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32Y1 - 재사용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32Y1
KR200486632Y1 KR2020150003490U KR20150003490U KR200486632Y1 KR 200486632 Y1 KR200486632 Y1 KR 200486632Y1 KR 2020150003490 U KR2020150003490 U KR 2020150003490U KR 20150003490 U KR20150003490 U KR 20150003490U KR 200486632 Y1 KR200486632 Y1 KR 200486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lower side
paper
pack
reusable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29U (ko
Inventor
송윤형
Original Assignee
송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형 filed Critical 송윤형
Priority to KR2020150003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3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용기(container)가 개시된다.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발광 및 발향 기능을 갖는 제 1 물질 또는 종자 배양을 위한 제 2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하단인 저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body); 및 상기 몸체부 상단인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변(variable) 부재 ―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저변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 2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됨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용기{REUSABLE CONTAINER}
본 고안은 재사용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향초 용기를 화분 용기로 재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치열한 경쟁과 바쁜 일상으로 인하여 고도의 누적된 스트레스와 심신 피로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레저, 게임 및 여행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활동을 하기에는 시간적 공간적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서 필요한 시기에 적절하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을 마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그러나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자신들이 원하는 공간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향초, 샤세 및 디퓨저 등과 같은 방향 제품을 사용하는 향기 테라피가 현대인들에게 최고의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향초는 공기 중의 잡냄새를 제거하고 습기를 없애주는 탈취 효과가 있으며, 향료를 첨가한 향초를 연소시킴으로써 주위 공간에 은은한 향기를 퍼트리는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향초를 연소시키면 세균과 곰팡이 번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불감증, 불안 및 우울증 해소에 필요한 효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향초는 생활 속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향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JAR) 향초, 필라(PILLAR) 향초, 보티브(VOTIVE) 향초, 틴(TIN) 향초 및 티라이트(TEELIGHT) 향초 등의 다양한 향초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그렇지만 향초 및 샤세 등의 천연 방향제를 찾는 소비자는 갈수록 증가 되고 있어서 버려지는 향초 용기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향초 사용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향초를 사용하는 실 소비자들은 향초 용기의 일회성 사용에 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향초 용기를 재사용할 경우 크기 및 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향초의 주원료인 왁스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식품 용기 또는 수납 용기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엔 적절하지 않다. 또한 현재 유통되는 향초는 기존 형식(즉, 일회성 용기를 제공)을 유지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진 상품군의 발전은 미비한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향초 사용 후 불필요하게 남게 되는 용기에 관한 소비자의 불만 또는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른 기능을 갖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제작하여 UP-CYCLING이 가능한 상품을 제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용기뿐만 아니라 포장 또는 소비되는 소재들은 친환경적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사업체, 소비자 및 사회가 효율적인 에코 성장을 하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93102는 재사용 용기로서 세제나 샴푸 등을 수용하기 위한 간이형의 재사용 용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향초를 사용하고 남은 용기를 화분 용기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향초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자재들을 친환경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배출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용기(container)가 개시된다. 상기 재사용 가능한 용기는, 발광 및 발향 기능을 갖는 제 1 물질 또는 종자 배양을 위한 제 2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하단인 저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body); 및 상기 몸체부 상단인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변(variable) 부재 ―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저변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 2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됨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초를 사용하고 남은 용기를 화분 용기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초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부자재들을 친환경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배출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 상단인 개구부를 커버하는 가변 부재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물질이 연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을 수용하는 복수의 커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드 페이퍼가 개구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물질에 시드 그립을 삽입하여 종자를 배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가변 