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11Y1 -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11Y1
KR200487911Y1 KR2020170002892U KR20170002892U KR200487911Y1 KR 200487911 Y1 KR200487911 Y1 KR 200487911Y1 KR 2020170002892 U KR2020170002892 U KR 2020170002892U KR 20170002892 U KR20170002892 U KR 20170002892U KR 200487911 Y1 KR200487911 Y1 KR 20048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haft
shaft
vinyl
pipe shaf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Priority to KR2020170002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65H16/103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축과 결합되는 제1부재를 비닐이나 부직포가 권취되는 파이프축과 결합되는 제2부재와 분할구성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동력전달이 공회전부을 갖는 스플라인 타입으로 구성하여 파이프축에 비닐이나 부직포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때 제어기의 오차로 모터축이 정지 위치보다 더 회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공회전부에서 흡수하여 비닐하우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한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모터축에 결합되는 모터축 결합구멍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부재를 비닐이나 부직포가 권취되는 파이프축이 결합되는 파이프축 결합구멍이 형성된 제2부재에 끼워 사용하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모터축 결합구멍 반대쪽으로 파이프축의 직경에 부합하도록 걸림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에 관통되도록 형성한 파이프축 결합구멍에는 모터축 쪽으로 제1부재가 끼워지는 제1부재 결합구멍을 형성하되; 제1부재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한 걸림돌기가 내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홈은 걸림돌기가 내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축직각으로 크게 형성하여 공회전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Connections for switchgear with idle part}
본 고안은 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개폐할 때 사용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축과 결합되는 제1부재를 비닐이나 부직포가 권취되는 파이프축과 결합되는 제2부재와 분할구성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의 동력전달이 공회전부를 갖는 스플라인 타입으로 구성하여 파이프축에 비닐이나 부직포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때 제어기의 오차로 모터축이 정지 위치보다 더 회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공회전부에서 흡수하여 비닐하우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한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비닐하우스의 보온을 위한 피복으로 사용하는 비닐이나 부직포를 개폐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지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에 개폐기를 설치하고, 개폐기의 모터축과 비닐이나 부직포가 권취되어 있는 파이프축을 개폐기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폐기용 연결구(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축 결합부(310)와 파이프축 결합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터축 결합부(310)에는 2개의 고정구멍(311)을 형성하여 모터축(330)에 축직각으로 형성된 관통공(331)을 통과하는 모터축 고정볼트(340)를 끼운 상태에서 너트(341)를 체결하며, 2개의 나사구멍(312)에는 모터축 가압볼트(350)를 체결하여 선단이 모터축(330)을 가압하여 클램핑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축 결합부(320)에는 복수의 나사구멍(321)을 형성하고 파이프축 고정볼트(360)를 체결하여 파이프축 고정볼트(360)가 파이프축(370)을 가압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개폐기용 연결구(300)를 사용한 상태에서,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게 되며, 이때 개폐기에 부가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조절장치를 통해서 구동모터의 정지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리미트 조절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2-0126443호(2012.11.21.)의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61874호(2012.08.10.)의 전동개폐기용 리미트장치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행정거리를 제어할 경우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는 도그의 위치설정이 여러 개의 기어에 의해 감속상태로 제공되는데, 이러한 경우 기어치간 유격에 의해 정확한 도그 위치를 설정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모터축이 설정치 보다 많이 회전하거나 또는 설정치 보다 적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비닐이나 부직포가 감기지 않은 상태의 파이프축에서는 큰 영향이 없으나, 비닐이나 부직포가 감긴 상태에서는 구동축이 조금만 회동하더라도 비닐이나 부직포의 권취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그로 인해 비닐이나 부직포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던바, 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구동축과 파이프축을 연결하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구성을 개량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 개폐기용 연결구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365126호(2004.10.15.)의 비닐하우스 개폐기용 연결구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은 비닐하우스 개폐기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및 부직포가 권취되는 피동축을 고정할 수 있도록 축 직각방향으로 나사공을 천공하여 멈춤나사를 결합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부직포가 권취되는 피동축과 직경이 동일한 내경의 파이프부재와, 상기 파이프부재에 결합되며 구동축의 직경과 부합하는 결합공을 갖는 내마모성 합성수지로 구성된 부시로 구성되며, 상기 부시에는 걸림턱과 나사공과 연통되는 결합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개폐기용 연결구는 단순히 구동축과 피동축(파이프축)을 연결만 하고 있는 것으로, 리미트 조절장치 조절에 다른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이 없다.
