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85Y1 -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 Google Patents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85Y1
KR200487885Y1 KR2020180001981U KR20180001981U KR200487885Y1 KR 200487885 Y1 KR200487885 Y1 KR 200487885Y1 KR 2020180001981 U KR2020180001981 U KR 2020180001981U KR 20180001981 U KR20180001981 U KR 20180001981U KR 200487885 Y1 KR200487885 Y1 KR 200487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ixed body
handle
flow path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주)한독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독메디텍 filed Critical (주)한독메디텍
Priority to KR2020180001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유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된 고리형태의 고정몸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가 형성된 원기둥형태의 회전몸체를 끼우고, 회전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손잡이가 고정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수액의 최대유속을 제한시켜 수액의 과다주입에 따른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회전이 고정됨으로써 환자를 포함한 제 3 자의 재조작에 의해 회전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Anti-return type safty connector of infusion solution and medical infusion set having the same}
수액세트에 장착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는 수액의 유속의 한계치를 설정하는 수액 안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수액치료법이란 환자의 체액량 혹은 전해질이나 수분등이 생리학적인 정상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환자의 경구 외에 정맥투여를 통해서 이를 보충하는 방법이다.약물이나 수분 등이 환자의 구강에 투입되는 것보다 정맥에 직접 투입되는 것이 빠른시간 내에 환자의 체내의 여러 부분까지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여러 병원에서 수액치료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환자의 탈수현상을 치료하기 위해 수액을 투여하기도 하지만, 항생제와 같은 약물의 투입에도 수액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각종 질병에 따라 요구되는 약물의 주입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액의 유속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가 필수적으로 튜브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수액조절기는 내부 구조에 따라 롤러클램프 타입과 아이브이 플로우 타입으로 구분된다. 롤러클램프 타입은 롤러를 돌릴 때마다 수액팩의 하단에 결합된 드롭챔버를 보며 유량을 측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사용자의 노하우에 따라 유량조절의 정확성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아이브이 플로우 타입은 외주면에 눈금이 표기되고 다이얼 방식으로 회전시키면서 수액의 유속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환자를 포함한 누구라도 쉽게 수액의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2015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입원환자 중 69.7%에서 한번 이상의 수액치료 실수가 발생하고, 이 중 25%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한다. 그 유형으로 약물 주입속도는 29.8%이고, 주입량은 26.5%로 전체의 절반 이상의 실수가 수액의 유속 및 유량과 관련이 있었다. 항암제나 항생제는 적정속도보다 느리게 투여되는 경우 약물의 효과가 감소하게 되어 치료가 어려워지고, 반대로 적정속도보다 빠르게 투여되는 경우 심장마비 등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주입속도나 주입량에 높은 주의력을 요구한다.
특히, 환자의 중심정맥관으로 영양제를 주입하는 경우나 케모포트로 항암제가 들어가는 경우처럼 한번 설정된 수액의 주입속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그 유량속도가 반드시 일정하게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종래의 수액조절기로는 재조작의 위험성이 있다. 이 경우, 전자적 제어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주입속도를 체크하는 자동조절기가 사용되기도 하나, 높은 비용이 요구되는 현실적 문제로 인하여 중환자 중 반드시 필요한 일부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액의 유속이 일정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고정유지시킴과 동시에, 재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8568호의 “유량조절 보호캡을 포함하는 수액세트”, 일본 공개특허 제2011-104479호의 “액체 유량 조절장치”는 수액조절기의 유속을 조작한 뒤 그 외부를 덮는 커버가 장착되고 다시 재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수액의 유속을 재조작할 수 없는 점이 있으나, 수액조절기를 덮는 커버를 항상 별도로 보관해야되는 불편이 있고 커버의 결합전까지는 수액조절기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여 분실의 위험이 높다. 