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03Y1 -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03Y1
KR200487703Y1 KR2020180000763U KR20180000763U KR200487703Y1 KR 200487703 Y1 KR200487703 Y1 KR 200487703Y1 KR 2020180000763 U KR2020180000763 U KR 2020180000763U KR 20180000763 U KR20180000763 U KR 20180000763U KR 200487703 Y1 KR200487703 Y1 KR 200487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ower body
plate
do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갑
Original Assignee
박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갑 filed Critical 박현갑
Priority to KR2020180000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3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 A63H3/005Do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not connected with dolls for use as containe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탯줄 보관인형을 수용하고 보관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되고, 공간부(13) 외주에 고정홈(12)을 형성하는 내벽(11)이 형성되며, 내벽(11) 일측에 파지홈(14)이 형성되고, 전면에 삽입홈(15)이 형성되며, 저면에 미끄럼방지패드(17)가 결합된 받침부재(10); 이름, 성별, 생년월일, 태명, 몸무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고, 상기 삽입홈(15)에 삽입 고정되는 인식표(16); 상기 받침부재(10)의 내벽(11) 위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파지홈(14)과 일치시키는 분리홈(21)이 형성되며, 저면에 받침부재(10)의 내벽(11)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20); 아기 머리 형상의 머리부(31)와, 머리부(31)와 요철 결합되는 상체부(32) 및 상기 상체부(32)와 요철 결합되는 하체부(33)로 구성되고, 상체부(32) 내부와 하체부(33)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탯줄을 넣은 보관용기(2)가 삽입되는 인형(30); 원통형으로 상단에 성별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52)이 고정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홈(51)에 고무링(53)이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고정홈(12)에 삽입되는 덮개(5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아기의 탄생 기념품으로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는 탯줄 보관인형을 안전하게 보관 및 전시할 수 있고, 성인이 된 후에도 탄생 정보와 더불어 추억이 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Case of Doll for Safekeeping Umbilical Cord}
본 고안은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탯줄 보관인형을 수용하고 보관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탯줄은 태아와 태반 사이에서 산소와 영양분을 태아에게 보내주고 노폐물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것이다. 탯줄은 의학 용어로 제대라고 하는데, 표면은 평활한 막으로 덮여 있고, 속에는 두 가닥의 제동맥과 한 가닥의 제정맥이 있으며, 교양질 조직으로써 보호된다. 제정맥은 발육이 빨라 길이가 길어지므로 제정맥이 제동맥의 주위를 감아서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탯줄은 아기가 태어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아기의 배꼽에서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되지만, 10개월 동안 엄마와 아기를 연결하고 있던 생명줄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예로부터 탯줄은 행운의 징표로서 이를 소유하고 있으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이야기도 전해 오고 있고, 일부 가정에서는 탯줄을 장롱 깊숙이 보관하기도 하였으며, 어려운 일을 겪을 때 부적처럼 몸에 지니고 다니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탯줄을 보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1에는 탯줄을 보관할 수 있는 도장에 있어서, 측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 종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도장 몸체부와, 도장 몸체부의 내부에 끼워지며, 탯줄을 보관하는 투명 수지부와, 일 종단면에 이름이 새겨지며 다른 종단면은 도장 몸체부의 개방된 종단면에 끼워지는 인각 부재를 구비하며, 도장 몸체부의 측면의 구멍을 통해 수지부에 보관된 탯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는 별모양의 외형 상부의 뚜껑 표면에 간략화된 해당년도 12지신과 한자를 장식하고 내부는 6실로 구획하며 내부의 구획실에 보관되어 있는 탯줄 등의 보호와 관찰을 위해 투명한 소재의 내부 뚜껑으로 구성되고 내부뚜껑의 손잡이는 내부뚜껑과 같은 별모양과 소재로 뚜껑 상단에 부착되며, 아래 바닥에는 무궁화 문양을 각인한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는 제1표지와 제2표지 및 제1표지와 제2표지를 연결하는 연결표지로 형성되는 겉표지와, 겉표지의 제1표지의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및 제3수용부들이 홈형으로 각각 요입 형성된 탯줄 보관부와, 탯줄 보관부의 제1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수용용기와, 제2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수용용기와, 겉표지의 제2표지 내면에 부착되고 내측에 바인더가 구비되는 기록 보관부와, 기록 보관부의 내측에 구비된 바인더에 연결되어 아기의 초음파사진을 보관할 수 있는 앨범 내지와, 기록 보관부의 내측에 구비된 바인더에 연결되어 아기의 