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37Y1 - 자전거용 접이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접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237Y1 KR200487237Y1 KR2020170000327U KR20170000327U KR200487237Y1 KR 200487237 Y1 KR200487237 Y1 KR 200487237Y1 KR 2020170000327 U KR2020170000327 U KR 2020170000327U KR 20170000327 U KR20170000327 U KR 20170000327U KR 200487237 Y1 KR200487237 Y1 KR 2004872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pin
- connection plate
- connecting plate
- pin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접이장치이다. 본 고안은 자전거의 분리된 일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연결판(10)과 자전거의 분리된 타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연결판(10')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클램프(30)가 위치되어 체결과 해제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결판(10)에는 걸이공(17)이 형성된 안전핀걸이(16)가 있어서 상기 제2연결판(10')에 있는 안전핀(40)의 선단이 상기 걸이공(17)을 관통하여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을 이중으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구(50)는 상기 안전핀(40)을 횡으로 관통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50)가 관통하는 클램프(30)를 상기 안전핀(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안전핀(40)이 상기 제1연결판(10)에 걸어진 상태를 풀 수 있다. 본 고안의 접이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결합될 때에는 상기 안전핀(40)이 제1탄성부재(48)를 압축시켰다가 복원되는 힘에 상기 걸이공(17)에 자동으로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의 외부로 자전거 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접이장치의 동작안정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전거용 접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누어진 프레임을 연결한 상태에서 프레임을 펼쳐서 고정하고 접을 수 있도록 된 자전거용 접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상대적으로 단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대중교통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자전거의 크기 때문에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오래 전부터 자전거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접이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이장치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것 외에도 많은 것들이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것은 레버의 일단부에 있는 캠부를 활용하여 레버를 회전시켜서 캠부가 밀착됨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하지만, 레버는 장치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자전거 사용자가 걸려서 다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경우에 더 심각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접이장치는 2부분으로 나누어진 양측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양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레임이 펼쳐져 서로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프레임이 접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접이장치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진 프레임이 상대 회전을 하기 때문에 레버의 잠금상태가 부주의 등에 의해 해제되었을 때 접이장치의 결합상태가 갑자기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 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접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없애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접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없앰과 동시에 접이장치의 잠금을 이중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 프레임의 접이장치에서 안전핀의 동작이 클램프의 동작에 종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전거의 분리된 프레임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에서, 분리된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연결판과, 분리된 타측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판과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 제1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판에 선단이 걸어지는 안전핀과, 상기 제1연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클램프걸이부와 제2연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클램프걸이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결합하는 클램프와, 상기 안전핀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1연결판에 걸어지고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여 상기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의 체결구몸체가 관통하게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안착홈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전핀에 지지되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클램프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구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통공의 입구에는 체결구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가 안착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상대 회전되게 결합된 힌지축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상기 안전핀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구통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체결구몸체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된다.
삭제
상기 안전핀에는 스톱퍼핀이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에 상기 스톱퍼핀이 걸어져 안전핀의 이동행정의 일측 단부를 규제한다.
상기 안전핀에는 길이방향으로 외면에 이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롯에는 가이드핀이 위치되어 안전핀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안전핀은 상기 제2연결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연결판에 형성된 안전핀걸이의 걸이공에 걸어지는데, 상기 안전핀걸이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결합될 때 상기 안전핀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에 안내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걸이공을 만나면 상기 제1탄성부재가 복원되면서 상기 안전핀의 선단이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안전핀의 내부에는 후단부로 개구되게 축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공의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1연결판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분리된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결합하는 클램프를 체결구로 죄고 풀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체결구에는 단부에 공구홈이 형성되어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체결구가 접이장치의 외측, 특히 프레임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어, 탑승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서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된 안전핀을 두고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만나게 되면 안전핀에 의해 자동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안전핀에 의해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1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를 죄고 푸는 체결구에 의해서 추가로 체결되어 접이장치의 동작안정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체결구가 안전핀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클램프가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체결한 상태, 즉 상기 체결구가 죄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핀이 동작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안전핀의 동작이 상기 클램프가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만 될 수 있어 접이장치의 동작안정성이 보다 커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분리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연결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클램프의 배면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에서 체결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분리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연결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클램프의 배면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에서 체결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례의 접이장치에는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힌지축(12)에 의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은 상기 제2연결판(10')에 측벽(22)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 외관은 유사하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는 분리되어 있는 프레임의 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생긴 제1힌지연결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판(10')에는 상기 제1힌지연결부(11)의 양단부와 마주보게 판형상으로 되고 힌지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 힌지연결부(11')가 있다.
