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39Y1 - 조립식 보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39Y1
KR200488139Y1 KR2020180003485U KR20180003485U KR200488139Y1 KR 200488139 Y1 KR200488139 Y1 KR 200488139Y1 KR 2020180003485 U KR2020180003485 U KR 2020180003485U KR 20180003485 U KR20180003485 U KR 20180003485U KR 200488139 Y1 KR200488139 Y1 KR 200488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center
deck
link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선
Original Assignee
이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선 filed Critical 이희선
Priority to KR2020180003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관체의 삽탈 구조 및 절첩 구조를 통한 보트의 프레임 구성 및 공기 주입을 통한 부력 구조 및 공기 주입을 통한 갑판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하고, 분해 조립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특히 부피의 최소화 구현에 따른 운반이나 보관 등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프레임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보트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 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보트{foldable boat}
본 고안은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를 구성함에 있어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제작상의 편리함과 분해 조립의 편리함 및 운반이나 보관 등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저인구가 증가하면서 물놀이, 낚시 등과 같이 수상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많은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레저용 보트의 이용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레저용 보트는 공기주입식 튜브의 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력식 모터 또는 수동식 노를 이용하여 튜브 본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튜브용 보트는 안전상의 문제로 기피시되고 있으며, 통상의 동력식 보트의 경우 철재, 목재 또는 FRP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보트를 강이나, 호수에 정박하여 보관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하고 난 보트를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여야 되는데, 이들의 운반을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트레일러가 마련되어야만 하는 등 보관상의 문제와 운반상의 문제 및 대부분 고가이어서 그 사용층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구조를 가지는 레저용 조립식 보트가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통상의 레저용 조립식 보트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구성된 것인바,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고서는 그 조립 등이 어려워 사용이 기피시되고 있으며, 제작상의 번거로움으로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분해 보관을 하더라도 상당한 부피로 인해 보관상의 문제점과, 사용처로 운반 하였다 하더라도 해변으로의 이동 또한 용이하지 못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42454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82294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관체의 삽탈 구조 및 절첩 구조를 통한 보트의 프레임 구성 및 공기 주입을 통한 부력 구조 및 공기 주입을 통한 갑판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그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하고, 분해 조립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특히 부피의 최소화 구현에 따른 운반이나 보관 등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보트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 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조립식 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전,후 길이를 가지며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는 튜브 형태의 부력구;
각측에 전,후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부력구를 일정 간격으로 감싸 고정하는 다수의 부력구 고정부와, 대항되는 양측 부력구 고정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력구 연결대와, 부력구 고정부와 부력구 연결대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복수의 절첩형 갑판 설치대로 된 프레임부; 및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 주입식 매트로 된 갑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각각의 부력구 고정부는,
각각의 부력구 고정부는,
부력구가 팽창시 그 부력구를 압박 고정하는 부력구 고정링과, 부력구 고정링의 상부에 형성되며 대항측으로 개방되는 관체 형태의 연결대 결합관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부력구 연결대는,
부력구와 직각 방향 배치되는 관체형 고정관과,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양측 연결대 결합관에 삽입 및 볼팅 조립되며 타단은 고정관에 삽입 고정되는 삽탈관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갑판 설치대는,
전,후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양단이 각단의 전,후 이격되는 연결대 결합관의 상단에 볼팅 결합되며 각각에는 2개 한 조의 싸이드 슬라이더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싸이드 고정대와, 전,후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전,후 이격되는 부력구 연결대의 상부에 안착되며 각각에는 2개 한 조의 중앙 슬라이더가 형성된 복수의 중앙 안착대와,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와 일측의 중앙 안착대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1 링크부와, 양측의 중앙 안착대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2 링크부와, 타측의 중앙 안착대와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3 링크부로 구성하되,
각각의 연결대 결합관에는 직각 방향으로 설치대 결합편이 형성되어 연결대 결합관이 안착 및 볼팅 결합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조립식 보트는, 갑판의 지지와 부력구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가 관체의 삽탈 구조 및 절첩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분리 구성에 따른 제작이 매우 편리하고, 삽입 및 절첩을 통한 조립 구졸르 이루는 것인바, 그 조립 및 분해가 매우 편리하며, 특히 부피를 가장 많이 차지하는 부력구 및 갑판의 구조가 튜브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미사용시 부피가 최소화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부가 전,후 길이가 절첩부의 수량 조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사용 환경 및 조건에 따라 크기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프레임부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갑판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폭 조절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프레임부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는, 부력구(100)(100')와, 프레임부(200)와, 갑판(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부력구(100)(100')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를 구성함에 있어 물 뜰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은 전,후 길이를 가지면서 공기가 주입되는 원통형 튜브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부력구(100)(10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일측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도면중 미도시함)가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를 구성함에 있어 뼈대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부력구(100)(100')의 고정 연결 및 후술하는 갑판(300)의 설치가 가능하게 하며, 부력구 고정부(210)(210')와, 부력구 연결대(220)(220')와, 갑판 설치대(230)(230')로 구성된다.