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 상단인 개구부를 커버하는 가변 부재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300)는 가변 부재(100) 및 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부재(100)는 외면(101a) 및 내면(101b)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몸체부(200)는 외측벽(103a), 내측벽(103b), 외벽(105a) 및 내벽(105a)을 포함하는 저변부(105), 통공(107) 및 지지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가변 부재(100)가 몸체부(200)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변 부재(100)는 몸체부(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300)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00)는 발광 또는 발향 기능을 갖는 제 1 물질(111) 또는 종자 배양을 위한 제 2 물질(503)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내부 공간(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 1 내부 공간(113)은 제 1 물질(111) 또는 제 2 물질(503)만을 수용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물질 및/또는 물건을 수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부 공간(113)은, 생활용품 및 사무용품 등의 다양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00)에는 하단인 저변부(105)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0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변부(105)에 통공이 형성되는 이유는, 제 2 물질(503)의 적어도 일부를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변 부재(100)가 저변부(105)(또는, 지지부(109))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면 저변부(105)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107)을 통해 배출되는 제 2 물질(50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내부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 2 내부 공간(115)에는 물 및/또는 흙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부재(100)는 상기 몸체부(200) 상단인 개구부(110)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저변부(105)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부재(100)는 몸체부(200)의 개구부(110)와 결합되는 경우, 저변부(105)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상단으로 (예컨대, 수직) 인장된 외측벽(103a)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부재(100)는 저변부(105)와 결합되는 경우, 저변부(105)의 외측면 하단의 일부에 구성된 적어도 둘 이상인 지지부(109)가 상기 제 2 내부 공간(115)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200)를 지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300)는 몸체부(200)와 가변 부재(100)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300)는 몸체부(200)의 형상과 가변 부재(100)의 형상이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변 부재(10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변 부재(100)의 내면(101b)에 몸체부(20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몸체부(200)의 상단부가 홈에 수용됨으로써 가변 부재(100)와 몸체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몸체부(200)의 외측벽(103a)에 결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가변 부재(100)의 내면(101b)으로부터 (예컨대, 수직으로) 인장된 측면에 결착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결착부(미도시)와 결착 수용부(미도시)가 결착됨으로써 개구부(110)가 커버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결착부(미도시) 및 결착 수용부(미도시)는 가변 부재(100)의 외측면 및 몸체부(200) 외측벽(103a) 또는 내측벽(103b)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300)는 외측벽(103a)과 가변 부재(100)의 내측면이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개구부(110)와 인접한 위치의 외측벽(103a)이 볼트형 구조로 형성되고, 가변 부재(100)의 내측면은 너트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결합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결합 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변 부재(100)는 몸체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 상태 및 몸체부(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물질이 연소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300)는 제 1 물질(111)이 수용되고, 제 1 물질(111)이 소진된 이후 제 2 물질(503)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물질(111)은 예를 들어, 연소가능한 물질인 향초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변 부재(100)는 개구부(110)와 결합됨으로써 제 1 물질(111)의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부재(100) 및 몸체부(200)는 목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300)는 망고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200)는 제 1 물질(111) 및 제 2 물질(503)들을 수용하는 내측벽(103b) 및 저변부(105)의 내벽(105b)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방염 처리된 연소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가변 부재(100)는 내면(101b)이 방염처리된 연소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300)는 열전도가 가장 효율적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300)는 제 1 물질(111) 및 제 2 물질(503)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변 부재(100) 및 몸체부(200)는 유리, 도기 및 주석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물질(111)은 발향석, 왁스, 심지, 오일, 향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화학처리된 연소물질 및 발향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왁스는 파라핀 왁스, 젤 왁스, 팜 왁스, 비즈 왁스 및 소이 왁스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심지는, 아연 심지, 종이 심지, 면 심지, 사각 심지 및 평면 심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염료는 향초의 색상을 내는 색소를 응축시켜 고체로 만든 고체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고체 염료는 각종 색을 고농축으로 가공한 것으로써 많은 양의 왁스를 만들 수 있으며, 뜨거운 왁스에 잘 용해될 수 있는 염료를 말한다. 