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22Y1 - 내용물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522Y1
KR200486522Y1 KR2020160006059U KR20160006059U KR200486522Y1 KR 200486522 Y1 KR200486522 Y1 KR 200486522Y1 KR 2020160006059 U KR2020160006059 U KR 2020160006059U KR 20160006059 U KR20160006059 U KR 20160006059U KR 200486522 Y1 KR200486522 Y1 KR 200486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ngaging portion
contents
coupling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94U (ko
Inventor
강용석
Original Assignee
강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석 filed Critical 강용석
Priority to KR2020160006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52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재질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수단에 의하여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2 케이스가 딸려나오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용물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결합수단을 풀어 제1 케이스로부터 제2 케이스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의 재활용 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보관 용기{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본 고안은 내용물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사용상의 편의성 및 재활용 효율이 개선된 내용물 보관 용기에 관련된다.
페인트, 방수제 등 다양한 내용물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하드 케이스에 담겨져서 유통되고, 각종 작업 현장에서는 전술한 하드 케이스를 개봉하여 하드 케이스 내부에 담겨진 내용물을 덜어내거나 붓 또는 롤러 등에 묻혀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 현장에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뒤에 폐기되는 하드 케이스 내부에는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가 잔류된다. 따라서, 기 사용된 하드 케이스를 그대로 폐기할 경우 환경오염이 초래될 수 있으며, 폐기처리시 소요되는 비용도 증가된다. 게다가, 건설현장 등에서는 각각의 공정 또는 작업을 수행하는 개별 업체에게 폐기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부담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하드 케이스의 폐기처리는 해당 하드 케이스에 담겨져서 유통되는 페인트, 방수제 등을 사용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업체의 경영상황을 악화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하드 케이스를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잔류된 내용물을 모두 세척하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므로 재활용의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하드 케이스 등을 수집하는 고물상 등에서 오염된 상태의 하드 케이스 등의 수거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특히, 내용물이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하드 케이스에서 내용물을 제거하는데 별도의 비용과 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내용물이 비닐봉지 등에 담겨진 상태로 하드 케이스 내부에 포장되어 판매되기도 하지만, 붓이나 롤러 등에 내용물을 묻혀서 사용되는 경우에, 내용물의 점도가 높다면 붓이나 롤러 등을 비닐봉지 등의 외측으로 빼는 과정에서 비닐봉지 등이 붓이나 롤러 등과 함께 딸려나오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작업 효율을 감소시키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등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KR 10-2015-0071295 A1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재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물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재질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단면 또는 양면 본딩된 접착테이프,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 나사 및 걸고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용물 보관 용기에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면에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단면 또는 양면 본딩된 접착테이프,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 및 나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루는 재질 보다 유연성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는 PET, PE, PP, 아세탈, 카톤백, 실리콘 코팅된 종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내용물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2 케이스가 딸려나오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간단한 조작 만으로 결합수단을 풀어 제1 케이스로부터 제2 케이스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의 재활용 효율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보관 용기(100)는 제1 케이스(110), 제2 케이스(120) 및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케이스(110)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각종 합금 등의 금속재나, 경질의 골판지, 경질의 합성수지,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케이스(120)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는 비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는 PET, PE, PP, 아세탈, 카톤백, 실리콘 코팅된 종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케이스(120)는, 그 내부에 내용물(10)이 충진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 유통 및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케이스(120)는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0.5 내지 5mm의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1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10)이 담겨진 상태에서 고무줄이나 금속링 등에 의하여 별도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를 개봉하여 내용물(10)을 사용할 경우 제2 케이스(120)의 상단부가 제1(110)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돌출된 제2 케이스(120)의 상부를 젖혀서 제1 케이스(110)의 상부를 덮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1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10)이 제1 케이스(110)에 묻어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수단은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결합수단의 체결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케이스(120)가 제1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 핫 멜트, 단면 또는 양면 본딩 처리된 테이프, , 나사 및 걸고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가 스틸 등 자석에 붙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자력을 갖는 자성분말 등이 제2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가 걸고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15)는 제1 케이스 벽체(111)에 구비되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25)는 제2 케이스 벽체(121)에 구비되며 전술한 제1 결합부(115)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15)는 제1 케이스 벽체(111)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케이스 벽체(111)와 일체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결합부(125)가 상승하면서 제1 결합부(115)가 제2 결합부(125)에 삽입되어 제1 결합부(115) 및 제2 결합부(125)의 결속력이 강해지고, 제2 결합부(125)가 하강하면 제1 결합부(115) 및 제2 결합부(125)의 결속력이 약해져서 결국은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1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2 케이스(120)가 제1 케이스(110) 외부로 빠져나가려는 현상이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의 체결력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10) 사용을 완료한 뒤 제2 케이스(120)를 