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57Y1 -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 Google Patents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57Y1
KR200488157Y1 KR2020180001976U KR20180001976U KR200488157Y1 KR 200488157 Y1 KR200488157 Y1 KR 200488157Y1 KR 2020180001976 U KR2020180001976 U KR 2020180001976U KR 20180001976 U KR20180001976 U KR 20180001976U KR 200488157 Y1 KR200488157 Y1 KR 200488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liding
guide groove
lower case
we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이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용 filed Critical 이상용
Priority to KR2020180001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61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attachable to other devices or furniture, e.g. crib, commode or s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11/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drawer-and-she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는, 물티슈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물티슈 수용부의 온도를 높여 유지하는 가온부를 구비하는 가온기로서, 상기 케이스를, 내면에 제2 결합부(350)를 형성하고 한쪽 측면은 개방된 하부케이스(300)와 밑면에 제1 결합부(250)를 형성하여 상기 제2 결합부(35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300) 내부로 설치되는 슬라이딩케이스(200) 및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슬라이딩케이스(200)를 덮는 상부케이스(1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는, 젖병 수용부(210)가 위치하는 전방케이스(230)와 물티슈 수용부(220)가 위치하는 후방케이스(240)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를 인출하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1 결합부(250)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제2 결합부(350)를 따라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젖병 수용부(2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WIPES WARMER WITH SLIDING TYPE BABY BOTTLE CONTAINER}
본 고안은 물티슈와 젖병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가온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티슈 수용부는 상기 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젖병 수용부는 필요할 때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가온기에 관한 것이다.
아기의 기저귀를 교환할 때처럼 아기 피부를 닦아줄 필요가 있으면 흔히 물티슈를 사용한다. 그런데 상온에서 보관한 물티슈는 아기의 체온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아기의 피부에 접촉시키면 차가운 냉기에 아기가 놀라 우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 이러한 문제가 더 심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히팅부가 설치된 박스형 케이스의 내부에 물티슈를 넣고 가온하여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물티슈 가온장치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59199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85435호 등으로 제안된바 있다.
한편, 우유나 분유를 아기들에게 먹일 때 젖병을 많이 사용하는데, 우유는 먹기 좋은 온도로 데우고 분유는 더운물에 타서 담는다. 그리고 아기가 우유나 분유를 섭취할 때는 먹다가 쉬기를 반복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잠시 먹기를 쉬는 동안에 젖병이 식으면 내용물을 다시 데워야 한다.
이때 우유나 분유를 젖병 채 데우면 편리하므로, 젖병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히팅부를 설치하여 일정한 온도로 젖병을 가온한 뒤,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젖병 가온장치가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77018호, 한국 등록특허 제1654328호 등에서 제안된바 있다.
한편, 물티슈나 젖병의 가온장치는 그 원리와 장치구조가 비슷한 점이 많다. 따라서, 이를 장치를 따로따로 구비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 보고, 물티슈와 젖병을 하나의 케이스에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든 가온장치가 중국 실용신안등록 CN 201987197 U호로 제안된바 있다.
상기 CN 201987197 U호에 나타난 종래기술은 하나의 하우징에 젖병 수용실과 물티슈 수용실을 각각 형성한 후, 가온용 열전도판을 두 수용실에 걸쳐 넓게 설치함으로써 두 수용실을 동시에 가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물티슈 수용실에 수용된 물티슈를 항상 따뜻한 상태로 유지해주기 위해 장치를 가동하면, 젖병의 수용 여부와 관계없이 젖병 수용실도 가온된다.