추가적으로 고체 염료는 사용량에 따라 색상의 농도가 조절되며, 명도 및 채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향료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 및 합성향료가 원료인 프래그런스 오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향료는 베르가못(Bergamot), 시드우드(Cedarwood),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사이프러스(Cupressus), 제라늄(Geranjum), 라벤더(Lavender), 일랑일랑(Ylang-ylang), 샌달우드(Sandalwood), 로즈우드(Rosewood), 만다린(Mandar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제 1 물질(111)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양한 종류들 또는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팩을 수용하는 커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물질(111)은 발향석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추가적으로 발향석은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샤세 팩(sachet pack)(30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세 팩(301)은 발향석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샤세 팩(301)은, 샤세 팩(301)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연결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연결부(305)는 줄, 실 및 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샤세 팩(301)은 하나 이상의 종자를 내포하며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된 평면 형태의 시드 그립(seed grip)(303)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부(30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시드 그립(303)은 하나 이상의 종자를 내포한 생분해성 소재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시드 그립(303)을 이용하여 샤세 팩(301)을 이동시키거나 혹은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드 그립(303)은 이하에서 설명할 시드 페이퍼(401)와 같은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샤세 팩(301)은 시드 페이퍼(401)와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부(405)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시드 페이퍼(401)는 개구부(110)에 위치함으로써 용기를 커버하고, 개구부(110)에서 이탈되면 발향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샤세 팩(301)은 티백 형태의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샤세 팩(301)은 천연 펄프, 사체 티백, 모슬린 티백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세 팩(301)은 부직포 또는 패브릭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발향석은 운모와 같은 슬레이트가 여러 겹 겹쳐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301)은 생분해성 종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생분해성 종이 소재는 종자를 포함한 시드 페이퍼(40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세 팩(301)은 발향석의 발향이 없어지는 경우, 제 2 물질(503)에 수용되어 종자를 발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샤세 팩(301)은 발향석에서 생성되는 향을 발산하도록 하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세 팩(301)은 종이 커버(307)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종이 커버(307)는 생분해성 소재일 수 있으며, 종자를 포함한 시드 페이퍼(401)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세 팩(301)에는 연결부(305) 및 시드 그립(303)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301)을 포함하는 종이 커버(307)는 비닐 커버(309)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세 팩(301)을 포함하는 종이 커버(307)는 비닐 커버(309)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비닐 커버(309)는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세 팩(301), 종이 커버(307) 및 상기 비닐 커버(309)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는 오픈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는 버튼, 지퍼, 벨크로 및 단추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는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개봉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닐 커버(309)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개봉 기준선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샤세 팩(301)을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를 통해 밀봉하는 이유는, 발향석에 포함된 향료를 보존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술한 포장재(즉,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를 생분해성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친환경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에는 하나 이상의 샤세 팩(301)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샤세 팩(301)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이상 개봉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 커버(309) 및 종이 커버(307)로부터 개봉된 샤세 팩(301)은 몸체부(301)에 수용되어 발향할 수 있다. 샤세 팩(301)은 또한 연결부(305)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물리적 위치에서 발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포장재(즉, 종이 커버(307) 및 비닐 커버(309))는 전술한 종이 및 비닐의 소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포장재는 플라스틱 소재, 금속 소재 및 가죽 소재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발향석은 발향이 끝난 뒤 제 2 물질(503) 위에 올려 사용할 수 있는 화장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발향석은 제 2 물질(503)을 가리도록 하여 미관상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물질(503)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향석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향석은 습도를 조절해주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발향석은 제 2 물질(503)과 함께 저변부(105)의 내벽(105b)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발향석은 무균 상태로 가공 및/또는 화학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드 페이퍼가 개구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00)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생분해성 소재의 시드 페이퍼(seed paper)(401)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시드 페이퍼(401)는 하나 이상의 종자를 내포할 수 있다. 