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61Y1 - 조립식 보빈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361Y1 KR200486361Y1 KR2020170000130U KR20170000130U KR200486361Y1 KR 200486361 Y1 KR200486361 Y1 KR 200486361Y1 KR 2020170000130 U KR2020170000130 U KR 2020170000130U KR 20170000130 U KR20170000130 U KR 20170000130U KR 200486361 Y1 KR200486361 Y1 KR 2004863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rical portion
- fixing
- flange portion
- groove
- cylindr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재사용이 가능하며 저장 및 회수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운반 가능한 구조의 조립식 보빈이 제공된다. 조립식 보빈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굴절 가능한 선형 제품이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 양단에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을 이루는 원통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와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고랑 형태의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편과, 상기 제2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일면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보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저장 및 회수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운반 가능한 조립식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빈(bobbin)은 전선을 감아 코일을 만드는 원형이나 다각형의 통으로 전선, 와이어, 케이블등과 같은 길이가 긴 끈을 감아 저장 및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된 보빈은 종이로 형성되어 한번 사용되고 폐기처분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낭비가 컸으며, 재활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이로 인해, 경제적인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무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재사용 해왔다.
그러나,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형성된 보빈은 선을 감는 원통형과 원통형의 양단에 결합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보관 및 운반시에 불편했으며, 회수 시에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 운송비가 많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큰 부피로 인해 파손의 위험도 컸으며, 보빈의 일부가 파손되면 폐기처분 해야 하는 문제로 여전히 경제적인 낭비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빈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보빈은 조립과 분리가 불편하고, 조립 상태에서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거나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1888호, (1999.12.08)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며 저장 및 회수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운반 가능한 조립식 보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조립식 보빈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굴절 가능한 선형 제품이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 양단에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을 이루는 원통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와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고랑 형태의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편과, 상기 제2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일면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는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1 결합편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림(rim)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림부와 상기 제1 결합편 사이에 상기 제2 결합편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이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편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편과 중첩되어 상기 원통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제2 결합편이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1 결합편 또는 상기 원통부의 끝단부에 접하여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플랜지부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돌기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면 일치하는 표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 내주면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보빈은, 전선이나 와이어와 같은 긴 선재를 감아 사용할 때에는 원통부와 플랜지부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선재를 다 사용하고 회수할 때에는 간단하게 분리하여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 부피가 줄어 적재과정에서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부와 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될 경우에도 그 중에 하나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전을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보빈의 고정손잡이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후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전을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보빈의 고정손잡이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후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보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1)은 저장 및 회수 시 전선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긴 선을 감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고, 재사용 시 보관 및 운반에 용이하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굴절 가능한 선형 제품이 감기는 원통부(10)와, 원통부(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20)에 탄성결합되어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를 결합하는 고정손잡이(30)를 포함하여, 전선, 와이어, 케이블, 테이프 등과 같은 선재를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원통부(10)는 선형 제품이 감기는 권취부(16)와, 권취부(16) 양단에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편(12)과, 제1 결합편(1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13)과, 제1 삽입홈(13)을 이루는 원통면 중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홈(14)을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부(20)는 원통부(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원통부(10)와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원통부(1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고랑 형태의 결합홈(21), 결합홈(21)의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제1 삽입홈(13)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편(22)과, 제1 결합편(1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삽입홈(23)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손잡이(30)는 플랜지부(20) 일면에 탄성결합되며 원통부(1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홈(1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원통부(10)는 전선, 와이어, 케이블, 지퍼 테이프 등과 같은 굴절 가능한 긴 선재를 감을 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원통부(10)에서 선재가 직접 감기는 부분이 되는 중앙 부분이 권취부(16)가 된다. 즉, 굴절 가능한 선재는 원통부(10)의 권취부(16) 부분에 감기게 되며, 권취부(16)의 양끝단에 플랜지부(20)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편(12), 제1 삽입홈(13), 고정홈(14), 림(rim)부(15) 및 이동홈(11)이 형성된다.