제1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결합부(125) 부분을 제1 케이스(110)의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의 결합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내용물(10) 사용이 완료된 뒤에 제2 케이스(120)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내용물(10)의 적어도 일부가 잔류되어 있는 제2 케이스(120)만 폐기하고 제1 케이스(110)는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리 형상의 결합부가 제2 케이스(120)에 구비되고, 이 고리 형상의 결합부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물이 제1 케이스(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가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 및 나사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 벽체(111)에 제1 결합부(115-1)가 구비되고, 제1 결합부(1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125-1)가 제2 케이스 벽체(1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 벽체(111)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제1 결합부(115-1)를 이루고, 제2 결합부(125-1)는 제1 결합부(115-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구현된 예가 도 3에 예시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결합부가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제2 결합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25-1) 사이의 접촉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암-수 한쌍의 벨크로나 똑딱이 단추, 암나사와 수나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15-1)와 제2 결합부(125-1)가 자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회전식 걸개와 이에 대응되는 걸쇠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걸쇠를 걸개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내용물(10) 사용 중 제2 케이스(120)가 충분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2 결합부(125)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125)는 제2 케이스(120)를 이루는 재질보다 유연성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120)가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여 내용물(10)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2 케이스(120)가 제1 케이스(110)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의 상부(내용물(10)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입구)측은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크도록 하고, 제2 케이스(120)의 하부 측은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작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케이스(120)의 하부 측면이나 바닥면 등은 제2 케이스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경도가 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경도가 큰 부분에 제2 결합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10)이 제2 케이스(120)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도 제2 케이스(120)가 제1 케이스(1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25)가 제2 케이스(1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도 완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의 하부에 볼트 또는 너트가 고정되도록 하고, 제1 케이스(110)의 바닥면 상부에 너트 또는 볼트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자성 분말이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스(110)가 스틸 등 자석에 이끌리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제2 케이스(120)에 함유된 자성 분말에 의하여 제2 케이스(120)가 제1 케이스(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케이스(120)의 하부 측면이나 바닥면 등이 제2 케이스(12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경도가 클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는데, 이와 함께 하부 측면이나 바닥면 등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자성 분말이 함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10 : 내용물
100 : 내용물 보관 용기
110 : 제1 케이스
111 : 제1 케이스 벽체
115 : 제1 결합부
120 : 제2 케이스
121 : 제2 케이스 벽체
125 : 제2 결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재질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벽 내측에서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분리되는 내용물 보관 용기.
  4.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재질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면에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면에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단면 또는 양면 본딩된 접착테이프,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 및 나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내용물 보관 용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루는 재질 보다 유연성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용물 보관 용기.
  6.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재질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자석에 달라붙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자성 분말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관 용기.
  7. 삭제
KR2020160006059U 2016-10-20 2016-10-20 내용물 보관 용기 KR200486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59U KR200486522Y1 (ko) 2016-10-20 2016-10-20 내용물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59U KR200486522Y1 (ko) 2016-10-20 2016-10-20 내용물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94U KR20180001194U (ko) 2018-04-30
KR200486522Y1 true KR200486522Y1 (ko) 2018-05-30

Family

ID=6207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59U KR200486522Y1 (ko) 2016-10-20 2016-10-20 내용물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52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559B2 (ja) * 2007-09-28 2011-06-29 隆二 佐々木 塗装用塗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295A (ko) 2013-12-18 2015-06-26 유용민 깔끔한 페인트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559B2 (ja) * 2007-09-28 2011-06-29 隆二 佐々木 塗装用塗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94U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7840A (zh) 重新填装容器
US9186931B2 (en) Vacuum sealable paint tray liner
KR200486522Y1 (ko) 내용물 보관 용기
US10947010B2 (en) Stackable bucket system
EP1466836A3 (en) Container lid
CN210365317U (zh) 一种储物袋
KR102033424B1 (ko) 포장용 용기
CN206938184U (zh) 油墨盒
KR20210056834A (ko) 패치형 재활용 손잡이 조립체
CN205998464U (zh) 一种防脱落易套易封口垃圾袋
CN205470442U (zh) 一种易焊接防撞的涂料盛装装置
CN209905595U (zh) 一种家用垃圾桶
EP2933208B1 (en) A reusable waste receptacle and a method for emptying it
CN201338779Y (zh) 一种改进的包装袋
JP2010037088A (ja) ゴミ袋固定箱
US20230270234A1 (en) Cosmetic case for easy replacement and assembly of pallets
CN209851944U (zh) 一种画笔盒
CN210913672U (zh) 一种专用快递箱
KR20160150262A (ko) 종이 걸림 장치가 구비된 풀칠 가이드
KR101507688B1 (ko) 종이 접착부가 형성된 스티커
JP2006298405A (ja) パレット
JP2010120664A (ja) 二液性シーリング材の樹脂製容器
CN205327618U (zh) 一种艺术专用水桶
JP2006182522A (ja) ロール体用止め具
JP4587973B2 (ja) 塗料用容器のリサイクル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