성장 기록이나 아기가 태아였을 때의 느낌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내지가 포함된 탯줄 보관용 앨범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탯줄과 관련이 없는 도장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탯줄을 단순 보관하기 위한 것이고, 아기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한 것이 아니어서 아기와 일체화되지 못하여 친근감이 저하되고, 아기의 탄생 기념품으로서의 가치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9106호(2005.07.07.,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272(2012.05.11.,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346호(2013.09.11.,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181호(2016.04.20.,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형의 얼굴을 실제 아기의 얼굴 모습과 동일 또는 흡사하도록 3D 프린터로 제작하고, 인형 내부에 엄마와 아기를 10개월 동안 하나로 이어준 소중한 탯줄을 넣은 보관용기를 보관하며, 아기의 탄생 기념품으로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는 탯줄 보관인형을 안전하게 보관 및 전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외주에 고정홈을 형성하는 내벽이 형성되며, 내벽 일측에 파지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저면에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된 받침부재; 이름, 성별, 생년월일, 태명, 몸무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인식표; 상기 받침부재의 내벽 위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파지홈과 일치시키는 분리홈이 형성되며, 저면에 받침부재의 내벽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아기 머리 형상의 머리부와, 머리부와 요철 결합되는 상체부 및 상기 상체부와 요철 결합되는 하체부로 구성되고, 상체부 내부와 하체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탯줄을 넣은 보관용기가 삽입되는 인형; 원통형으로 상단에 성별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이 고정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홈에 고무링이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체부 저면에 복수의 제1자석이 고정 결합되고, 상체부 저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체부 표면에 복수의 제2자석이 고정 결합되고 하체부 표면에 복수의 제1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체부 저면에 복수의 제3자석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제4자석이 고정 결합되어 하체부가 자력으로 플레이트에 고정되거나, 상기 하체부에 제2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표면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하체부가 억지끼움으로 플레이트에 고정되거나, 상기 하체부에 복수의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표면에 제3결합홈에 대응하는 제3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하체부가 억지끼움으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제 아기 얼굴 모습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제작된 탯줄 보관인형에 탯줄이 담긴 보관용기를 넣고 플레이트 위에 고정시키고 덮개를 덮어 밀폐 결합함으로써, 아기의 탄생 기념품으로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는 탯줄 보관인형을 안전하게 보관 및 전시할 수 있고, 성인이 된 후에도 탄생 정보와 더불어 추억이 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래 기억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탯줄 보관인형을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케이스(1)는 받침부재(10) 위의 플레이트(20)에 고정된 탯줄 보관인형(30)을 투명한 덮개(50)로 씌워 안전하게 전시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덮개(50) 위에는 남녀 성별을 표시하고, 받침부재(10) 전면에는 보관된 탯줄의 아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에서, 받침부재(10)는 대략 원통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13) 외주에는 고정홈(12)을 형성하는 내벽(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벽(11) 일측에는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파지홈(14)이 형성된다. 받침부재(10) 전면에는 인식표(16)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삽입홈(15)이 형성된다. 또, 받침부재(10) 저면에는 케이스(1)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17)가 결합된다. 상기 공간부(13)에는 아기의 탄생과 관련된 정보를 넣어두거나 소품을 넣어 둘 수도 있다.
인식표(16)는 아기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태명, 몸무게 등 탯줄을 보관하는 아기와 관련된 어느 하나 이상이 기록되거나 인쇄된 것이다.
플레이트(20)는 받침부재(10)의 내벽(11) 위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된다. 플레이트(20) 저면에는 받침부재(10)의 내벽(11) 내측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돌기(22)가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0) 일측에는 파지홈(14)과 일치되는 분리홈(21)이 형성된다. 원호 형상의 분리홈(21)은 파지홈(14)의 내주면보다 외측으로 다소 더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플레이트(20) 저면에는 복수의 제4자석(23)이 삽입 고정된다.