먼저, 부력구 고정부(210)(210')는 상기 각각의 부력구(100)(100')의 고정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부력구(100)(100')에 해당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구성되며, 양측은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되,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부력구(100)(10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4개조를 이루게 구성함이 안정감 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부력구 고정부(210)(210')는 먼저, 상기 부력구(100)(100')가 관통되어 감싸지는 원형링 형태의 부력구 고정링(211)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부력구(100)(100')가 부력구 고정링(211)의 내부에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시 그 부력구(100)(100')의 둘레를 압박 고정하게 구성된다.
또한, 부력구 고정링(211)의 상부에는 양측의 대항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관체형 연결대 결합관(212)이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대 결합관(212)의 상부에는 그 연결대 결합관(212)과 직각 방향으로 후술하는 갑판 설치대(230)(230')의 안착 설치가 가능하도록 설치대 결합편(213)이 양측 또는 일측으로 돌출 구성된다.
상기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양측의 부력구(100)(100')를 서로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4개조의 부력구 고정부(210)(210')에 해당하게 4개가 한 조를 이루어 전,후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먼저, 부력구(100)(100')과 직각 방향 즉, 본 고안 조립식 보트(1)의 폭 방향 길이를 이루며 관통된 관체형 고정관(221)이 구성된다.
또한,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상기 고정관(221)의 양측에 결합 및 양측의 연결대 결합관(212)과 결합되는 양측 한 쌍의 삽탈관(222)(222')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삽탈관(222)(222')은 그 일단이 양측 부력구 고정부(210)(210')의 연결대 결합관(212)에 각각 삽입 및 볼팅 결합되게 구성되고, 각각의 타단이 고정관(221)의 양측에 삽입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관(221)과 삽탈관(222)(222')은 삽탈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고정관(221)에는 그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공(221a)(221a')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삽탈관(222)(222')의 고정관(221) 삽입측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공(221a)(221a')에 걸림 고정되는 볼플런저(222a)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볼플런저(222a)는 통상의 스프링 탄력에 의해 볼이 출몰 작동하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즉,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고정관(22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 삽탈관(222)(222')을 통해 양측의 부력구(100)(100')를 연결하게 구성되며, 각각의 삽탈관(222)(222')은 고정관(221)으로부터 슬라이딩 삽탈 되어 양측 부력구(100)(1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갑판 설치대(230)(230')는 양측 부력구(100)(100')를 서로 연결 하는 한편 조절된 폭에 해당하게 고정 가능하게 하며, 후술하는 갑판(300)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각각의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사이에 해당하게 복수개 구성하되, 본 고안에서는 3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갑판 설치대(230)(230')는 먼저, 상기 양측의 부력구 고정부(210)(210')에 결합되는 양측 한 쌍의 싸이드 고정대(240)(240')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싸이드 고정대(240)(240')는 전,후 길이를 이루는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 싸이드 고정대(240)(240')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2개 한 조의 싸이드 슬라이더(241)(241')가 각각 구성된다.
또한,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상기 싸이드 고정대(240)(240')의 사이에서 그 싸이드 고정대(240)(240')와 동일한 길이와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열의 관체형 중앙 안착대(250)(250')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중앙 안착대(250)(250')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2개 한 조의 중앙 슬라이더(251)(251')가 각각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 안착대(150)(250')의 수량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트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열 구성 적용한다.
또한,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상기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일측의 중앙 안착대(250)를 연결하여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제1 링크부(260)가 구성된다.
