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59Y1 -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 Google Patents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59Y1
KR200487259Y1 KR2020160007589U KR20160007589U KR200487259Y1 KR 200487259 Y1 KR200487259 Y1 KR 200487259Y1 KR 2020160007589 U KR2020160007589 U KR 2020160007589U KR 20160007589 U KR20160007589 U KR 20160007589U KR 200487259 Y1 KR200487259 Y1 KR 200487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humidity
moisture
fa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2047U (en
Inventor
이인권
김양일
윤재수
정종현
Original Assignee
고양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양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고양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2020160007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59Y1/en
Publication of KR20180002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4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로 이중으로 온실을 구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스에 배출팬을 설치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습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따뜻한 공기와 함께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ing house for agriculture or horticulture, wherein a greenhouse is constituted by an outer house and an inner house, and a discharge fan is installed in the inner house, so that when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inner house reaches a saturated state, And a greenhouse for discharging the moisture of the inside house to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house and the inside house together with the warm air, thereby effectively discharging the inside moisture to the outside while minimizing heat loss, Management can be facilitated.

Description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0001]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0002]

본 고안은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for agriculture or horticul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eenhouse having an automatic humidity control function that can effectively maintain and maintain internal humidity by effectively discharging moistur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while minimizing heat loss. House.

일반적으로, 농업 또는 원예용 온실 하우스는 기본 골조에 비닐 등을 덮어 고정시키고,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외부 환경과 무관하게 내부의 온도를 작물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장치로서, 추운 동절기에도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Generally, a greenhouse for agriculture or horticulture is constructed by covering a basic frame with vinyl or the like and cutting the inside and outside to keep the internal temperature at a proper temperature for growing the crop regardles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ultivate various crops Which can grow crops even during cold winter month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improvement of farm household income.

이러한 온실 하우스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를 통해 햇빛이 내부로 투과되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고, 수분은 관리자가 별도의 급수시설을 통해 공급하여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그리고, 추운 동절기에는 온실 내부에 별도로 난방장치를 설치하여 온실 내부온도를 작물생육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These greenhouses are made of transparent resin, and the sunlight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to supply the light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s, and the water is supplied by the manager through the separate water supply facility to cultivate the crops. In the cold winter season, a separate hea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greenhouse to keep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at a proper temperature for growing the crop.

하지만, 동절기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야간에는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까지 이르러 작물에 병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온실 내의 상대습도는 온도가 내려가는 야간에 높고, 일사량 유입에 의해 온도가 올라가는 낮에는 낮다. 특히 야간에 기온이 떨어지면 상대습도는 포화 상태에 이르고, 무가온 온실의 경우 주간에 관수한 물이 밤이 되면 토양으로부터 증발해 온실 내 상대습도를 끌어올리고 아침이 되면 적정 범위인 60~80%를 훨씬 넘어 완전 포화상태까지 이르기도 한다. However, in the nigh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inter season drops rapidly,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reaches a saturated state, which causes a problem in the crop.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greenhouse is high at night when the temperature falls and low during the day when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inflow of solar radiation. In the case of a greenhouse without water, nightly water evaporates from the soil, raising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greenhouse. In the morning, it reaches 60 ~ 80% It can also reach full saturation.