또한 시드 페이퍼(401)는 가변 부재(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생분해성 소재는 이산화탄소, 질소, 물, 바이오매스 및 무기염류 등의 천연 부산물을 내놓는 고분자 종류의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생분해성 소재는 부탄디올(BD),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드 페이퍼(401)의 외부면(401a) 및 내부면(401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1 물질 사용법(405) 및 제 2 물질 사용법(407)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 페이퍼(401)의 외부면(401a)에는 제 1 물질 사용법(405)가 표시될 수 있으며, 내부면(401b)에는 제 2 물질 사용법(407)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드 페이퍼(401)는, 외부면(401a)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손잡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손잡이부(403)에는 적어도 셋 이상의 점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점선 표시된 부분을 접어서 사용자 손잡이부(403)를 돌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손잡이부(403)는 시드 페이퍼(40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손잡이부(403)는 세 개의 점선 중 양 끝단의 점선은 상단 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가운데 점선은 하단 방향으로 접히게 됨으로써 돌출형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손잡이부(403)에는 손잡이부 생성법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 생성법은 외부면(401a) 및 내부면(401b)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드 페이퍼(401)는 개구부(11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드 페이퍼(401)에는 몸체부(200)의 내측벽(103b)과 맞닿을 수 있는 작은 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드 페이퍼(401)는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개구부(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시드 페이퍼(401)에는 외측벽(103a)와 맞닿을 수 있는 작은 벽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시드 페이퍼(401)는 가변 부재(100)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시드 페이퍼(401)에는 내측벽(103b)과 외측벽(103a)을 맞닿을 수 있는 두 개의 작은 벽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드 페이퍼(401)는 두 개의 작은 벽 사이에 개구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몸체부(2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좀 더 안정적으로 개구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물질에 시드 그립을 삽입하여 종자를 배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물질(503)은 종자를 배양할 수 있는 흙, 모래, 퇴비, 비료, 영양 물질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200)에는 제 1 물질(111)이 소진된 이후 제 2 물질(503)을 수용할 수 있다(도 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0)에는 제 2 물질(503)인 흙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200)의 저변부(105) 내벽(105b)의 상측에는 제 1 물질(111)(예컨대, 발향석)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200)는 발향석 상측에 흙(예컨대, 흙에는 비료 및/또는 퇴비가 포함될 수 있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흙은 시드 그립(303) 또는 시드 페이퍼(401)를 내포하고 몸체부(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드 페이퍼(401)는 사용자에 의해 찢어짐으로써 흙 속에 내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기(300)에는 시드 페이퍼(401) 및 시드 그립(303) 이외의 다른 형태의 종자 보관부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흙 속에는 다른 형태의 종자 보관부가 심어질 수 있다. 또는 종자 보관부를 제거한 이후, 종자만을 흙 속에 삽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용기(300)에는 제 2 물질(503)인 영양 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200)는 제 2 물질(503), 발향석, 시드 그립(303) 또는 시드 페이퍼(401) 및 영양 물질을 수용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양 물질은 흙의 상측 중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가변 부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샤세 팩(301), 용기 포장재 및 구성요소들의 포장재는 친환경 생분해성 소재(예컨대, 완충제 및 비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생분해성 소재(예컨대, 완충제 및 비닐)는 제 2 물질(503)과 몸체부(200)에 함께 수용됨으로써 자연 소멸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00)는 바닥 또는 상기 가변 부재(10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저변부(105)가 이격되도록 상기 저변부(105) 하단의 일부에 구성된 적어도 둘 이상인 돌기 형상의 지지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109)가 형성된 이유는, 저변부(105)의 통공(107)을 통해 배출되는 제 2 물질(503)의 적어도 일부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부(109)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부(109)는 각각의 크기 및 길이에서 소정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기(300)에는 저변부(105)의 내벽(105b)에 위치시키기 위한 망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변부(105)의 내벽(105b) 상측에 망을 위치시키고, 위에 발향석을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발향석 상측에는 흙을 위치시키고, 흙 속에는 시드 그립(303) 또는 시드 페이퍼(401)를 포함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00)의 저변부(105)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07)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저변부(105)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통공(107)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부(109)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공(107)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부(109)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공(107)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부(109)의 저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공(107)의 크기는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재사용 가능한 용기(container)로서,