이때, 제1 링크부(260)는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바"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제1 링크바(261)(261')로 구성된 것으로, 한 쌍의 제1 링크바(261)(261')는 그 중앙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1 링크바(261)(261')의 단부는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X"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에 힌지(H) 연결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제1 링크바(261)(261') 단부는 각각 싸이드 슬라이더(241)(241')와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싸이드 고정대(240)와 중앙 안착대(250)의 사이 폭이 절첩 조절됨에 있어 그 싸이드 슬라이더(241)(241')와 중앙 슬라이더(251)(251')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상기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250')를 연결하여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제2 링크부(270)가 구성된다.
이때, 제2 링크부(270)는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바"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제2 링크바(271)(271')로 구성된 것으로, 한 쌍의 제2 링크바(271)(271')는 그 중앙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 링크바(271)(271')의 단부는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2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X"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250')에 힌지(H) 연결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제2 링크바(271)(271') 단부는 각각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250')의 사이 폭이 절첩 조절됨에 있어 그 중앙 슬라이더(251)(251')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상기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를 연결하여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제3 링크부(280)가 구성된다.
이때, 제3 링크부(280)는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바"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제3 링크바(281)(281')로 구성된 것으로, 한 쌍의 제3 링크바(281)(281')는 그 중앙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3 링크바(281)(281')의 단부는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H) 연결되어 "X"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에 힌지(H) 연결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제3 링크바(281)(281') 단부는 각각 싸이드 슬라이더(241)(241')와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싸이드 고정대(240')와 중앙 안착대(250')의 사이 폭이 절첩 조절됨에 있어 그 싸이드 슬라이더(241)(241')와 중앙 슬라이더(251)(251')의 슬라이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갑판 설치대(230)(230')는 부력구 고정부(210)(210')와 결합되어 양측의 부력구(100)(100')를 연결 고정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양측의 싸이드 고정대(240)(240')의 양단이 부력구 고정부(210)(210')의 전,후 연결대 결합관(212)의 설치대 결합편(213)에 안착 및 볼팅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갑판 설치대(230)(230')는 싸이드 고정대(240)(240')를 통해 양측 부력구(100)(100')를 연결 고정하는 한편, 상기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길이 조절시 제1,2,3 링크부(260)(270)(280)의 절첩 작동에 의해 그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길이 조절에 따른 폭 조절 대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갑판(300)은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탑승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갑판 설치대(230)(23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갑판(300)은 공기가 주입되는 소정 두께를 이루는 매트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일측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기 주입구(도면중 미도시함)가 구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갑판(300)은 매트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갑판 설치대(230)(230')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갑판 설치대(230)(23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갑판(300)을 갑판 설치대(230)(230')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그 유동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상부면에 밸크로테이프(231)를 형성하고, 갑판(300)의 저면에는 상기 밸크로테이프(231)와 부착력을 가지는 또 다른 밸크로테이프(310)를 형성하여 부착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갑판 설치대(230)(230')에 설치되는 밸크로테이프(231)는 갑판(300)의 싸이드 고정대(240)(240')와 중앙 안착대(250)(250')에 설치함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갑판(300)의 상부에 텐트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부력구 고정부(210)(210')의 각각의 부력구 고정링(211)에는 그 측면에 하부는 막히고 상부로 개방되는 수직상의 지주 삽입관(215)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지주 삽입관(215)의 측면에는 내부로 관통되는 가압볼트(216)가 관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주 삽입관(215)에 삽입되는 지주(4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지주(4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관체로 구성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 관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중관으로 구성시에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볼 플런저 및 고정공(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슬라이딩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지주(400)는 천막(410)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지주(400)에는 고리 등의 천막 연결수단(도면중 미도시함)이 구성되어 천막의 설치를 통한 텐트(10)의 구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 조립식 텐트(10)는 갑판(300)의 상부에 텐트(10)를 구성하여 우천시 또는 햇빛으로부터 탑승자의 보호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를 구성함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갑판(300)의 상부에 텐트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조립식 보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양측의 부력구(100)(100')와 프레임부(200)과 갑판(300)이 