상기 제1연결판(10)은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연결부(11)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클램프걸이부(14)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가장자리들이 원형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원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연결판(10)에서 상기 제1힌지연결부(11)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제1클램프걸이부(14)가 있다.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는 중앙에 형성된 제1절결부(15)에 의해 2개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프(30)의 배면 내측이 마주보게 위치되어 제1연결판(10)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판(10)에서 원형으로 된 가장자리 일측에서 돌출되어 안전핀걸이(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걸이(16)에는 걸이공(17)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핀(40) 선단이 걸어진다. 상기 안전핀걸이(16)는 상기 제1연결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안전핀걸이(16)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부(17')가 있다. 상기 안내경사부(17')는 안전핀(40)의 선단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탄성부재(48)를 압축시켜 상기 걸이공(17)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19는 상기 제1연결판(10)에 형성된 제1관통공이다.
상기 제2연결판(10')에서 상기 제1연결판(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판부분을 베이스판(20)이라고 한다. 상기 베이스판(20)에서 가장자리 일부에는 측벽(22)이 있다. 상기 측벽(22)은 상기 베이스판(22)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22)은 일부 구간에서 곡면으로 된다.
상기 제2연결판(10')에서 상기 제2힌지연결부(11')의 반대쪽에는 제2클램프걸이부(23)가 있다. 상기 제2클램프걸이부(23)는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와 유사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제2클램프걸이부(23)의 중앙에는 제2절결부(24)가 있어, 상기 제2클램프걸이부(23)를 2개로 나눈다. 상기 제2절결부(24)와 제1절결부(15)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50)가 지나간다.
상기 제2연결판(10')의 베이스판(20)에는 제1핀관통대(26)와 제2핀관통대(2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제1핀관통대(26)와 제2핀관통대(27)는 상기 힌지축(1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 제1핀관통대(26)에는 제1핀통공(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관통대(27)에는 제2핀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핀통공(26')과 제2핀통공(26')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된다. 상기 제1핀관통대(26)와 제2핀관통대(27)는 상기 제2연결판(10')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면, 상기 제2연결판(10')과는 별도로 만들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1핀관통대(26)나 제2핀관통대(27)에는 가이드핀(28)이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핀관통대(26)에 가이드핀(28)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핀(28)은 상기 제1핀관통대(26)를 관통하여 상기 제1핀통공(26') 내에 선단이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핀(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전핀(40)에 형성된 이동슬롯(46)에 위치되어 안전핀(4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안전핀(40)의 이동행정을 규제하게 된다. 도면부호 29는 제2관통공이다.
클램프(30)는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상대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실질적으로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을 체결하는 역할을 상기 클램프(30)가 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30)는 도면들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전면은 곡면이다. 상기 클램프(30)의 배면에는 클램프턱(32)이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단의 클램프턱(32)의 사이는 안착홈(33)이 된다. 상기 안착홈(33)의 횡단면은 대략 'V'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안착홈(33)에 상기 제1연결판(10)의 제1클램프걸이부(14)와 제1연결판(10')의 제2클램프걸이부(23)가 위치되어 각각 상기 안착홈(33)의 경사진 양측 내벽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클램프(30)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통공(34)을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50)가 관통한다. 상기 체결구통공(34)의 가장자리중 상기 클램프(30)의 전면에는 체결구안착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안착홈(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50)의 머리부(51)가 위치된다.