탯줄 보관인형(30)은 아기 머리 형상의 머리부(31)와, 머리부(31)와 요철 결합되는 상체부(32), 그리고 상기 상체부(32)와 요철 결합되는 하체부(33)로 구성된다. 상체부(32) 내부와 하체부(33)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탯줄을 넣은 보관용기(33)가 삽입된다. 탯줄 보관인형(30)의 상체부(32) 저면에는 복수의 제1자석(35)이 고정 결합되고, 또, 상체부(32) 저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체부(32) 저면과 대응되는 하체부(33) 표면에는 복수의 제2자석(37)이 고정 결합되어 제1자석(35)과 자력으로 결합되고, 또, 하체부(33) 표면에 복수의 제1결합돌기(36)가 형성되어 상체부(32)의 제1결합홈(34)에 요철 결합된다.
덮개(50)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성별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52)이 고정 결합된다. 즉, 도 1 및 도 2의 덮개(50) 위에 고정된 조형물(52)은 아기의 성별이 남성임을 나타내는 조형물(52)이고, 도 3의 덮개(50) 위에 고정된 조형물(52)은 아기의 성별이 여성임을 나타내는 조형물(52)이다. 또한, 조형물(52)은 동물이나 식물 또는 하트 모양 등과 같은 추상적인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조형물(52)은 덮개(50) 내측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교체가 가능한 것이 좋다. 덮개(50) 하부 외주연에는 홈(51)이 형성되고, 홈(51)에는 고무링(53)이 결합된다. 따라서 덮개(50) 하부가 받침부재(10)의 고정홈(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고무링(53)에 의하여 고정홈(12) 표면과의 마찰로 견고한 삽입 고정과 더불어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탯줄 보관인형(30)을 플레이트(20)에 고정하기 위하여, 도 4에서, 하체부(33) 저면에 복수의 제3자석(38)이 고정 결합되고, 플레이트(20) 저면에 제3자석(38)과 대응하여 제4자석(23)이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탯줄 보관인형(30)은 하체부(33)의 제3자석(38)과 플레이트(20) 저면의 제4자석(23)과의 자력으로 고정된다. 이때, 각각 복수로 고정 결합된 제3자석(38)과 제4자석(23)의 자극을 설정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탯줄 보관인형(30)이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탯줄 보관인형(30)의 하체부(33)에 제2결합돌기(39)가 돌출 형성되고, 플레이트(20) 표면에 제2결합홈(24)이 형성된다. 이는 하체부(33)의 제2결합돌기(39)가 플레이트(20) 표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24)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탯줄 보관인형(30)의 하체부(33)에 복수의 제3결합홈(40)이 형성되고, 플레이트(20) 표면에 제3결합홈(40)에 대응하는 제3결합돌기(25)가 돌출 형성된다. 이는 하체부(33)가 제3결합홈(40)에 플레이트(20) 표면에 돌출된 제3결합돌기(25)를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탯줄 보관인형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의 덮개(50)를 받침부재(10)로부터 개방한다. 그리고 플레이트(20) 위에 고정된 탯줄 보관인형(30)을 분리한다. 이때, 탯줄 보관인형(30)은 플레이트(20)와 사이에 제3자석(38)과 제4자석(23)으로 고정 결합되거나 탯줄 보관인형(30)의 제2결합돌기(39)가 플레이트(20)의 제2결합홈(24)에 억지끼움으로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탯줄 보관인형(30)의 제3결합홈(40)이 플레이트(20)의 제3결합돌기(25)에 억지끼움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자석과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혼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탯줄 보관인형(30)의 상체부(32)와 하체부(33)를 개방한다. 이때, 상체부(32) 저면에는 복수의 제1자석(35)이 구비되고 복수의 제1결합홈(34)이 형성되며, 하체부(33) 표면에는 복수의 제2자석(37)이 구비되고 복수의 제1결합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체부(32)를 하체부(33)로부터 당겨 제1자석(35)과 제2자석(37)을 분리시키고, 제1결합홈(34)으로부터 제1결합돌기(36)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아기의 탯줄이 담긴 탯줄 보관용기(2)를 탯줄 보관인형(30)의 상체부(32)와 하체부(33)에 형성된 공간부에 넣은 후 상체부(32)와 하체부(33)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탯줄 보관인형(30)을 플레이트(20) 위에 고정시킨다. 탯줄 보관인형(30)과 플레이트(20)의 고정 방식은 도 4 내지 도 6의 방식이 적용될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20)를 받침부재(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파지홈(14)에 손가락을 넣고 플레이트(20)의 분리홈(21)을 당겨 올리면 플레이트(20)를 받침부재(10)를 분리할 수 있다. 받침부재(10) 내부의 공간부(13)에는 아기와 관련된 다양한 소품이나 물품을 넣어 둘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0)를 받침부재(10) 위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0)의 분리홈(21)과 받침부재(10)의 파지홈(14)을 일치시킨 후 삽입돌기(22)가 받침부재(10)의 내벽(11)에 끼워 고정시킨다.