그런데 이 종래기술은 젖병 수용실이 물티슈 수용실과 병렬로 나란히 설치되되 공간이 분리된 구조를 가지므로, 가온 작동 시 젖병 수용실이 빈 상태라면 젖병 수용실의 가온에 사용된 에너지는 거의 낭비되고 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종래기술은 원통 형상의 젖병 수용실이 사각통 형상의 물티슈 수용실을 나란히 붙여놓은 형태이므로, 그 형상의 차이로 인해 통일된 안정적 미감을 소비자에게 주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59199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85435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77018호 한국 등록특허 제1654328호 중국 실용신안등록 CN 201987197 U호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젖병 수용실과 물티슈 수용실을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젖병과 물티슈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용실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구조를 단순화하고, 특히, 젖병 수용실은 가온이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로 인출시켜 가온할 수 있는 구조의 젖병 및 물티슈 가온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는, 내면에 제2 결합부를 형성하고 한쪽 측면은 개방된 하부케이스와 밑면에 제1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설치되는 슬라이딩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슬라이딩케이스를 덮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전체 케이스가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케이스는 젖병 수용부가 위치하는 전방케이스와 물티슈 수용부가 위치하는 후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를 인출하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의 제1 결합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제2 결합부를 따라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전방케이스의 젖병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전방케이스의 밑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홈과 상기 후방케이스의 밑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홈 및 제3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과 결합하도록 상기 전방케이스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돌기와, 상기 2 가이드홈과 결합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3 가이드돌기와 결합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한 제3 가이드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케이스 측면에 형성한 측면 가이드홈과, 상기 측면 가이드홈에 결합하도록 상기 전방케이스 측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한 측면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젖병 수용부와 물티슈 수용부가 하나의 케이스 속에 분리되지 않은 공간으로 형성하므로, 가온 작동 시 젖병 수용실이 빈 상태일 때 젖병 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물티슈 수용부의 가온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로 완전히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딩케이스를 구비하므로, 젖병 수용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젖병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케이스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로 삽입하여 제품의 외관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만들고, 제품 크기도 소형화할 수 있지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슬라이딩케이스의 밑면과 하부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제1 가이드돌기와 제1 가이드홈, 제2 가이드돌기와 제2 가이드홈 및 제3 가이드돌기와 제3 가이드홈을 분리 형성한 후 서로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하부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케이스를 인출할 때, 젖병수용부 부분만 노출되도록 인출 길이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슬라이딩케이스의 측면과 하부케이스의 내면 사이에, 측면 가이드홈과 측면 가이드돌기를 추가로 형성하여, 하부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케이스를 인출할 때 슬라이딩케이스의 들림 현상이나 슬라이딩케이스가 하부케이스 상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이루는 각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두께나 구성요소 크기 등은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같은 종류의 구성요소를 다른 도면에 도시할 때는 가능한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가 도시된 도면상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실시례의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하는 것일 뿐이며 어떤 제한을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에 붙인 명칭이나 고안의 설명에 사용하는 용어는 다른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 관행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한 명칭이나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구성이나 기능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전체 구성을 사시도로 보여주고 있는데, 그 구성은 크게 상부케이스(100)와 슬라이딩케이스(200) 및 하부케이스(300)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케이스(100)는 하부케이스(300)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하로 회전 개폐할 수 있으며,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30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슬라이딩케이스(200)가 위치한다.
본 실시례의 상부케이스(100)는 전방 쪽 측면과 하면이 개방된 납작한 상자형태로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00)의 개방되지 않은 후방 쪽 측면의 하단에는 하부케이스(300)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돌기(130)를 형성한다. 상부케이스(100)의 전방 쪽 개방부분의 상부에는 케이스 상면을 앞쪽으로 약간 돌출시켜 손잡이부(140)를 형성한다.
상부케이스(100)의 상면에는 물티슈를 뽑아내기 위한 뚜껑(110)과 이 뚜껑을 여닫기 위한 개폐버튼(120)을 형성한다.
뚜껑(110)은 상부케이스 상에 한 쌍의 힌지(112)로 일단을 결합하여 상하로 회전 개폐한다. 이때 한 쌍의 힌지(112) 주변에는 탄성체(미도시)를 설치하여, 뚜껑(110)이 열리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 중에서 취사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힌지(112)가 설치된 일단의 반대편 끝 부분에는 뚜껑 걸림부(111)를 설치한다. 본 실시례의 뚜껑 걸림부(111)는 돌출된 걸림턱 형태로 형성된다.
개폐버튼(120)은 뚜껑(110) 쪽 일단에 개폐버튼 걸림부(121)가 오목한 걸림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누름부(122)로 현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부(122)를 누르면 개폐버튼 걸림부(121)쪽이 살짝 들리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개폐버튼 걸림부(121)의 걸림홈은 뚜껑 걸림부(111)의 걸림턱이 걸려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누름부(122)를 눌러 개폐버튼 걸림부(121)를 상방으로 들면 뚜껑 걸림부(111)가 걸림턱이 빠져나가 뚜껑이 열리게 된다. 이러한 설치 구성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례의 상부케이스(100)는 뚜껑(110)의 하부에 작은 8자 형 구멍을 뚫어 물티슈 인출구(113)를 형성하였는데, 이 8자 형 구멍은 층층이 쌓인 물티슈를 뽑을 때, 물티슈가 한 장씩 분리되기 쉽도록 돕는다.