또한, 사용자가 수액조절기에서 커버만을 파손시켜 강제분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재조작을 방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유로의 변경으로 인해 수액이 일정이상의 유속으로 증가되지 않도록 하여 수액의 과다주입에 따른 의료사고를 방지하고, 한번 유로가 변경된 뒤에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사용자의 과실이나 고의로 수액의 주입속도가 변경되지 않는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유로 및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2 유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몸체가 끼워져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이 형성된 고정몸체,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유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관,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 및 상기 유입공 및 상기 배출공이 상기 회전몸체의 제 2 유로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상태일 때 상기 손잡이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몸체의 전면 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접촉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의 제 1 유로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기 고정몸체의 유입공 및 배출공은 상기 손잡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유로로 서로 연통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상기 손잡이가 상기 고정몸체의 스토퍼에 걸림고정될 때까지 회전되고, 상기 손잡이가 걸림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의 유입공 및 배출공이 서로 제 2 유로에 의해 연통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상기 고정몸체의 전면이 만나는 두 부분 각각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양단 모두 상기 스토퍼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토퍼의 완만하게 경사진 빗면을 타고 넘은 뒤 상기 고정몸체의 전면에 수직한 직각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스토퍼의 후측에 상기 고정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탄성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토퍼를 타고 넘어가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눌려 후진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토퍼를 타고 넘어가면 상기 스토퍼가 다시 전진하여 복원되는 탄성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의 전면 중 상기 유입공 또는 상기 배출공이 투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주변에 볼록하게 융기된 한 쌍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의 제 1 유로가 상기 고정몸체의 유입공 및 배출공을 서로 연통할 때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상기 손잡이의 끝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회전몸체의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가이드레일이 상기 회전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몸체가 전후방향 이동에 제한된 상태로 회동운동되게 상기 고정몸체에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수액세트는, 수액을 저장한 수액저장부; 상기 수액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된 드롭챔버; 상기 드롭챔버와 일단이 연결된 제 1 튜브;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연결된 제 1 항의 수액 안전커넥터; 상기 수액 안전커넥터와 일단이 연결된 제 2 튜브; 및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과 연결되어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수액주입부; 및 상기 제 1 튜브 및 상기 제 2 튜브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수액의 유속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 안전커넥터는 조작에 의해 유로가 변경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액의 최대유속이 제한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 1 유로에 의해 서로 연통된 유입공 및 배출공은 손잡이가 회전됨에 의해 제 2 유로로 연통되고, 이 때 손잡이가 고정몸체의 스토퍼에 걸림고정됨으로써 고리몸체의 유입공과 배출공이 회전몸체의 제 2 유로에 의해 연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액의 최대유속이 제한됨으로 인해 수액의 과다주입에 따른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과실이나 고의에 의하여 재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가 고정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고정몸체의 전면이 만나는 두 부분에 각각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됨으로써 손잡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양단 모두가 스토퍼에 걸림결합되어 스토퍼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다. 환자를 포함한 제 3 자의 재조작을 보다 견고히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를 시계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로 회전시키면 스토퍼에 걸림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스토퍼의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몸체의 전면과 직각을 이루는 면이 손잡이에 면접촉됨으로써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스토퍼의 후측에 탄성홈이 고정몸체의 외주면의 곡률방향으로 탄성홈이 형성됨으로써 손잡이가 전후진방향으로 탄성이동이 가능하여 높이가 더욱 증가된 스토퍼로 제조할 수 있다. 