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66Y1 -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66Y1
KR200486566Y1 KR2020170006273U KR20170006273U KR200486566Y1 KR 200486566 Y1 KR200486566 Y1 KR 200486566Y1 KR 2020170006273 U KR2020170006273 U KR 2020170006273U KR 20170006273 U KR20170006273 U KR 20170006273U KR 200486566 Y1 KR200486566 Y1 KR 200486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ray body
tray
bending prevention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순
김미숙
Original Assignee
한은순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순, 김미숙 filed Critical 한은순
Priority to KR2020170006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휠 운반을 위한 고정부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측부의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상기 제1 절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휠 안착부로부터 일정한 두께만큼 이격되는 휨 방지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휠 안착부 내측의 불필요한 영역 등에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휨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원재료의 투입량 감소에 따른 내구성의 감소를 상쇄함과 동시에 적치되는 휠의 스크레치 방지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Tray for transporting vehicle's wheel}
본 고안은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철판을 가공하는 프레스 공정, 가공된 다수의 철판에 대해 용접을 통하여 차량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를 완성하는 차체 조립 공정, 완성된 차체에 대해 외관에 페인팅 작업을 행하는 도장 공정, 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 공정, 및 조립이 완료된 차량에 대해 최종적으로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부품 조립 공정은 기초 공사인 배선과 내장재 공정, 글라스, 현가장치, 조향장치, 제동장치, 엔진/변속기, 배기장치, 타이어, 시트 및 스티어링휠 순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공정이 자동차 조립 공정의 최종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조립 공정 중에서도 자동차의 알루미늄 휠을 생산 라인에 공급하기 위한 운반 설비의 구성으로서 휠 공급 시스템이 설치된다. 종래의 휠 공급 시스템은, 보통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가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 장치로 이루어지며, 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근처에서 작업장에는 각각 사이즈 별로 구분되어 파렛트 상에 적재된 다수의 휠들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작업자는 각 사이즈 별로 적재된 휠들 중 해당하는 휠을 직접 들어올리는 수작업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 장치의 컨베이어 롤러 상에 안착시키게 되고, 휠들이 안착되면 이송 컨베이어 장치는 조립을 요하는 해당 생산라인으로 휠들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휠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T링(선행기술 1이라 함)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52685호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가 이용될 수 있다.
선행기술 1의 경우 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된 링부재로서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휠을 적층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T링의 경우 복수의 휠들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기 어렵고, 1회용으로서 사용 후 버려지는 등 회수가 어려운 실정이다.
선행기술 2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면서 회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2에 따른 휠 트레이의 경우 선행기술 1의 T링에 비하여 제조 단가가 매우 높게 형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회수가 용이하여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면서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KR 10-1452685 B1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휠들이 안정된 적층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조 단가를 낮춤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휠 운반용 트레이 자체의 내구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복수의 휠 운반을 위한 고정부재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측부의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상기 제1 절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휠 안착부로부터 일정한 두께만큼 이격되는 휨 방지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부로부터 상기 휨 방지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휨 방지부와 상기 제1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휨방지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휨방지 단차부는 상기 제1 안착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휨 방지부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단차는 상기 휠의 디자인면의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를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1회 이상 폴딩된 테두리부가 상기 트레이 몸체부와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휠 안착부 내측의 불필요한 영역 등에 관통구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휨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원재료의 투입량 감소에 따른 내구성의 감소를 상쇄함과 동시에 적치되는 휠의 스크레치 방지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제1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과, 타측면으로 돌출된 제2 단차부 및 제3 단차부가 형성하는 휠 안착부의 직경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휠의 운반을 위한 하역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휠의 적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선행기술 1의 거치 바디 등을 생략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트레이로부터의 하역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휠 운반용 트레이 일부의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휠 안착부 및 제2 휠 안착부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휨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복수의 휠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휠 운반용 트레이 일부의 절단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제1 휠 안착부 및 제2 휠 안착부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휨 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복수의 자동차 휠(W)을 운반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이용된다. 휠(W)은 측면부가 상부 및 하부로 향하도록 적층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러한 측면부를 적층면(W1)이라 정의한다. 또한 자동차 휠(W)의 양면 중 자동차에 장착 시 외부로 드러나는 면을 디자인면(DP)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105)를 구비한다. 트레이 몸체부(105)는 보관 및 운반 등이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한 경우 직사각형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트레이 몸체부(105)에는 복수의 제1 절개부(110)들이 형성된다. 제1 절개부(110)는 휠의 안착면(W1)과 접촉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을 절개함으로써 상하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절개부(110)는 적층면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절개부(110)의 내측에는 휨 방지부(1101)가 형성된다. 