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27Y1 -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 Google Patents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27Y1
KR200487627Y1 KR2020170001927U KR20170001927U KR200487627Y1 KR 200487627 Y1 KR200487627 Y1 KR 200487627Y1 KR 2020170001927 U KR2020170001927 U KR 2020170001927U KR 20170001927 U KR20170001927 U KR 20170001927U KR 200487627 Y1 KR200487627 Y1 KR 200487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inute hand
hand
rotation
g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임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to KR202017000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2Clock-read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3/00Gearwork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교구는 각각 회전 가능한 시침 (21) 및 분침 (22) 이 구비된 시계부 (2), 상기 분침 (22) 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부 (3), 상기 기어부 (3) 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부 (3) 에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부 (4), 및 상기 톱니바퀴부 (4) 가 장착되는 게임판 (1) 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시계부와 게임판이 결합된 구성으로 여러 가지 방식의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보다 동작성 있고 흥미로운 활동과 함께 시간의 개념과 시계의 원리를 창의적이고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BOARD GAME FOR TIME LEARNING}
본 고안은, 시계의 분침의 회전에 따라 게임판의 상황이 변화하여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시계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의 분침의 회전이 기저 동력이 되어 기어부를 통해 톱니바퀴부에 전달되고, 톱니바퀴부가 회전하며 톱니바퀴부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가 게임판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와 어울려 변화함으로써, 시간의 변화와 게임판의 상황을 연관시켜 시계의 원리를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에 관한 것이다.
시간의 개념과 시계의 작동원리의 학습은 유아 교육상 필수적이고도 중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시계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시침 및 분침이 구비된 아날로그 시계의 원리와 시분초로 구성된 시간의 개념을 학습하는 것은 학습자인 유아들에게 보다 낯설고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시각을 맞추며 직접적으로 시간 개념을 학습하는 방식에서 더 나아가, 보다 흥미롭고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시간의 개념과 시계의 작동원리를 간접적이고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시계 학습용 교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유아학습용 시계 교구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8481호 (특허문헌 1) 에는, 원형의 투명판 배면 중심부에 고착된 분침을 그 하부의 시침이 삽입된 톱니바퀴 중심축대에 결합하여, 원형투명판 원둘레 요철 부분을 전동모터로 회전시켜 작동케 하는 유아 학습용 자동화 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시계 교구의 경우, 시계 본체 단독을 이용하여 온, 오프의 자동화장치로 학습하는바, 학습자가 직접 시분침을 맞추는 활동이 제약되고 더욱이 시계 본체 단독만으로 시간 개념을 학습하므로 학습자가 지루해하거나 숫자와 연관되는 시간의 개념의 이해를 어려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시계 모형을 이용한 논술식 및 연산식 시계학습교구로서,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242호 (특허문헌 2) 에는, 전면 프레임, 지지대, 전면판넬, 상기 전면판넬 상에 설치되고 시 및 분을 표시하도록 눈금이 표시된 시계모형, 숫자와 연산기호가 인쇄된 철판, 및 표시블록을 포함하는 시계학습교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학습용 교구의 경우, 시계를 연산기호와 결합하여 시간을 수학적으로 연산할 수 있으나, 숫자와 연관되는 시간의 개념을 여전히 직접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해야 하는 한계가 있고, 또한, 시계의 분침을 회전시켜 게임판에 노출되는 게임의 상황이 변화하여 시간 변화의 개념을 간접적으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8481호 (2003년 9월 22일 등록)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242호 (2011년 4월 27일 공개)
본 고안은 시계 학습에 있어서, 종래의 시계 본체 단독을 이용한 직접적인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기어부와 톱니바퀴부를 활용하여 시계를 게임판에 적용함으로써, 시계의 분침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게임판의 상황을 시간의 변화와 연관시켜 보다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시계를 학습할 수 있는 보드게임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계 본체만을 이용하여 시각을 맞추며 시계의 원리를 학습하는 것은 복잡한 시간 체계를 직접적으로 이해해야 하므로 학습자에게 지루함을 줄 수 있어 보드게임과 같이 보다 흥미롭고 자연스러운 활동을 통해 시계를 학습할 수 있는 교구가 요구된다.