스토퍼의 높이가 향상된 만큼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지지력이 증가하여 환자를 포함한 제 3 자의 재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고정몸체의 전면 중 유입공 또는 배출공이 투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 주변에 볼록하게 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손잡이가 실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몸체의 유입공 및 배출공이 제 1 유로로 연통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몸체의 전후진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회전운동만 가능하여 손잡이가 스토퍼를 쉽게 타고 넘어가거나 다시 원위치로 쉽게 복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가 사용된 수액세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조립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의 사시도 및 측단면부분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수액유속의 재조작을 방지하여 환자에게 수액이 과도하게 투여되어 발생하는 의료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수액 안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를 간략하게 “수액 안전커넥터”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가 사용된 수액세트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액세트는 수액저장부(1), 드롭챔버(2), 제 1 튜브(3), 수액 안전커넥터(4), 제 2 튜브(5), 수액주입부(6) 및 수액조절기(7)로 구성된다. 수액저장부(1)는 유리병 내부에 수액이 저장된 수액병일 수도 있고 파우치 형태의 수액팩일 수도 있다. 수액저장부(1)는 중력에 의해 수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수액을 배출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관통구멍으로 드롭챔버(2)가 연결되어 있다. 드롭챔버(2)는 단위시간당 수액이 떨어지는 횟수로써 수액의 주입속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사용자가 육안상으로 드롭챔버(2)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수액 안전커넥터(4)는 제 1 튜브(3)를 통해 드롭챔버(2)와 연결되어 있고, 제 2 튜브(5)를 통해 수액주입부(6)와 연결되어 있다. 수액주입부(6)는 정맥에 수액을 투여시키는 구성으로써 일 예로 주사바늘일 수 있다. 제 1 튜브(3) 및 제 2 튜브(5) 중 어느 하나에 튜브의 관로를 좁히거나 넓히는 수액조절기(7)가 장착될 수 있다. 수액조절기(7)의 오작동에 따른 수액과다주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튜브(3)에 수액조절기(7)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수액 안전커넥터(4)의 상세한 구조와 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조립도이고,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는 회전부(10) 및 고정부(20)로 구성된다.
회전부(10)는 회전몸체(11)와 손잡이(12)로 구성된다. 회전몸체(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유로(111) 및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2 유로(112)가 서로 비평행하게 관통형성되어 있다. 회전몸체(11)는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운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손잡이(12)와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 1 유로(111)는 제 2 유로(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제 2 유로(112)에 비해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양의 수액이 흐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유로(111)는 2.0mm로 형성되고 제 2 유로(112)는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로(111)와 제 2 유로(11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몸체(11)를 관통하며, 유로가 연결되도록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 1 유로(111)와 제 2 유로(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하게 열십자 ‘+’ 형태로 교차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2)는 회전몸체(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몸체(11)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손잡이(12)는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판 형태로써 그 장축방향으로 제 1 유로(111)가 평행하도록 회전몸체(11)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손잡이(12)의 장축 길이는 회전몸체(11)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12)의 양끝 끝단이 일부 돌출되어 있다.
회전몸체(11)의 외주면은 그 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로 함몰된 가이드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가이드홈(113)은 단면이 사각지고 폭이 0.1mm인 사각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3)은 제 1 유로(111) 또는 제 2 유로(112)로 공급된 수액이 가이드홈(113)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제 1 유로(111) 또는 제 2 유로(112)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적절하다. 예컨대, 가이드홈(113)은 제 1 유로(111)와 회전몸체(11)의 후면 사이 부분 또는 제 1 유로(111)와 회전몸체(11)의 전면 사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고정몸체(21), 유입관(22), 배출관(23) 및 스토퍼(24)로 구성된다. 고정몸체(21)는 회전몸체(11)가 끼워져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몸체(21)는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운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유입관(22), 배출관(23) 및 스토퍼(24)와 일체형이 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고정몸체(21)는 두께가 일정한 고리형태로써 전면과 후면이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고정몸체(21)는 외경은 14.0mm이고 내경은 11.5mm로 두께가 2.5mm인 고리형태이며, 폭은 8.1mm로 형성될 수 있다. 원기둥 형태의 회전몸체(11)는 고리 형태의 고정몸체(21)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몸체(11)의 외주면과 고정몸체(21)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된다. 