    발광 또는 발향 기능을 갖는 제 1 물질 또는 종자 배양을 위한 제 2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하단인 저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body);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인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변(variable) 부재 ―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저변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저변부의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제 2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됨 ―;
    를 포함하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물질 또는 제 2 물질을 수용하는 내측벽 및 저변부의 내벽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방염 처리된 연소 보호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 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제 1 물질이 소진된 이후 상기 제 2 물질이 수용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발향석, 왁스, 심지, 오일, 향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화학처리된 연소물질 및 발향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물질은,
    종자를 배양할 수 있는 흙, 모래, 퇴비, 비료, 영양 물질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바닥 또는 상기 가변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저변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저변부의 하단의 일부에 구성된 적어도 둘 이상인 돌기 형상의 지지부;
    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저변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상단으로 인장된 외측벽의 일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고, 그리고 상기 저변부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저변부의 외측면 하단의 일부에 구성된 적어도 둘 이상인 지지부가 상기 제 2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종자를 내포하고,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는 생분해성 소재의 시드 페이퍼(seed paper);
    를 더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페이퍼는,
    내부면 및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시드 페이퍼의 사용법 및 상기 제 2 물질의 사용법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페이퍼는,
    상기 시드 페이퍼의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밀봉되도록 하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가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되는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된 샤세 팩(sachet pack);
    을 더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세 팩은,
    상기 샤세 팩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종자를 내포하며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된 평면 형태의 시드 그립(seed grip);
    을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세 팩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적어도 일측면이 개폐되는 종이 커버에 수용되고, 상기 샤세 팩이 수용된 상기 종이 커버를 감싸도록 형성된 비닐 커버에 의해 밀봉되고, 그리고
    상기 종이 커버 및 상기 비닐 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종자가 내포된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되는,
    재사용 가능한 용기.
KR2020150003490U 2015-06-01 2015-06-01 재사용 가능한 용기 KR200486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90U KR200486632Y1 (ko) 2015-06-01 2015-06-01 재사용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90U KR200486632Y1 (ko) 2015-06-01 2015-06-01 재사용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9U KR20160004229U (ko) 2016-12-09
KR200486632Y1 true KR200486632Y1 (ko) 2018-06-14

Family

ID=5757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490U KR200486632Y1 (ko) 2015-06-01 2015-06-01 재사용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26B1 (ko) 2020-08-25 2020-12-04 전성규 디퓨저 결합 미용용 액상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985U (ja) * 2003-08-22 2004-04-22 聖新陶芸株式会社 種子付きおみくじ及び容器入り種子付きおみく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910Y1 (ko) * 1997-10-13 2000-04-01 송석환 화분으로 사용 가능한 과자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985U (ja) * 2003-08-22 2004-04-22 聖新陶芸株式会社 種子付きおみくじ及び容器入り種子付きおみく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99985호(2004.04.22.)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26B1 (ko) 2020-08-25 2020-12-04 전성규 디퓨저 결합 미용용 액상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9U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9851B2 (en) Wax melt system
US7837930B2 (en) Fragrance diffuser kit and method
US20100221144A1 (en) Air freshener kit
JP5734659B2 (ja) 香料を保管および放出するデバイス、およびそのようなデバイスのセット
US7798422B2 (en) Cedar oil evaporators
US20150021408A1 (en) Customizable scent dispenser
US20050272620A1 (en) Fabric care article with improved scent identification
KR200486632Y1 (ko) 재사용 가능한 용기
RU2015140224A (ru) Свеча
WO2012174398A2 (en) Combined perfume product package and seed carrier
KR101925069B1 (ko) 디퓨저
KR200463657Y1 (ko) 식물재배세트
KR200282869Y1 (ko)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JP3190854U (ja) 携帯型アロマキャンドル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GB2578888A (en) A candle and plant container
KR200468523Y1 (ko) 모자 겸용 꽃바구니
JP4108709B2 (ja) 人工植物
KR200281159Y1 (ko) 향기포
KR20230171116A (ko) 휴대형 식물재배기
KR20160129254A (ko) 휴대용 아로마 칩 포장상자
JP2005000065A (ja) 携帯用アロマカプセル
JP3201713U (ja) 芳香用アクセサリ
KR20230001785U (ko) 변형 가능한 방향제 홀더
KR200397173Y1 (ko) 방향성 나무 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