하부케이스(300)는 전방 측면과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태로 형성된다.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되지 않은 후방 측면의 상단에는, 상부케이스(100)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결합홈(330)을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결합돌기(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홈(330)과 결합돌기(130)가 서로 결합하면, 하부케이스(300)와 상부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빈 박스 형태를 이루게 되어, 그 내부공간에 후술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를 삽입할 수 있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를 인출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제2 결합부(350)를 형성하는데, 후술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1 결합부(250)와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대응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00)에는 하부케이스 내벽(30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보조턱(302)을 형성한다. 보조턱(302)의 높이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올림턱(202)을 올려놓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한다.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올림턱(201)이 보조턱(302) 위에 올려지면, 제1 결합부(250)가 형성된 슬라이딩케이스(200) 밑면이 제2 결합부(350)가 형성된 하부케이스(300)의 내면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된 입구 쪽의 보조턱(302) 측면에는 하부케이스(300)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측면 가이드돌기(3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결합부(350)를 이루는 주요 구성 요소는 제1 가이드돌기(351), 제2 가이드돌기(354) 및 제3 가이드홈(355) 등이다.
제1 가이드돌기(351)는 하부케이스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며,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된 전방 측면 입구 쪽에 좌우로 벌려 한 쌍을 설치한다. 제1 가이드돌기(35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슬라이딩케이스(200) 내부공간으로 일정 높이 돌출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한다.
제2 가이드돌기(354)는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수평으로 길게 누운 막대 형상으로 좌우로 벌려 한 쌍을 형성하되, 그 길이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2 가이드홈(254) 길이와 서로 맞추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이드홈(355)은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수평으로 형성한 기다란 홈이며, 좌우로 벌려 한 쌍을 형성하고, 그 길이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후방케이스(240) 전후 길이만큼 형성하고, 제3 가이드홈(355)의 후방 쪽 한 부분에는 결합보조돌기(353)를 돌출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케이스(300)는 젖병 수용부(210)를 포함하는 전방케이스(230)와 물티슈 수용부(220)를 포함하는 후방케이스(240)로 구분된다.
전방케이스(230)는 후방 쪽을 개방하고, 앞쪽 면과 양 측면 및 바닥면은 벽으로 폐쇄하며, 상면에는 젖병(400)을 꽂을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이 구멍의 테두리에는 탄성을 가진 고무 막 같은 재료로 환형막(211)을 형성하여, 젖병을 꽂았을 때 젖병 둘레가 환형막(211)으로 밀폐되어 젖병 수용부(210) 내부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된 전방 측면 입구 쪽의 보조턱(302) 측면에 형성한 측면 가이드돌기(352)를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전방케이스 측면(201)의 대응위치에 측면 가이드홈(25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가이드홈(252)은 전방케이스(23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슬라이딩 케이스(200) 인출 시 측면 가이드홈(252)을 따라 측면 가이드돌기(352)가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케이스(230)의 전면에는 슬라이딩케이스(200)를 인출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3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손잡이(310)를 빛 투과성 재료로 형성하고 손잡이 내부에 소형 전기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전원이 투입되어 가온 동작 중인지 여부를 표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례에서는 전방케이스(230)의 전면으로 전원플러그(320)가 인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전원플러그(320) 인출 위치는 변경할 수 있다.
후방케이스(240)는 양 측면 및 바닥면을 벽으로 막은 형태이며, 후방 쪽과 앞쪽 및 상면은 모두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공간이 물티슈 수용부(220)가 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후방케이스(240)의 물티슈 수용부(220)는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젖병 수용부(230)와 서로 통하여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후방케이스(260)의 외측 측벽에는 가열부(260)를 형성한다.
가열부(260)는 열전도판(261), 발열체(263), 발열체커버(262), 전선(2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전도판(261)은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하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케이스(240)와 전방케이스(230)의 측벽 전체에 걸쳐 넓게 부착하여 설치한다.