이와 같이, 온실 내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면, 작물의 잎과 줄기에 물방울이 맺히는 환경이 조성되어 각종 병의 발생이 많아지고 작물의 내병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야간에 저온으로 관리하는 온실의 경우에는 시설내부에 발생하는 안개로 인하여 온실 내부로의 광 투과율이 떨어져 작물의 광합성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As such, when the relative humidity in the greenhouse reaches a saturated state, an environment in which water droplets are formed on the leaves and stems of crops is formed, so that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is increased and the disease resistance of the crops is lowered. In the case of a greenhouse managed at a low temperature at night, the light transmittance to the interior of the greenhouse is reduced due to fog occurring inside the plant, which affects the photosynthetic action of the crop.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실 내부에 투습성이 양호한 보온성 자재를 사용하여 야간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고 상대습도를 저하시켜 병 발생을 경감시키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612호), 온실 내부에 제습기를 설치하여 강제적인 제습으로 오이의 노균병,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그리고 온실 내부에 환기팬을 설치하여 강제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preventing the lowering of the temperature at night and lowering the relative humidity by using a warming material having good moisture permeability inside the greenhouse (Korean Patent No. 10-0898612), a dehumidifier A method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noxious diseases and fungal diseases of cucumber by forced dehumidification, and a method of forcibly discharging the inside air by installing a ventilating fan inside the greenhouse have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612호와 같이, 온실 내부에 투습성이 양호한 보온성 자재를 설치하는 방법에서는 온실 내부에 다량의 습기가 발생되는 경우 상대습도를 저하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온실 내부에 제습기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습기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으며,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 방법은 온실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898612,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warmth-keeping material with good moisture-permeability inside the greenhouse, there is a limit in lowering the relative humidity when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generated inside the greenhouse, and a dehumidifier is installed inside the greenho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dehumidifier are consumed in a large amount and the ventilation method using the ventilation fan has a problem that heat inside the greenhou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heat loss is generated.

KR 10-0898612 B1, 2009. 05. 13.KR 10-0898612 B1, 2009. 05. 13.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eenhouse having an automatic humidity control function that can effectively maintain and maintain internal humidity by effectively discharging internal moisture while minimizing heat loss. The purpose of the hou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 및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전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hous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house; And humidity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by discharging th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to a space between the outside house and the inside house, wherein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includes: Respectively, to discharge the moisture of the inner house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side the inside house to measure a relativ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And a control panel for operating the discharge fan according to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배출팬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house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house, one side is coupled to the discharge fan,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And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through the discharge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팬의 가동으로 인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가 30~40%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rol panel activates the discharge fan to discharge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inner hous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whe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80%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ner house is reduced to 30 to 40% due to operation of the fan.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덕트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ischarge duct is provided with an absorbent pa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on its inn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어 배출되는 습기를 상부로 비산시키는 동시에 따뜻한 공기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diffusion fa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for dispersing the moisture blown out in the upward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diffusing warm air upward And the like.

바람직하게, 상기 확산팬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확산팬 중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iffusion fan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house, respectively.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after the diffusion fan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diffusion fans have been operated, the diffusion fans installed in the left side are operated So that the warm ai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moisture is uniformly diffus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로 이중으로 온실을 구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스에 배출팬을 설치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습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따뜻한 공기와 함께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온실 하우스를 제공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의 습도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is formed by an outer house and an inner house, and a discharge fan is installed in the inner house, so that when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inner house reaches a saturated state, The humidity of the inner house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house and the inner house together with the warm air, thereby effectively minimizing the heat loss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to the outside. It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커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house and the inner house (curtain) shown in Fig. 1 are separated;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hous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inner house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inside of the outer house shown in Fig. 1;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oreover, terms used herein (to be referred 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커텐)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side house and the inside house (curtain) shown in FIG. 1 are separa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10)는 외부 하우스(11)와, 외부 하우스(11)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12)와, 내부 하우스(12)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13)을 포함한다. 1 and 2, a green hou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house 11, an inner house 12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house 11, And a humidity adjusting means (13) provided in the internal house (12) for adjusting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internal house (12).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uter house shown in FIG. 2.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스(11)는 외부 프레임(111)과, 외부 프레임(111)을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외부커버(112)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커버(112)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두꺼운 투명한 비닐로 이루어진다. 1 to 3, the outer house 11 includes an outer frame 111 and an outer cover 112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frame 111. At this time, the outer cover 112 is made of synthetic resin. Preferably, it is made of relatively thick transparent vinyl.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하우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house shown in FIG. 2.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하우스(12)는 외부 하우스(11)의 내부에 설치되되, 외측부는 외부 하우스(11)의 내측부와 50cm~70cm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1 to 4, the inner house 12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house 11, and the outer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house 11 by 50 cm to 70 cm.