휨 방지부(1101)는 제1 절개부(110)의 모서리로부터 중심측으로 연장된 단차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1 절개부(110)의 모서리로부터 휨 방지부(110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휨 방지부와 상기 제1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휨 방지 단차부(1151)가 형성되며, 휨 방지부(1101)는 휨방지 단차부(1151)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중앙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개부(110)는 트레이 몸체부(105)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절개부(110)의 형성하는 과정에서 휨 방지부(1101)의 형상을 미리 결정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만을 절개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10)의 둘레에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제1 휠 안착부(115)가 형성되며, 제1 휠 안착부(115)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 단차부(120)들이 형성된다. 제1 단차부(120)들은 제1 휠 안착부(115)의 둘레에 구비되어 제1 휠 안착부(115)의 경계를 불연속적으로 구획한다. 제1 단차부(120)들은 압진공성형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면에서는 금형으로 가압하고 타측면에서는 진공으로 흡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러한 과정에서 제1 단차부(120)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원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휠 안착부(115)가 평평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몸체부(105)의 모서리에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회 이상 폴딩된 테두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150)는 트레이 몸체부(105)와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몸체부(105)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2 단차부(130)가 형성된다. 제2 단차부(130)는 앞서 설명한 제1 단차부(12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제2 휠 안착부(115a)의 경계를 불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제1 휠 안착부(115)에 휠의 적층면 중 하나가 안착되면, 타측의 적층면은 다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제2 휠 안착부(115a)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적층된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휠 안착부(115a)의 경계의 직경(L2), 즉 서로 대향하는 제2 단차부(130) 및/또는 제3 단차부(1401) 간의 최대 거리는 제1 휠 안착부(115)의 경계의 직경(L1)에 비하여 크게 형성된다. 달리 설명하면, 제2 단차부(130)가 제1 단차부(120)에 비하여 제1 절개부(1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형성된다. 이는 복수의 휠들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휠들을 보다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휠 운반용 트레이 상에 제1층의 휠들을 적층한 후 제2 휠 운반용 트레이를 제1층의 휠들의 상부에 덮는 경우 제1 휠 운반용 트레이의 제1 단차부와 휠들이 적은 유격으로 안착된 경우라 하더라도 제1 휠 운반용 트레이가 거치된 바닥면의 굴곡이나 휠의 거치된 상태에 따라 휠들의 상부의 각도 및 위치들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제1 단차부와 같이 적은 유격의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은 휠들의 정렬 등에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층의 휠들을 덮는 면의 휠 안착부는 보다 큰 유격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층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단차부(130)는 주로 트레이 몸체부(105)의 모서리와 제1 절개부(110)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제1 절개부(110)의 둘레를 따라 호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 몸체부(105)는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40a)들은 앞서 설명한 제2 단차부(130)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는 돌출부(140a)는 제1 절개부와 인접한 경사면(1401, 이하 제3 단차부라 함)이 앞서 설명한 제2 단차부(130)와 마찬가지로 제2 휠 안착부(115a)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부(110)와 인접하는 돌출부(140a)들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40a)는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115a)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달리 설명하면, 제1 절개부(110)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1401)들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돌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예를들어 설명하면, 제2 단차부(130) 또는 제3 단차부(1401)들은 앞서 설명한 제1 단차부와는 반대면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 단차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5에서는 130-b로 가정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2 휠 안착부의 경계를 형성하지는 못한다.
도 5(우측이 제1 절개부의 중심축 방향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돌출부(120)의 내측(도면 기준으로 우측방향임)에 제1 안착부(115)가 형성되고, 제1 안착부(115)의 내측으로부터 휨방지 단차부(1151)와 휨 방지부(1101)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휨 방지부(1101)는 제1 안착부(115)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된 상태가 되며, 휨방지 단차부(1151)를 통하여 휨 방지부(1101)와 제1 안착부(115)가 연결된다. 또한 휨 방지부(1101)는 제1 안착부(11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구조 부분을 자동차 휠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하거나 모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휠의 경우 크기 및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적치과정에서 작업자가 휠 트레이 상에 자동차 휠을 거치시킨 후 밀어서 제 위치를 잡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 휠, 특히 디자인 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휨 방지부(1101)와 휨방지 단차부(1151)에 의하여 자동차 휠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자동차 휠의 디자인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휠 안착부(115a)에는 자동차 휠의 디자인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한 휠 적층구조 및 이와 관련된 하역작업을 설명한다. 도 6은 복수의 휠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하여 적층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휠 운반용 트레이(100)는 제1 단차부(120)가 돌출된 방향을 위로 하여 거치시킨 후 휠(W)들을 거치하여 1층을 형성한 후 또 다른 휠 운반용 트레이(100)를 덮는 방식으로 적층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휠 더미는 운송과정을 통하여 자동차 공장의 생산 라인으로 이동되고, 이 후 작업자가 휠 운반용 트레이(100)로부터 휠(W)을 분리하여 생산라인의 컨베이어에 투입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를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운반용 트레이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10) 들의 개수는 적층되는 휠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부(110)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단차부 이외에 다양한 형상 및 돌출 방향을 갖는 돌출부(140)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개수의 제1 절개부(110)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제1 절개부(110)에는 십자형, 방사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휨 방지부가 형성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휠 운반용 트레이
110: 제1 절개부
115: 제1 휠 안착부
115a: 제2 휠 안착부
120: 제1 단차부
130: 제2 단차부
140, 140a: 돌출부
150: 테두리부
1101: 휨 방지부
1401: 제3 단차부