분리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분리 및 부력구(100)(100')와 갑판(300)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 그 부피가 상당히 축소되어 보관이나 운반시 공간 활용도가 매우 우수하게 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그 조립 사용시에도 간단한 공기 주입 및 볼팅 조립을 통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누구나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사용함에 있어, 갑판의 상부에 텐트(10)의 설치가 가능한 것인바, 탑승자로 하여금 우천시 비로부터 또는 햇빛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는 필요에 따라 그 크기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부력구 연결대(220)(220')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그 중앙의 고정관(22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의 삽탈관(222)(222')을 삽탈 조절함으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갑판 설치대(230)(230') 또한 제1,2,3 링크부(260)(270)(280)의 절첩 작동에 의해 그 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보트(1)의 폭 조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 조립식 보트(1)는 탑승자의 인원수에 따라 그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매우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100' : 부력구
200 : 프레임부 210,210' : 부력구 고정부
211 : 부력구 고정링 212 : 연결대 결합관
213 : 설치대 결합편 215 : 지주 삽입관
216 : 가압볼트 220,220' : 부력구 연결대
221 : 고정관 221a,221a' : 고정공
222,222' : 삽탈관 222a : 볼플런저
230,230' : 갑판 설치대 231 : 밸크로테이프
240,240' : 싸이드 고정대 250,250' : 중앙 안착대
260 : 제1 링크부 261,261' : 제1 링크바
270 : 제2 링크부 271,271' : 제2 링크바
280 : 제3 링크부 281,281' : 제3 링크바
300 : 갑판 310 : 밸크로테이프
400 : 지주 410 : 천막

Claims (6)

  1.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전,후 길이를 가지며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는 튜브 형태의 부력구(100)(100');
    각측에 전,후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부력구(100)(100')를 일정 간격으로 감싸 고정하는 다수의 부력구 고정부(210)(210')와, 대항되는 양측 부력구 고정부(210)(2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부력구 연결대(220)(220')와, 부력구 고정부(210)(210')와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복수의 절첩형 갑판 설치대(230)(230')로 된 프레임부(200); 및
    프레임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 주입식 매트로 된 갑판(300)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력구 고정부(210)(210')는,
    부력구(100)(100')가 팽창시 그 부력구(100)(100')를 압박 고정하는 부력구 고정링(211)과, 부력구 고정링(2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대항측으로 개방되는 관체 형태의 연결대 결합관(212)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부력구 연결대(220)(220')는,
    부력구(100)(100')와 직각 방향 배치되는 관체형 고정관(221)과,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양측 연결대 결합관(212)에 삽입 및 볼팅 조립되며 타단은 고정관(221)에 삽입 고정되는 삽탈관(222)(222')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갑판 설치대(230)(230')는,
    전,후 길이를 가지며 각각의 양단이 각단의 전,후 이격되는 연결대 결합관(212)의 상단에 볼팅 결합되며 각각에는 2개 한 조의 싸이드 슬라이더(241)(241')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싸이드 고정대(240)(240')와, 전,후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전,후 이격되는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상부에 안착되며 각각에는 2개 한 조의 중앙 슬라이더(251)(251')가 형성된 복수의 중앙 안착대(250)(250')와,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일측의 중앙 안착대(250)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1 링크부(260)와, 양측의 중앙 안착대(250)(250')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2 링크부(270)와, 타측의 중앙 안착대(250')와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240')를 연결하여 절첩 가능한 제3 링크부(280)로 구성하되,
    각각의 연결대 결합관(212)에는 직각 방향으로 설치대 결합편(213)이 형성되어 연결대 결합관(212)이 안착 및 볼팅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부력구 연결대(220)(220')의 관체형 고정관(221)에는,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고정공(221a)(221a')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삽탈관(222)(222')에는,
    고정관(221) 삽입측 측면에 어느 하나의 고정공(221a)(221a')에 탄력 고정되는 볼플런저(222a)가 각각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링크부(260)는,
    중앙이 교차 및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각각의 단부는 일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의 싸이드 슬라이더(241)(241') 및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링크바(261)(261')로 구성하며,
    제2 링크부(270)는,
    중앙이 교차 및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각각의 단부는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250')의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링크바(271)(271')로 구성하며,
    제3 링크부(280)는,
    중앙이 교차 및 힌지(H)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타측의 싸이드 고정대(240')와 이웃하는 중앙 안착대(250')의 싸이드 슬라이더(241)(241') 및 중앙 슬라이더(251)(251')에 힌지(H)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링크바(281)(281')로 구성하되,
    각각의 제1,2,3 링크부(260)(270)(280)가 각각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5. 제 1항에 있어서,
    갑판 설치대(230)(230')에는,
    밸크로테이프(23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갑판(300)에는,
    밸크로테이프(231)와 부착 가능한 또 다른 형태의 밸크로테이프(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갑판(300)은 밸크로테이프(231)(310)의 부착에 의해 갑판 설치대(230)(230')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6.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력구 고정링(211)에는,
    하부는 막히고 상부로 개방되며, 측면에는 가압볼트(216)가 형성된 지주 삽입관(215)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지주 삽입관(215)에 삽입되는 지주(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지주(400)는 천막(410)으로 연결되어 텐트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트.