이러한 내부 하우스(12)는 실질적으로 커텐 구조로, 내부 프레임(121)과, 내부 프레임(12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보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온커텐(122)을 포함한다. This inner house 12 is substantially a curtain structure and includes an inner frame 121 and a thermal insulation curtain 122 installed to surround the inner frame 121 to maintain the thermal insulation.

도 4에는 보온커텐(122)이 일체로 내부 프레임(121)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보온커텐(122)은 복수 개로 분할된 다수의 수평 또는 수직커텐이 내부 프레임(121)에 적재 적소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이들 커텐들은 보온커텐 개폐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4, the insulating curtain 122 is installed so as to completely enclose the inner frame 121.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sulating curtain 122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or vertical curtain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curtains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frame 121 at appropriate places, and the curtains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insulating curtain opening / closing device.

보온커텐(122)은 내부 하우스(12)의 보온을 위해 내피와 외피 사이에 보온재가 다겹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보온재로는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한지로 이루어진 종이 보온재 또는 숯으로 이루어진 판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재는 다수의 습기 배출공이 형성된 스티로폼 재질의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부 습기는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습기 배출공은 0.1 내지 0.5mm의 크기로 형성된다. The insulating curtain 12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materials are lamin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casings to keep the inner house 12 at a constant temperature. Or a plate made of charcoal. In additio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de of a foamed foam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moisture discharge holes. At this time, the moistur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have a size of 0.1 to 0.5 mm in order to discharge the inside moisture to the outside and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습도 조절수단(13)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대습도가 포화상태, 예를 들면 80%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배출팬(131)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한다. 2 and 4,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side of the inner house 12 is in a saturated state, for example, 80% or more, (131) and discharges it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이러한 습도 조절수단(13)은 내부 하우스(12)의 내측 전후방측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의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131)과,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32)와,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배출팬(131)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133)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하우스(12)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일측부가 배출팬(131)에 결합되어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배출공(131a)을 통해 배출하는 배출덕트(134)를 더 포함한다.The humidity adjusting means 13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house 12 to discharge the moisture inside the inner house 12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A humidity sensor 132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inner house 12 for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ner house 12 and a humidity sensor 132 for measur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door house 12, And a control panel 133 for operating the control panel 131. A discharge duct 134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house 12 and is coupled to the discharge fan 131 to discharge the moist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fan 131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a. .

배출팬(131)은 내부 하우스(12)의 내부 프레임(121)에 설치되고, 설치되는 개수는 내부 하우스(12)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팬(131)은 내부 프레임(121)에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각각 양측부에 상하로 설치된다. 즉, 배출팬(131)은 효과적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되고, 후방측 또한 양측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설치된다. The discharge fan 131 is installed in the inner frame 121 of the inner house 12, and the number of the installed fan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house 12. The discharge fan 131 is install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inner frame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order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moisture, the discharge fan 131 is provided with a total of four, two at the front and two at the rear, and two at the rear.

습도센서(132)는 도 5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의 내측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내부 하우스(2) 내부의 상대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판넬(133)로 제공한다. 5, a plurality of humidity sensors 132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house 12 to sense the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inner house 2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same to the control panel 133.

제어판넬(133)은 도 4와 같이,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배출팬(131)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로 배출한다. 이때, 제어판넬(133)은 배출팬(131)의 가동으로 인해 내부 하우스(12)의 상대습도가 30~40% 수준(습도센서의 측정치)으로 낮아지면 배출팬(131)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4, the control panel 133 is installed inside the inside house 12, and whe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32 is 80% or more, the discharge fan 131 is operated to open the inside house 12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In this way, The control panel 133 stop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131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ner house 12 is reduced to a level of 30 to 40% (measured value of the humidity sensor)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131 .

배출덕트(134)는 도 4와 같이, 배출팬(131)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각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되는 습기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덕트(134)는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출공(131a)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팬(131)에서 배출덕트(134)로 배출되는 습기는 배출공(131a)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된다.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duct 134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fan 131 to discharge the moisture discharged through each discharge fan 131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The discharge duct 131 is formed uniformly throughout the discharge duct 134 so that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fan 131 to the discharge duct 134 is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a.

