높이조절 플레이트 | |
CN207188452U (zh) | 光整机工作辊机架 | |
CN210769679U (zh) | 一种架高型钢格板 | |
JP3238223U (ja) | 荷役物運搬機の水平レベル調整機構 | |
CN211614709U (zh) | 一种汽车总拼焊装夹具 | |
KR102426778B1 (ko) | 프로파일 가공 시스템 | |
CN218322370U (zh) | 垫石施工中预埋管的定位工装 | |
KR20160125067A (ko) | Ss기의 장비교환장치 | |
CN219724154U (zh) | 一种液压校平机 | |
CN219865004U (zh) | 复杂地质环境下盾构隧道钢结构可调始发托架装置 | |
JP2611100B2 (ja) | パンチプレス加工機 | |
CN212121290U (zh) | 一种具有挠度补偿功能的单缸折弯机 | |
CN219075078U (zh) | 一种数控车床辅助平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