다만,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가 제공된다.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는, 각각 회전 가능한 시침 및 분침이 구비된 시계부; 상기 분침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가 장착되는 게임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시계부는, 상기 시침 및 상기 분침이 장착되는 시계판; 및 상기 시계판의 하부에서 상기 시계판과 결합되는 회전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시침에 연결된 시침 기어; 상기 시침 기어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분침에 연결된 분침 기어; 상기 시침 기어 및 상기 분침 기어와 맞물려 연결된 다단 변속 기어; 상기 시침 기어 및 상기 분침 기어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단 변속 기어 및 상기 톱니바퀴부에 맞물려 연결된 동력 전달 기어; 및 상기 다단 변속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 기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단 변속 기어를 고정하는 기어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침 기어는 상기 분침의 회전을 상기 다단 변속 기어에 전달하고, 상기 다단 변속 기어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의 회전을 각각 상기 시침 기어 및 상기 동력 전달 기어에 전달하고, 상기 시침 기어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침을 수동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동력 전달 기어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의 회전을 상기 톱니바퀴부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톱니바퀴부는,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각각의 상면에는 그림 또는 문자가 프린트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톱니바퀴부는 상기 게임판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게임판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의 상면 중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에는 상기 분침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가 변화하며 노출되고, 상기 게임판의 상면에는 그림 또는 문자가 프린트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순히 시각만을 맞추는 종래의 시계 학습 활동에서는 흥미 요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부분 유아에 해당하는 학습자에게는 학습 자체가 지루하고 시계의 원리가 직관적으로 이해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에 따르는 경우, 시계가 결합되는 게임판 자체가 여러 가지 방식의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보다 동작성 있고 흥미로운 활동과 함께 시간의 개념과 시계의 원리를 창의적이고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시계부, 기어부, 톱니바퀴부의 조립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시계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 는 본 고안의 기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고안의 톱니바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 고안의 게임판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시계부 (2), 기어부 (3), 톱니바퀴부 (4) 의 조립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는 시계부 (2), 기어부 (3), 톱니바퀴부 (4) 를 포함한다.
시계부 (2) 는 기어부 (3) 를 그 내부에 포함하고 톱니바퀴부 (4) 가 기어부 (3) 에 맞물려 연결되도록 게임판 (1) 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계부 (2) 에는 또한 각각 회전 가능한 시침 (21) 및 분침 (22) 이 구비된다. 특히 시계부 (2) 의 분침 (22) 은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어, 이 분침 (22) 의 회전이 기저 동력이 되어 기어부 (3) 를 통해 톱니바퀴부 (4) 에 전달됨으로써 톱니바퀴부 (4) 가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기어부 (3) 는 시계부 (2) 로부터 전달 받은 분침 (22) 의 회전 동력을 톱니바퀴부 (4) 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부 (3) 는 시계부 (2) 의 분침 (22) 과 연결되어, 분침 (22) 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 동력을 기어부 (3) 에 맞물려 연결되어 있는 톱니바퀴부 (4) 에 전달하여, 톱니바퀴부 (4) 가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톱니바퀴부 (4) 는 기어부 (3) 로부터 전달 받은 분침 (22) 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게임판 (1) 에 노출되는 전체 형상이 변화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톱니바퀴부 (4) 는 기어부 (3) 와 맞물려 연결되어, 시계부 (2) 의 분침 (22) 이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그 회전 동력이 기어부 (3) 를 통해 톱니바퀴부 (4) 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톱니바퀴부 (4) 가 회전하며, 톱니바퀴부 (4)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게임판 (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12) 와 어울려 게임판 (1) 에 노출되는 전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자는, 시침 및 분침을 회전시켜 시각을 맞추면서 시간의 개념을 학습하는 시계 교구에, 기어와 톱니바퀴를 통해 게임판을 결합함으로써, 특히 시계의 분침의 회전에 따른 시간의 변화에 의해 게임판에 장착된 톱니바퀴를 회전시켜, 게임판에 노출되는 전체 형상이 변화하는 게임을 연결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시간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음을 지견하고,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및 그 결합 관계와 작동의 구체적인 양태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고안의 시계부 (2) 는 시침 (21) 및 분침 (22) 이 장착되는 시계판 (23) 과, 시계판 (23) 의 하부에서 시계판 (23) 과 결합되는 회전고정판 (24)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시계부 (2) 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시계부 (2) 는 시침 (21), 분침 (22), 시계판 (23), 및 회전고정판 (24) 을 포함한다.