발열체(263)는 전력 소모가 적고 고온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거의 생기지 않는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C히터는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저항이 함께 커지면서 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온도를 낮추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은 낮아지고 전류의 양은 증가하여 다시 발열이 시작되는 원리의 발열체이므로, 본 고안처럼 물티슈나 젖병을 일정한 온도로 가온하거나 보온하는데 적합하다.
상기 발열체(263)는 열전도판(261)에 접촉시켜 설치하고 발열체커버(262)로 덮어 고정한다.
발열체(263)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264)은 상기 전원플러그(320)에서 연장된 도선이다.
본 고안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가열부(260)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케이스(240) 쪽 가열부(260) 상부에 보호덮개(241)를 설치한다. 전방케이스(230) 쪽 열전도판(261)은 전방케이스 측면(201) 내부로 설치하므로 별도의 보호덮개가 불필요하다.
하부케이스(300)의 내면과 마주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밑면에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결합부(250)는 전방케이스(230)의 밑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홈(251)과 후방케이스(240)의 밑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홈(254) 및 제3가이드 돌기(25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밑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홈(251)은, 전방케이스(230) 하부 바닥면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완전히 뚫어 형성한 관통홈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제1 가이드돌기(351)를 관통시켜 결합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케이스(200) 인출 시 제1 가이드홈(251)을 따라 제1 가이드돌기(351)가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홈(25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물티슈 수용부(220)로 넘어가는 경계부에 정지턱(256)을 형성하여, 상대 이동하는 제1 가이드돌기(351)가 걸려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후방케이스(240)의 밑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홈(254)은 후방케이스(240) 밑면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파서 형성한 홈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 가이드홈(254)은 전방케이스(230) 하부 바닥면을 완전히 뚫어 놓은 관통홈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관통하지 않는 기다란 홈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제2 가이드홈(254)에는 하부케이스(300)의 제2 가이드돌기(354)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케이스(200) 인출 시 서로 상대 이동한다.
상기 후방케이스(240)의 후방 쪽 밑면에는 제3 가이드돌기(253)를 돌출편 형태로 튀어나오게 형성한다.
상기 제3 가이드돌기(253)는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기다란 홈 형태로 형성한 제3 가이드홈(355)에 끼워지며, 슬라이딩 케이스(200)를 인출하거나 밀어 넣을 때 제3 가이드홈(355)을 따라 이동한다.
하부케이스(300)의 제3 가이드홈(355)을 한 쌍으로 형성하였으며, 이에 끼워지는 상기 제3 가이드돌기(253)도 한 쌍으로 형성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례의 하부케이스(300)와 슬라이딩케이스(200)의 결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3 가이드돌기(253)를 후방케이스(300)의 제3 가이드홈(355)에 끼워 넣는다. 이때 제3 가이드홈(355)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보조돌기(353) 쪽으로 홈으로 제3 가이드돌기(253)를 끼우면, 제3 가이드돌기(253)의 양 측면이 결합보조돌기(353)의 내면에 닿아 미끄러지므로, 제3 가이드돌기(253)가 제3 가이드홈(355)으로 쉽게 유도된다.
제3 가이드돌기(253)가 제3 가이드홈(355)으로 끼워지면 슬라이딩케이스(200)가 하부케이스(300) 내부공간의 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 가이드돌기(354)와 제2 가이드홈(254), 제1 가이드돌기(351)와 제1가이드 홈(251)도 서로 끼워 맞춰지게 된다.
이 상태로 하부케이스(300)의 상방에서 슬라이딩케이스(200)를 하부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밀어 넣어 결합시킨다.
그런데 하부케이스(300)에 측면 가이드돌기(352)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방에서 밀어 넣는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전방케이스 하단모서리가 튀어나온 측면 가이드돌기(352)에 걸려, 밀어 넣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는 하부케이스 전방 입구 부분의 양 측벽을 좌우로 벌려 슬라이딩케이스(200)를 밀어 넣으면, 측면 가이드돌기(352)를 전방케이스 측면(201)의 측면 가이드홈(252)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례의 하부케이스(300)는 약간의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측면 가이드홈(252)에 하부케이스(300)의 측면 가이드돌기(352)가 삽입되면, 슬라이딩케이스(200)가 상부 방향으로 당겨져도 하부케이스로(300)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시판되는 물티슈(500)는 수십 장을 적층 하여 사각형태의 비닐 팩으로 포장하여 판매되고, 이 비닐 팩의 상면에는 인출구가 있어서 물티슈를 한 장씩 뽑아 쓸 수 있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케이스(100)를 열고, 물티슈 수용부(220)에 상기 비닐 팩을 통째로 넣은 후 상부케이스(100)를 닫아 물티슈를 보관할 수 있다.