여기서, 고정몸체(21)와 회전몸체(11) 사이의 간극으로 수액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고정몸체(21)의 고리 내경과 회전몸체(11)의 원기둥 외경이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21)의 내주면은 그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가이드레일(213)은 단면이 사각지고 폭이 0.1mm인 사각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21)의 가이드레일(213)은 회전몸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몸체(21)의 내주면 중 가이드홈(113)이 형성된 회전몸체(11)의 외주면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가이드홈(113)이 제 1 유로(111)와 회전몸체(11)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유입공(211)과 고정몸체(21)의 후면 사이에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어 있다. 아니면, 가이드홈(113)이 제 1 유로(111)와 회전몸체(11)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유입공(211)과 고정몸체(21)의 전면 사이에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고정몸체(21)와 회전몸체(1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몸체(11)의 전후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유입공(211)은 고정몸체(21)의 상부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액은 고정몸체(21)의 고리 외부공간에서 유입공(211)을 통해 고정몸체(21)의 고리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공(211)은 수액에 미치는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횡단면이 원형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예컨대,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의 직경이 2.0mm 인 경우,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의 직경은 제 1 유로(111)와 동일한 2.0mm 또는 그보다 큰 3.0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212)은 고정몸체(21)의 하부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수액은 고정몸체(21)의 고리 내부공간에서 배출공(212)을 통해 고정몸체(21)의 고리 외부공간으로 배출된다. 배출공(212)은 수액에 미치는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횡단면이 원형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예컨대,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의 직경이 2.0mm 인 경우, 고정몸체(21)의 배출공(212)의 직경은 제 1 유로(111)와 동일한 2.0mm 또는 그보다 큰 3.0m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은 고정몸체(21)의 내주면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고정몸체(21)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축 상에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몸체(21)를 위에서 내려다 보면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이 모두 관통되게 관찰된다. 따라서,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은 회전몸체(11)의 회전에 따라 제 1 유로(111) 및 제 2 유로(11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유입관(22)은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과 연통되도록 고정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22)은 제 1 튜브(3)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밀착되게 제 1 튜브(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22)은 고정몸체(2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사출방식의 제조공정을 통해 고정몸체(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22)은 그 내부에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과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로는 수액에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직선의 원형통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유입관(22)은 3.6mm의 외경과 2.0mm의 내경으로써 두께가 1.6mm인 관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2.0mm인 유입공(211)과 연통될 수 있다.
유입관(22)은 제 1 튜브(3)가 끼움 결합되어 수액저장부(1)와 연결된다. 따라서, 수액은 수액저장부(1)에서 제 1 튜브(3)를 통해 유입관(22)으로 공급되어 고정몸체(2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관(22)의 외경과 제 1 튜브(3)의 내경은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 1 튜브(3)가 유입관(22)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다. 아니면, 제 1 튜브(3)가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고려할 때, 유입관(22)의 외경은 최소한 제 1 튜브(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배출관(23)은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몸체(21)의 배출공(212)과 연통되도록 고정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23)은 제 2 튜브(5)가 끼워지는 부분으로써 제 2 튜브(5)가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고정몸체(21)와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사출방식의 제조공정을 통해 고정몸체(21)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그 내부에 고정몸체(21)의 배출공(212)과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유로는 수액에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직선의 원형통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배출관(23)은 3.6mm의 외경과 2.0mm의 내경으로써 두께가 1.6mm인 관으로 형성되어 직경이 2.0mm인 배출공(212)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제 2 튜브(5)가 끼움 결합되어 수액주입부(6)와 연결된다. 