상기 제2연결판(10')에는 안전핀(40)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핀(40)은 상기 제2연결판(10')의 제1핀관통대(26)와 제2핀관통대(27)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안전핀(40)의 선단부는 상기 측벽(22)에 형성된 핀통공(22')을 통해 제2연결판(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안전핀(40)의 선단부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40)에는 핀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공(42)은 상기 안전핀(40)의 후단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핀공(42)은 내경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공(40)의 내경이 좁은 부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탄성부재(48)의 일단이 지지된다.
상기 안전핀(40)을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체결구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통공(44)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있다. 상기 나사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50)의 체결구몸체(52)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된다. 상기 안전핀(40)에는 상기 가이드핀(28)이 위치되어 안전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슬롯(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슬롯(46)은 상기 안전핀(4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구간만큼 형성된다. 상기 이동슬롯(46)은 상기 제1핀관통대(26) 근처의 소정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이동슬롯(46)은 상기 가이드핀(28)과 협력하여 상기 안전핀(40)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전핀(40)이 이동행정을 규제한다.
상기 안전핀(40)은 선단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의 외경은 상기 안전핀걸이(16)의 걸이공(17)의 내경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지도록 된다.
상기 안전핀(40)은 제1탄성부재(48)에 의해 항상 상기 핀통공(22')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일단은 상기 안전핀(40)의 핀공(42)의 내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측벽(22)에 지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48)에 의해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은 상기 제1연결판(10)의 안전핀걸이(16)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30)의 조작을 위해서 체결구(50)가 있다. 상기 체결구(50)는 머리부(51)와 체결구몸체(5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51)는 상기 체결구몸체(5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다. 상기 체결구몸체(52)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50)는 상기 클램프(30)를 관통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머리부(51)가 체결구몸체(5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커서 상기 클램프(30)에 형성된 체결구안착홈(36)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체결구(50)는 체결구몸체(52)가 상기 안전핀(40)의 체결구통공(44)에서 안전핀(40)과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50)는 상기 머리부(51)에 형성된 공구홈(54)에 공구가 삽입되어 힘을 전달받으면 회전되어 상기 안전핀(40)에 대해서 이동된다.
상기 체결구(50)의 머리부(51)가 상기 클램프(30)에 항상 밀착되도록 상기 안전핀(40)과 클램프(30)의 배면 사이에 제2탄성부재(54)가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4)는 상기 체결구(50)를 상기 안전핀(40)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제2탄성부재(54)를 압축시키고 복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50)가 상기 클램프(30)를 관통하여 상기 안전핀(40)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클램프(30)를 잡고 상기 안전핀(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안전핀(40)이 상기 안전핀걸이(16)에서부터 빠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클램프(30)를 사용하여 상기 안전핀(40)의 이동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50)의 체결구몸체(52) 후단에는 스톱퍼(58)가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58)는 일종의 너트이다. 상기 스톱퍼(58)가 상기 체결구몸체(52)에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체결구(50)가 상기 안전핀(40)에 대해 일정 이상 더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례와 비교할 때,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나,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의 가이드핀(28)과 이동슬롯(46)을 대신해서 스톱퍼핀(47)이 상기 안전핀(40)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핀(47)은 상기 제1핀관통대(26)에 걸어져서 안전핀(40)이 더 이상 핀공(22')을 통해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톱퍼핀(47)이 안전핀(40)의 이동행정의 일측 단부를 한정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접이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상태는 자전거의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상기 클램프(3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제1연결판(10)의 외면과 상기 제2연결판(10')의 외면에는 자전거의 분리된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이 상기 제1연결판(10)의 안전핀걸이(16)에 걸어진 상태이다. 상기 안전핀(40)은 상기 제2연결판(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판(10)의 안전핀걸이(16)에 걸어져 있으므로,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상기 안전핀(40)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은 상기 클램프(30)와 안전핀(40)에 의해 이중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자전거의 프레임을 접기 위해서는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을 상대 회전시켜야 한다. 이 과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상기 체결구(50)의 공구홈(54)에 공구를 삽입하고 회전력을 가한다. 상기 체결구(5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2연결판(10')의 안전핀(40)에 대해 체결구(50)가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30)에 의한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축(12)에 대해서 상기 체결구(5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체결구(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30)의 안착홈(33)에서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 및 제2클램프걸이부(23)가 빠져나오게 된다. 이는 상기 제2탄성부재(54)가 상기 클램프(30)를 밀어주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30)가 이동하여 상기 클램프(30)의 안착홈(33)에서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 및 제2클램프걸이부(23)가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전핀(40)이 안전핀걸이(16)에서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클램프(30)를 잡고 안전핀(40)의 길이방향과 나란히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이 상기 걸이공(17)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안전핀(40)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안전핀(40)에 형성된 이동슬롯(46)에 가이드핀(28)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안전핀(40)은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 사이의 체결이 모두 해제되어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여 서로 멀어지게 되면, 자전거의 프레임이 접어진다. 참고로, 상기 안전핀(40)은 상기 클램프(30)를 이동시키던 사용자의 힘이 없어지면, 상기 제1탄성부재(4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이동한다.