한편, 배출덕트(134)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팬(131)에 의해 배출덕트(134)의 내부로 배출되는 습기는 흡수패드를 통해 흡수하고, 뜨거운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duct 13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bsorbing pa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on its inner surface. Accordingly, the moistur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duct 134 by the discharge fan 131 may be absorbed through the absorption pad, and only the hot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외부 하우스의 내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inside of the outer house shown in FIG. 1. FIG.

도 5를 참조하면, 습기 조절수단(13)은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는 확산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the moisture control means 13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fan 135 installed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to blow air upward.

확산팬(135)은 내부 하우스(12)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제어판넬(133)에 의해 제어되어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135)을 가동시켜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한다. The diffusion fans 135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house 12, respectively, and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panel 133 and operate alternately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diffusion fan 135 installed on the left side is operated, the diffusion fan 135 installed on the left side stops the operation and then operates the diffusion fan 135 install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warm ai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moisture is uniformly diffus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housing 12 and the outer house 11.

도 5와 같이, 습도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이면 제어판넬(133)에 의해 배출팬(131)이 가동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습기가 배출덕트(1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팬(131)에 의해 습기뿐만 아니라 난방에 의해 가열된 내부의 따뜻한 공기까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열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5, whe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32 is 80% or more, the discharge fan 131 is operated by the control panel 133 so that the moisture of the inner house 12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duct 134 . At this time, not only the moisture but also the warm air inside heated by the discharge fan 13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heat loss of the internal house 12 may be generated.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 하우스(10)는 배출팬(131)을 통해 배출되는 습기와 따뜻한 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에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되어 내부 하우스(12)의 열손실을 보상한다. Accordingly, the green hous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oisture and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fan 131 are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are discharged between the inside house 12 and the outside house 11 And a warm air layer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to compensate for the heat loss of the inner house 12. [

더욱이, 배출덕트(134)와 확산팬(135)을 통해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내부 하우스(12)와 외부 하우스(11) 사이의 공간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편중되지 않고 내부 하우스(12)를 균일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확산팬(135)을 통해 비교적 강한 바람으로 배출덕트(134)를 통해 배출되는 습기를 비산시켜 습기가 내부 하우스(12)의 보온커텐(122)에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134 and the diffusion fan 135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12 and the outer house 11, And the moist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uct 134 is scattered by the relatively strong wind through the diffusion fan 135 so that the moisture is supplied to the warming curtain 122 of the inner house 12 You can also avoid stick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온실 하우스 11 : 외부 하우스
12 : 내부 하우스 13 : 습도 조절수단
111 : 외부 프레임 112 : 외부커버
121 : 내부 프레임 122 : 보온커텐
131 : 배출팬 132 : 습도센서
133 : 제어판넬 134 : 배출덕트
135 : 확산팬
10: Greenhouse House 11: Outside House
12: inner house 13: means for controlling humidity
111: outer frame 112: outer cover
121: inner frame 122: insulating curtain
131: exhaust fan 132: humidity sensor
133: control panel 134: exhaust duct
135: diffusion fan

Claims (6)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의 내부에 이격 설치된 내부 하우스; 및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습도 조절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전후방측으로 양측부에 각각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팬;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에 따라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키는 제어판넬;
을 포함하며,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내어 배출되는 습기를 상부로 비산시키는 동시에 따뜻한 공기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Outer house;
An inner hous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house; And
A humidity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by discharging moisture of the inside house to a space between the outside house and the inside house;
≪ / RTI >
Wherein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comprises:
A discharge fan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inner house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o discharge the moisture of the inner house to a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side the inside house to measure a relativ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And
A control panel for operating the discharge fan according to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 RTI >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fa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for diffusing the moisture blown out in the upward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diffusing warm air upward, Features a greenhouse hou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수단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측부가 상기 배출팬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을 통해 배출된 습기를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outside the inner house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house. One side of the humidity adjusting means is coupled to the exhausting fan. A plurality of exhausting holes are formed,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duc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through the air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상기 배출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로 배출하고, 상기 배출팬의 가동으로 인해 상기 내부 하우스의 상대습도가 30~40%로 낮아지면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panel activates the discharge fan to discharge moisture present in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when the relativ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80%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fan whe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inside house drops to 30 to 4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 내측면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haust duct is provided with an absorbent pad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on its inner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팬은 상기 내부 하우스의 외측으로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확산팬 중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좌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은 가동을 중지시킨 후 우측부에 설치된 확산팬을 가동시켜 상기 내부 하우스와 상기 외부 하우스 사이의 공간으로 습기와 함께 배출된 따뜻한 공기가 골고루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하우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pane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ffusion fan when the diffusion fan installed at the left side of the diffusion fan is stopp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diffusion fan installed at the left side of the diffusion fan is operated. And the diffusing fan installed on the rear right side is operated to spread the warm ai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moisture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house and the outer house evenly.