그리고 덮개(50)의 하부를 받침부재(10)의 고정홈(12)에 삽입하여 밀어 넣는다. 이때, 덮개(50) 하부의 홈(51)에 고정 결합된 고무링(53)이 고정홈(12)에 견고하게 삽입 고정되어 밀폐되도록 한다.
또한, 덮개(5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조형물(52)은 아기의 성별에 따라 또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문양이나 동물이나 식물 등으로 교체할 수 있다. 조형물(52)은 덮개(50) 상단에 나사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받침부재(10) 전면의 삽입홈(15)에 탯줄이 보관된 아기의 탄생 정보, 예컨대, 이름이나 생년월일, 태명, 성별 또는 몸무게 등이 기재된 인식표(16)를 삽입 고정시킨다. 또한, 받침부재(10) 저면에 미끄럼방지패드(17)가 결합되어 전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케이스 2: 탯줄 보관용기 10: 받침부재 11: 내벽 12: 고정홈 13: 공간부 14: 파지홈 15: 삽입홈 16: 인식표 17: 미끄럼방지패드 20: 플레이트 21: 분리홈 22: 삽입돌기 23: 제4자석 24: 제2결합홈 25: 제3결합돌기 30: 탯줄 보관인형 31: 머리부 32: 상체부 33: 하체부 34: 제1결합홈 35: 제1자석 36: 제1결합돌기 37: 제2자석 38: 제3자석 39: 제2결합돌기 40: 제3결합홈 50: 덮개 51: 홈 52: 조형물 53: 고무링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3)가 형성되고, 공간부(13) 외주에 고정홈(12)을 형성하는 내벽(11)이 형성되며, 내벽(11) 일측에 파지홈(14)이 형성되고, 전면에 삽입홈(15)이 형성되며, 저면에 미끄럼방지패드(17)가 결합된 받침부재(10);
    이름, 성별, 생년월일, 태명, 몸무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되고, 상기 삽입홈(15)에 삽입 고정되는 인식표(16);
    상기 받침부재(10)의 내벽(11) 위와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파지홈(14)과 일치시키는 분리홈(21)이 형성되며, 저면에 받침부재(10)의 내벽(11)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22)가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20);
    아기 머리 형상의 머리부(31)와, 머리부(31)와 요철 결합되는 상체부(32) 및 상기 상체부(32)와 요철 결합되는 하체부(33)로 구성되되, 상기 상체부(32) 저면에 복수의 제1자석(35)이 고정 결합되고, 상체부(32) 저면에 복수의 제1결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하체부(33) 표면에 복수의 제2자석(37)이 고정 결합되고 하체부(33) 표면에 복수의 제1결합돌기(36)가 형성되고, 상체부(32) 내부와 하체부(33)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탯줄을 넣은 보관용기(2)가 삽입되는 인형(30);
    원통형으로 상단에 성별을 나타내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52)이 고정 결합되고,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홈(51)에 고무링(53)이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고정홈(12)에 삽입되는 덮개(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33)에 제2결합돌기(39)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0) 표면에 제2결합홈(24)이 형성되어 하체부(33)가 억지끼움으로 플레이트(20)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하체부(33)에 복수의 제3결합홈(40)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20) 표면에 제3결합홈(40)에 대응하는 제3결합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하체부(33)가 억지끼움으로 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것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0763U 2018-02-20 2018-02-20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KR200487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3U KR200487703Y1 (ko) 2018-02-20 2018-02-20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63U KR200487703Y1 (ko) 2018-02-20 2018-02-20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03Y1 true KR200487703Y1 (ko) 2018-10-23