KR 1020120126443 A 2012.11.21. KR 200461874 Y1 2012.08.10. KR 200365126 Y1 2004.10.15.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 개폐기용 연결구의 구성을 개량하여 리미트 조절장치의 조절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하여 구동축이 일정 각도로 더 회전하더라도 비닐이나 부직포가 정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닐이나 부직포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제공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모터축이 결합되는 제1부재와, 파이프축이 결합되는 제2부재를 상호 조합하는 구성으로 개폐기용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스플라인 타입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되, 이때 이들 스플라인 타입의 결합부에 공회전부를 구비하여 제2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부재가 일정구간 공회전 된 후 제2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리미트 조절장치에서의 미세 조절에서 커버하지 못하여 구동축이 설치값 보다 더 회전하는 문제점을 일소하여 비닐이나 부직포가 감아 돌려지거나 풀어 내릴 때 비닐이나 부직포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첫째 모터축에 결합되는 모터축 결합구멍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부재를 비닐이나 부직포가 권취되는 파이프축이 결합되는 파이프축 결합구멍이 형성된 제2부재에 끼워 사용하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모터축 결합구멍 반대쪽으로 파이프축의 직경에 부합하도록 걸림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에 관통되도록 형성한 파이프축 결합구멍에는 모터축 쪽으로 제1부재가 끼워지는 제1부재 결합구멍을 형성하되; 제1부재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한 걸림돌기가 내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홈은 걸림돌기가 내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축직각으로 크게 형성하여 공회전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1~4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제1부재에는, 제2부재에 형성한 제1부재 결합구멍 내에 위치하도록 분리방지홈을 형성하고; 제2부재에는, 분리방지홈에 선단이 내입되는 분리방지용 고정볼트를 나사조립하며; 상기 분리방지홈은 분리방지용 고정볼트가 내입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공회전부에 부합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모터축에 제1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일정각도로 공회전한 상태에서 제2부재를 회전시켜 비닐이나 부직포를 감아 올리고, 비닐이나 부직포를 풀어 내린 상태에서 제1부재가 일정각도로 공회전한 상태로 정지되므로 리미트 조절장치에서의 미세조절에서 발생하는 오차범위를 보상하게 되므로 비닐이나 부직포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다.
-분리방지홈 및 이에 선단이 결합되는 분리방지용 고정볼트가 구비되므로 작동과정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없다.
도 1은 종래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에 사용되고 있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 비닐이나 부직포를 감아올리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 비닐이나 부직포를 풀어 내리는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분리방지홈과 분리방지용 고정볼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에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 비닐이나 부직포를 감아올리는 상태도 및 풀어 내리는 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1)는 주로 비닐하우스의 보온을 위한 피복으로 사용하는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개폐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폐기(200)의 모터축(210)과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권취되어 있는 파이프축(110)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부재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1)는 모터축(210)과 결합되는 제1부재(2)와, 제1부재(2)에 결합되며 아울러 파이프축(110)이 결합되는 제2부재(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2)는 모터축(210)이 결합되는 모터축 결합구멍(2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모터축 결합구멍(21)과 직각으로 2개의 고정구멍(22)과 2개의 나사구멍(23)을 형성한다.
상기 2개의 고정구멍(22)에는 모터축(210)에 축직각으로 형성된 관통공(211)을 통과하는 모터축 고정볼트(4)를 끼운 상태에서 너트(5)를 체결하여 모터축(210)과 결합되게 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2개의 나사구멍(23)에는 모터축 가압볼트(6)를 체결하여 선단이 모터축(210)을 가압하여 클램핑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부재(2)를 모터축(210)과 결합할 때 모터축(210)을 관통하는 모터축 고정볼트(4)에 제공되는 전단압력이, 모터축(210)을 가압상태로 클램핑하게 되는 모터축 가압볼트(6)로 분산되므로 모터축 고정볼트(4)가 전단되는 등의 염려 없이 모터축(210)과의 안전한 결합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부재(2)에는 모터축 결합구멍(21)과 반대쪽으로 걸림돌기(24)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걸림돌기(24)의 외경은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권취되는 파이프축(110)의 외경에 부합하는 치수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3)는 내측으로 파이프축(110)이 내입되는 파이프축 결합구멍(3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파이프축 결합구멍(31)의 내측으로는 제1부재 결합구멍(32)을 형성하여 제2부재(3) 내부를 관통하는 형상이 되게 한다. 이때 제1부재 결합구멍(32)에는 걸림돌기(24)가 끼워지는 걸림홈(33)을 형성한다.