수용된 물티슈를 가온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원플러그(320)로 가열부(260)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체(263)를 작동시키면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판(261) 전체로 전도된다.
열전도판(261)은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측벽 외부면에 전체적으로 넓게 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측벽 자체가 가열되고, 이 측벽 내면은 슬라이딩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즉 물티슈 수용부(250)와 젖병 수용부(210)를 데우는 발열벽(270)(도 3 참조)이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젖병 수용부(21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케이스(200)가 통째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고, 젖병 수용부(210)와 물티슈 수용부(250)는 하나의 공간으로 통하여 있으므로, 젖병 수용부(210) 쪽 발열벽(270)에서 발생하는 열도 그대로 물티슈를 가온하는데 이용되고 열손실은 최소화된다.
가온된 물티슈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개폐버튼(120)의 누름부(122)를 눌러 개폐버튼(120)의 앞쪽을 살짝 들어올린다. 그러면 개폐버튼 걸림부(121)에 걸려 있던 뚜껑 걸림부(111)가 떨어지면서 뚜껑(110)이 열리므로, 물티슈 인출구(113)를 통해 물티슈를 한 장씩 뽑아 낼 수 있게 된다.
상부케이스(100)가 닫힌 상태에서, 젖병(400)을 보온하고자 할 때는 슬라이딩케이스(200) 전면의 손잡이(310)을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가이드돌기(351)가 제1 가이드홈(251)을 따라 상대 이동하다가 정지턱(256)에 걸려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인출이 중지된다.
그리고 이때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1 결합부(250)와 하부케이스(300)의 제2 결합부(350) 사이의 상호 결합 구성요소인 제2 가이드돌기(354)와 제2 가이드홈(254), 제3가이드 돌기(253)와 제3 가이드홈(355)도 서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젖병 수용부(210) 쪽만 상 하부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이때 물티슈 수용부(250)에 수용되어 있는 물티슈는 제1 가이드돌기(351)에 막혀, 인출된 젖병 수용부(210) 쪽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므로, 인출된 젖병 수용부(210) 쪽은 빈 공간으로 남는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젖병(400)을 젖병 수용부(210)에 삽입하고 전원을 투입하면, 젖병(400)을 일정한 온도로 보온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물티슈(500)의 보온 상태도 유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례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상부케이스
110: 뚜껑 111: 뚜껑 걸림부
112: 힌지 113: 물티슈 인출구
120: 개폐버튼 121: 걸림부
122: 누름부 130: 결합돌기
140: 손잡이부
200: 슬라이딩케이스
201: 전방케이스 측면 202: 올림턱
210: 젖병 수용부
211: 환형막 220: 물티슈 수용부
230: 전방케이스
240: 후방케이스 241: 보호덮개
250: 제1 결합부 251: 제1 가이드홈
252: 측면 가이드홈 253: 제3 가이드돌기
254: 제2 가이드홈 256: 정지턱
260: 가열부 261: 열전도판
262: 발열체커버 263: 발열체
264: 전선 270: 발열벽
300: 하부케이스
301: 하부케이스 내벽 302: 보조턱
310: 손잡이 320: 전원플러그
330: 결합홈 350: 제2 결합부
351: 제1 가이드돌기 352: 측면 가이드돌기
353: 결합보조돌기 354: 제2 가이드돌기
355: 제3 가이드홈
400: 젖병 500: 물티슈

Claims (3)

  1. 물티슈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물티슈 수용부의 온도를 높여 유지하는 가온부를 구비하는 가온기로서,

    상기 케이스는,
    내면에 제2 결합부(350)를 형성하고 한쪽 측면은 개방된 하부케이스(300)와,
    밑면에 제1 결합부(250)를 형성하여 상기 제2 결합부(35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300) 내부로 설치되는 슬라이딩케이스(200), 및
    상기 하부케이스(300)와 슬라이딩케이스(200)를 덮는 상부케이스(10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는,
    젖병 수용부(210)가 위치하는 전방케이스(230)와 물티슈 수용부(220)가 위치하는 후방케이스(240)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를 인출하면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1 결합부(250)가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제2 결합부(350)를 따라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젖병 수용부(210)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250)는,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밑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홈(251)과 상기 후방케이스(240)의 밑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홈(254) 및 제3 가이드돌기(2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350)는,
    상기 제1 가이드홈(251)과 결합하도록,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300)의 내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돌기(351)와,