따라서, 수액은 고정몸체(21)의 내부공간에서 제 2 튜브(5)를 통해 수액주입부(6)로 공급되어 환자에게 주입된다. 배출관(23)의 외경과 제 2 튜브(5)의 내경은 서로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 2 튜브(5)가 배출관(23)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다. 아니면, 제 2 튜브(5)가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고려할 때, 배출관(23)의 외경은 최소한 제 2 튜브(5)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스토퍼(24)는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회전몸체(11)의 제 2 유로(11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상태일 때 손잡이(12)와 대면하는 고정몸체(21)의 전면 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손잡이(12)에 접촉지지된다. 상세히, 스토퍼(24)는 고정몸체(21)의 전면상에 돌출됨으로써 손잡이(12)와 걸림결합되어 회전몸체(11)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이 제 1 유로(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로가 좁은 제 2 유로(112)로 서로 연통될 때 손잡이(12)가 스토퍼(24)에 걸림으로써 회전몸체(11)의 회전이 방지되어 수액이 제 2 유로(112)로 유동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액은 자중에 의해 흐르므로 제 2 유로(112)의 직경에 따라 유속이 결정되는 점에서, 일정 이상의 유속으로 수액이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게되어 수액 과대주입에 따른 의료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4)는 고정몸체(21)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고정몸체(21)의 전면이 만나는 두 부분 각각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손잡이(1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평판 형태의 손잡이(12)의 양단 측면에 스토퍼(24)가 각각 접촉되어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4)가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대해 반력을 가한다. 즉, 스토퍼(24)는 손잡이(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끝단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의 양 끝단에 대응되는 고정몸체(21)의 전면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21)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상에 스토퍼(24)가 총 2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두 스토퍼(24)는 손잡이(12)의 양단 모두에 접촉되어 지지함으로써 손잡이(12)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손잡이(12)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회전에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스토퍼(24)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12)가 스토퍼(24)의 완만하게 경사진 빗면을 타고 넘은 뒤 고정몸체(21)의 전면에 수직한 직각면과 면접촉된다. 단순히 스토퍼(24)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면 스토퍼(24)가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다시 역회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4)의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인 걸림턱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간 손잡이(12)가 스토퍼(24)와 면접촉됨으로써 고정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12)에 스토퍼(24)의 경사진 빗면을 타고 넘어갈 정도의 외력이 계속 작용되는 경우에만 손잡이(12)가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손잡이(12)를 돌려 유로를 변경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액 안전커넥터(4)의 내부단면도이다. 도 5(a)는 수액 안전커넥터(4)의 유로 변경 전 초기상태로 회전부(10)의 손잡이(12)가 세로축 상에 위치하여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이 제 1 유로(111)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의 직경은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있어 수액이 최대속도로 유동한다. 이는, 수액치료법을 수행하기 전에 제 1 튜브(3), 제 2 튜브(5) 및 수액주입부(6)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밀어 수액주입부(6)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작업을 할 때 빠르게 수액을 수액주입부(6)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수액주입부(6)로 공기가 전부 배출된 이후에, 손잡이(12)는 사용자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도 5(b)는 수액 안전커넥터(4)의 유로 변경 후 나중 상태로 회전몸체(11)가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이 제 2 유로(112)에 의해 연통될 때까지 회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손잡이(12)의 양단 중 일측 끝단은 어느 한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게 되고 타측 끝단은 다른 스토퍼(24)에 걸려 접촉지지된다. 손잡이(12)의 양단이 모두 스토퍼(24)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되며, 이 후 회전몸체(11)의 손잡이(12)나 고정몸체(21)의 스토퍼(24)가 파손되지 않는 한 제 2 유로(112)가 수액을 유동시키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총 2개의 스토퍼(24)가 고정몸체(21)의 고리 중심을 지나는 세로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2)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에 무관하게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스토퍼(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진다.