원통부(10)는 중앙이 관통된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플랜지부(20)에 삽입 고정되어 폐쇄될 수 있다. 원통부(10)의 양단부는 플랜지부(20)의 제1 결합편(12)과 제2 결합편(22)에 의해 결합되어 두께가 얇은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먼저, 원통부(10)는 권취부(16)의 양단부에 제1 결합편(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편(12)은 원통부(10)의 양끝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편(12)은 복수 개가 동일 평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결합편(12) 사이에는 플랜지부(20)의 제2 결합편(22)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편(12)은 플랜지부(20)의 제2 결합편(22)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되어 제1 삽입홈(13)을 형성하며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제1 삽입홈(13)은 원통부(10)의 외주면과 제1 결합편(12)으로 이루어지며 원통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1 삽입홈(13)이 형성된 원통면의 일부에 고정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4)은 플랜지부(20)에 형성된 고정손잡이(30)가 고정되는 홈으로, 제1 결합편(12) 사이의 제1 삽입홈(13)에 형성된다. 즉, 고정홈(14)은 제1 삽입홈(13)을 이루는 원통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상에서 고정홈(14)은 두 개의 홈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거나 제1 삽입홈(13)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홈(14)은 고정손잡이(30)의 고정돌기(31)가 삽입되면서, 플랜지부(20)를 원통부(10)에 고정한다. 고정손잡이(30)의 고정돌기(31)가 고정홈(14)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원통부(10)의 외주면에는 림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림부(15)는 권취부(16)와 제1 결합편(12) 사이에 원통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플랜지부(20)를 지지한다. 림부(15)는 권취부(16)와 제1 결합편(12) 사이에 원통부(10)의 외측면에 둥근 띠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림부(15)는 원통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원통부(10)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림부(15)는 원통부(10)에 플랜지부(20)가 결합되었을 때 플랜지부(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권취부(16)에 감기는 선형 제품이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선형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림부(15)와 제1 결합편(12) 사이에는 플랜지부(20)의 제2 결합편(12)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11)은 플랜지부(20)가 원통부(10)에 결합될 때 제2 결합편(22)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홈으로, 림부(15)와 제1 결합편(12)이 제2 결합편(22)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홈(11)은 플랜지부(20)가 원통부(10)에 회전 결합되기 위해서 원통부(10)의 외주면에 만입되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이동홈(11)에 플랜지부(20)의 제2 결합편(22)이 삽입되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편(22)이 이동홈(11)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결합편과 중첩되며, 이로 인해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홈(11)은 림부(15)와 제1 결합편(12) 사이에 제2 결합편(22)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동홈(11)이 제1 결합편(12)의 두께만큼 형성되어 원통부(10)와 플랜지가 결합되었을 때 빈틈없이 맞물려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원통부(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부(20)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상의 플랜지부(20)는 원통부(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원통부(10)의 양단에 동일한 한 쌍의 플랜지부(20)가 결합되어 동일한 형상 및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플랜지부(20)로 설명하도록 한다.
플랜지부(20)는 원통부(10)에 감기는 선형 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선형제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부(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플랜지부(2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원통부(10)의 양단에 각각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는 원통부(10)와 마찬가지로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부(10)의 지름보다 크고 얇은 원형판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20)는 원통부(10)보다 돌출 형성되어 파손의 위험이 크므로 이러한 플랜지부(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20)의 외측면에는 보강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7)는 플랜지부(20)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0)의 외측면에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20)의 내측면에도 보강부(17)의 방향이나 개수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20)의 중앙에는 플랜지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손잡이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조립식 보빈(1)을 쉽게 운반하고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플랜지부(20) 중앙에 형성되어 원통부(10)와 연통될 수 있다. 손잡이부(40)는 플랜지부(2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조립식 보빈(1)의 회전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20)의 내측면에는 원통부(1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1), 제2 결합편(22), 제1 삽입홈(13) 및 고정손잡이(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은 위에서 설명한 원통부(10)의 제1 결합편(12)이 슬라이딩 회전하는 홈으로, 원통부(10)와 접하는 면에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은 원형 고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21)은 원통부(10)와 결합하기 위해 제1 결합편(12)이 이동하는 경로로, 플랜지부(20)의 내측면에 원통부(10)가 접하는 면이 원형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의 내측에는 제2 결합편(22)이 형성된다.