    상기 제2 가이드홈(254)과 결합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240)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300)의 내면에 형성한 제2 가이드돌기(354), 및
    상기 제3 가이드돌기(253)와 결합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240)의 밑면과 마주보는 하부케이스(300)의 내면에 형성한 제3 가이드홈(355)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케이스(230)의 밑면에 형성한 제1 가이드홈(251)은,
    전방케이스(230) 하부 바닥면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뚫은 관통홈으로 형성하여, 상기 하부케이스(300)의 제1 가이드돌기(351)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관통홈에는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200)가 인출된 상태일 때의 젖병 수용부(210)와 물티슈 수용부(220)의 경계부에 정지턱(25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케이스(200) 인출 시에 상기 제1 가이드홈(251)을 따라 제1 가이드돌기(351)가 상대 이동하다가, 상기 정지턱(256)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하부케이스(300)의 내면에 형성한 제3 가이드홈(355)은,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기다란 홈으로 형성하되, 그 길이를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의 후방케이스(240) 전후 길이만큼 형성하고,
    상기 제3 가이드홈(355)의 후방 쪽 한 부분에는 결합보조돌기(353)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케이스(200)의 제3 가이드돌기(253)를 후방케이스(240)의 제3 가이드홈(355)에 끼워 넣을 때, 상기 제3 가이드돌기(253)가 상기 결합보조돌기(353)의 내면에 닿아 미끄러지면서 제3 가이드홈(355)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1976U 2018-05-04 2018-05-04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KR200488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6U KR200488157Y1 (ko) 2018-05-04 2018-05-04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76U KR200488157Y1 (ko) 2018-05-04 2018-05-04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57Y1 true KR200488157Y1 (ko) 2019-03-13

Family

ID=6572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76U KR200488157Y1 (ko) 2018-05-04 2018-05-04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5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20B2 (ja) * 1991-03-26 2000-11-13 光計測技術開発株式会社 InGaAsP四元混晶のエッチ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20B2 (ja) * 1991-03-26 2000-11-13 光計測技術開発株式会社 InGaAsP四元混晶のエッチン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148B1 (ko) 도시락
US7252209B2 (en) Inverted wet wipe dispenser
US5210396A (en) Baby wipe warmer apparatus
US4446972A (en) Storage device for a portable hair dryer or the like
US6528766B1 (en) Combination baby bottle and baby wipes container with integral warmer
US10034586B2 (en) Permanent wet wipe dispensing container with decorative faceplate installed into a wall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KR200488157Y1 (ko) 인출식 젖병 수용부를 구비한 물티슈 가온기
US20130020346A1 (en) Apparatus for storing, warming, and dispensing cleansing tissue and the like
EP1707092A1 (en) Inverted wet wipe dispenser
CN212788367U (zh) 湿纸巾加热器
JP3736764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加熱装置
KR20220083246A (ko) 상부인출구조를 갖는 화장품냉장고
CN220355762U (zh) 一种外置加热盒化妆品冰箱
US20150305090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CN212788363U (zh) 湿纸巾加热器
KR101226116B1 (ko) 욕실 수납장의 습기 제거 및 거울의 김 서림 방지 장치
CN210446748U (zh) 一种便携式电热棒
CN220585086U (zh) 一种发热床垫用防误触开关结构
JPH1119218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加熱装置
JP6954658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ウォーマー
CN210259195U (zh) 一种吹风机收纳盒
US7227100B2 (en) Warmer for warming wiper and fluid container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KR200379426Y1 (ko) 주걱걸이를 구비한 전기 밥솥
KR200167428Y1 (ko) 보온밥통의 다기능 위생 건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