시침 (21) 과 분침 (22) 은 시계판 (23) 상부에 장착된다. 시침 (21) 은 시계판 (23) 상면에 접하여 장착되고, 분침 (22) 은 시침 (21) 과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시침 (21) 의 상부에 접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침 (22) 은 외부의 힘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시침 (21) 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힘에 의해 직접 회전되지 않고 분침 (22) 의 회전이 전달된 기어부 (3) 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시계판 (23) 은 시침 (21) 및 분침 (22) 을 상면에 장착하고, 기어부 (3) 를 하부에 수용한다. 시계판 (23) 상면에는 시각을 표현하는 그림 또는 문자가 프린트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도나 방위 등을 표현하는 그림 또는 문자가 프린트될 수도 있다.
회전고정판 (24) 은 시계판 (23) 의 하부에서 시계판 (23) 에 장착되고, 기어부 (3) 는 회전고정판 (24) 과 시계판 (23) 사이에 수용된다. 회전고정판 (24) 은 또한, 기어부 (3) 에 맞물려 연결된 톱니바퀴부 (4) 를 게임판 (1) 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고정판 (24) 이 시계판 (23) 의 하부에서 그 상부에 기어부 (3) 를 수용하며 톱니바퀴부 (4) 를 게임판 (1) 에 고정함으로써, 톱니바퀴부 (4) 는 회전시에 회전축을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고안의 기어부 (3) 는 시침 (21) 에 연결된 시침 기어 (31), 분침 (22) 에 연결된 분침 기어 (32), 시침 기어 (31) 및 분침 기어 (32) 와 맞물려 연결된 다단 변속 기어 (33), 다단 변속 기어 (33) 와 톱니바퀴부 (4) 에 맞물려 연결된 동력 전달 기어 (34), 및 다단 변속 기어 (33) 와 동력 전달 기어 (34) 사이에 위치하여 다단 변속 기어 (33) 를 고정하는 기어 고정판 (35)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기어부 (3) 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어부 (3) 는 시침 기어 (31), 분침 기어 (32), 다단 변속 기어 (33), 동력 전달 기어 (34), 및 기어 고정판 (35) 을 포함한다.
분침 기어 (32) 는 시계부 (2) 의 분침 (22) 의 회전 동력을 받아 다단 변속 기어 (33) 에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침 기어 (32) 는 시계부 (2) 의 분침 (22) 과 볼트 (분침 기어 (32)) 와 너트 (분침 (22)) 의 관계로 체결되고, 분침 (22) 이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회전하여, 분침 기어 (32) 에 맞물린 다단 변속 기어 (33) 의 일단 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단 변속 기어 (33) 는 분침 기어 (32) 를 통해 받은 분침 (22) 의 회전 동력을 시침 기어 (31) 및 동력 전달 기어 (33) 에 전달한다. 다단 변속 기어 (33) 는 기어부 (3) 에서 1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가 구비된다. 다단 변속 기어 (33) 는 2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다단 기어로서, 바람직하게는 분침 기어 (32), 시침 기어 (31), 및 동력 전달 기어 (33) 에 맞물리는 각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 변속 기어 (33) 는 상기 분침 기어 (32), 시침 기어 (31), 및 동력 전달 기어 (33) 각각에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를 상이하게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맞물리는 각각의 기어간에 상이한 기어비가 정의될 수 있다. 다단 변속 기어 (33) 는 시침 기어 (31), 분침 기어 (32), 및 동력 전달 기어 (33) 와는 상이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기어들 (31, 32, 33) 과 각각의 기어단에 맞물려, 분침 기어 (32) 의 회전을 받거나 또는 시침 기어 (31) 및 동력 전달 기어 (33) 에 회전을 전달한다. 이 때, 다단 변속 기어 (33) 의 각각의 기어단에서 미리 정해진 기어비에 따라 분침 기어 (32), 다단 변속 기어 (33), 시침 기어 (31), 및 동력 전달 기어 (33) 의 회전은 상이한 속도로 변속될 수 있다.