제2 결합편(22)은 원통부(10)의 제1 삽입홈(13)에 삽입되는 것으로, 결합홈(21)의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편(22)은 플랜지부(20) 결합홈(21)의 내측 내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제2 결합편(22)은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편(22)은 원통부(10)의 이동홈(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결합편(12)과 중첩되어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를 결합할 수 있다. 동일 평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 제2 결합편(22) 사이에는 제2 삽입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23)은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가 결합할 때 제2 결합편(22)이 삽입되는 홈으로, 제2 결합편(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23)은 결합홈(21)의 내측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격 형성된 제2 결합편(22)의 사이에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의 결합전과 결합후의 위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가 결합하면 플랜지부(20)에 형성된 고정손잡이(30)가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의 분리를 방지한다.
고정손잡이(30)는 외팔보 형태로 플랜지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다. 고정손잡이(30)는 플랜지부(20)와 동일 평면상에 탄성결합되어 원통부(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손잡이(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플랜지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손잡이(30)의 내측에는 고정홈(1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형성된다. 고정돌기(31)는 원통부(1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홈(14)에 결합되어 플랜지부(20)의 회전을 제한한다. 고정돌기(31)는 플랜지부(20)가 원통부(10)에 결합될 때 플랜지부(31)와 원통부(10)사이에 빈 틈이 생겨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고정돌기(31)가 고정홈(14)에 삽입되면서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는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손잡이(30)는 제2 결합편(22)이 제1 삽입홈(13)에 삽입되면 고정돌기(31)가 제1 결합편(12) 또는 원통부(10)의 끝단부에 접하여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때, 고정손잡이(30)가 원통부(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돌기(31)에 탄성력을 가하여 고정돌기(31)가 고정홈(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고정돌기(31)가 탄성력을 가한다는 것은 고정손잡이(30)가 원통부(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탄성력을 가하여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작동과정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전을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보빈의 고정손잡이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조립식 보빈의 조립 후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통부(10)에 플랜지부(20)가 완전하게 결합되기 전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결합부분을 맞춰 회전시켜야 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1)은 도 2의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에 각각 표시된 제1 표시부(50a)를 제3 표시부(50c)에 맞추고, 제2 표시부(50b)를 제4 표시부(50d)에 맞춰 중첩시킨 후 플랜지부(20)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식 보빈(1)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통부(10)의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 제2 표시부(50b)와 제4 표시부(50d)가 맞닿도록 중첩시킨다. 이때, 제1 표시부(50a)와 원통부(10)의 제1 결합편(12)이 형성된 원통부(10)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표시부(50c)는 플랜지부(20)의 내측에 고정손잡이(30)가 형성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50b)는 고정홈(14)이 형성된 원통부(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4 표시부(50d)는 플랜지부(20)의 고정손잡이(3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편(22)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를 중첩시키면, 제1 결합편(12)과 제2 삽입홈(23)이 중첩될 수 있다.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가 맞닿아 중첩된 후에 플랜지부(20)에 압력을 가하면, 고정돌기(31)가 제1 결합편(12) 또는 원통부(10)의 끝단부에 접하여 고정손잡이(30)는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의 고정손잡이(30)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고정손잡이(30)가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습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를 중첩시키고 압력을 가하면 고정돌기(31)가 제1 결합편(12) 또는 원통부(10)의 끝단부에 접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손잡이(30)가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손잡이(3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31)가 제1 결합편(12)과 맞닿으면서 탄성을 가진 고정손잡이(30)가 플랜지부(20)의 탄성변형될 수 있다. 