상기 제1부재(2)의 걸림돌기(24)와 제2부재(3)의 걸림홈(33)은 스플라인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1~4개소 형성토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걸림돌기(24)와 걸림홈(33)이 3개소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33)은 걸림돌기(24)가 내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축직각으로 크게 형성하여 공회전부(A)가 제공될 수 구성하고 있으며, 제2부재(3)에는 파이프축 결합구멍(31) 쪽에 축직각으로 복수의 나사구멍(34)을 형성하고 파이프축 고정볼트(7)를 체결하여 파이프축 고정볼트(7)가 파이프축(110)을 가압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33)은 걸림돌기(24)를 상호 결합 구성함에 있어 공회전부(A)를 제공할 경우 파이프축(110)에 권취되는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리거나 혹은 풀어 내릴 때 리미트 조절장치(220)의 미세 조절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오차 범위를 공회전부(A)에서 수용하여 안전하게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게 된다.
즉,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릴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에 형성된 걸림돌기(24)가 걸림홈(3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걸림홈(33)에서 걸림돌기(24)가 공회전한 상태에서 구동력이 제2부재(3)에 전달되므로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릴 때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더 감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풀어 내릴 때에는 도 6과 같이 제1부재(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감진 파이프축(110)을 포함하는 제2부재(3)가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1부재(2)의 걸림돌기(24)와 제2부재(3)의 걸림홈(33)은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릴 때와 같은 상태로 접지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지상에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 걸림돌기(24)는 걸림홈(33)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공회전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어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더 회전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에서 분리방지홈과 분리방지용 고정볼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상호 분리되는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함께 제안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제2부재(3)에 형성한 제1부재 결합구멍(32) 내에 위치하도록 제1부재(2)에 분리방지홈(25)을 형성하고, 제2부재(3)에는 분리방지용 나사구멍(35)을 형성하고, 이에 분리방지홈(25)에 선단이 내입되는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를 나사 조립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홈(25)은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가 내입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공회전부(A)에 부합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에서와같이 걸림돌기(24)가 걸림홈(33) 내에서 공회전하는 것에 부합하여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축방향으로 이탈되려는 힘이 작용할 때 분리방지홈(25)에 선단이 내입된 상태의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에 의해 저지되어 재1부재와 제2부재(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동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1)를 사용하면 개폐기(200)의 행정거리를 제어하게 되는 리미트 조절장치(220)에서의 미세한 조절 상에서 발생하는 공차에 따라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을 공회전부(A)에서 흡수하게 되는 것으로,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감아 올리고, 비닐이나 부직포(100)를 풀어 내릴 때 제1부재(2)가 일정각도로 공회전한 상태로 정지되므로 리미트 조절장치(220)에서의 미세조절에서 발생하는 오차범위를 보상하여 비닐이나 부직포(100)의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분리방지홈(25) 및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 제공으로 작동과정에서 제1부재(2)와 제2부재(3)가 상호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개폐기용 연결구 2:제1부재
21:모터축 결합구멍 22:고정구멍
23:나사구멍 24:걸림돌기
25:분리방지홈 3:제2부재
31:파이프축 결합구멍 32:제1부재 결합구멍
33:걸림홈 34:나사구멍
35:분리방지용 나사구멍 4:모터축 고정볼트
5:너트 6:모터축 가압볼트
7:파이프축 고정볼트 8:분리방지용 고정볼트
A:공회전부 100:비닐이나 부직포
110:파이프축 200:개폐기
210:모터축 211:관통공

Claims (3)