시침 기어 (31) 는 다단 변속 기어 (33) 를 통해 전달 받은 분침 (22) 의 회전 동력에 의해 시계부 (2) 의 시침 (21) 을 수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계부 (2) 의 시침 (21) 은 기어부 (3) 가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어부 (3) 의 시침 기어 (31) 로부터 전달 받은 분침 (22) 의 회전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즉, 외부의 힘에 의한 분침 (22) 의 회전이 분침 기어 (32) 에 전달되고, 분침 기어 (32) 에 전달된 회전은 분침 기어 (32) 에 맞물린 다단 변속 기어 (33) 에 전달되고, 다단 변속 기어 (33) 에 전달된 회전은 다단 변속 기어 (33) 에 맞물린 시침 기어 (31) 에 전달되어, 결국 시침 기어 (31) 에 연결된 시침 (21) 이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시침 기어 (31) 의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분침 기어 (32) 의 회전축과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동력 전달 기어 (34) 는 다단 변속 기어 (33) 를 통해 전달 받은 분침 (22) 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을 동력 전달 기어 (34) 에 맞물린 톱니바퀴부 (4) 에 전달한다. 동력 전달 기어 (34) 는 2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다단 기어로서, 바람직하게는 다단 변속 기어 (33) 및 톱니바퀴부 (4) 에 맞물리는 2 개의 기어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 기어 (34) 는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및 톱니바퀴부 (4) 각각에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를 상이하게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맞물리는 각각의 기어간에 상이한 기어비가 정의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어 (34) 의 회전축은 시침 기어 (31) 및 분침 기어 (32) 의 회전축과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반면 다단 변속 기어 (33) 및 톱니바퀴부 (4) 와는 상이한 축선을 가진다. 이 경우, 동력 전달 기어 (34) 는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및 톱니바퀴부 (4) 와 동력 전달 기어 (34) 의 각각의 기어단에 맞물려, 다단 변속 기어 (33) 의 회전을 전달 받고 톱니바퀴부 (4) 에 회전을 전달한다. 이 때, 동력 전달 기어 (34) 의 각각의 기어단에서 미리 정해진 기어비에 따라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동력 전달 기어 (34), 및 톱니바퀴부 (4) 의 회전은 상이한 속도로 변속될 수 있다.
기어 고정판 (35) 은 다단 변속 기어 (33) 와 동력 전달 기어 (34) 사이에 위치하여 다단 변속 기어 (33) 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 고정판 (35) 은 다단 변속 기어 (33) 의 하면에 접하고 동력 전달 기어 (34) 의 상면에 접하여 다단 변속 기어 (33) 와 동력 전달 기어 (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기어 고정판 (35) 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시침 기어 (31), 분침 기어 (32), 및 동력 전달 기어 (34) 와는 상이한 축선 상에 위치하는 다단 변속 기어 (33) 가 회전시에 축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 기어 고정판 (35) 은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동력 전달 기어 (34) 의 다단 변속 기어 (33) 와 맞물리는 일 기어단이 상기 기어 고정판 (35) 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 수용되어, 다단 변속 기어 (33) 로부터 동력 전달 기어 (34) 로의 회전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고안의 톱니바퀴부 (4) 는, 기어부 (3) 에 맞물려 회전하고 각각의 상면에 그림 또는 문자 (42) 가 프린트된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톱니바퀴부 (4) 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톱니바퀴부 (4) 는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각각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는 각각 기어부 (3) 의 동력 전달 기어 (34) 와 맞물려 분침 (22) 의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는 그 소재가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톱니바퀴부 (4) 를 4 개의 톱니바퀴 (41) 로 구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계부 (2) 의 분침 (22) 이 한 바퀴 (360˚) 회전될 때, 기어부 (3) 의 다단 변속 기어 (33) 에 의한 변속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는 반 바퀴 (180˚) 를 회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각각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는 그림이나 문자로 분류될 수 있는 어떤 형상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난 톱니바퀴부 (4) 의 일 예로서의 4 개의 톱니바퀴 (41) 중 우상측에 있는 톱니바퀴 (41) 에는, 본 고안의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고안의 