소아환자의 경우 수액조절기를 돌리며 장난을 치는 과정에서 수액이 과소 또는 과다하게 주입될 수 있다. 어른환자라 하더라도 간호사 또는 의사가 설정한 주입속도를 거부하고 빠른 귀가를 위해 수액이 빠르게 주입되도록 수액조절기를 조작하여 의료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수액조절기는 수액속도를 느리거나 빠르게 조절할 수 있어 수액세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조작이 용이하다는 점으로 인해 환자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수액의 주입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보호자가 24시간 환자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간호사나 의사가 주기적으로 수액의 주입속도를 확인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그럼에도 수액의 주입속도를 급격하게 변경시킴에 따라 발생된 의료사고는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수액의 주입속도를 제한하고 이를 다시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환자의 중심정맥관으로 영양제를 주입하는 경우나 케모포트로 항암제가 들어가는 경우처럼 한번 설정된 수액의 유량속도를 변경하지 않으며 그 유량속도가 반드시 일정하게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안전장치가 더욱 필요하다. 기존의 수액조절기로 수액을 조절하기에는 위험성이 크기에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자동조절기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높은 사용비용으로 인해 중환자 중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부의 경우에 대해 사용되고 있어, 여전히 많은 경우 기존의 수액조절기로 사용되고 있는 위험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8568호의 “유량조절 보호캡을 포함하는 수액세트”, 일본 공개특허 제2011-104479호의 “액체 유량 조절장치”는 수액유량 조절기를 덮는 커버가 한번 장착되면 탈거되지 않도록 하여 수액유량 조절기를 재조작 할 수 없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수액유량 조절기 이외 커버를 별도로 구비하여 분실의 위험이 있고 수액유량 조절기의 손상없이 커버만 강제로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수액의 과소 또는 과대 투여 조작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인 수액 안전커넥터(4)는 유입관(22) 및 배출관(23)이 형성된 고리형태의 고정부(20)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회전부(10)를 삽입하고, 회전부(10)의 손잡이(12)를 돌려 유로를 변경하는 것으로써 손잡이(12)가 고정부(20)의 전면에 스토퍼(2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에 의해 서로 연통된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은 손잡이(12)가 회전됨에 따라 제 2 유로(112)로 서로 연통되고, 회전몸체(11)의 손잡이(12)가 고정몸체(21)의 스토퍼(24)에 걸림고정될 때까지 회전되고, 손잡이(12)가 걸림고정됨에 따라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서로 제 2 유로(112)에 의해 연통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로의 변경에 의해 일정 이상의 유속으로 환자에게 주입될 수 없어 수액 과다주입에 의한 의료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를 포함한 제 3 자가 임의로 재조작할 수 없도록 손잡이를 고정시켜 유로가 다시 복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의 사시도 및 측단면부분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액 안전커넥터(4)는 회전부(10)와 고정부(20)로 구성되며, 특히 고정부(20)는 스토퍼(24)의 형상에 있어 도 2 내지 도 5에 비해 향상된 고정력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더하여, 사용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 스토퍼(24)가 파손되거나 제조상의 불량으로 스토퍼(24)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일부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스토퍼(24)의 구조를 보다 개선하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회전부(10)의 손잡이(12)가 고정부(20)의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기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4)의 높이를 더욱 증가시켜 제조하여야 한다. 다만, 회전부(10)의 회전몸체(11)는 전후진되지 않으면서 고정몸체(21)에 회전운동만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24)를 과도하게 높일 경우 손잡이(12)나 회전몸체(11)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반면, 회전몸체(11)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경우 회전몸체(11)에 형성된 제 1 유로(111) 및 제 2 유로(112)와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일직선상에 놓여있지 않게되어 회전몸체(11)의 전후진 조작으로 유속을 감속 및 차단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손잡이(12)가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는 동안 스토퍼(24)가 일정거리 후진되고, 손잡이(12)가 스토퍼(24)를 완전히 넘어가면 스토퍼(24)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이동함으로써 회전몸체(11)를 전후진 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고정몸체(21)의 스토퍼(24)의 높이를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상세히, 고정몸체(21)는 스토퍼(24)의 후측에 고정몸체(21)의 외주면의 곡률방향으로 탄성홈(25)이 형성되어, 손잡이(12)가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는 동안 스토퍼(24)가 눌려 후진되고, 손잡이(12)가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면 스토퍼(24)가 다시 전진하여 복원되는 탄성이동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의 스토퍼(24)를 예시로 설명하면, 수직면 중 고정몸체(21)의 전면과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회전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탄성홈(25)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홈(25)은 측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점선부분과 같이 스토퍼(24)의 후진에 의해 이격된 두 부분이 좁아진다. 스토퍼(24)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는 정도는 스토퍼(24)가 후진할 수 있는 정도 즉, 스토퍼(24)의 후측에 형성된 탄성홈(25)의 공간에 비례한다.