Claims (7)

  1. 복수의 휠 운반을 위한 고정부재로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레이 몸체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의 적층 시 적층되는 휠들 간의 접촉하는 적층면 에 비하여 적은 면적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1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단차부;
    상기 제1 절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휠 안착부로부터 일정한 두께만큼 이격되는 휨 방지부;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제1면의 타측면인 제2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개부 둘레의 일정한 거리내에 휠의 적층면이 안착되는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경계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휠 안착부 로부터 상기 휨 방지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휨 방지부와 상기 제1 휠 안착부 사이를 연결하는 휨방지 단차부가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휨방지 단차부는 상기 제1 휠 안착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부는 상기 제2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의 일측 경사면은 상기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제3 단차부로서 기능하는 휠 운반용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돌출부 중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상기 인접하는 제1 절개부들의 각각의 제2 휠 안착부의 불연속적인 경계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단차부가 구비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부와 상기 제1 휠 안착부의 단차는 상기 휠의 디자인면의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를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몸체부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1회 이상 폴딩된 테두리부가 상기 트레이 몸체부와 일체 또는 부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휠 운반용 트레이.




KR2020170006273U 2017-12-06 2017-12-06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KR200486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73U KR200486566Y1 (ko) 2017-12-06 2017-12-06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73U KR200486566Y1 (ko) 2017-12-06 2017-12-06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66Y1 true KR200486566Y1 (ko) 2018-07-04

Family

ID=6290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73U KR200486566Y1 (ko) 2017-12-06 2017-12-06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66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741A (ja) * 1999-04-01 2000-10-17 Topy Ind Ltd ホイール積載用保護プレートおよび該保護プレートを用いたホイール積載具
JP3589748B2 (ja) * 1994-07-25 2004-11-17 三甲株式会社 搬送用トレイ
CN203006091U (zh) * 2012-12-11 2013-06-19 浦江县亚泰纸塑有限公司 八孔纸塑轮毂垫板
CN203544758U (zh) * 2013-08-23 2014-04-16 浙江今飞凯达轮毂股份有限公司 一种偏心式通用型中隔板
KR101452685B1 (ko) 2014-06-05 2014-10-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CN205574639U (zh) * 2016-04-25 2016-09-14 浙江广通包装有限公司 一种便于运输的汽车轮毂包装
JP2016196306A (ja) * 2015-04-03 2016-11-24 三甲株式会社 ホイール運搬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748B2 (ja) * 1994-07-25 2004-11-17 三甲株式会社 搬送用トレイ
JP2000289741A (ja) * 1999-04-01 2000-10-17 Topy Ind Ltd ホイール積載用保護プレートおよび該保護プレートを用いたホイール積載具
CN203006091U (zh) * 2012-12-11 2013-06-19 浦江县亚泰纸塑有限公司 八孔纸塑轮毂垫板
CN203544758U (zh) * 2013-08-23 2014-04-16 浙江今飞凯达轮毂股份有限公司 一种偏心式通用型中隔板
KR101452685B1 (ko) 2014-06-05 2014-10-2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JP2016196306A (ja) * 2015-04-03 2016-11-24 三甲株式会社 ホイール運搬ユニット
CN205574639U (zh) * 2016-04-25 2016-09-14 浙江广通包装有限公司 一种便于运输的汽车轮毂包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743B2 (en) Tray for carrying vehicle wheel
EP3378789B1 (en) Aircraft panel production method
US9045068B2 (en) One-piece seat back structure
CN205365346U (zh) 倾卸车身
US5101964A (en) Transportation pallet system
KR20100099278A (ko) 생산장치
JP2001513733A (ja) 積層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153477B (zh) 形成有支撑板的运输托盘
KR200486566Y1 (ko)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US20160339503A1 (en) Roller bearing c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85262Y1 (ko)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CN102349361A (zh) 用于连接多个印刷电路板与至少一个框架或者载体元件的方法和系统以及印刷电路板和框架或者载体元件
CA2354965C (en) Adjustable wheelbase trailer including reinforced structural apertures
KR101005580B1 (ko) 자동변속기용 캐리어의 핀 조립장치
CN102216531A (zh) 在船舱内的封闭式集装箱内运输施工设备的装置和方法
KR20190100903A (ko) 휠 운반용 트레이를 이용한 차동차 휠 운송방법
US20130038088A1 (en) Varaible height combat vehicles
JP5149696B2 (ja) 制音具付き空気入りタイヤ
US5826716A (en) Wheel separator and method
JP3564939B2 (ja) テーラードブランク材の積層方法
JP5214827B2 (ja) 車両用ホイール
KR20190030634A (ko) 자동차 휠 운반용 트레이
JP2009184703A (ja) ホイール積載盤
JP6736082B2 (ja) トレー
JP7121429B2 (ja) インシュレ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