게임판 (1) 은 하부에 톱니바퀴부 (4) 가 장착될 수 있고, 게임판 (1) 에는 하부에 장착된 톱니바퀴부 (4) 의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의 상면 중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 (11) 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게임판 (1) 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및 톱니바퀴부 (4) 와의 결합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게임판 (1) 은 하나 이상의 구멍 (11), 및 게임판 (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12) 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판 (1) 은 2 개 이상의 판, 바람직하게는 4 개의 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 (11) 은 게임판 (1) 에 형성되고 그 개수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구멍 (11) 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게임판 상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 (11) 은 게임판 (1) 에 있어 그 하부에 톱니바퀴부 (4) 가 장착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본 고안의 게임판 (1) 의 하나 이상의 구멍 (11) 에는 상기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변화하며 노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계부 (2) 의 분침 (22) 의 회전이 기저 동력이 되어 기어부 (3) 를 통해 톱니바퀴부 (4) 에 전달됨으로써 게임판 (1) 하부에 장착된 톱니바퀴부 (4) 의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가 회전하면, 게임판 (1) 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 (11) 에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톱니바퀴 (41) 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며 노출될 수 있다.
게임판 (1) 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12) 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와는 별개의 구성에 해당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 톱니바퀴 (41) 상면에는 길의 일부를 나타내는 그림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을 따라 30˚ 씩 이격되어 12 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게임판 (1)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12) 또한 길의 일부를 나타내는 그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게임판 (1) 의 하나 이상의 구멍 (11) 에 노출되는 길의 일부 (42) 와 게임판 (1) 에 프린트된 길의 일부 (12) 가 바람직하게는 분침의 10 분 (60˚) 단위로 연결되어, 게임판 (1) 전체에 프린트된 길 형상이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 게임판
11: 하나 이상의 구멍
12: 게임판 상면의 그림 또는 문자
2: 시계부
21: 시침
22: 분침
23: 시계판
24: 회전고정판
3: 기어부
31: 시침 기어
32: 분침 기어
33: 다단 변속 기어
34: 동력 전달 기어
35: 기어 고정판
4: 톱니바퀴부
41: 하나 이상의 톱니바퀴
42: 톱니바퀴 상면의 그림 또는 문자

Claims (6)

  1.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에 있어서,
    각각 회전 가능한 시침 (21) 및 분침 (22) 이 구비된 시계부 (2),
    상기 분침 (22) 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부 (3),
    상기 기어부 (3) 로부터 전달받은 회전에 의해 상기 기어부 (3) 에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부 (4), 및
    상기 톱니바퀴부 (4) 가 장착되는 게임판 (1) 을 포함하고,
    상기 톱니바퀴부 (4) 는, 상기 기어부 (3) 에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톱니바퀴 (41) 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톱니바퀴 (41) 각각의 상면에는 그림 또는 문자 (42) 가 프린트되어 있고,
    상기 톱니바퀴부 (4) 는 상기 게임판 (1) 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게임판 (1) 에는 상기 복수의 톱니바퀴 (41) 의 상면 중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구멍 (11)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 (3) 는,
    상기 시침 (21) 에 연결된 시침 기어 (31),
    상기 시침 기어 (31) 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분침 (22) 에 연결된 분침 기어 (32),
    상기 시침 기어 (31) 및 상기 분침 기어 (32) 와 맞물려 연결된 다단 변속 기어 (33),
    상기 시침 기어 (31) 및 상기 분침 기어 (32) 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및 상기 톱니바퀴부 (4) 에 맞물려 연결된 동력 전달 기어 (34), 및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및 상기 동력 전달 기어 (3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를 고정하는 기어 고정판 (35) 을 포함하고,