접어진 상태의 프레임을 다시 펼쳐서 자전거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힌지축(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서로 가까와지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의 회전에 의해 이들의 내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가는 순간,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은 상기 안전핀걸이(16)의 선단에 형성된 안내경사(17')를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안전핀(40)에 탄성력을 부여하던 제1탄성부재(4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안전핀(40)이 이동하게 한다.
상기 안전핀(40)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부(17')를 지나 상기 걸이공(17)을 만나게 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48)는 복원되면서 상기 안전핀(4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걸이공(17)에 완전히 걸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안전핀(40)에 의해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체결구(50)를 죄어서 상기 클램프(30)에 의해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공구를 상기 공구홈(54)에 삽입하여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구(50)가 상기 제2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안전핀(40)에 대해서 내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체결구(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30)는 그 안착홈(33) 내에 상기 제1클램프걸이부(14)와 제2클램프걸이부(23)가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제1연결판(10)과 제2연결판(10')이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50)의 체결구몸체(52) 후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톱퍼(58)는 상기 체결구(50)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규제하여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상기 체결구(5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연결판 10': 제2연결판
11: 제1힌지연결부 11': 제2힌지연결부
12: 힌지축 14: 제1클램프걸이부
15: 제1절결부 16: 안전핀걸이
17: 걸이공 17': 안내경사부
19: 제1관통공 20: 베이스판
22: 측벽 22': 핀통공
24: 제2클램프걸이부 26: 제1핀관통대
26': 제1핀통공 27: 제2핀관통대
27': 제2핀통공 28: 가이드핀
30: 클램프 32: 클램프턱
33: 안착홈 34: 체결구통공
36: 체결구안착홈 40: 안전핀
42: 핀공 44: 체결구통공
46: 이동슬롯 48: 제1탄성부재
50: 체결구 51: 머리부
52: 체결구몸체 54: 공구홈
56: 제2탄성부재 58: 스톱퍼
11: 제1힌지연결부 11': 제2힌지연결부
12: 힌지축 14: 제1클램프걸이부
15: 제1절결부 16: 안전핀걸이
17: 걸이공 17': 안내경사부
19: 제1관통공 20: 베이스판
22: 측벽 22': 핀통공
24: 제2클램프걸이부 26: 제1핀관통대
26': 제1핀통공 27: 제2핀관통대
27': 제2핀통공 28: 가이드핀
30: 클램프 32: 클램프턱
33: 안착홈 34: 체결구통공
36: 체결구안착홈 40: 안전핀
42: 핀공 44: 체결구통공
46: 이동슬롯 48: 제1탄성부재
50: 체결구 51: 머리부
52: 체결구몸체 54: 공구홈
56: 제2탄성부재 58: 스톱퍼
Claims (9)
- 자전거의 분리된 프레임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에서,
분리된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연결판과,
분리된 타측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판과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 제1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판에 선단이 걸어지는 안전핀과,
상기 제1연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클램프걸이부와 제2연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클램프걸이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결합하는 클램프와,
상기 안전핀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1연결판에 걸어지고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여 상기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의 체결구몸체가 관통하게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의 안착홈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전핀에 지지되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체결구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통공의 입구에는 체결구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상대 회전되게 결합된 힌지축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구통공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체결구몸체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체결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에는 스톱퍼핀이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에 상기 스톱퍼핀이 걸어져 안전핀의 이동행정의 