  1. 모터축(210)에 결합되는 모터축 결합구멍(21)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 제1부재(2)를 비닐이나 부직포(100)가 권취되는 파이프축(110)이 결합되는 파이프축 결합구멍(31)이 형성된 제2부재(3)에 끼워 사용하는 개폐기용 연결구(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에는 모터축 결합구멍(21) 반대쪽으로 파이프축(110)의 직경에 부합하도록 걸림돌기(24)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부재(3)에 관통되도록 형성한 파이프축 결합구멍(31)에는 모터축(210) 쪽으로 제1부재(2)가 끼워지는 제1부재 결합구멍(32)을 형성하되;
    제1부재 결합구멍(32)에는 상기 제1부재(2)에 형성한 걸림돌기(24)가 내입되는 걸림홈(3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홈(33)은 걸림돌기(24)가 내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축직각으로 크게 형성하여 공회전부(A)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걸림돌기(24)와 걸림홈(33)은 1~4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2)에는, 제2부재(3)에 형성한 제1부재 결합구멍(32) 내에 위치하도록 분리방지홈(25)을 형성하고;
    제2부재(3)에는, 분리방지홈(25)에 선단이 내입되는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를 나사조립하며;
    상기 분리방지홈(25)은 분리방지용 고정볼트(8)가 내입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 공회전부(A)에 부합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KR2020170002892U 2017-06-09 2017-06-09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KR20048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92U KR200487911Y1 (ko) 2017-06-09 2017-06-09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92U KR200487911Y1 (ko) 2017-06-09 2017-06-09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911Y1 true KR200487911Y1 (ko) 2018-11-20

Family

ID=6455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92U KR200487911Y1 (ko) 2017-06-09 2017-06-09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914A (ko) * 2019-12-20 2021-06-3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화섬유원단 제조를 위한 와인딩 롤 공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3Y1 (ko) * 1997-01-28 2000-01-15 안지용 커플링
KR200365126Y1 (ko) 2004-07-22 2004-10-15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비닐하우스 개폐기용 연결구
KR200461874Y1 (ko) 2010-04-21 2012-08-10 (주)우성하이텍 전동개폐기용 리미트장치
KR20120126443A (ko) 2011-05-11 2012-11-21 이언우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803Y1 (ko) * 1997-01-28 2000-01-15 안지용 커플링
KR200365126Y1 (ko) 2004-07-22 2004-10-15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비닐하우스 개폐기용 연결구
KR200461874Y1 (ko) 2010-04-21 2012-08-10 (주)우성하이텍 전동개폐기용 리미트장치
KR20120126443A (ko) 2011-05-11 2012-11-21 이언우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914A (ko) * 2019-12-20 2021-06-30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화섬유원단 제조를 위한 와인딩 롤 공정장치
KR102308867B1 (ko) 2019-12-20 2021-10-05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목화섬유원단 제조를 위한 와인딩 롤 공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7799B2 (en) Cable bushing
US7207757B2 (en) Panel fastener
US7401538B2 (en) F figure wrench
KR200487911Y1 (ko) 공회전부를 갖는 개폐기용 연결구
DE102016114879B4 (de) Mit einer Welle integriertes Zahnrad und Abgasventilantriebsvorrichtung
US8549962B2 (en) Screw drive design
KR101799285B1 (ko) 비상 해제기능을 갖춘 연료 필러 도어 개폐용 액츄에이터 장치
JP2012503154A (ja) 部品へとねじ込むことができるねじ
KR20080095501A (ko) 토오크 리미터
KR101611323B1 (ko) 수동 조작이 가능한 엑츄에이터
US20130137525A1 (en) Gear mechanism
EP2998484A1 (de) Beschlag für eine Gebäudetür
KR20090008433A (ko) 분할 스핀들
KR102116837B1 (ko) 개폐기용 연결구
US3851977A (en) Shaft mountings for pulleys, sprockets, coupling flanges and other machine elements
JP5226340B2 (ja) クラッチ装置
US976096A (en) Self-locking bolt.
KR0115037Y1 (ko) 환기용 송풍기의 전동기 축과 팬 보스의 결합구조
MX2014010877A (es) Caja para instalaciones electricas.
KR200217996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CN218843985U (zh) 一种换向离合模块及门锁
KR101827910B1 (ko) 전동개폐기의 리미트 구동장치
KR101791345B1 (ko) 선반 공구대용 서보모터
KR101916552B1 (ko) 자동 변속기의 스풀 밸브용 블레이드 구조체
KR200151945Y1 (ko)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