KR2020160007589U 2016-12-27 2016-12-27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KR2004872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en) 2016-12-27 2016-12-27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en) 2016-12-27 2016-12-27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47U KR20180002047U (en) 2018-07-06
KR200487259Y1 true KR200487259Y1 (en) 2018-08-30

Family

ID=629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89U KR200487259Y1 (en) 2016-12-27 2016-12-27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5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10B1 (en) * 2018-11-27 2021-09-14 김범술 Anti Dewing System of a Plastic House
KR102192659B1 (en) * 2018-12-12 2020-12-17 대한민국 Spray cooling system of greenhouse at high temperatu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753B1 (en) * 2013-02-06 2013-05-28 조광진 Film with air-gap for agricultural crops
JP2016508366A (en) * 2013-01-28 2016-03-22 キョンファ パク Optim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based on humid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12B1 (en) 2006-12-08 2009-05-21 손경락 A green house automatically controlling humidity therein
KR101406410B1 (en) * 2012-05-30 2014-06-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Greenhouse for inhibiting Dew Condens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18277B1 (en) * 2013-08-29 2015-05-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Double covering greenhouse
KR101663708B1 (en) * 2014-07-31 2016-10-11 주식회사 익성 Heat Insulation Material for Eliminating Moisture of Green Ho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366A (en) * 2013-01-28 2016-03-22 キョンファ パク Optim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based on humidity
KR101266753B1 (en) * 2013-02-06 2013-05-28 조광진 Film with air-gap for agricultural cr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47U (en)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266B2 (en) Agricultural house
KR101267633B1 (en) The control system of optimum sensory temperature with humidity criterion
US20160157440A1 (en) Greenhouse having an air mixing chamber which is equipped with a heating unit at an ambient air inlet
JP5603658B2 (en) Plan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O2022031836A1 (en) Greenhouse
CN204540145U (en) A kind of intelligent temperature control summer plants lentinus edodes greenhouse
KR101518277B1 (en) Double covering greenhouse
JP2017086038A (en) Control device and protected horticulture greenhouse
KR200487259Y1 (en) Greenhouse for controlling humidity automatic
KR101976264B1 (en) the interior and exterior aerial dispersal apparatus for growth and development room of animals and plants
JP7081124B2 (en) Control device and agricultural house
Kittas et al. 1. Structures: design, technology and climate control
CN110140557B (en) Utilize breeding room of underground earth temperature regulation
KR20180104848A (en) Seedling cultivation house
KR20160084356A (en) the fan heater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humidity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animals and plants
Worley Greenhouses: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US11957093B2 (en) Greenhouse
KR102376159B1 (en) Greenhouse with multi-stage ventilation structure
JP2000160718A (en) Ventilation device and cool air feeding structure
TR202019827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greenhouses
JP6692067B2 (en) Agricultural temperature control system, agricultural house
KR102169054B1 (en) Greenhouse excess moisture prevention device
KR101391096B1 (en) Mushroom growing standards house for Rain double shading facility
US20240122127A1 (en) Cultivation greenhouse
KR20150117983A (en) Thermal insulation apparatus for cultivation facilities of agricultural prod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