또한, 스토퍼(24)는 고정몸체(21)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의 양측에 모두 접촉되도록 일정 이격되게 한 쌍의 스토퍼(24)가 상하로 대칭형성되어 있어, 두 스토퍼(24) 사이에 손잡이(12)가 끼워진다. 한 쌍의 스토퍼(24)는 고정몸체(21)의 전면 좌측과 전면 우측에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2)의 양단이 모두 끼움결합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인 수액 안전커넥터(4)는 한번 유로가 변경되면 다시 복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손잡이(12)가 쉽게 회전되는 경우 실수로 유로가 변경된 수액 안전커넥터(4)는 폐기처분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회전몸체(11)의 내부에 제 1 유로(111)와 제 2 유로(11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유입공(211)과 배출공(212)을 제 1 유로(111)가 연통하는 상태가 쉽게 변경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고정몸체(21)의 전면 중 유입공(211) 또는 배출공(212)이 투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 주변에 볼록하게 융기된 한 쌍의 돌기부(26)가 형성되어,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가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을 서로 연통할 때 한 쌍의 돌기부(26) 사이에 손잡이(12)의 끝단이 배치된다. 돌기부(26)는 라운드진 언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그 높이는 손잡이(12)에 고의적인 힘을 가하였을 때 충분히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돌기부(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21)의 전면 상부와 전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돌기부(26)는 손잡이(12)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2)의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대해 일정 저항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손잡이(12)에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돌기부(26)를 타고 넘어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실수로 유로가 변경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111)가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을 서로 연통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액저장부 2 ... 드롭챔버
3 ... 제 1 튜브 4 ... 수액 안전커넥터
5 ... 제 2 튜브 6 ... 수액주입부
7 ... 수액조절기
10 ... 회전부
11 ... 회전몸체 111 ... 제 1 유로
112 ... 제 2 유로 113 ... 가이드홈
12 ... 손잡이
20 ... 고정부
21 ... 고정몸체 211 ... 유입공
212 ... 배출공 213 ... 가이드레일
22 ... 유입관
23 ... 배출관
24 ... 스토퍼
25 ... 탄성홈
26 ... 돌기부

Claims (7)

  1.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 1 유로(111) 및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2 유로(11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회전몸체(11), 및 상기 회전몸체(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11)와 함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평판 형태의 손잡이(12)를 구비하는 회전부(10); 및
    상기 회전몸체(11)가 끼워져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를 각각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형성된 고정몸체(21),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관(22),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21)의 배출공(212)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23), 및 상기 유입공(211) 및 상기 배출공(212)이 상기 회전몸체(11)의 제 2 유로(11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상태일 때 상기 손잡이(12)와 대면하는 상기 고정몸체(21)의 전면 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에 접촉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24)를 구비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기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은 상기 손잡이(1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유로(112)로 서로 연통되고, 상기 회전몸체(11)의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고정몸체(21)의 스토퍼(24)에 걸림고정될 때까지 회전되고, 상기 손잡이(12)가 걸림고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이 서로 제 2 유로(112)에 의해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토퍼(24)는 상기 고정몸체(21)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축과 상기 고정몸체(21)의 전면이 만나는 두 부분 각각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평판 형태의 상기 손잡이(12)의 양단 측면에 상기 스토퍼(24)가 각각 접촉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토퍼(24)가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대해 반력을 가하는 수액 안전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4)는 측단면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스토퍼(24)의 완만하게 경사진 빗면을 타고 넘은 뒤 상기 고정몸체(21)의 전면에 수직한 직각면과 면접촉되는 수액 안전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는 상기 스토퍼(24)의 후측에 상기 고정몸체(21)의 외주면의 곡률방향으로 탄성홈(25)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는 동안 상기 스토퍼(24)가 눌려 후진되고, 상기 손잡이(12)가 상기 스토퍼(24)를 타고 넘어가면 상기 스토퍼(24)가 다시 전진하여 복원되는 탄성이동을 하는 수액 안전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의 전면 중 상기 유입공(211) 또는 상기 배출공(212)이 투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양주변에 볼록하게 융기된 한 쌍의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1)의 제 1 유로(111)가 상기 고정몸체(21)의 유입공(211) 및 배출공(212)을 서로 연통할 때 상기 한 쌍의 돌기부(26) 사이에 상기 손잡이(12)의 끝단이 배치되는 수액 안전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11)는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21)는 상기 회전몸체(11)의 가이드홈(113)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21)의 가이드레일(213)이 상기 회전몸체(11)의 가이드홈(11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몸체(11)가 전후방향 이동에 제한된 상태로 회동운동되게 상기 고정몸체(21)에 체결되는 수액 안전커넥터.