고정손잡이(30)는 제1 결합편(12) 또는 원통부(10)의 끝단부에 의해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탄성변형에 의해 고정손잡이(30)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어, 고정손잡이(30)가 탄성변형에 의해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0)를 원통부(10)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결합편(22)은 이동홈(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회전하는 동안은 고정돌기(31)가 원통부(10)의 끝단부 또는 제1 결합편(12)을 따라 이동하므로, 고정손잡이(30)가 탄성변형되어 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플랜지부(20)를 회전시키면 제2 표시부(50b)와 제3 표시부(50c)가 중첩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표시부(50b)와 제3 표시부(50c)가 중첩되면서 플랜지부(20)와 원통부(10)가 완전하게 결합 된 도면을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 제2 표시부(50b)를 제4 표시부(50d)를 중첩시킨 후 고정손잡이(30)가 탄성변형 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0)를 원통부(10)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표시부(50b)와 제3 표시부(50c)가 중첩하게 된다. 이때, 내측에서 살펴보면, 원통부(10)의 끝단부 또는 제1 결합편(12)을 따라 이동하던 고정돌기(31)는 원통부(10)의 고정홈(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홈(14)에 삽입된 고정돌기(31)는, 고정홈(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고정홈(14)에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억지로 힘을 가하여 분리시킬 수 없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제1 표시부(50a)와 제3 표시부(50c), 제2 표시부(50b)와 제4 표시부(50d)를 중첩시키고 플랜지부(20)를 원통부(10)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 것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플랜지부(20)를 회전시키지 않고 원통부(10)를 화살표 표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돌기(31)를 다른 고정홈(14)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상에는 원통부(10)와 플랜지부(20)에 표시부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결합편(12)과 제2 삽입홈(23), 제2 결합편(22)과 제1 삽입홈(13)을 중첩시킨 후 회전시켜 고정돌기(31)가 고정홈(14)에 삽입되면서 조립식 보빈(1)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결합된 조립식 보빈(1)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돌기(31)를 고정홈(14)으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정손잡이(30)를 잡아당겨 고정돌기(31)를 고정홈(14)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플랜지부(20) 또는 원통부(10)를 회전시킨다. 이어, 고정돌기(31)가 원통부(10)의 끝단부 또는 제1 결합편(12)을 따라 이동시킨 후 제3 표시부(50c)가 제1 표시부(50a)의 위치로 오면 조립식 보빈(1)을 분리시킬 수 있다. 플랜지부(20)를 원통부(10)로부터 분리 시에는 어느 플랜지부(20)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제2 결합편(22)이 이동홈(11)으로부터 이탈된다. 제1 결합편(12) 또는 제2 결합편(22)이 고정홈(14)의 위치에 위치하면 플랜지부(20)는 원통형으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보빈(1)은 조립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장 및 운반 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에 용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립식 보빈 10: 원통부
11: 이동홈 12: 제1 결합편
13: 제1 삽입홈 14: 고정홈
15: 림부 16: 권취부
17: 보강부 20: 플랜지부
21: 결합홈 22: 제2 결합편
23: 제2 삽입홈 30: 고정손잡이
31: 고정돌기 40: 손잡이부
50: 표시부
11: 이동홈 12: 제1 결합편
13: 제1 삽입홈 14: 고정홈
15: 림부 16: 권취부
17: 보강부 20: 플랜지부
21: 결합홈 22: 제2 결합편
23: 제2 삽입홈 30: 고정손잡이
31: 고정돌기 40: 손잡이부
50: 표시부
Claims (7)
-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굴절 가능한 선형 제품이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 양단에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결합편과, 상기 제1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1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을 이루는 원통면 중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와 접하는 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상기 원통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원형 고랑 형태의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편과, 상기 제2 결합편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일면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1 결합편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림(rim)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림부와 상기 제1 결합편 사이에 상기 제2 결합편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이동홈이 형성된 조립식 