KR2020180003485U 2018-07-27 2018-07-27 조립식 보트 KR200488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85U KR200488139Y1 (ko) 2018-07-27 2018-07-27 조립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85U KR200488139Y1 (ko) 2018-07-27 2018-07-27 조립식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39Y1 true KR200488139Y1 (ko) 2018-12-18

Family

ID=6495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85U KR200488139Y1 (ko) 2018-07-27 2018-07-27 조립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623A (zh) * 2021-04-24 2021-07-06 王踵先 一种圆管装配式浮动平台结构及其生产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400Y1 (ko) * 1999-08-07 2000-02-15 진진석 에어를 이용한 다목적 수상레저기구
KR200211997Y1 (ko) * 2000-09-06 2001-02-01 지근배 레포츠용 보트
KR200242454Y1 (ko) 2001-05-18 2001-10-15 배달익 조립식 보트
US6397769B1 (en) * 1997-10-07 2002-06-04 Ernst Bullmer Twin-hulled vessel with variable widths
KR20040034339A (ko) * 2003-04-19 2004-04-28 박원일 튜브 교체식 천막형 보트
US20070181049A1 (en) * 2006-02-07 2007-08-09 Darrel Grove Floatation apparatus for an all terrain vehicle
KR20110139511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과학기술원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의 고정장치
KR101665440B1 (ko) * 2016-01-18 2016-10-12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101822949B1 (ko) 2017-03-08 2018-01-29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769B1 (en) * 1997-10-07 2002-06-04 Ernst Bullmer Twin-hulled vessel with variable widths
KR200169400Y1 (ko) * 1999-08-07 2000-02-15 진진석 에어를 이용한 다목적 수상레저기구
KR200211997Y1 (ko) * 2000-09-06 2001-02-01 지근배 레포츠용 보트
KR200242454Y1 (ko) 2001-05-18 2001-10-15 배달익 조립식 보트
KR20040034339A (ko) * 2003-04-19 2004-04-28 박원일 튜브 교체식 천막형 보트
US20070181049A1 (en) * 2006-02-07 2007-08-09 Darrel Grove Floatation apparatus for an all terrain vehicle
KR20110139511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과학기술원 방벽 시공용 경화장치의 고정장치
KR101665440B1 (ko) * 2016-01-18 2016-10-12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KR101822949B1 (ko) 2017-03-08 2018-01-29 김근재 레저용 조립식 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623A (zh) * 2021-04-24 2021-07-06 王踵先 一种圆管装配式浮动平台结构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255A1 (en) Sectional pontoon boat
US20020185049A1 (en) Floating playground
CN101965147B (zh) 用于储存和运输便携式固定层面流水滑道的方法和设备
US5281055A (en) Floating dock
US20070295379A1 (en) Modular boat lift canopy assembly and kit
US4644892A (en) Buoyant trampoline
US8292547B2 (en) Floating dock, connection system, and accessories
US4829926A (en) Pontoon boat having a collapsible form
KR200488139Y1 (ko) 조립식 보트
US20150091351A1 (en) Collapsible aquatic chair
KR100857809B1 (ko) 휴대용 접이식 보트
US9862464B2 (en) Modular pontoon boat
US3099018A (en) Floating swimming pool
KR101665440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CN109466706B (zh) 一种组合式浮台
CA2414593A1 (en) Above ground swimming pool support structure
KR102317908B1 (ko) 에어튜브 보트
US5237954A (en) Portable pontoon boat
US11072396B2 (en) Freestanding adjustable recreational canopy
US5950256A (en) Foldable hot tub seat
KR101822949B1 (ko) 레저용 조립식 보트
CN112389580B (zh) 充气式双体帆船
US8678703B2 (en) Watercraft lift
KR20220051759A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KR20120124283A (ko) 수상 레저용 조립식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