일측 단부를 규제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에는 길이방향으로 외면에 이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롯에는 가이드핀이 위치되어 안전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은 상기 제2연결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연결판에 형성된 안전핀걸이의 걸이공에 걸어지는데, 상기 안전핀걸이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이 결합될 때 상기 안전핀의 선단이 상기 안내경사에 안내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를 압축하고 상기 걸이공을 만나면 상기 제1탄성부재가 복원되면서 상기 안전핀의 선단이 상기 걸이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의 내부에는 후단부로 개구되게 축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공의 내부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위치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1연결판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자전거용 접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327U KR200487237Y1 (ko) | 2017-01-17 | 2017-01-17 | 자전거용 접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327U KR200487237Y1 (ko) | 2017-01-17 | 2017-01-17 | 자전거용 접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272U KR20180002272U (ko) | 2018-07-25 |
KR200487237Y1 true KR200487237Y1 (ko) | 2018-08-27 |
Family
ID=6304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0327U KR200487237Y1 (ko) | 2017-01-17 | 2017-01-17 | 자전거용 접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237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4798Y1 (ko) * | 2003-01-29 | 2003-05-27 |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 접이식 자전거 |
JP2005001421A (ja) * | 2003-06-09 | 2005-01-06 | Tobu:Kk | 折畳み式自転車 |
CN205345235U (zh) * | 2015-04-29 | 2016-06-29 | 黄莉 | 一种折叠接头夹紧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7834U (ko) | 1998-08-08 | 1999-02-25 | 박재웅 | 접철식 자전거 |
KR200315582Y1 (ko) | 2003-01-20 | 2003-06-09 |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 자전거의 절첩기구 |
-
2017
- 2017-01-17 KR KR2020170000327U patent/KR20048723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4798Y1 (ko) * | 2003-01-29 | 2003-05-27 |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 접이식 자전거 |
JP2005001421A (ja) * | 2003-06-09 | 2005-01-06 | Tobu:Kk | 折畳み式自転車 |
CN205345235U (zh) * | 2015-04-29 | 2016-06-29 | 黄莉 | 一种折叠接头夹紧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272U (ko)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73588B1 (en) | Stroller | |
US8833718B2 (en) | Sprinkler mounting device | |
US7506413B2 (en) | Web position adjusting device | |
KR20130125725A (ko) | 안전 의자용 안전 벨트 록-오프 | |
KR102108049B1 (ko) | 꺾임을 갖는 버클 텅 | |
US9585440B2 (en) | Buckle device | |
EA019909B1 (ru) |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ий зажим ранорасшир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CN107521550B (zh) | 操舵装置 | |
EP3229924B1 (en) |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 |
US11051589B2 (en) | Cam buckle | |
EP1912763A1 (en) | A clamp | |
JP2016124541A (ja) | スキーキャリアクランプ | |
KR200487714Y1 (ko) | 자전거용 접이장치 | |
KR200487237Y1 (ko) | 자전거용 접이장치 | |
CN102985298B (zh) | 座椅安全带卡定装置及具备其的座椅安全带装置 | |
US9220322B2 (en) | Tensioning apparatus | |
CN107235029B (zh) | 安全带带扣延伸器 | |
US8813323B2 (en) | Shockproof quick-release fastener for an end fitting of a safety belt | |
WO2020121712A1 (ja) |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のアンカープレート及びアンカー装置 | |
US3598443A (en) | Seat belt connector | |
US4441381A (en) | Locking and positioning apparatus for reclining seats | |
EP3202622B1 (en) | A load carrier foot | |
WO2021007828A1 (zh) | 高度调节装置、汽车及其调节方法 | |
EP3272588B1 (fr) | Support pour dispositif, tel un moyen d'affichage | |
KR101647447B1 (ko) | 버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