보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편은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결합편과 중첩되어 상기 원통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서로 결합하는 조립식 보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제2 결합편이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1 결합편 또는 상기 원통부의 끝단부에 접하여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플랜지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조립식 보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는 상기 원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돌기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원통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식 보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면 일치하는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는 조립식 보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 내주면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보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130U KR200486361Y1 (ko) | 2017-01-06 | 2017-01-06 | 조립식 보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0130U KR200486361Y1 (ko) | 2017-01-06 | 2017-01-06 | 조립식 보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361Y1 true KR200486361Y1 (ko) | 2018-05-08 |
Family
ID=621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0130U KR200486361Y1 (ko) | 2017-01-06 | 2017-01-06 | 조립식 보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36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5215B1 (ko) * | 2020-01-31 | 2020-09-11 | 노병선 | 필름 권취용 롤 |
KR20220053813A (ko) * | 2020-10-23 | 2022-05-02 | 김영세 | 케이블 홀더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6494U (ko) * | 1990-04-06 | 1991-12-19 | ||
KR200171888Y1 (ko) | 1997-06-26 | 2000-04-01 | 박종태 | 전선 권취용 드럼 |
JP2001139233A (ja) * | 1999-11-09 | 2001-05-22 | Gold Kogyo Kk | 物流用リール |
JP2004217341A (ja) * | 2003-01-10 | 2004-08-05 | Gold Kogyo Kk | 物流用リール |
KR20130007345U (ko) * | 2012-06-15 | 2013-12-26 | 현병찬 | 손잡이가 구비된 보빈 |
-
2017
- 2017-01-06 KR KR2020170000130U patent/KR20048636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6494U (ko) * | 1990-04-06 | 1991-12-19 | ||
KR200171888Y1 (ko) | 1997-06-26 | 2000-04-01 | 박종태 | 전선 권취용 드럼 |
JP2001139233A (ja) * | 1999-11-09 | 2001-05-22 | Gold Kogyo Kk | 物流用リール |
JP2004217341A (ja) * | 2003-01-10 | 2004-08-05 | Gold Kogyo Kk | 物流用リール |
KR20130007345U (ko) * | 2012-06-15 | 2013-12-26 | 현병찬 | 손잡이가 구비된 보빈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126494 U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5215B1 (ko) * | 2020-01-31 | 2020-09-11 | 노병선 | 필름 권취용 롤 |
KR20220053813A (ko) * | 2020-10-23 | 2022-05-02 | 김영세 | 케이블 홀더 |
KR102473818B1 (ko) * | 2020-10-23 | 2022-12-02 | 김영세 | 케이블 홀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6361Y1 (ko) | 조립식 보빈 | |
US20110114778A1 (en) | End plug for coreless paper rolls | |
US4128215A (en) | Textile spool | |
EP2479131B1 (en) | Breakdown spool | |
US20140367289A1 (en) | Lockset and removable-type pallet box using lockset | |
JP3704574B2 (ja) | 線材収容箱 | |
KR100423584B1 (ko) | 가늘고 긴 물품 운송용 릴 | |
US6182922B1 (en) | Reassemblable reel and disassembly device | |
JP2009083875A (ja) | 組み立て式コンテナ | |
US5803401A (en) | Reel for transporting elongate articles | |
KR20170087332A (ko) | 용접 와이어용 스풀 | |
JP2020007149A (ja) | 巻き取りドラム | |
KR101977144B1 (ko) | 일체형 내부 받침판을 구비한 포장박스 | |
JP6668092B2 (ja) | 原反保管器具 | |
US3442465A (en) | Expanding paper tape take-up spool | |
KR20210094971A (ko) | 테이프 권취용 보빈 | |
KR102071299B1 (ko) | 3가지 장착모드를 갖는 테이프 장착롤러 및 이것이 결합된 테이프 디스펜서 | |
KR101685915B1 (ko) |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한 케이블 드럼 | |
KR200490963Y1 (ko) | 테이프 장착 롤러 | |
JP4295198B2 (ja) | 端部取付キャップ及びミシン用巻芯連結具セット | |
JP2534455Y2 (ja) | スクリーン巻取装置のスクリーン着脱構造 | |
JP3201255B2 (ja) | リール | |
JP3646040B2 (ja) | 糸巻収納ケース及び糸巻収納体 | |
WO2007035999A1 (en) | Construction module, eg spool half | |
JP2013129468A (ja) | 巻き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