    상기 분침 기어 (32) 는 상기 분침 (22) 의 회전을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에 전달하고,
    상기 다단 변속 기어 (33) 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 (22) 의 회전을 각각 상기 시침 기어 (31) 및 상기 동력 전달 기어 (34) 에 전달하고,
    상기 시침 기어 (31) 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 (22) 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시침 (21) 을 수동적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동력 전달 기어 (34) 는 전달 받은 상기 분침 (22) 의 회전을 상기 톱니바퀴부 (4) 에 전달하고,
    상기 게임판 (1) 의 상면에는 그림 또는 문자 (12) 가 프린트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 (11) 에는 상기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톱니바퀴 (41)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변화하며 노출되어, 상기 톱니바퀴 (41)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42) 가 상기 게임판 (1) 의 상면에 프린트된 그림 또는 문자 (12) 와 조합되면서 상기 분침 (22) 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게임판 (1) 에 노출되는 전체 형상이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부 (2) 는,
    상기 시침 (21) 및 상기 분침 (22) 이 장착되는 시계판 (23), 및
    상기 시계판 (23) 의 하부에서 상기 시계판 (23) 과 결합되는 회전고정판 (2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70001927U 2017-04-17 2017-04-17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KR200487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27U KR200487627Y1 (ko) 2017-04-17 2017-04-17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27U KR200487627Y1 (ko) 2017-04-17 2017-04-17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627Y1 true KR200487627Y1 (ko) 2018-10-15

Family

ID=6386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927U KR200487627Y1 (ko) 2017-04-17 2017-04-17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2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518U (ja) * 1998-12-25 1999-09-07 株式会社ナナミ 学習用時計
US6071124A (en) * 1998-02-26 2000-06-06 Hope Industries, Inc. Analog time teaching device
KR200328481Y1 (ko) 2003-02-20 2003-09-29 박세균 유아학습용 자동화 시계
KR20110043242A (ko) 2009-10-21 2011-04-27 문석철 시계 모형을 이용한 논술식 및 연산식 시계학습교구
JP2014508307A (ja) * 2011-03-14 2014-04-03 ハリー・ウィンストン・エス アー 時計の表示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1124A (en) * 1998-02-26 2000-06-06 Hope Industries, Inc. Analog time teaching device
JP3060518U (ja) * 1998-12-25 1999-09-07 株式会社ナナミ 学習用時計
KR200328481Y1 (ko) 2003-02-20 2003-09-29 박세균 유아학습용 자동화 시계
KR20110043242A (ko) 2009-10-21 2011-04-27 문석철 시계 모형을 이용한 논술식 및 연산식 시계학습교구
JP2014508307A (ja) * 2011-03-14 2014-04-03 ハリー・ウィンストン・エス アー 時計の表示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0685C (zh) 用于显示月相的机构
JP2020060561A (ja) 計時器の機械式デジタル表示
US7491061B2 (en) Educational math toy
KR200487627Y1 (ko) 시계 학습용 보드게임 교구
US8611192B2 (en) Elapsed time clock
US7821879B2 (en) Mechanism for displaying pictures, figures or signs produced on a timepiece dial
US7255626B2 (en) Tutorial and wits-increment toy car
JP3526768B2 (ja) タイマー時計
JP3161109U (ja) 歯車教材
CN201170843Y (zh) 一种钟表塑料机芯
US2985998A (en) Cyclometer, counter or the like
KR200497143Y1 (ko) 시계형 수학 교구
CN2679726Y (zh) 全球计时仪
US4885729A (en) Clock mechanism and display face
JP3136360U (ja) 時計形知育玩具
JP7252406B1 (ja) スケルトン形コンソール時計
JP2012220749A (ja) 知育用時計
JP3146244U (ja) 時計型学習教材
WO1988009962A1 (en) Clock with digital/analog features
JP3129998B2 (ja) 教材用時計
GB2347780A (en) Clock teaching aid
KR101509394B1 (ko) 시침시계와 분침시계로 분리되는 학습용 시계
JP5450327B2 (ja) 学習用時計
US10452028B2 (en) Timepiece assembly
KR200328481Y1 (ko) 유아학습용 자동화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