  7. 수액을 저장한 수액저장부(1);
    상기 수액저장부(1)의 하단에 결합된 드롭챔버(2);
    상기 드롭챔버(2)와 일단이 연결된 제 1 튜브(3);
    상기 제 1 튜브(3)의 타단과 연결된 제 1 항의 수액 안전커넥터(4);
    상기 수액 안전커넥터(4)와 일단이 연결된 제 2 튜브(5);
    상기 제 2 튜브(5)의 타단과 연결되어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는 수액주입부(6); 및
    상기 제 1 튜브(3) 및 상기 제 2 튜브(5)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수액의 유속을 조절하는 수액조절기(7)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 안전커넥터(4)는 조작에 의해 유로가 변경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액의 최대유속이 제한된 상태가 유지되는 수액세트.
KR2020180001981U 2018-05-04 2018-05-04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KR200487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81U KR200487885Y1 (ko) 2018-05-04 2018-05-04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981U KR200487885Y1 (ko) 2018-05-04 2018-05-04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85Y1 true KR200487885Y1 (ko) 2018-11-19

Family

ID=6455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981U KR200487885Y1 (ko) 2018-05-04 2018-05-04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06B1 (ko) * 2019-10-07 2020-08-04 (주)한독메디텍 수액 누수방지구조 및 향상된 조작편의성을 갖는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CN114748724A (zh) * 2022-04-11 2022-07-15 亿模塑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输液管与输液帽自动组装设备
CN114748724B (zh) * 2022-04-11 2024-05-31 亿模塑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输液管与输液帽自动组装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411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제이엠메디칼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KR101706147B1 (ko) * 2015-11-03 2017-02-13 이현우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170061581A (ko) * 2015-11-26 2017-06-05 이현우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101838953B1 (ko) *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411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제이엠메디칼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KR101706147B1 (ko) * 2015-11-03 2017-02-13 이현우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170061581A (ko) * 2015-11-26 2017-06-05 이현우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101838953B1 (ko) *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106B1 (ko) * 2019-10-07 2020-08-04 (주)한독메디텍 수액 누수방지구조 및 향상된 조작편의성을 갖는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CN114748724A (zh) * 2022-04-11 2022-07-15 亿模塑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输液管与输液帽自动组装设备
CN114748724B (zh) * 2022-04-11 2024-05-31 亿模塑胶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输液管与输液帽自动组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7834C (en)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of intravenous medical solution during injection
CA2267581C (en) Self-priming needle-free "y"-adapter
JP5632491B2 (ja) 安全機構付き薬物送達コネクタ
CA3006312C (en) System and method for flared luer connector for medical tubing
EP0604743B1 (en) Locking safety needle assembly
US5049129A (en) Adapter for passive drug delivery system
US4936829A (en) Drug delivery apparatus including beneficial agent chamber with chimney for a directed flow path
US70253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fluid
NZ553477A (en) Liquid co-infusion device
EP3180068B1 (en) Intravenous catheter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three way stop cock
JP2607192B2 (ja) 受動的薬剤放出ソケット
KR200487885Y1 (ko)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KR100421524B1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1972277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KR102141106B1 (ko) 수액 누수방지구조 및 향상된 조작편의성을 갖는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JP3705115B2 (ja) 混注用輸液ライン接続具
CA1309917C (en) Drug delivery apparatus including beneficial agent chamber with chimney for a directed flow path
KR200268714Y1 (ko) 수액 세트
JP3735856B2 (ja) 混注用輸液ライン接続具
JP2007083074A (ja) 輸液チューブセット
JP3120953U (ja) ドリップチャンバー用混注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