Family

ID=6404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63U KR200487703Y1 (ko) 2018-02-20 2018-02-20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860B1 (ko) 2020-03-17 2021-08-03 주식회사 우아 개인 커스텀 콘텐츠 조형물
KR102642428B1 (ko) * 2023-10-12 2024-02-29 신새미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피규어 거치대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963U (ko) * 1985-08-29 1987-03-11
KR20040080181A (ko)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엑스티엠 계수기의 인입간격 조절장치
KR200389106Y1 (ko) 2005-04-19 2005-07-07 (주)베베라이프 탯줄 보관용 도장
KR200430741Y1 (ko) * 2006-09-01 2006-11-13 정경순 탯줄 내장용 도장
KR20120003272U (ko) 2010-11-03 2012-05-11 유성국 탯줄 등 보관함
KR20130000438U (ko) * 2011-06-29 2013-01-18 박동기 차량용 다용도 장식물
KR20130005346U (ko) 2012-03-02 2013-09-11 남수경 탯줄 보관용 앨범
KR20140067690A (ko) * 2012-11-27 2014-06-05 크리스타일 주식회사 탯줄 보관 장식물
KR200480181Y1 (ko) * 2015-10-21 2016-04-20 박현갑 탯줄 보관 인형 및 그 세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963U (ko) * 1985-08-29 1987-03-11
KR20040080181A (ko) 2003-03-11 2004-09-18 주식회사 엑스티엠 계수기의 인입간격 조절장치
KR200389106Y1 (ko) 2005-04-19 2005-07-07 (주)베베라이프 탯줄 보관용 도장
KR200430741Y1 (ko) * 2006-09-01 2006-11-13 정경순 탯줄 내장용 도장
KR20120003272U (ko) 2010-11-03 2012-05-11 유성국 탯줄 등 보관함
KR20130000438U (ko) * 2011-06-29 2013-01-18 박동기 차량용 다용도 장식물
KR20130005346U (ko) 2012-03-02 2013-09-11 남수경 탯줄 보관용 앨범
KR20140067690A (ko) * 2012-11-27 2014-06-05 크리스타일 주식회사 탯줄 보관 장식물
KR200480181Y1 (ko) * 2015-10-21 2016-04-20 박현갑 탯줄 보관 인형 및 그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860B1 (ko) 2020-03-17 2021-08-03 주식회사 우아 개인 커스텀 콘텐츠 조형물
KR102642428B1 (ko) * 2023-10-12 2024-02-29 신새미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피규어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526B2 (en) Container system for storing remains
KR200487703Y1 (ko) 탯줄 보관인형 보관용 케이스
KR200480181Y1 (ko) 탯줄 보관 인형 및 그 세트
US9610207B1 (en) Memorial urn
KR101535885B1 (ko) 보관함을 갖는 앨범
US9358171B1 (en) Personalized decorative urn for pets
KR20130005346U (ko) 탯줄 보관용 앨범
US6598751B2 (en) Item holder
KR20130005345U (ko) 탯줄 보관용 앨범
JP3193291U (ja) 菓子類用容器
JPH0344671Y2 (ko)
US8628090B2 (en) Seashell game
JP3151384U (ja) 骨壷
JPS6214974Y2 (ko)
US8733005B2 (en) Display device, kit and assembly
JP3243079U (ja) 近距離無線通信モジュールホルダー
JP3179156U (ja) ランドセル
KR200429932Y1 (ko) 탯줄 보관용 도장
JPS5916005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117257U (ja) 子供用記念メダル
JPS6038510Y2 (ja) 玩具用ケ−ス
JP3082017U (ja) 印鑑ケース
CN204246262U (zh) 乳齿留存装置
KR20190122522A (ko) 유골함의 꽃장식 장치
JP3043290U (ja) キーホルダーなどの装身具用下げ飾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